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985Y1 - 자동차용 암 레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암 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985Y1
KR200495985Y1 KR2020200003725U KR20200003725U KR200495985Y1 KR 200495985 Y1 KR200495985 Y1 KR 200495985Y1 KR 2020200003725 U KR2020200003725 U KR 2020200003725U KR 20200003725 U KR20200003725 U KR 20200003725U KR 200495985 Y1 KR200495985 Y1 KR 200495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arm rest
console box
contact
bu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901U (ko
Inventor
이영국
최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2020200003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985Y1/ko
Priority to PCT/KR2021/014191 priority patent/WO2022086044A1/ko
Publication of KR202200009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9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9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어 팔걸이 역할을 하는 암 레스트(Arm Rest)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더 상세하게는 암레스트의 로우 커버(Lower Cover)에 니플범퍼를 조립하여, 상기 니플법퍼에 의해 콘솔박스를 개폐시에도 암 레스트의 저면이 접촉되어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암레스트의 좌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콘솔박스(40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 레스트(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로우 커버(200)의 좌우 양측에 니플홈(2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니플홈(210)에는 일측면이 콘솔박스(400)의 상부면과 내측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일측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니플범퍼(300)가 삽입고정 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암 레스트{Car arm rest}
본 고안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어 팔걸이 역할을 하는 암 레스트(Arm Rest)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더 상세하게는 암레스트의 로우 커버(Lower Cover)에 니플범퍼를 조립하여, 상기 니플법퍼에 의해 콘솔박스를 개폐시에도 암 레스트의 저면이 접촉되어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암레스트의 좌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암 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비교적 소형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콘솔박스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콘솔박스의 상부에는 뚜껑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시트에 착좌한 탑승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기위한 암 레스트(Arm rest)가 설치되어 있다.
즉, 탑승자가 암 레스트의 상부에 팔을 올려놓게 되면, 장기간 운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탑승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어 예기치 않게 발생될 수 있는 사고 요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솔박스에 암 레스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 물품의 보관을 위해 장착되는 콘솔박스(11)의 상부에는 암 레스트(12)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암 레스트(12)는 힌지 축(14)으로 콘솔박스(11)에 설치되어 물품을 집어넣거나, 꺼낼 때 도어역할을 하는 동시에 운전자나 탑승자의 팔걸이 역할도 겸하게 된다.
이러한 암 레스트(12)는 힌지 축(14)의 반대측인 선단에서 릴리스 레버(13)의 후크(13a)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솔박스(11)에 암 레스트(12)가 닫힌 상태에서 암 레스트(12)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릴리스 레버(13)를 눌러 상기 릴리스 레버(13)에 형성된 후크(13a)가 콘솔박스(11)의 단부(11a)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콘솔박스(11)와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암 레스트(12)를 들어올리면 암 레스트(12)에 고정된 슬라이더(15)[0008] 가 콘솔박스(11)의 스토퍼(16)에 걸리고 암 레스트(12)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수직 상태로 정지하게 되므로 콘솔박스(11)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게 된다.
그 후, 개방하였던 암 레스트(12)를 하방으로 눌러 주면 릴리스 레버(13)의 후크(13a)가 콘솔박스(11)의 단부(11a)에 걸리게 되므로 암 레스트(12)의 닫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암 레스트(12)는 콘솔박스(11)에 닫힌 상태에서 자동차의 주행 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암 레스트(12)를 하방으로 눌러 주면 닫힘상태가 되도록 하는 경우에도 콘솔박스(11)의 상부에 암 레스트(12) 저면이 접촉되면서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야만 된다.
