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234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234B1
KR101366234B1 KR1020130050966A KR20130050966A KR101366234B1 KR 101366234 B1 KR101366234 B1 KR 101366234B1 KR 1020130050966 A KR1020130050966 A KR 1020130050966A KR 20130050966 A KR20130050966 A KR 20130050966A KR 101366234 B1 KR101366234 B1 KR 10136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od
stirring
process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장
배재근
Original Assignee
이지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엠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지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0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투입부에 인접되고 음식물을 건조시키는 처리부와, 처리부에 인접되고 건조 완료된 음식물을 저장하는 배출부와, 투입부에 장착되고 투입부에 투입된 음식물을 처리부로 이동시키는 투입처리부와, 처리부에 장착되고 처리부에서 건조 완료된 음식물을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처리배출부를 포함하고, 배출부는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DISPOSER OF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 공동 구조물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쓰레기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매립지에 매립 처리하거나 소각 처리하였으나, 매립지가 제한되고 매립 및 소각에 따른 2차적인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음식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방식, 음식물에 열을 가하여 증발시키는 건조방식과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킨 후 분해하는 발효소멸방식 등이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식 중 대부분은 가정에서 사용하도록 소규모로 제품화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90206호(2009.03.17 등록, 발명의 명칭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가정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소규모로 제작되고 있으므로,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 공동 구조물에서 공용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 공동 구조물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에 인접되고, 상기 음식물을 건조시키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에 인접되고, 건조 완료된 상기 음식물을 저장하는 배출부; 상기 투입부에 장착되고, 상기 투입부에 투입된 상기 음식물을 상기 처리부로 이동시키는 투입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에 장착되고, 상기 처리부에서 건조 완료된 상기 음식물을 상기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처리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처리배출부가 삽입되는 저장케이스부; 상기 저장케이스부에 형성되는 저장도어부; 상기 저장케이스부에 내장되고, 상기 처리배출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음식물이 저장되는 간이저장부; 및 상기 저장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간이저장부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측정부는: 상기 저장케이스부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중탄성체; 상기 하중탄성체에 지지되고, 상기 간이저장부가 안착되는 하중안착판; 및 상기 저장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간이저장부의 하중에 의해 상기 하중안착판이 하강됨을 감지하는 하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저장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중측정부의 하중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저장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배출부가 건조 완료된 음식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건조 완료된 음식물이 저장되는 간이저장부의 하중이 한계치를 넘는 경우, 저장경고부가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간이저장부를 교체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투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투입부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투입부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투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투입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투입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의 교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의 교반부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배출부의 배출도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투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투입부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투입부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투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투입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투입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의 교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의 교반부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배출부의 배출도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투입부(10)와, 처리부(20)와, 배출부(30)와, 투입처리부(40)와, 처리배출부(50)를 포함한다.
투입부(10)와, 처리부(20)와, 배출부(30)는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처리부(20)가 투입부(10)와 배출부(30) 사이에 위치된다.
투입부(10)에는 음식물이 투입되고, 처리부(20)는 투입부(10)를 통과한 음식물을 건조시키며, 배출부(30)는 처리부(20)에서 건조 완료된 음식물을 저장한다.
투입처리부(40)는 투입부(10)에 장착된다. 투입처리부(40)는 투입부(10)에 투입된 음식물을 처리부(20)로 이동시키도록, 일부가 처리부(20)에 삽입된다.
처리배출부(50)는 처리부(20)에 장착된다. 처리배출부(50)는 처리부(20)에서 건조 완료된 음식물을 배출부(30)로 이동시키도록 일부가 배출부(30)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부(10)는 음식물의 투입 여부에 따라 투입부(10)의 상단부가 개폐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부(10)는 투입케이스부(11)와, 단말부(12)와, 투입도어부(13)를 포함한다.
투입케이스부(11)는 투입부(10)의 외관을 형성하되,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한다. 투입케이스부(11)의 저면에는 투입부(10)를 목적지로 이동시키고, 목적지에 도달된 투입부(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투입바퀴(111) 및 투입스토퍼(112)가 구비된다.
단말부(12)는 투입케이스부(11)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카드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단말부(12)는 투입케이스부(11)의 전면에 노출된다.
투입도어부(13)는 투입케이스부(11)의 장착되고, 단말부(12)의 신호에 따라 투입케이스부(11)의 상측 일부를 개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도어부(13)는 도어케이스(131)와, 가이드바(132)와, 도어회전축(133)과, 구동풀리(134)와, 종동풀리(135)와, 도어벨트(136)와, 도어판(137)과, 동력체(138)를 포함한다.
도어케이스(131)는 투입케이스부(11)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도어케이스(131)에는 음식물 투입을 위한 투입홀(131a)이 형성된다.
가이드바(132)는 도어케이스(131)에 내장된다. 이러한 가이드바(132)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도어회전축(133)은 가이드바(132)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예를 들어, 도어회전축(133)은 한 쌍의 가이드바(132)를 관통한다.
구동풀리(134)는 도어회전축(133)의 양단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동풀리(134)는 도어회전축(133)과 연동되어 회전된다.
종동풀리(135)는 가이드바(13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종동풀리(135)는 가이드바(132)에 장착된 상태로 구동풀리(134)와 마주본다.
예를 들어, 가이드바(132)의 일측단부에 구동풀리(134)가 위치되면, 가이드바(132)의 타측단부에 종동풀리(135)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어벨트(136)는 구동풀리(134)와 종동풀리(135)에 감겨 무한궤도 이동된다. 이러한 도어벨트(136)의 내측면은 구동풀리(134) 또는 종동풀리(135)와 맞물리는 형상을 한다.
도어판(137)은 도어벨트(136)에 결합된다. 즉, 도어벨트(136)는 각 가이드바(132)의 외측에 배치되고, 도어판(137)은 각 도어벨트(136)에 결합된다. 이러한 도어판(137)은 투입홀(131a)을 개폐하도록, 투입홀(131a) 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다.
동력체(138)는 도어케이스(131) 또는 투입케이스부(11)에 고정 설치되고, 도어회전축(133)과 연결된다. 동력체(138)는 단말부(12)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도어회전축(133)을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체(138)는 동력모터(1381)와, 동력벨트(1382)가 구비된다.
동력모터(1381)는 도어케이스(131)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동력모터(1381)는 단말부(12)의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부(12)가 사용자의 카드를 인식하면, 동력모터(1381)가 구동된다.
