WO2021182811A1 -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82811A1
WO2021182811A1 PCT/KR2021/002795 KR2021002795W WO2021182811A1 WO 2021182811 A1 WO2021182811 A1 WO 2021182811A1 KR 2021002795 W KR2021002795 W KR 2021002795W WO 2021182811 A1 WO2021182811 A1 WO 202118281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fan
hot air
moisture removal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27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규성
Original Assignee
김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성 filed Critical 김규성
Publication of WO202118281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828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4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having two or more mixing elements being concentrically mounted on the sam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5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with vanes or blades extending parallel or oblique to the stirrer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7Stirrers with additional elements mounted on the stirrer, for purposes other than mixing
    • B01F27/172Stirrers with additional elements mounted on the stirrer, for purposes other than mixing for cutting, e.g. with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1Discharging by opening a gate, e.g. using discharge pad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4Mixing of ingredients for microbiology, enzymology, in vitro culture or genetic manip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ized food waste extinc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a complex enzyme, and in particular, food waste is put through an inlet of the extinction chamber, and air is supplied to the extinction chamber in a pressurized manner while stirring and pulverizing through a stirring fan and microbial growth.
  • Water generated while decomposing food waste through the fermentation enzyme contained in the sawdust medium for It is designed to be transported to the center through a 45-degree inclined transfer fan while crushing it.
  • Landfilling food waste requires huge costs for site acquisition and follow-up management. Therefore, food waste treatment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in terms of hygiene environment, cost, and the like.
  • a food waste disposer with a compact size and improved processing capability has been disclosed.
  • a rotary shaft driven by a motor is installed inside the synthetic resin treatment tank that can be stirred and fermented, and several stirring blades are attached to the rotary shaft to stir the food waste into the stirring tank with fermenting bacteria for ferment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gitate and pulverize the food waste with a stirring fan while drying it with hot air, and decompose organic food waste through a complex enzym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ized food waste extinction treatment device using a complex enzyme that removes water directly through the moisture removal liquefaction device at the top.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lex enzyme that exhausts odors and dust through an exhaust pipe and transports food waste to the center through a transfer pan inclined at 45 degrees while finely shredding food waste with a crushing fan and a crushing blade of a stirring fa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n extinction chamber, an inlet door, a discharge door, and a control panel for stirring and pulverizing food waste, a hot air supply installed under the control panel to supply hot air, and a A discharge port installed, a distributor for distributing the hot air supplied from the hot air supplier, a hot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hot air distributed by the distributor to the dissipation chamber, and a check valve installed in the hot air supply pipe to supply or block the hot air; , a moisture removal liquefaction device for removing moisture in the vanishing chamber, a refrigerant inlet for inputting a refrigerant and a refrigerant outlet for discharging a refrigeran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isture removal liquefaction device, and water generated in the moisture removal liquefaction device A drain port for draining to the outside, an exhaust fan and an exhaust pip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isture removal liquefaction device to exhaust odors and dust to the outside, and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awdust medium containing a complex enzyme in the extinction chamber.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let pipe and the oxygen inlet pipe are connected to the vanishing chamber.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humidification liquefaction apparatus is configured to liquefy water generated when decomposing food waste through a complex enzyme through a refrigerant, process it with water, and drain it immediately.
  • the present invention puts food waste through the inlet and heats it with heat while stirring and pulverizing it through a stirring pan, decomposing the food waste through a complex enzyme, and removing moisture through the moisture removal liquefaction device at the top. It has the effect of not only draining the water immediately, but also evacuating odors and dust through the exhaust pipe and transferring them to the central outlet during stirring through the transfer fan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tirring pan inclined at 45 degrees.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and processing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in a short time by pressurizing at a low cost without causing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ing pa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inlet door 1 and an outlet door 2 are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ends, and a control panel 3 and an exhaust pipe 4 are installed on one side thereof.
  • FIG.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a hot air supply 5 installed under the control panel 3 for supplying hot air
  • an outlet 6 installed under the dissipation chamber 13
  • the hot air A distributor 7 for distributing the hot air supplied from the supply 5, a hot air supply pipe 8 for supplying the hot air from the distributor 7 to the dissipation chamber 13, and the hot air supply pipe 8 are installed
  • a check valve (9) a refrigerant inlet (1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issipation chamber (13) for introducing a refrigerant, a refrigerant outlet (11) for discharging the refrigerant, and the moisture removal liquefaction device (17)
  • Exhaust chamber 13 having a drain 12 for draining the water removed by It is composed of an exhaust fan 15 for, 16 is a fan motor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19 of the stirring fan (20).