도 2는 종래 암 레스트를 나타낸 보인 저면사시도로써, 암 레스트(12)를 구성하는 로우 커버(17)의 전면 양측으로 콘솔박스(11)와 접속되어 암 레스트(12)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니플(18)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니플(18)에는 소음방지 및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패드(19)가 접착 고정되며,
상기 패드(19)가 접착도정된 니플(18)이 형성된 로우커버(17)의 좌우 양측부에는 범퍼(18a)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콘솔박스(11)에 암 레스트(12)가 닫힌 상태, 즉 릴리스 레버(13)의 후크(13a)가 콘솔박스(11)의 단부(11a)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니플(18)에 접착 고정된 패드(19)가 콘솔박스(11)에 접하게 되므로 자동차의 주행 시 발생된 진동에 의해 암 레스트(12)가 유동되는 현상을 줄여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콘솔박스(11)에 암 레스트(12)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힌지축(14)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범퍼(18a)의 하단부가 콘솔박스(11)의 상단부에 접촉된 후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암 레스트는 니플의 외측으로 패드가 접착 고정되어 있어 암 레스트의 반복되는 개폐에 따라 콘솔박스에 닿게 되므로 니플로부터 패드가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니플이 콘솔박스에 마찰을 일으키게 되므로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차량의 실내외관미를 저하시키게 됨은 물론, 자동차의 주행 시 진동이 발생되면 콘솔박스에서 암 레스트가 유동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암레스트의 닫힘 작동시 콘솔박스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접촉된 후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별도의 범퍼를 조립시켜야 함으로써, 암 레스트를 제작시 부품수가 증가하고 조립공정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어 제작단가가 상승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콘솔박스의 상단부에 범퍼의 하단부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범퍼의 외경보다는 큰 두께를 갖도록 콘솔박스의 측면부를 형성시켜야 함으로써, 콘속박스를 제작시 디자인의 제약을 받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11456호(19990325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111호(20090624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암레스트의 로우 커버(Lower Cover)에 조립되는 니플범퍼에 의해 콘솔박스를 개폐시에도 암 레스트의 저면이 접촉되어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암레스트의 좌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암 레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니플범퍼를 암 레스트의 로우 커버에 조립하는 것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암 레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콘솔박스의 측면부의 두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콘솔박스를 개폐시에는 니플범퍼에 암레스트의 저면이 접촉되어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암레스트의 좌우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용 암 레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콘솔박스(40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 레스트(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로우 커버(200)의 좌우 양측에 니플홈(2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니플홈(210)에는 일측면이 콘솔박스(400)의 상부면과 내측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일측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니플범퍼(300)가 삽입고정 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니플범퍼(300)는 하단부가 콘솔박스(400)의 상단부에 접촉되는 상부접촉부(310)와, 일측 외측면이 콘솔박스(400)의 상부 내측면에 접촉되는 하부접촉부(320)가 일체로 절곡형성 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니플범퍼(300)는 자체탄성력을 갖고있는 러버재로 제작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니플범퍼(300)가 삽입되는 니플홈(210)은 상부접촉부(310)가 삽입되는 상부삽입홈(211)과 하부접촉부(320)가 삽입되는 하부삽입홈(212)이 연통되게 일체로 로우 커버(200)의 좌우 양측부에 각각 형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상부삽입홈(211)과 하부삽입홈(212)의 내부에는 상부리브(211a)와 하부리브(212a)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리브(211a)와 하부리브(212a)가 끼워지는 상부리브삽입홈(311)과 하부리브삽입홈(321)이 니플범퍼(300)의 상부접촉부(310)와 하부접촉부(320)에 각각 파여 형성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상부리브(211a)의 하부와 하부리브(212a)의 상부에는 상부지지돌기(211b)가 하부지지돌기(212b)가 일체로 각각 연장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돌기(211b)가 하부지지돌기(212b)가 삽입되는 상부지지돌기삽입홈(312)과 하부지지돌기삽입홈(322)이 상부리브삽입홈(311)과 하부리브삽입홈(321)에 각각 연통되도록 상부접촉부(310)와 하부접촉부(320)에 형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상부접촉부(310)의 하부에는 콘솔박스(400)의 상단부에 저면이 접촉되는 접촉돌기(312)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암 레스트(100)가 콘솔박스(400)의 개방부를 폐쇄할 때 1차적으로 접촉돌기(312)가 콘솔박스(400)의 상단부에 접촉되면서 충격하중을 흡수하게됨을 밝혀 둔다.
본 고안에 따르면 로우 커버의 양측에 형성된 니플홈에 러버재로 자체탄성력을 갖고있는 러버재로 제작된 니플범퍼를 일측부가 돌출되도록 삽입 고정되어, 암 레스트가 콘솔박스의 개방부를 폐쇄할 때, 상기 니츨범퍼의 상부접촉부 하부 및 하부접촉부의 일측면이 콘솔박스에 접속되므로 암 레스트의 개폐시 소음 및 스크래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은 물론이고, 자동차의 주행에 따라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암 레스트가 유동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차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콘솔박스의 측면부 두께에 따라 상부접촉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콘솔박스를 제작시 측면부 두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디자인하여 제작할 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 암 레스트가 콘솔박스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암 레스트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암 레스트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암 레스트의 요부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암 레스트의 요부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암 레스트의 로어커버에 니플법퍼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인 암 레스트의 로어커버에 조립된 니플범퍼가 곤속박스에 접촉된 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인 암 레스트의 로어커버에 형성된 니플홈에 니플범퍼가 조립되기전의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인 암 레스트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암 레스트의 요부를 보인 확대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인 암 레스트의 요부를 보인 확대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인 암 레스트의 로어커버에 니플법퍼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고안인 암 레스트의 로어커버에 조립된 니플범퍼가 곤속박스에 접촉된 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이고, 도 8은 본 고안인 암 레스트의 로어커버에 형성된 니플홈에 니플범퍼가 조립되기전의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다.