동력벨트(1382)는 동력모터(1381)와 도어회전축(133)에 감겨 무한궤도 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부(12)에 카드를 근접시키면, 단말부(12)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동력체(138)가 구동된다.
이때, 동력체(138)의 구동상태에 따라 도어회전축(133)의 회전방향이 변경되고, 도어회전축(133)의 회전방향에 따라 도어벨트(136)의 이동방향이 변경되어, 도어벨트(136)에 장착된 도어판(137)이 투입홀(131a)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투입부(10)와, 처리부(20)와, 배출부(30)와, 투입처리부(40)와, 처리배출부(50)를 포함한다. 이때, 투입부(10)는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정산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부(10)는 투입케이스부(11)와, 단말부(12)와, 투입도어부(13)와, 측정부(14)를 포함한다. 이때, 투입케이스부(11)와, 단말부(12)와, 투입도어부(13)는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측정부(14)는 투입케이스부(11)에 내장되고, 투입도어부(13)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의 하중을 측정한다. 측정부(14)에서 음식물의 하중이 측정되면, 측정신호가 단말부(12)에 전송되어 사용자에게 음식물 처리 금액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14)는 측정케이스(141)와, 바구니(142)와, 로드셀(143)이 구비된다.
측정케이스(141)는 투입케이스부(11)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측정케이스(141)는 중공된 덕트 형상을 하고, 투입도어부(13)의 하방에 배치되어 투입도어부(13)에서 투입된 음식물을 통과시킨다.
바구니(142)는 측정케이스(14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바구니(142)는 상측이 개구된 용기 형상을 하여 투입도어부(13)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을 일시 저장한다.
예를 들어, 바구니(142)는 단면이 절개된 원 형상을 하며, 측정케이스(141)의 내측면에 근접되면, 투입된 음식물이 바구니(142)에 저장되지 않고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측정케이스(141)에는 바구니(142)의 외형과 대응되는 곡면이 형성된다.
바구니(142)는 측정케이스(1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므로, 외력에 의해 바구니(142)는 회전되어 저장된 음식물을 낙하시킨다.
로드셀(143)은 측정케이스(141)에 장착되어 무게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로드셀(143)은 바구니(142)에 음식물이 없는 측정케이스(141)의 무게와, 바구니(142)에 음식물이 일시 저장된 측정케이스(141)의 무게를 비교하여 바구니(142)에 저장된 음식물의 하중을 측정한다.
로드셀(143)은 바구니(142)에 저장된 음식물 하중을 측정하여 단말부(12)에 하중신호를 전송하고, 단말부(12)는 로드셀(143)에서 측정된 하중신호를 바탕으로 음식물 처리비용을 정산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14)는 스크래퍼(144)를 더 포함한다. 스크래퍼(144)는 측정케이스(141)에 고정 설치되고, 바구니(14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바구니(142)에 부착된 음식물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스크래퍼(144)는 바구니(142)의 내부에 배치되고, 스크래퍼(144)를 관통하여 측정케이스(14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바구니(142)가 회전될 때, 바구니(142)에 밀착된 스크래퍼(144)가 바구니(142)에 부착된 음식물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14)는 측정구동체(145)를 더 포함한다. 측정구동체(145)는 투입케이스부(11)에 고정 설치되고, 바구니(142)에서 연장되어 투입케이스부(11)를 관통하는 바구니축(142a)과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측정구동체(145)는 측정케이스(141)에 장착되는 측정모터(1451)와, 바구니축(142a)에 장착되는 측정스프라켓(1452)와, 측정모터(1451)와 측정스프라켓(1452)에 감겨 무한궤도 이동되는 측정벨트(1453)를 포함한다.
따라서, 음식물이 바구니(142)에 일시 저장되면, 로드셀(143)이 음식물의 하중을 측정하여 단말부(12)에 전송하고, 측정구동체(145)가 구동되어 바구니(142)가 회전되면 음식물이 아래로 낙하된다.
이때, 스크래퍼(144)는 바구니(142)의 내측에 밀착되고, 투입케이스부(11)에 고정되어 바구니(142)에 부착된 음식물을 제거된다.
스크래퍼(144)의 단부에는 고무와 같은 연성재질의 패드가 부착되어 바구니(142)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패드는 스크래퍼(144)와 바구니(142) 내측간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고, 바구니(142)에 밀착되어 바구니(142)의 음식물 잔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투입부(10)와, 처리부(20)와, 배출부(30)와, 투입처리부(40)와, 처리배출부(50)를 포함한다. 이때, 투입부(10)는 음식물을 파쇄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부(10)는 투입케이스부(11)와, 단말부(12)와, 투입도어부(13)와, 측정부(14)와, 파쇄부(15)를 포함한다. 이때, 투입케이스부(11)와, 단말부(12)와, 투입도어부(13)와, 측정부(14)는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파쇄부(15)는 측정부(14)를 통과한 음식물을 파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15)는 파쇄덕트부(151)와, 파쇄회전부(152)와, 파쇄구동부(153)를 포함한다.
파쇄덕트부(151)는 중공된 덕트 형상을 하고, 투입케이스부(11)에 내장된다. 파쇄덕트부(151)는 측정부(14)의 하방에 배치되고, 바구니(142)의 회전에 의해 낙하된 음식물이 파쇄덕트부(151)를 통과한다.
예를 들어, 파쇄덕트부(151)의 상단부는 측정케이스(141)의 하단부와 연통된다.
파쇄회전부(152)는 파쇄덕트부(1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파쇄회전부(152)는 파쇄덕트부(151)를 통과하는 음식물을 파쇄한다.
파쇄구동부(153)는 파쇄회전부(152)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바구니(142)가 회전되면, 파쇄구동부(153)가 설정시간 구동되어 파쇄회전부(152)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 외 파쇄회전부(152)에 낙하된 음식물의 하중을 감지하여 파쇄구동부(153)가 파쇄회전부(15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회전부(152)는 제1회전축(1521)과, 제2회전축(1522)과, 제1회전날개(1521a)와, 제2회전날개(1522a)를 포함한다.
제1회전축(1521)은 파쇄덕트부(1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제1회전축(1521)은 파쇄덕트부(151)를 가로지르며, 양단부가 파쇄덕트부(151)를 관통한다.
제1회전날개(1521a)는 제1회전축(152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제2회전축(1522)은 파쇄덕트부(1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제2회전축(1522)은 제1회전축(1521)에 인접된다. 예를 들어, 제2회전축(1522)은 파쇄덕트부(151)를 가로지르며, 양단부가 파쇄덕트부(151)를 관통한다.