  • a pressurized air inlet pipe (not shown) on one side of the annihilation chamber 13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nnihilation chamber 13 to maintain an internal pressure of about 2-4 into the annihilation chamber 13 .
  • an oxygen inlet pipe (not shown) that provides oxygen to help the growth of aerobic microorganisms is connected to the pressurized air inlet pipe.
  • a solenoid valve and a check valv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pressurized ai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pressurized air inlet pipe and the oxygen inlet pipe, and a check valve may be provided in the oxygen inlet pipe itself.
  • a device 17 a rotating shaft 19 rotating by a chain 18 connected to the fan motor 16, and a plurality of stirring fans 20 fixed to the rotating shaft 19 to agitate food waste. is composed
  •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refrigerant coil 21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nt inlet 10 at the upper end, and the temperature sensor 22 and the humidity in the vanishing chamber on one side of the dehumidification liquefaction apparatus 17
  • the sensor inlet 23 is installed, the lower heater 25 is installed in the dissipation chamber 13 , the temperature sensor 26 and the lower temperature sensor mounting port 27 ar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and the dissipation chamber 13 is installed.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food waste 24 is put into the inside.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refrigerant injected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10 of the moisture removal liquefaction device 17 is partially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coil 21 and the refrigerant outlet 11 and some are configured to be exhausted to the exhaust pipe 4 by the exhaust fan 15 .
  • a stirring fan 20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isture removal liquefaction device 17, and while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chain 18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an motor 16 is rotated by the rotating shaft 19, the stirring fan ( 20) is configured to stir and pulverize the food waste.
  • reference numeral 29 denotes a wiper for removing food waste adhering to the wall
  • 30 denotes a side wall of the vanishing chamber.
  • FIG. 6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ing fa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otating shaft 19 rotates clockwise, the food waste is transferred to the center by the transfer fan 20, and the wiper 29
  • the attachments on the side of the vanishing chamber are removed, and the left fan 20c and the right fan 20b are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round the central fan 20a.
  • FIG. 7 is a detailed view of the stirring fa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transfer fan 20d is formed as a cross around the central fan 20a of the S-curved stirring pan 20, and the stirring pan 20 is A crushing blade 3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rushing fan 32 .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nsfer fan 20d of the stirring fa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fan of the central fan 20a is maintained horizontally, but the left fan 20c and the right fan 20b are transferred The fan 20d is inclined at 45 degrees so as to transport the food waste to the outlet 6 .
  • FIG. 9 is a view showing the inlet do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destal 1a is installed inside the inlet door 1 so that the pedestal 1a can be opened and food waste can be put into the inlet 1 is composed
  •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outlet 6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edestal 2b is opened downward and the outlet door 2a is raised in a state in which the outlet door 2 is opened, food waste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6 configured to be
  •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let door 1 installed on the upper left side, so that the inlet door 1 can be opened and food waste can be put in.
  • a discharge door (2)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so that the discharge door (2) can be opened and discharged when discharging the food waste after processing.
  • control panel 3 and an exhaust pipe 4 are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inlet door 1 to control food waste treatment through the control panel 3, Smoke and dust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 the hot air from the hot air supply (5) is distributed through the distributor (7) and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dissipation chamber (13) through the hot air supply pipe (8), so that the food waste is stirred and pulverized while moisture is removed by the hot heat.
  • a check valve 9 is installed in the hot air supply pipe 8 to supply or block the hot air into the dissipation chamber 13 by being stirred and pulverized in the .
  • a lower heater 24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annihilation chamber 13 as shown in FIG. 4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annihilation chamber 13, and the annihilation chamber by the upper temperature sensor 22 and the lower temperature sensor 26 (13) The inside temperature is sensed.
  • the moisture of the food waste is removed and liquefied by the moisture removal liquefaction device 17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ssipation chamber 13 , and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into the moisture removal liquefaction device 17 through the coolant inlet 10 .
  • the inputted refrigerant is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11), and the moisture generated at this time is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12).
  •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dissipation chamber 13 is heated by the hot air supplied from the hot air supply pipe 8 and dried, and the moisture is removed by the moisture removal liquefaction device 17 at the top. It is stirred and pulverized by the stirring fan 20 rotated by the rotating shaft 19 in the.