본 고안인 자동차용 암 레스트는 도 3내지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콘솔박스(40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 레스트(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로우 커버(200)의 좌우 양측에 니플홈(2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니플홈(210)에는 일측면이 콘솔박스(400)의 상부면과 내측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일측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니플범퍼(300)가 삽입고정 된다.
한편, 상기 니플범퍼(300)는 하단부가 콘솔박스(400)의 상단부에 접촉되는 상부접촉부(310)와, 일측 외측면이 콘솔박스(400)의 상부 내측면에 접촉되는 하부접촉부(320)가 일체로 절곡형성 된다.
또한, 상기 니플범퍼(300)는 자체탄성력을 갖고있는 러버재로 제작된다.
한편, 상기 니플범퍼(300)가 삽입되는 니플홈(210)은 상부접촉부(310)가 삽입되는 상부삽입홈(211)과 하부접촉부(320)가 삽입되는 하부삽입홈(212)이 연통되게 일체로 로우 커버(200)의 좌우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삽입홈(211)과 하부삽입홈(212)의 내부에는 상부리브(211a)와 하부리브(212a)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리브(211a)와 하부리브(212a)가 끼워지는 상부리브삽입홈(311)과 하부리브삽입홈(321)이 니플범퍼(300)의 상부접촉부(310)와 하부접촉부(320)에 각각 파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리브(211a)의 하부와 하부리브(212a)의 상부에는 상부지지돌기(211b)가 하부지지돌기(212b)가 일체로 각각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돌기(211b)가 하부지지돌기(212b)가 삽입되는 상부지지돌기삽입홈(312)과 하부지지돌기삽입홈(322)이 상부리브삽입홈(311)과 하부리브삽입홈(321)에 각각 연통되도록 상부접촉부(310)와 하부접촉부(320)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접촉부(310)의 하부에는 콘솔박스(400)의 상단부에 저면이 접촉되는 접촉돌기(312)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콘솔박스(400)에 암 레스트(100)가 닫힌 상태에서는 로우 커버(200)의 저면에 형성된 니플홈(210)에 삽입 고정되어 니플홈(210)의 일측으로 노출된 니플범퍼(300)의 상부접촉부(310) 하부에 형성된 접촉돌기(312)는 콘솔박스(400)의 상부면에 긴밀하게 접촉되고, 상기 니플범퍼(300)의 하부접촉부(320) 일측면은 콘솔박스(400)의 내측 일측면에 긴밀하게 접속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주행 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니플범퍼(300)에 의해 암 레스트(100)가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를 운행시 암 레스트(100)의 유동에 의한 소음이나 소음이나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현상이 방지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콘솔박스(400)의 내부에서 물품을 꺼내거나, 집어넣기 위해 암 레스트(100)의 릴리스 레버(미도시)를 누르면 상기 릴리스 레버에 형성된 후크가 콘솔박스(400)와의 걸림상태에서 해제되므로 암 레스트(100)를 상부로 들어올려 콘솔박스(40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암 레스트(100)를 들어올려 콘솔박스(400)를 개방한 상태에서 콘솔박스(400)에 물품을 집어넣거나, 꺼내게 되는데, 그 후 들어올렸던 암 레스트(100)를 하방으로 눌러주면 니플홈(210)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니플범퍼(300)의 상부접촉부(310) 하부에 형성된 접촉돌기(312)가 1차적으로 접촉되면서 충격하중량만큼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충격하중을 흡수하고, 상기 접촉돌기(312)에서 흡수하고 남은 충격에너지는 최종적으로 상부접촉부(310)로 폭넓게 전달되면서 흡수되어지게 된다.