제2회전날개(1522a)는 제2회전축(152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제1회전날개(1521a)의 단부는 제2회전축(1522)에 근접되고, 제2회전날개(1522a)의 단부는 제1회전축(1521)에 근접된다. 제1회전날개(1521a)와 제2회전날개(1522a)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제1회전날개(1521a)와 제2회전날개(1522a)는 서로 번갈아가며 배치된다.
파쇄구동부(153)는 메인구동모터(17)와, 메인체인(18)과, 제1기어(1531)와, 제2기어(1532)를 포함한다.
메인구동모터(17)는 투입케이스부(11)에 장착되고, 메인체인(18)은 메인구동모터(17)와 제1회전축(1521)의 일단부에 감겨 무한궤도 이동된다.
제1기어(1531)는 제1회전축(1521)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제2기어(1532)는 제2회전축(1521)의 타단부에 형성된다. 이때, 제1기어(1531)와 제2기어(1532)는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제1기어(1531)의 회전시 제2기어(1532)도 회전된다.
따라서, 음식물이 측정부(14)에서 낙하되면, 메인구동모터(17)가 구동되어 메인체인(18)이 시계방향으로 무한궤도 이동된다.
메인체인(18)이 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면, 메인체인(18)에 감긴 제1회전축(152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회전축(152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기어(15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1기어(1531)와 맞물린 제2기어(1532)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기어(1532)와 연동되는 제2회전축(1522)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낙하된 음식물은 제1회전축(1521)과 제2회전축(1522) 사이를 통과하고, 제1회전날개(1521a)와 제2회전날개(1522a)에 의해 파쇄된다.
이때, 음식물에 포함된 비닐 협작물과 같은 불순물이 제1회전축(1521)과 제2회전축(1522)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잘게 파쇄되어 낙하되므로, 불순물이 제1회전축(1521)과 제2회전축(1522)에 감겨 기기의 손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투입부(10)와, 처리부(20)와, 배출부(30)와, 투입처리부(40)와, 처리배출부(50)를 포함한다. 이때, 투입처리부(40)는 음식물을 파쇄하고, 음식물을 처리부(20)로 이동시킨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처리부(40)는 이송덕트부(41)와, 이송스크류부(42)와, 이송구동부(43)가 구비된다.
이송덕트부(41)는 투입부(10)에 투입된 음식물이 저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송덕트부(41)는 투입부(10)에 장착되고, 파쇄부(15)를 통과한 음식물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이송덕트부(41)에는 제1덕트(411)와 제2덕트(412)가 구비된다.
제1덕트(411)는 상측 일부가 개구되어 파쇄부(15)를 통과한 음식물이 투입되고, 투입부(10)에서 돌출되어 처리부(20)에 삽입된다.
제2덕트(412)는 처리부(20)에 장착되고, 제1덕트(411)와 연통되어 음식물을 처리부(20) 내부로 안내한다.
이송스크류부(42)는 이송덕트부(41)에 장착되어 회전되면서 음식물을 처리부(20)로 이동시키고, 이송구동부(43)는 이송스크류부(42)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스크류부(42)는 제1스크류(421)와, 제2스크류(422)를 포함한다.
제1스크류(421)는 이송덕트부(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2스크류(422)는 이송덕트부(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제1스크류(421)와 제2스크류(422)는 서로 근접된다.
제1스크류(421)와 제2스크류(422)는 축 외측에 나선형 날개가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음식물을 이동시킨다.
이때, 제1스크류(421)와 제2스크류(422)의 나선형 날개는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구동부(43)는 메인구동모터(17)와, 메인체인(18)과, 제1이송기어(431)와, 제2이송기어(432)를 포함한다.
메인구동모터(17)는 투입부(10)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메인구동모터(17)는 투입케이스부(11)의 내부에 설치된다.
메인체인(18)은 메인구동모터(17)와 제1스크류(421)의 일단부에 감겨 무한궤도 이동된다.
제1이송기어(431)는 제1스크류(421)에 형성되고, 제2이송기어(432)는 제2스크류(422)에 형성된다. 제1이송기어(431)와 제2이송기어(432)는 서로 맞물려 제1스크류(421)가 회전되면, 제2스크류(422)도 회전된다.
한편, 메인체인(18)이 메인구동모터(17)와, 제1기어(1531)와, 제1이송기어(431)에 감기면, 메인구동모터(17)의 구동시 파쇄회전부(152)와 이송스크류부(42)가 동시에 구동된다.
제1스크류(421)와 제2스크류(422)의 길이는 이송덕트부(41)보다 짧고, 이송덕트부(41)의 단부에서 제1스크류(421)와 제2스크류(422)까지의 공간에 음식물이 일시 저장되어 냄새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제1스크류(421)와 제2스크류(422)의 길이는 제1덕트(411)의 길이와 동일하고, 제2덕트(412)에는 제1스크류(421)와 제2스크류(422)와 위치되지 않아 음식물에 의한 차단벽이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체인(18)이 구동되어 메인체인(18)이 시계방향으로 무한궤도 이동되면, 회전되면, 메인체인(18)에 감긴 제1스크류(4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스크류(421)에 형성되는 제1이송기어(4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1이송기어(431)와 맞물린 제2이송기어(432)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이송기어(432)와 연동되는 제2스크류(422)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이송덕트부(41)에 투입된 음식물은 제1스크류(421)와 제2스크류(422)의 나선 형상에 의해 처리부(20)로 이동된다.
이때, 제1스크류(421)와 제2스크류(422)의 길이는 제1덕트(411)와 동일하고, 제2덕트(412)에는 제1스크류(421)와 제2스크류(422)가 위치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1스크류(421)와 제2스크류(422)를 통해 이동되는 음식물이 제2덕트(412)에 누적되고, 추가로 제2덕트(412)에 유입되는 음식물에 밀려 처리부(20)로 이동된다.
제2덕트(412)에는 음식물이 누적되어 차단벽을 형성하므로, 처리부(20)에서 처리되는 음식물 냄새가 음식물에 의한 차단벽에 의해 투입부(1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투입부(10)와, 처리부(20)와, 배출부(30)와, 투입처리부(40)와, 처리배출부(50)를 포함한다. 이때, 처리부(20)는 음식물을 교반시킨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20)는 처리케이스부(21)와, 교반부(22)를 포함한다.