  • the stirring pan 20 is composed of a crushing fan 32 and a crushing blade 31 as shown in FIG. 7 , so that, when the stirring pan 20 is stirred, the food waste is crushed and crushed by the crushing pieces 32 at the same time. It is also crushed by the blade 31, and the crushing blade 31 is sharply formed as shown in FIG. 7, so that the food waste is easily crushed during stirring.
  • the central fan 20a , the left fan 20c , and the right fan 20b constituting the stirring fan 20 are integrally formed and rotate clockwise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the central fan 20a ), the conveying fan 20d is in a horizontal state, but the conveying pan 20d of the left fan 20c and the right fan 20b is inclined at 45 degrees, respectively, so that when the rotating shaft 19 rotates, the food waste is moved to the center. It is operated to collect and send to the outlet (6).
  • wipers 29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19 to scrape and remove food wast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dissipation chamber 13 .
  • a pedestal 1a is installed inside the inlet door 1, so that when food waste is put in, the pedestal 1a is opened to put the food waste, and the discharge is performed through the discharge door ( 2) After opening and lowering the pedestal 2b, the outlet door 2a is opened upward to remove moisture and to discharge the finely ground food waste in a dry state.
  • the complex enzyme is an enzyme that promotes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that decompose food waste.
  • fruits and vegetables, leafy vegetables, root vegetables, grains, herbal plants, and zeolite are powdered in nano size and mixed at the same time with stirring, then fermented at 37-40° C. for 720 hours and aged at room temperature for 720 hours again to obtain nano-sized powder. Use the one that has been refined.
  • a sawdust medium is used as a medium, and the sawdust medium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treatment, but it is usually preferable to replace it after 3 months of use.
  • Oxygen can be properly supplied through the air inlet pipe and the oxygen inlet pipe provided in the .
  • Food waste is usually 70-80% moisture, and after closing the food waste inlet 14, the hot air supply pipe ( 8) to heat.
  • the air is pressurized so that the pressure in the dissipation chamber 13 becomes 2-4 atm by a compressor (not shown), and then the rotating shaft 19 is rotated at a low speed of 6-8 rpm by the fan motor 16.
  • microorganisms are proliferated by the complex enzyme charged in the extinction chamber 13 to decompose the food waste, and the pressure in the extinction chamber 13 is raised by the generated water vapor, so the moisture removal liquefaction device 17 and the exhaust fan It is discharged to the exhaust pipe (4) through (15).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dustrially used to annihilate pressurized food waste by using a complex enzyme for processing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in a pressurized manner within a short time without causing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멸실 투입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넣고 소멸실내에 가압식으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교반팬을 통하여 교반 및 분쇄함과 함께 미생물 증식을 위한 톱밥배지에 함유된 발효효소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면서 발생되는 물을 상단의 습기제거액화장치를 통해 제거하며, 냄새와 먼지는 배기관을 통해 배기하고 교반팬의 파쇄팬과 파쇄날로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파쇄하면서 45도 기울어진 이송팬을 통해 중심부로 이송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어판(3)하부에 설치된 열풍공급기(5)를 구비하고, 소멸실(13)하부에는 배출구(6)를 구비하며, 열풍공급기(5)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분배기(7)로 분배하여 열풍공급관(8)을 통해 소멸실(13)로 공급하고, 소멸실(13)내에 투입된 쓰레기는 교반팬(20)에 의해 교반 및 분쇄함과 함께 복합효소에 의해 유기물인 쓰레기를 분해하면서 생기는 물을 습기제거액화장치(17)를 통해 바로 바로 제거하며, 상기 습기제거액화장치(17)의 일측에서는 냉매 투입구(10)와 냉매배출구(11)로 냉매를 투입 및 배출하며, 상기 습기제거액화장치(17)에 의해 제거된 물은 바로 바로 배수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수하고, 상기 습기제거액화장치(17)의 타측에는 배기환풍기(15)와 배기관(4)을 설치하여 소멸실(13)에서 발생되는 냄새와 먼지 등을 배기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본 발명은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멸실의 투입구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넣고 소멸실내에 가압식으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교반팬을 통하여 교반 및 분쇄함과 함께 미생물 증식을 위한 톱밥배지에 함유된 발효효소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면서 발생되는 물을 상단의 습기제거액화장치를 통해 제거하며, 냄새와 먼지는 배기관을 통해 배기하고 교반팬의 파쇄팬과 파쇄날로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파쇄하면서 45도 기울어진 이송팬을 통해 중심부로 이송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하루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은 2017년 기준 11,000톤 이상이나 된다. 옛날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바다에 버렸으나 2013년도부터는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각국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하여야 한다.