이로인해 암 레스트(100)를 하방으로 눌러주는 경우에도 암 레스트(100)가 콘솔박스(400)와 접촉되면서 충격음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상부접촉부(310)의 저면이 콘솔박스(400)의 상부면에 접촉되면서 릴리스 레버(미도시)의 후크(미도시)가 콘솔박스(400)에 걸린후에는 니플범퍼(300)의 하부접촉부(320) 일측면이 콘솔박스(400)의 내측 일측면에 긴밀하게 접속되어 암 레스트(100)가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콘솔박스(400)에 닫힌 암 레스트(100)는 니플범퍼(300)의 하부접촉부(320)의 일측면이 콘솔박스(400)의 내측 일측면에 긴밀하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동차의 주행 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니플범퍼(300)에 의해 암 레스트(100)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지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0033]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암 레스트
400 : 콘솔박스
200 : 로우 커버
210 : 니플홈
300 : 니플범퍼
310 : 상부접촉부
320 : 하부접촉부

Claims (7)

  1. 콘솔박스(40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 레스트(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로우 커버(200)의 좌우 양측에 니플홈(2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니플홈(210)에는 일측면이 콘솔박스(400)의 상부면과 내측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일측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니플범퍼(300)가 삽입고정 되는 자동차용 암 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니플범퍼(300)가 삽입되는 니플홈(210)은 상부접촉부(310)가 삽입되는 상부삽입홈(211)과 하부접촉부(320)가 삽입되는 하부삽입홈(212)이 연통되게 일체로 로우 커버(200)의 좌우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 레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삽입홈(211)과 하부삽입홈(212)의 내부에는 상부리브(211a)와 하부리브(212a)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리브(211a)와 하부리브(212a)가 삽입되는 상부리브삽입홈(311)과 하부리브삽입홈(321)이 니플범퍼(300)의 상부접촉부(310)와 하부접촉부(320)에 각각 파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 레스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리브(211a)의 하부와 하부리브(212a)의 상부에는 상부지지돌기(211b)와 하부지지돌기(212b)가 일체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돌기(211b)와 하부지지돌기(212b)가 삽입되는 상부지지돌기삽입홈(312)과 하부지지돌기삽입홈(322)이 상부리브삽입홈(311)과 하부리브삽입홈(321)에 각각 연통되도록 상부접촉부(310)와 하부접촉부(3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 레스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접촉부(310)의 외측 하부에는 콘솔박스(400)의 상단부에 저면이 접촉되는 접촉돌기(313)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 레스트.
KR2020200003725U 2020-10-19 2020-10-19 자동차용 암 레스트 KR200495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725U KR200495985Y1 (ko) 2020-10-19 2020-10-19 자동차용 암 레스트
PCT/KR2021/014191 WO2022086044A1 (ko) 2020-10-19 2021-10-14 자동차용 암 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725U KR200495985Y1 (ko) 2020-10-19 2020-10-19 자동차용 암 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901U KR20220000901U (ko) 2022-04-26
KR200495985Y1 true KR200495985Y1 (ko) 2022-10-07

Family

ID=8129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725U KR200495985Y1 (ko) 2020-10-19 2020-10-19 자동차용 암 레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5985Y1 (ko)
WO (1) WO202208604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136879U (zh) 2014-09-19 2015-02-04 北京长安汽车工程技术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及其中控箱扶手
KR101703143B1 (ko) 2015-11-25 2017-0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소음 방지용 가이드유닛이 장착된 콘솔 암레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456U (ko)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KR200445111Y1 (ko) 2008-05-26 2009-06-30 주식회사 일신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KR101583635B1 (ko) * 2010-05-03 2016-01-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수납장치
KR102583419B1 (ko) * 2018-06-01 2023-09-26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측면 유동으로 인한 소음 방지를 위한 콘솔 암레스트 어셈블리
KR102166325B1 (ko) * 2020-08-11 2020-10-16 덕양산업 주식회사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136879U (zh) 2014-09-19 2015-02-04 北京长安汽车工程技术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及其中控箱扶手
KR101703143B1 (ko) 2015-11-25 2017-0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소음 방지용 가이드유닛이 장착된 콘솔 암레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901U (ko) 2022-04-26
WO2022086044A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6081B2 (en) Cushioning clip
CN107571455B (zh) 杯子保持架及其制造方法
US20070187968A1 (en) Overhead console with storage bin
JP4938541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底部取付部構造
US10814802B2 (en) Vehicular door
KR200485900Y1 (ko) 자동차용 트레이
KR200495985Y1 (ko) 자동차용 암 레스트
JP2013124069A (ja) センターコンソール
US20070199864A1 (en) Storage structure for vehicle cabin interior
KR102166325B1 (ko)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WO2007066014A1 (fr) Garnissage de piece d'equipement interieur de vehicule automobile et piece d'equipement interieur associe
KR100387657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JP3644392B2 (ja) 車両用扉開閉構造
KR101251758B1 (ko) 차량의 플로어 언더 트레이 어셈블리
JP3813353B2 (ja) 車両用ドア構造
CN210503841U (zh) 一种箱盖总成和高架箱
JP3843670B2 (ja) キャブオーバー型トラックのハイルーフ車のヘッダートレイ縁端末処理こう造
JP2658413B2 (ja) 車両のドアウエスト構造
KR0185901B1 (ko)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
JP2000159029A (ja) 自動車のドアトリム
JP6080001B2 (ja) パーセルシェルフの支持構造
KR102236884B1 (ko) 진동 억제형 암레스트 장치
KR100748752B1 (ko)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의 슬라이드 구조
JPH07205658A (ja) 車両用ライニング構造
KR200228019Y1 (ko) 도어의 암 레스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