처리케이스부(21)는 처리부(20)의 외관을 형성하고, 투입부(10)에 인접된다. 처리케이스부(21)에는 이송덕트부(41)가 삽입되어 음식물을 처리부(20)에 공급한다(도 7 참조).
처리케이스부(21)의 저면에는 처리부(20)를 목적지로 이동시키고, 목적지에 도달된 처리부(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처리바퀴(211) 및 처리스토퍼(212)가 구비된다.
교반부(22)는 처리케이스부(21)에 내장되고, 투입처리부(40)를 통해 공급되는 음식물을 교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부(22)는 교반통(221)과, 교반축(222)과, 교반동력체(223)와, 교반링(224)을 포함한다.
교반통(221)은 처리케이스부(21)에 내장되고, 투입처리부(40)와 연통되며,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한다. 예를 들어, 교반통(221)은 제2덕트(412)와 연통된다(도 7 참조).
교반축(222)은 교반통(2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예를 들어, 교반축(222)은 교반통(221)을 관통하고, 양단부가 교반통(2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교반동력체(223)는 교반축(222)을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교반동력체(223)는 처리케이스부(21)에 장착되는 교반모터(2231)와, 교반축(222)에 장착되는 교반기어(2232)와, 교반모터(2231)와 교반기어(2232)에 감겨 무한궤도 이동되는 교반체인(2233)을 포함한다.
교반링(224)은 교반축(222)에 결합되고, 나선 형상을 하여 교반축(2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음식물을 이동시키면서 음식물을 교반한다.
예를 들어, 교반링(224)은 고정대(2241)와, 나선링(2242)을 포함한다. 고정대(2241)는 교반축(22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나선링(2242)은 고정대(2241)에 결합된다.
나선링(2242)은 교반축(222)의 길이방향으로 나선 형상을 하여, 교반축(222)이 회전되면 교반통(221)에 저장된 음식물을 교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부(22)는 교반봉(225)을 더 포함한다. 교반봉(225)은 교반링(222)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음식물 교반 성능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교반봉(225)은 나선링(2242)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나선링(2242)에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부(22)는 교반대(226)를 더 포함한다. 교반대(226)는 교반축(222)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교반통(221)에 근접되고, 교반축(222)이 회전되면 교반통(221)의 내측에 부착된 음식물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교반대(226)에는 지지대(2261)와, 연결대(2262)와, 돌출바(2263)가 구비된다.
지지대(2261)는 교반축(222)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대(2261)는 교반축(222)의 원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연결대(2262)는 지지대(2261)에 결합되고 양단부가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연결대(2262)는 삼각띠 형상을 한다. 연결대(2262)는 교반통(221)의 내측에 근접되어 교반축(222)이 회전되면 교반통(221)에 부착된 음식물을 제거한다.
돌출바(2263)는 연결대(2262)에 결합되고, 교반통(22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돌출바(2263)는 교반통(221)의 내측과 밀착되어 교반통(221)에 부착된 음식물을 제거한다. 이때, 돌출바(2263)와 교반통(221)간의 접촉에 의한 소음이 억제되도록, 돌출바(2263)는 고무와 같은 연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돌출바(2263)는 연결대(2262)의 모서리지점에 결합되고, 돌출바(2263)의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어 교반통(221)과의 접촉면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교반통(221)에 음식물이 공급되면, 교반동력체(223)의 구동에 의해 교반축(222)이 회전되고, 교반링(224)이 회전되면서 음식물을 교반한다.
이때, 교반링(224)에 교반봉(225)이 추가로 장착되면, 교반링(224) 만으로 음식물 교반하는 것보다 음식물 교반 성능이 향상된다.
만일, 교반동력체(223)의 구동으로 교반축(222)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교반링(224)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음식물이 교반통(221)의 일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교반동력체(223)의 구동으로 교반축(222)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교반링(224)이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음식물이 교반통(221)의 타측으로 이동된다.
음식물이 교반통(221)의 일측 또는 타측에 누적되지 않도록, 교반동력체(223)는 교반축(222)의 회전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변경하고, 교반축(222)의 양단부에 장착된 교반대(226)는 음식물이 교반통(221)의 내측에 누적되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투입부(10)와, 처리부(20)와, 배출부(30)와, 투입처리부(40)와, 처리배출부(50)를 포함한다. 이때, 처리부(20)는 열풍에 의해 음식물을 건조시킨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20)는 처리케이스부(21)와, 교반부(22)와, 건조부(23)를 포함한다. 이때, 처리케이스부(21)와, 교반부(22)는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건조부(23)는 교반부(22)에서 교반되는 음식물에 열풍을 가하여 음식물을 건조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23)는 히터부(231)와, 순환부(232)를 포함한다.
히터부(231)는 교반부(22)에 연결되고, 가열된 공기를 교반부(22)에 저장된 음식물에 공급한다. 그리고, 순환부(232)는 교반부(22)에서 교반되는 음식물을 건조시킨 후 냉각된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231)는 히터관(2311)과, 히터(2312)를 포함한다. 이러한 히터부(231)는 교반부(2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히터관(2311)은 교반부(22)에 연통된다. 예를 들어, 히터관(2311)의 일단부는 교반통(221)에 연통되어 교반통(221)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안내한다.
히터(2312)는 히터관(2311)에 내장된다. 이러한 히터(2312)는 전원이 인가되면 공기를 가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부(232)는 배기관(2321)과, 배기팬(2322)과, 재가열관(2323)과, 재가열팬(2324)을 포함한다.
배기관(2321)은 교반부(22)에 연통된다. 배기관(2321)은 교반부(22)에서 냉각된 공기를 안내한다. 예를 들어, 히터관(2311)을 통해 가열된 공기가 교반통(221)에 투입되어 음식물을 건조시키고, 음식물 건조로 인해 냉각된 공기는 배기관(23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팬(2322)은 배기관(2321)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되어 공기를 강제로 이동시킨다. 즉, 배기팬(2322)의 흡입력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외부로 강제 배출된다.
재가열관(2323)은 교반부(22)에 연통되고, 히터부(231)에 연결되어 교반부(22)에서 냉각된 공기를 재가열시킨다. 예를 들어, 재가열관(2323)은 일단부가 교반통(221)에 연통되고, 타단부가 각 히터관(2311)에 연통되도록 분기된다.
재가열팬(2324)은 재가열관(2323)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되어 공기를 강제로 이동시킨다. 즉, 재가열팬(23224)의 흡입력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히터관(2311)으로 강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23)는 열풍자켓부(233)를 더 포함한다. 열풍자켓부(233)는 순환부(232)와 연결되고, 교반부(22)에 접촉된다.