통상, 음식물 쓰레기는 탈수시킨 후 파쇄 또는 온풍 건조하여 일반 쓰레기와 함께 버리거나, 또는 소각시키거나 퇴비로 만드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소각하는 방법은 다이옥신을 비롯한 각종 유해물질이 배출되어 2차 환경오염문제를 유발하고, 파쇄방법은 법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건조하는 방법은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고 지하수나 하천을 오염시킬 수 있고, 퇴비로의 활용은 음식물 쓰레기에 다량의 염분이 함유되어 있어 퇴비로의 활용도 매우 어렵다. 그리고 처리한 후의 잔류물은 매립하여야 한다.
음식물 쓰레기의 매립에는 부지확보와 사후관리에 엄청난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는 위생 환경면, 비용면 등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종래에는 음식물쓰레기를 강제 건조 및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를 통하여 퇴비로 재생하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으나, 미생물에 의한 방법은 톱밥 등을 사용하여 부패, 살균 등의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정이 번거로움은 물론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최근, 콤팩트한 크기이면서 처리 능력이 향상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가 개시되고 있으며. 이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경우 교반 및 발효할 수 있는 합성수지제 처리조 내측으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을 설치하고 회전축에 수개의 교반날개를 부착하여 교반조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발효균과 교반하여 발효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경우 처리조 내로 투입되는 수분함량이 많은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처리가 불가능하고, 교반날개가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처리조 내의 음식물쓰레기의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열풍을 통해 말리면서 교반팬으로 교반 및 분쇄함과 함께 복합효소를 통하여 유기물인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면서 발생되는 물을 상단의 습기제거액화장치를 통해 바로 제거하도록 하는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냄새와 먼지 등은 배기관을 통해 배기하고 교반팬의 파쇄팬과 파쇄날로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파쇄하면서 45도 기울어진 이송팬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중심부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및 분쇄하여 처리하기 위한 소멸실과 투입구 도어 그리고 배출도어와 제어판을 가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하부에 설치되어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기와, 소멸실하부에 설치된 배출구와, 상기 열풍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에 의해 분배된 열풍을 소멸실로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관과, 상기 열풍공급관에 설치되어 열풍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체크밸브와, 소멸실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습기제거액화장치와, 상기 습기제거액화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냉매를 투입하기 위한 냉매 투입구 및 냉매를 배출하는 냉매배출구와, 상기 습기제거액화장치에 생긴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와, 상기 습기제거액화장치의 타측에 설치되어 냄새와 먼지 등을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환풍기 및 배기관과, 상기 소멸실내에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및 분해하기 위한 교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소멸실내에 복합효소를 함유한 톱밥배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소멸실에 공기투입관과 산소투입관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습기제거액화장치가 복합효소를 통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할 때 생기는 물을 냉매를 통하여 액화시켜 물로 처리하여 바로 배수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투입구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넣고 열로 가열하면서 교반팬을 통하여 교반 및 분쇄함과 함께 복합효소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되, 상단의 습기제거액화장치를 통해 습기를 제거하여 생기는 물을 바로 바로 배수함은 물론, 냄새와 먼지 등은 배기관으로 배기함과 함께 교반팬의 양끝단에 45도 기울어지게 설치된 이송팬을 통해 교반시 중앙의 배출구쪽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차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가압식으로 단시간 내에 대량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소멸 및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교반팬과 습기제거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냉매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교반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 교반팬의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 교반팬의 이송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투입구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배출구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로, 상하단에 투입구 도어(1)와 배출도어(2)가 설치되고, 이의 일측에는 제어판(3)과 배기관(4)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도로, 제어판(3)하부에 설치되어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기(5)와, 소멸실(13)하부에 설치된 배출구(6)와, 상기 열풍공급기(5)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분배하는 분배기(7)와, 상기 분배기(7)로부터의 열풍을 소멸실(13)로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관(8)과, 상기 열풍공급관(8)에 설치된 체크밸브(9)와, 상기 소멸실(13)의 일측에 설치되어 냉매를 투입하기 위한 냉매 투입구(10)와,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냉매배출구(11)와, 상기 습기제거액화장치(17)에 의해 제거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12)와, 상단에 개폐가능한 투입구(14)를 가진 소멸실(13)과, 상기 소멸실(13)의 습기를 배기관(4)으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환풍기(15)로 구성된 것으로, 16은 교반팬(20)의 회전축(19)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모터이다.
단, 상기 소멸실(13)의 일측에 소멸실(13)과 연통되도록 가압공기투입관(미도시됨)을 설치하여 소멸실(13)내부로 약 2-4의 내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압공기투입관에 호기성 미생물의 증식을 돕기 위한 산소를 제공하는 산소투입관(미도시됨)이 연결된다.
상기 가압공기투입관과 산소투입관 사이에 가압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와 체크밸브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산소투입관 자체에도 체크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교반팬과 습기제거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소멸실(13)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투입구(10)를 통해 투입되는 냉매에 의해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습기제거액화장치(17)와, 상기 팬모터(16)에 연결된 체인(18)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9)과, 상기 회전축(19)에 고정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기 위한 다수의 교반팬(20)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측단면도로, 상단의 냉매투입구(10)에 냉매코일(21)이 설치되고, 습기제거액화장치(17)일측에 소멸실상부온도센서(22)와 습도센서 취구부(23)가 설치되며, 소멸실(13)에 하부 히터(25)가 설치되고, 하부에 온도센서(26) 및 하부 온도센서 취부구(27)가 설치되며, 소멸실(13)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24)가 투입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냉매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습기제거액화장치(17)의 냉매 투입구(10)를 통하여 투입된 냉매가 냉매 코일(21)을 통하여 일부는 냉매 배출구(11)를 통하여 배출되고, 일부는 배기환풍기(15)에 의해 배기관(4)으로 배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습기제거액화장치(17)의 하부에 교반팬(20)이 설치되는데, 팬모터(16)의 구동력에 의해 체인(18)을 통하여 전달된 동력이 회전축(19)에 의해 회전되면서 교반팬(20)이 교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분쇄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9는 벽에 붙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와이퍼, 30은 소멸실 측벽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교반팬(2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회전축(19)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송팬(2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중앙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고, 와이퍼(29)에 의해 소멸실 측면의 부착물이 제거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좌측팬(20c)과 우측팬(20b)은 중앙 팬(20a)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 교반팬(20)의 상세도로, S자 곡선형 교반팬(20)의 중앙팬(20a)을 중심으로 이송팬(20d)이 크로스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교반팬(20)의 파쇄팬(32) 일측선단에 파쇄날(31)이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 교반팬(20)의 이송팬(20d)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중앙팬(20a)의 이송팬은 수평을 유지하나, 좌측팬(20c)과 우측팬(20b)은 이송팬(20d)이 45도 기울어져 있어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구(6)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투입구도어(1)를 나타낸 도면으로, 투입구도어(1) 내측에 받침대(1a)가 설치되어 있어 이 받침대(1a)를 열고 투입구(1)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배출구(6)를 나타낸 도면으로, 배출도어(2)를 연 상태에서 받침대(2b)를 밑으로 열고 배출구도어(2a)를 위로 올리면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구(6)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도 1과 같이 외관적으로는 좌측 상단에 투입구도어(1)가 설치되어 있어 투입구도어(1)를 열고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으며, 상기 투입구도어(1)의 전면에는 배출도어(2)가 설치되어 있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한 후 배출시 배출도어(2)를 열고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투입구도어(1)의 우측에는 제어판(3)과 배기관(4)이 설치되어 있어 제어판(3)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제어할 수 있으며, 배기관(4)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연기와 먼지 등을 외측으로 배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내부가 구성되어 있어 투입구(14)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팬모터(16)의 구동으로 체인(18)을 통해 교반팬(20)이 교반하여 음식물 쓰레기(24)를 교반 및 분쇄하게 된다.
이때, 열풍공급기(5)로부터 더운 바람이 분배기(7)를 통해 분배되어 열풍공급관(8)을 거쳐 소멸실(13)내부로 공급되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 및 분쇄되면서 더운 열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상태에서 교반 및 분쇄되는 것으로, 상기 열풍공급관(8)에는 체크밸브(9)가 설치되어 있어 소멸실(13)내부로의 열풍을 공급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소멸실(13)의 측벽에는 도 4와 같이 하부히터(24)가 설치되어 소멸실(13)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부온도센서(22)와 하부온도센서(26)에 의해 소멸실(13)내의 온도가 감지된다.