열풍자켓부(233)는 순환부(232)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교반부(22)의 온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자켓부(233)는 열풍케이스(2331)와, 열풍칸막이(2332)를 포함한다.
열풍케이스(2331)는 순환부(232)와 연결되고, 교반부(22)의 저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열풍케이스(2331)는 배기관(2321) 사이에 배치되고, 교반통(221)의 저면에 결합된다. 그리하면, 교반통(221)에서 음식물을 건조하여 냉각된 공기가 배기관(23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전, 열풍케이스(2331)를 경유하면서 교반통(22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열풍칸막이(2332)는 열풍케이스(2331)에 형성되고, 열풍케이스(233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공기의 흐름을 지체시킨다.
예를 들어, 열풍칸막이(2332)는 복수개가 이격되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공기는 지그재그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23)는 공기유입부(234)를 더 포함한다. 공기유입부(234)는 순환부(232)와 연결되고, 히터부(231)에 외부공기를 공급한다.
예를 들어, 공기유입부(234)는 일단부가 처리부(20)에서 노출되어 외부공기의 흡입을 유도하고, 타단부가 재가열관(2323)에 각각 연결되도록 분기된다. 이로 인해, 외부공기는 공기유입부(234)를 통해 히터부(231)에서 가열된 다음 교반통(221) 내부로 투입된다.
따라서, 외부공기는 공기유입부(234)를 통해 히터부(231)로 이동되고, 히터부(231)에서 가열되어 교반부(22)로 투입된다.
교반부(22)에 투입된 공기는 음식물과 접촉되어 냉각되고, 배기팬(2322)의 흡입력에 의해 배기관(2321)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음식물과 접촉되어 냉각된 공기중에서 일부는 재가열팬(2324)의 흡입력에 의해 재가열관(2323)으로 이동되고, 히터부(231)를 통과하면서 재가열된 후 교반부(22)에 재투입된다.
한편, 배기관(2321)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는 열풍자켓부(233)를 경유하는데, 열풍자켓부(233)가 교반부(22)에 접촉되므로 열전도에 의해 교반부(22)의 온도를 조절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투입부(10)와, 처리부(20)와, 배출부(30)와, 투입처리부(40)와, 처리배출부(50)를 포함한다. 이때, 처리부(20)는 음식물 냄새를 제거한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20)는 처리케이스부(21)와, 교반부(22)와, 건조부(23)를 포함한다. 이때, 처리케이스부(21)와, 교반부(22)는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되, 처리케이스부(21)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한다.
건조부(23)는 교반부(22)에서 교반되는 음식물을 건조시키고 음식물 냄새를 제거한다.
처리도어부(24)는 처리케이스부(21)에 장착되고, 처리케이스부(21)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23)는 히터부(231)와, 순환부(232)와, 열풍자켓부(233)와, 공기유입부(234)와, 탈취부(235)를 포함한다. 이때, 히터부(231)와, 순환부(232)와, 열풍자켓부(233)와, 공기유입부(234)는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되, 열풍케이스(2331)와 연통된 배수관(2333)이 열풍케이스(2331) 내부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탈취부(235)는 공기유입부(234)에 내장되고, 순환부(232)와 열풍자켓부(233)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를 안내하면서 냄새를 제거한다. 이러한 탈취부(235)는 공기유입부(234)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와 열교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부(235)는 탈취공급관(2351)과, 열교환케이스(2352)와, 열교환기(2353)와, 탈취연결관(2354)과, 탈취케이스(2355)와, 탈취기(2356)와, 탈취배출관(2357)을 포함한다.
탈취공급관(2351)은 순환부(232)에 연결되고, 공기유입부(234)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탈취공급관(2351)은 배기관(2321)에 연결된다.
열교환케이스(2352)는 공기유입부(234)에 내장되고, 탈취공급관(2341)과 연결된다. 이로 인해, 열교환케이스(2352)로 공기가 유입된다.
열교환기(2353)는 열교환케이스(2352)에 내장되고, 탈취공급관(2351)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외부공기를 열교환시킨다.
탈취연결관(2354)은 일단부가 열교환케이스(235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탈취케이스(2355)에 연결된다. 이러한 탈취케이스(2355)는 공기유입부(234)에 내장된다.
탈취기(2356)는 탈취케이스(2355)에 내장되고, 탈취기(2356)를 통과한 공기는 백금촉매에 의해 악취가 제거된다. 이때, 탈취기(2356)는 악취제거를 위해 공기를 가열한다.
탈취배출관(2357)은 일단부가 탈취케이스(2355)에 연통되고, 타단부가 공기유입부(234)에서 배출되어 열풍자켓부(233)에 연결된다.
이때, 탈취배출관(2357)이 열교환케이스(2352) 또는 열교환기(2353)와 연계되면, 탈취기(2356)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가 외부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도어부(24)는 처리도어판(241)과, 필터(242)를 포함한다.
처리도어판(241)은 처리케이스부(21)에 힌지 결합되어 처리케이스부(21)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한다. 필터(242)는 처리도어판(241)에 내장되어 이물질을 걸러낸다.
처리도어판(241)의 저면에는 필터(242)로 공기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유입홀(243)이 형성되고, 처리도어판(241)에는 필터(242)를 통과한 공기가 건조부(23)와 연통되는 배출홀(244)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처리도어판(241)이 처리케이스부(21)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하면, 배출홀(244)은 교반통(221)의 상부 내측에서 돌출되는 배기관(2321) 또는 재가열관(2323)과 연통된다.
처리도어판(241)의 내부에 위치되는 필터(242)는 음식물 교반으로 인해 부유물이 발생하는 교반부(22)와 최대한으로 이격되므로, 음식물 교반 작업으로 인해 부유되는 물질이 공기와 함께 필터(242)에 과도하게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공기는 공기유입부(234)를 통해 히터부(231)로 이동되고, 히터부(231)에서 가열되어 교반부(22)로 투입된다.
교반부(22)에 투입된 공기는 음식물과 접촉되어 냉각되고, 배기팬(2322)의 흡입력에 의해 배기관(2321)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음식물과 접촉되어 냉각된 공기중에서 일부는 재가열팬(2324)의 흡입력에 의해 재가열관(2323)으로 이동되고, 히터부(231)를 통과하면서 재가열된 후 교반부(22)에 재투입된다.
한편, 배기관(2321)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는 탈취부(235)를 통과하면서 악취가 제거되고, 열풍자켓부(233)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열풍자켓부(233)는 교반부(22)에 접촉되므로 열전도에 의해 교반부(2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탈취부(235)는 공기유입부(234)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와 열교환되므로, 히터부(231)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온도가 상승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투입부(10)와, 처리부(20)와, 배출부(30)와, 투입처리부(40)와, 처리배출부(50)를 포함한다. 이때, 처리배출부(50)는 처리부(20)의 수분을 감지하여 구동된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배출부(50)는 수분감지부(51)와, 배출덕트부(52)와, 배출도어부(53)와, 배출안내부(54)와, 배출이동부(55)를 포함한다.
수분감지부(51)는 처리부(20)에 장착되어 음식물의 수분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수분감지부(51)는 교반통(221)에 설치되어 교반통(221) 내부에서 건조되는 음식물의 수분을 측정한다. 이때, 교반대(226)는 음식물이 수분감지부(51)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도 8과 도 9 참조)
배출도어부(52)는 처리부에 장착되고, 수분감지부(51)의 측정값에 따라 처리부(20)에 형성되는 출구(531)를 개폐한다. 예를 들어, 교반통(221)에는 출구(531)가 형성되고, 배출도어부(52)는 출구(531)와 연통되도록 교반통(221)에 장착된다(도 12 참조).
수분감지부(51)에서 측정한 음식물의 수분이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배출도어부(52)가 구동되어 출구(531)를 개방하고, 음식물에 대한 건조 또는 교반 작업이 중지된다.
배출덕트부(53)는 배출도어부(52)에 장착되고, 출구(531)와 연통된다. 배출안내부(54)는 일단부가 배출덕트부(53)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배출부(30)에 삽입된다.
배출안내부(54)의 일단부는 배출덕트부(53)의 하부와 연결되어 음식물이 배출안내부(54)에 안정적으로 유입된다.
배출안내부(54)의 타단부는 배출부(30)의 상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배출안내부(54)의 타단부는 하측으로 개구된 형상을 하여 음식물을 낙하시킨다.
배출이동부(55)는 배출안내부(54)에 장착되고, 음식물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배출이동부(55)는 배출안내부(54)의 일단부로 공급된 음식물을 타단부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도어부(52)는 도어하우징(521)과, 개폐판(522)과, 개폐기어(523)와, 개폐구동체(524)를 포함한다.
도어하우징(521)은 처리부(20)에 장착되고, 출구(531)와 대응되는 입구(532)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어하우징(521)은 교반통(221)의 외측에 장착된다.
개폐판(522)은 도어하우징(521)에 삽입된다. 이러한 개폐판(522)은 도어하우징(521)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입구(532)를 개폐한다.
개폐기어(523)는 개폐판(522)에서 돌출된다. 개폐기어(523)는 개폐판(522)의 이동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도어하우징(521)에 형성되는 개폐홀(525)을 관통한다.
예를 들어, 개폐판(522)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개폐기어(523)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개폐홀(525)은 수평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개폐홀(525)을 통해 돌출된 개폐기어(523)는 도어하우징(521)에 걸쳐진다.
개폐구동체(524)는 배출덕트부(53)에 장착되고, 개폐기어(523)와 맞물려 개폐판(522)을 이동시킨다. 이때, 개폐구동체(524)와 개폐기어(523)는 랙앤피니언 결합된다.
예를 들어, 개폐구동체(524)는 배출덕트부(53)에 결합되고 동력이 발생되는 개폐모터(5241)와, 배출덕트부(53)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기어(5242)와, 개폐모터(5241)와 회전기어(5242)에 감기는 기어벨트(5243)를 포함한다.
회전기어(5242)는 일단부가 개폐기어(523)에 맞물리고, 타단부가 기어벨트(5243)에 감긴다. 이로 인해 개폐모터(5241)가 구동되면, 회전기어(5242)가 회전되어 개폐판(522)이 이동된다.
배출덕트부(53)는 회전기어(5242)와 개폐기어(523)의 접촉지점을 커버하여, 배출덕트부(53)로 투입된 음식물 중 일부가 개폐기어(523)의 유입되어 기어간의 맞물림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도어부(52)는 개폐커버(526)를 더 포함한다. 개폐커버(526)는 도어하우징(521)에 결합되고, 개폐홀(525)을 커버하면서 개폐기어(523)를 감싼다. 개폐커버(526)는 개폐기어(523)를 감싸므로, 개폐커버(526)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이동부(55)는 배출스크류(551)와, 배출구동체(552)를 포함한다.
배출스크류(551)는 배출안내부(54)에 내장된다. 이러한 배출스크류(551)는 배출안내부(54)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음식물을 배출안내부(54)의 타단으로 이동시키도록 스크류 형상을 갖는다.
배출구동체(552)는 배출안내부(54)에 장착되고, 배출스크류(551)에 연결되어 배출스크류(551)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교반부(22)에 저장된 음식물이 건조되어 수분감지부(51)에서 감지된 값이 설정범위 이하로 내려가면, 음식물에 대한 교반 및 건조 작업이 종료되고, 배출도어부(52)가 구동되어 출구(531)가 개방된다. 이때, 출구(531)로 음식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음식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축(222)이 일정시간 구동될 수 있다.
출구(531)가 개방되면 출구(531)를 통과한 음식물이 입구(532)를 통해 배출안내부(54)로 안내되며, 배출이동부(55)가 구동되어 배출안내부(54)에 유입된 음식물을 배출부(30)로 안내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투입부(10)와, 처리부(20)와, 배출부(30)와, 투입처리부(40)와, 처리배출부(50)를 포함한다. 이때, 배출부(30)는 건조 완료된 후 배출된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한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30)는 저장케이스부(31)와, 저장도어부(32)와, 간이저장부(33)와, 하중측정부(34)를 포함한다.
저장케이스부(31)는 처리부(20)와 인접되도록 배치된다. 저장케이스부(31)의 저면에는 저장케이스부(31)를 목적지로 이동시키고, 목적지에 도달된 저장케이스부(3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배출바퀴(311) 및 배출스토퍼(312)가 구비된다. 이때, 처리배출부(50)의 배출안내부(54) 단부가 저장케이스부(31)의 상부에 삽입된다.
저장케이스부(31)는 전면이 개구된 형상을 하고, 저장도어부(32)는 저장케이스부(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저장케이스부(31)의 전면을 개폐한다.
간이저장부(33)는 저장케이스부(31)에 내장된다. 예를 들어, 간이저장부(33)는 간이용기(331)와, 간이바퀴(332)와, 간이덮개(333)를 포함한다.