또한, 상기 소멸실(13)의 상부에 설치된 습기제거액화장치(17)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습기가 제거 및 액화되는데, 상기 습기제거액화장치(17)로 냉매투입구(10)를 통하여 냉매가 투입되며, 이렇게 투입된 냉매는 냉매배출구(11)를 통하여 배출되고, 이때 생긴 습기는 배수구(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그리고 소멸실(13)에서 교반 및 분쇄되면서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 와 먼지 등은 상방의 습기제거액화장치(17) 일측에 설치된 배기환풍기(15)에 의해 배기관(4)을 타고 외부로 배기된다.
즉, 본 발명은 소멸실(13)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열풍공급관(8)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가열되어 마른 상태에서 또한, 상부의 습기제거액화장치(17)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상태에서 회전축(19)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팬(20)에 의해 교반 및 분쇄된다.
상기 교반팬(20)은 도 7과 같이 파쇄팬(32)과 파쇄날(31)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교반팬(20)이 교반할 때, 파쇄편(32)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파쇄됨과 동시에 파쇄날(31)에 의해서도 파쇄되는 것으로, 도 7과 같이 파쇄날(31)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어 교반시 음식물 쓰레기가 용이하게 파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6과 같이 교반팬(20)을 이루는 중앙팬(20a), 좌측팬(20c), 우측팬(20b)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중앙팬(20a)의 이송팬(20d)은 수평상태를 이루지만, 좌측팬(20c)과 우측팬(20b)의 이송팬(20d)은 각각 45도 기울어져 있어 회전축(19)의 회전시 음식물 쓰레기를 중앙으로 모아 배출구(6)로 보내도록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축(19)의 양끝단에는 와이퍼(29)가 설치되어 있어 소멸실(13)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서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 9와 같이 투입구도어(1) 내측에 받침대(1a)가 설치되어 있어 음식물 쓰레기 투입시 상기 받침대(1a)를 열고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도록 되어 있으며, 배출은 도 10과 같이 배출도어(2)를 열고 받침대(2b)를 내린 후 배출구도어(2a)를 위로 열어 습기가 제거되고 마른 상태에서 잘게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멸실(13)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복합효소를 함유한 톱밥배지를 약 절반정도 충전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복합효소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처리하는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하는 효소로, 과채류, 엽채류, 근채류, 곡류, 약초식물, 제올라이트를 나노크기로 분말화한 후 교반과 동시에 혼합한 다음, 37∼40℃에서 720시간동안 발효시키고 다시 720시간 동안 상온에서 숙성하여 나노 크기로 분말화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단, 호기성 미생물의 증식을 위해 배지로서 톱밥배지를 이용하고, 톱밥배지는 처리량에 따라 달라지지만 통상 3개월 사용 후에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호기성 미생물의 증식을 돕기 위해 소멸실(13)의 일측에 구비된 공기투입관 및 산소투입관을 통해 산소를 적절히 공급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통상적으로 수분이 70-80%로,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14)를 닫은 후, 소멸실(13)의 내부 온도가 35-40℃로 올라갈 때까지 열풍공급기(5)를 통해 열풍공급관(8)으로 가열한다.
이와 동시에 콤프레셔(미도시)에 의해 소멸실(13)내의 압력이 2-4기압이 되도록 공기를 가압한 후 팬모터(16)에 의해 회전축(19)을 6-8rpm의 저속으로 회전한다.
이때, 소멸실(13)내에 충전된 복합효소에 의해 미생물이 증식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며, 상기 소멸실(13)내의 압력은 발생된 수증기에 의해 올라가므로 습기제거 액화장치(17) 및 배기 환풍기(15)를 통해 배기관(4)으로 배출한다.
본 발명은 2차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고 단시간 내에 가압식으로 대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복합효소를 이용하여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를 소멸처리할 수 있도록 산업상 이용 가능하다.