간이용기(331)는 상측이 개구된 용기 형상을 하고, 간이바퀴(332)는 간이용기(331)에 장착되어 회전되며, 간이덮개(333)는 간이용기(331)에 장착되어 간이용기(331)의 상측을 개폐한다.
저장도어부(32)가 저장케이스부(31)의 전면을 개방하면, 간이저장부(323)는 저장케이스부(31)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방에서 낙하되는 음식물이 저장되도록 간이용기(331)의 상측이 개방된다.
하중측정부(34)는 저장케이스부(31)에 장착되고, 간이저장부(33)의 하중을 측정한다.
하중측정부(34)에서 측정된 간이저장부(33)의 하중은 저장케이스부(31)에 형성되는 표시창에 실시간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그 외, 하중측정부(34)에서 측정된 간이저장부(33)의 하중은 처리케이스부(21)에 형성되는 메인표시창에 실시간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측정부(34)는 하중탄성체(341)와, 하중안착판(342)과, 하중센서(343)를 포함한다.
하중탄성체(341)는 저장케이스부(31)의 바닥면에 장착된다. 하중탄성체(341)는 복수개가 저장케이스부(31)의 바닥면에 골고루 배치된다.
하중안착판(342)은 하중탄성체(31)에 지지된다. 이러한 하중안착판(342)에는 간이저장부(33)가 안착된다.
하중센서(343)는 하중안착판(342)에 장착되고, 간이저장부(33)의 하중에 의해 하중안착판(342)이 하강됨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하중센서(343)는 접촉식 스위치가 사용되고, 하중안착판(342)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간이저장부(33)에 저장된 하중에 의해 하중안착판(342)이 하강되어 하중센서(343)가 접촉판(344)과 접촉되면, 간이저장부(33)에 저장된 음식물이 저장한계치에 도달한 것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30)는 저장경고부(35)를 더 포함한다. 저장경고부(35)는 저장케이스부(31)에 장착되고, 하중측정부(34)의 하중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예를 들어, 저장경고부(35)는 경고음을 생성하거나 경고등을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간이저장부(33)를 교체하도록 유도한다.
저장경고부(35)는 저장케이스부(31) 외에 처리케이스부(21)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저장도어부(32)를 회전시켜 저장케이스부(31)에 간이저장부(33)를 내장시킨 후 저장도어부(32)가 저장케이스부(31)의 전면을 폐쇄하도록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처리배출부(50)를 통해 이동된 음식물이 간이저장부(33)에 저장된다.
한편, 간이저장부(33)를 받쳐주는 하중측정부(34)는 간이저장부(33)의 하중을 측정하는바, 하중측정부(34)가 간이저장부(33)의 저장한계치를 감지하면 저장경고부(35)에 하중신호를 보낸다.
저장경고부(35)는 하중신호를 수신한 후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경고등을 점등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한다.
저장경고부(35)의 경고를 인지한 사용자는 비워진 간이저장부(33)가 저장케이스부(31)에 투입되도록 간이저장부(33)를 교체한다.
이때, 장기간 저장경고부(35)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간이저장부(33)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로 투입부(10)나 처리부(20)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간이저장부(33)에 지속적으로 낙하되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카드를 단말부(12)에 대면, 단말부(12)의 감지신호에 의해 투입도어부(13)가 구동되어 투입홀(131a)이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가 음식물을 투입홀(131a)로 투입하면, 음식물은 바구니(142)에 저장되고, 로드셀(143)은 음식물 하중을 측정하여 단말부(12)에 측정신호를 전송한다.
단말부(12)는 음식물 하중 및 이로 인한 음식물 처리비용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비용을 결제하면 도어부(13)가 폐쇄되고 음식물 처리작업이 실시된다. 이때, 단말부(12)는 구청이나 환경부와 같은 관공서에 쓰레기 처리량을 전송할 수 있다.
도어부(13)가 폐쇄되면, 바구니(142)가 회전되어 음식물을 파쇄부(15)로 낙하시키고, 파쇄부(15)를 통과한 음식물은 잘게 부서진 후 투입처리부(40)에 의해 처리부(20)로 이송된다.
한편, 바구니(142)의 내부에 고정된 스크래퍼(144)는 바구니(142)의 회전시 바구니(142)에 부착된 음식물을 긁어낸다.
투입처리부(40)를 통해 공급되는 음식물은 교반부(22)에 의해 교반되되, 교반링(224)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교반봉(225)에 의해 음식물에 대한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교반부(22)에는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어 음식물을 건조시킨다. 이러한 공기의 이동경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유입부(234)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탈취부(235)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히터부(231)에 공급된다.
히터부(231)에 공급된 공기는 히터(2312)에 의해 섭씨 120도 내지 150도로 가열된 후 교반부(22)로 배출되어 교반되는 음식물을 건조시킨다.
음식물과 접촉되어 섭씨 60도 내지 80도로 냉각된 공기중에서 일부는 배기관(23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도중에 탈취부(235)를 통과하면서 악취가 제거된다.
이때, 탈취기(2356)의 고온탈취공정에 의해 공기는 섭씨 300도 내지 400도로 가열되고 열풍자켓부(233)를 통과하면서 섭씨 100도 내지 150도로 냉각된다.
이로 인해, 탈취기(2356)로 유입된 수증기는 탈취기(2356)에 의해 재가열되어 열풍자켓부(233)로 이동되므로, 응축수 발생이 억제되고, 열풍자켓부(233)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교반부(22)의 각종 구성요소들이 가열되어 음식물에 대한 건조 작업성이 향상된다.
열풍자켓부(233)를 통과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공기유입부(23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탈취부(235)와 열교환되어 가열된 후 히터부(231)에 도달된다.
음식물과 접촉되어 냉각된 공기중에서 일부는 재가열관(2323)을 통해 히터부(231)로 재유입되어 가열된 후 음식물을 건조시킨다.
수분감지부(51)가 수분측정을 통해 음식물의 건조가 완료되었음을 감지하면, 배출도어부(52)가 구동되어 출구(531)가 개방된다.
건조 완료된 음식물은 출구(531)를 통해 배출안내부(54)로 유입되고, 배출이동부(55)에 의해 이동되어 배출부(30)의 간이저장부(33)에 낙하된다.