Claims (3)

  1.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및 분쇄하여 처리하기 위한 소멸실(13)과 투입구 도어(1)와 배출도어(2) 및 제어판(3) 그리고 소멸실(13)에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및 분해하기 위한 교반수단을 가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열풍공급기(5)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분배하는 분배기(7)와, 상기 분배기(7)에 의해 분배된 열풍을 소멸실(13)로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관(8)과, 상기 열풍공급관(8)에 설치되어 열풍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체크밸브(9)와, 소멸실(13)내에 투입된 쓰레기를 교반 및 분쇄함과 함께 복합효소에 의해 유기물인 쓰레기를 분해하면서 생기는 물을 바로 제거하기 위한 습기제거액화장치(17)와, 상기 습기제거액화장치(17)의 일측에 설치되어 냉매를 투입하기 위한 냉매 투입구(10) 및 냉매를 배출하는 냉매배출구(11)와, 상기 습기제거액화장치(17)의 타측에 설치되어 냄새와 먼지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환풍기(15) 및 배기관(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이,
    회전축(19)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중앙팬(20a), 우측팬(20b), 좌측팬(20c) 및 와이퍼(29)로 구성된 교반팬(20)을 포함하고, 상기 각 팬의 끝단에 음식물쓰레기를 중앙으로 모으기 위한 이송팬(20d)이 팬과 크로스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멸실(13) 내부에 복합효소를 함유한 톱밥배지를 충전하고 소멸실(13)내부가 약 2-4의 내압을 유지하면서 미생물증식을 위해 톱밥배지의 복합효소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PCT/KR2021/002795 2020-03-10 2021-03-08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WO202118281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649 2020-03-10
KR1020200029649A KR102151917B1 (ko) 2020-03-10 2020-03-10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2811A1 true WO2021182811A1 (ko) 2021-09-16

Family

ID=7246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2795 WO2021182811A1 (ko) 2020-03-10 2021-03-08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1917B1 (ko)
WO (1) WO2021182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917B1 (ko) * 2020-03-10 2020-09-03 김규성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CN117123128B (zh) * 2023-10-26 2024-01-23 泉州海关综合技术服务中心 一种培养液定量混合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7724A (ja) * 1997-08-06 1999-02-2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生ゴミ処理装置
JP2000140804A (ja) * 1998-11-05 2000-05-23 Nippon Kitchen Kogyo Kk 消滅式生ごみ分解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401296Y1 (ko) * 2005-08-26 2005-11-15 오성기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100113465A (ko) * 2009-03-16 2010-10-21 에코스마트(주)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450729Y1 (ko) * 2009-12-09 2010-10-26 이현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151917B1 (ko) * 2020-03-10 2020-09-03 김규성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613B1 (ko) * 2013-10-25 2014-02-20 주식회사 아라온테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7724A (ja) * 1997-08-06 1999-02-2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生ゴミ処理装置
JP2000140804A (ja) * 1998-11-05 2000-05-23 Nippon Kitchen Kogyo Kk 消滅式生ごみ分解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401296Y1 (ko) * 2005-08-26 2005-11-15 오성기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100113465A (ko) * 2009-03-16 2010-10-21 에코스마트(주)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450729Y1 (ko) * 2009-12-09 2010-10-26 이현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151917B1 (ko) * 2020-03-10 2020-09-03 김규성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917B1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985B1 (ko) 나선 축류식 열풍 건조기
WO2021182811A1 (ko)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CN109759417A (zh) 一种环保型微生物法垃圾处理装置及垃圾处理方法
JP3926549B2 (ja) 生ゴミ処理方法
KR100224502B1 (ko) 하수 및 분뇨 슬럿지의 퇴비화장치
KR20190053605A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감량 처리장치
CN109761658A (zh) 一种微生物法垃圾二次分类处理装置及垃圾处理方法
KR101898892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 소멸장치
CN109761652A (zh) 一种微生物法高效垃圾堆肥装置及垃圾处理方法
KR100289070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차량
KR100315604B1 (ko) 유기성 쓰레기의 고속 소멸처리장치
WO2004004936A2 (en) Method of converting waste to soil/feed modifiers
KR100238097B1 (ko) 음식물쓰레기의 퇴비화 장치
JP3489134B2 (ja) 厨芥のコンポスト化方法及び装置
JPH06304542A (ja) 固形有機廃棄物の処理装置
JP2002210435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
KR100230519B1 (ko)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20090291489A1 (en) Disposal apparatus of food wastes
KR1998007701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229860B1 (ko) 부엌쓰레기 처리장치
JP3011129U (ja) 有機物の分解消化装置
CN110668851A (zh) 有机垃圾的分类处理方法及装置
KR102509001B1 (ko) 가축분뇨와 가축폐사체의 퇴비화 및 에너지화 처리시스템
KR102597100B1 (ko) 가축사체 분해 소멸장치 및 처리방법
CN212864589U (zh) 一种餐厨垃圾降解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673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673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