하중측정부(34)는 간이저장부(33)의 하중을 측정하고, 건조 완료된 음식물이 지속적으로 간이저장부(33)에 저장되어 간이저장부(33)의 하중한계치에 도달되면, 저장경고부(35)는 경고음이나 경고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간이저장부(33)에 대한 교체신호를 보낸다.
사용자가 저장경고부(35)의 경고신호를 인지하면, 건조 완료된 음식물이 가득찬 간이저장부(33)를 비워진 간이저장부(33)로 교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배출부(30)가 건조 완료된 음식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건조 완료된 음식물이 저장되는 간이저장부(33)의 하중이 한계치를 넘는 경우, 저장경고부(35)가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간이저장부(33)를 교체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투입부 11 : 투입케이스부
12 : 단말부 13 : 투입도어부
14 : 측정부 15 : 파쇄부
20 : 처리부 21 : 처리케이스부
22 : 교반부 23 : 건조부
24 : 처리도어부 30 : 배출부
31 : 저장케이스부 32 : 저장도어부
33 : 간이저장부 34 : 하중측정부
35 : 저장경고부 40 : 투입처리부
41 : 이송덕트부 42 : 이송스크류부
43 : 이송구동부 50 : 처리배출부
51 : 수분감지부 52 : 배출도어부
53 : 배출덕트부 54 : 배출안내부
55 : 배출이동부 111 : 투입바퀴
112 : 투입스토퍼 131 : 도어케이스
131a : 투입홀 132 : 가이드바
133 : 도어회전축 134 : 구동풀리
135 : 종동풀리 136 : 도어벨트
137 : 도어판 138 : 동력체
141 : 측정케이스 142 : 바구니
143 : 로드셀 144 : 스크래퍼
145 : 측정구동체 151 : 파쇄덕트부
152 : 파쇄회전부 153 : 파쇄구동부
221 : 교반통 222 : 교반축
223 : 교반동력체 224 : 교반링
225 : 교반봉 226 : 교반대
231 : 히터부 232 : 순환부
233 : 열풍자켓부 234 : 공기유입부
235 : 탈취부 241 : 처리도어판
242 : 필터 243 : 유입홀
244 : 배출홀 311 : 배출바퀴
312 : 배출스토퍼 331 : 간이용기
332 : 간이바퀴 333 : 간이덮개
341 : 하중탄성체 342 : 하중안착판
343 : 하중센서 411 : 제1덕트
412 : 제2덕트 421 : 제1스크류
422 : 제2스크류 431 : 제1이송기어
432 : 제2이송기어 521 : 도어하우징
522 : 개폐판 523 : 개폐기어
524 : 개폐구동체 525 : 개폐홀
526 : 개폐커버 531 : 출구
532 : 입구 551 : 배출스크류
552 : 배출구동체

Claims (4)

  1. 삭제
  2.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에 인접되고, 상기 음식물을 건조시키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에 인접되고, 건조 완료된 상기 음식물을 저장하는 배출부;
    상기 투입부에 장착되고, 상기 투입부에 투입된 상기 음식물을 상기 처리부로 이동시키는 투입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에 장착되고, 상기 처리부에서 건조 완료된 상기 음식물을 상기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처리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처리배출부가 삽입되는 저장케이스부;
    상기 저장케이스부에 형성되는 저장도어부;
    상기 저장케이스부에 내장되고, 상기 처리배출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음식물이 저장되는 간이저장부; 및
    상기 저장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간이저장부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측이 개구된 처리케이스부;
    상기 처리케이스부에 내장되고, 상기 투입처리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교반부에서 교반되는 상기 음식물을 건조시키고 상기 음식물 냄새를 제거하는 건조부; 및
    상기 처리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처리케이스부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처리도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는
    상기 교반부에 연결되고,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
    상기 교반부에서 교반되는 상기 음식물을 건조시킨 후 냉각된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순환부;
    상기 순환부에 연결되고, 상기 교반부에 접촉되며, 상기 순환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로 상기 교반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풍자켓부;
    상기 순환부와 연결되고, 상기 히터부에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입부; 및
    상기 공기유입부에 내장되고, 상기 순환부와 상기 열풍자켓부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를 안내하면서 냄새를 제거하며, 외부공기를 열교환시키는 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측정부는
    상기 저장케이스부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중탄성체;
    상기 하중탄성체에 지지되고, 상기 간이저장부가 안착되는 하중안착판; 및
    상기 하중안착판에 장착되고, 상기 간이저장부의 하중에 의해 상기 하중안착판이 하강됨을 감지하는 하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저장케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중측정부의 하중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저장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30050966A 2013-05-06 2013-05-06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6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966A KR101366234B1 (ko) 2013-05-06 2013-05-06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966A KR101366234B1 (ko) 2013-05-06 2013-05-06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234B1 true KR101366234B1 (ko) 2014-02-26

Family

ID=5027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966A KR101366234B1 (ko) 2013-05-06 2013-05-06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802B1 (ko) * 2015-04-21 2015-11-12 (주)삼익테크 건조물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942B1 (ko) * 2006-09-06 2007-07-13 (주)나노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990456B1 (ko) * 2010-05-11 2010-10-29 허한빈 Rfid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수거방법
KR20110101608A (ko) * 2010-03-09 2011-09-16 주이스 주식회사 쓰레기처리 관제시스템에 사용되는 쓰레기수거장치
KR101088691B1 (ko) * 2011-07-29 2011-12-05 이주형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거점 수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942B1 (ko) * 2006-09-06 2007-07-13 (주)나노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101608A (ko) * 2010-03-09 2011-09-16 주이스 주식회사 쓰레기처리 관제시스템에 사용되는 쓰레기수거장치
KR100990456B1 (ko) * 2010-05-11 2010-10-29 허한빈 Rfid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수거방법
KR101088691B1 (ko) * 2011-07-29 2011-12-05 이주형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거점 수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802B1 (ko) * 2015-04-21 2015-11-12 (주)삼익테크 건조물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919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13662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5257466A (en) Raw sewage disposal apparatus
US4984748A (en) Waste sterilizing and crushing apparatus
KR10087940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03640B1 (ko) 간이 화장실의 분뇨처리시스템
KR101765139B1 (ko) 볼밸브를 이용한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종량 투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322303B1 (ko) 음식물류폐기물의 종량제 수거 및 자원화 장치
KR10136623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633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86740B1 (ko)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KR20120106912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62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633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623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633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634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623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9152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826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KR2014003964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002828U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543444B1 (ko) 잔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4462A (ko) 음식물 처리기
KR101207207B1 (ko) 음식폐기물 복합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