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826Y1 -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826Y1
KR200488826Y1 KR2020167000017U KR20167000017U KR200488826Y1 KR 200488826 Y1 KR200488826 Y1 KR 200488826Y1 KR 2020167000017 U KR2020167000017 U KR 2020167000017U KR 20167000017 U KR20167000017 U KR 20167000017U KR 200488826 Y1 KR200488826 Y1 KR 200488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carrier
carriers
longitudinal carri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7000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842U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바론
Original Assignee
도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도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018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8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11/52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of several units arranged one after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11/54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of extensible type, with or without adjustable supporting shoes, fishplat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2011/505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with nailable or screwable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종방향 레일(3)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중 레일(2)을 갖고, 상기 종방향 레일(3)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5)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종방향 캐리어(3)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합 부재(5)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 개구(6)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5)는 상기 종방향 레일(3)의 종방향에 대해 수직인 상기 관통 개구(6)에 재배치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종방향 레일(3) 사이의 거리 또는 서로에 대한 상기 종방향 레일(3)의 각위치가 변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특히 천장 거푸집용 지지 장치(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SUPPORT DEVICE FOR CONCRETE FORMWORK}
본 고안은 종방향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종방향 캐리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중 캐리어 콘크리트 거푸집 특히, 천장 거푸집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랑스 실용신안 번호 2 955 877 A1으로부터 콘크리트 판으로 만들어진 거푸집 구조를 위한 동일한 클래스의 일반적인 지지 장치가 알려져 있다. 지지 장치는 조절 가능한 연결 스트럿을 통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종방향 캐리어로 구성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연결 스트럿은 조인트를 통해 적절한 종방향 캐리어 상에 각각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서로 연결된 두 개의 파트로 구성된다.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거리는 서로에 관하여 파트를 피봇팅함으로써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스트럿이 종방향 캐리어 상에 힌지 연결되고, 또한 다른 종방향 캐리어 상의 종방향 가이드에 재배치 가능하게 배치된 제 2 실시형태가 기재된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한 결합 부재에 의해 이미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종방향 캐리어에 견고하게 부착된 축과 조인트에는 종방향 캐리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실시형태는 복잡한 설계를 갖고 높은 생산 비용을 내포한다. 또한, 조인트 상이나 종방향 가이드 내의 먼지의 퇴적으로 인하여 기능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프랑스 실용신안 번호 2 842 848 A1 및 FR 2 900 176 A1으로부터 천장 거푸집용 다른 지지 장치가 알려지지만 상기 기재된 이전의 기술의 단점에 관하여 어떤 추가적인 대안을 제공하지 않는다.
독일 실용신안 번호 102 34 445 A1은 바를 통해 서로 연결된 캐리어 패키지로 만들어진 천장 거푸집 시스템을 기재한다.
미국 실용신안 번호 3,841,597호는 다른 천장 설계를 위한 지지 장치를 개시한다.
이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캐리어의 종방향 캐리어가 설계적으로 단순한 수단에 의해 서로에 대해 조절 가능할 수 있는 상기 주어진 유형의 영구적이며 신뢰 가능하도록 기능을 하는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주어진 유형의 지지 장치에서, 종방향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는 결합 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부재는 종방향 캐리어의 종방향에 수직으로 관통 개구에서 재배치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거리 또는 서로에 대한 종방향 캐리어의 각위치가 변동될 수 있어 이러한 목적은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방향 캐리어를 관통하는 관통 개구가 제공되며, 결합 부재는 종방향 캐리어의 관통 개구에 재배치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관통 개구는 각각의 다른 종방향 캐리어를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다른 종방향 캐리어로부터 떨어져 대향하는 종방향 캐리어의 측벽으로 연장되어 결합 부재는 각각의 종방향 캐리어를 통해 완전히 관통한다.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조절된 거리에 따라서, 결합 부재는 각각의 다른 종방향 캐리어로부터 떨어져서 종방향 캐리어를 지나쳐서 상응하도록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종방향 캐리어는 다른 종방향 캐리어 쪽으로 결합 부재를 따라서 내부로 푸쉬될 수 있어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거리를 줄인다.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종방향 캐리어는 결합 부재를 따라서 외부로 푸쉬될 것이다. 그 뒤 결합 부재는 적어도 종방향 캐리어의 종방향에 수직인 한 방향 또는 결합 부재의 종방향에서 푸쉬될 것이다. 하지만, 관통 개구의 설계에 따라서 결합 부재는 종방향 캐리어의 종방향에서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다중 캐리어의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거리는 결합 부재의 이동 가능한 배치를 위해 관통 개구에 의해 특별히 단순한 방식으로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결합 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단단히 부착된 회전 축은 바람직하게 생략 가능하며 이전의 기술에서는 한 편으로 복잡한 설계를 가지며 기능적 손실에 영향을 받는다. 이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부재는 축이 없는 방식으로 즉, 종방향 캐리어에 단단히 부착된 어떤 축도 없이 종방향 캐리어의 관통 개구에서 지지된다. 이에 따라서 단순한 설계의 지지 장치는 획득될 수 있고 또한 저생산 비용에 의해 특히 구별된다. 다중 캐리어는 정확히 두 개의 종방향 캐리어를 갖는 이중 캐리어로서 바람직하게 설계되며, 하나의 대안의 실시형태는 두 개 이상의 종방향 캐리어를 제공한다.
특히 선호되는 것은 각각의 종방향 캐리어가 결합 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 개구를 갖는 실시형태이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관통 개구는 양 종방향 캐리어 상에 제공되며, 결합 부재는 종방향 캐리어의 종방향에 횡방향 또는 결합 부재의 종방향으로 관통 개구에서 재배치 가능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종방향 캐리어는 결합 부재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바람직한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캐리어는 결합 부재를 따라서 재배치되고 결합 부재는 종방향 캐리어의 리테이닝 개구로부터 외부로 상응하는 거리만큼 앞으로 푸시된다.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결합 부재는 종방향 캐리어의 외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상응하여 돌출된다.
결합 부재가 종방향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에서 피팅 방식으로 배치되면, 결합 부재는 관통 개구를 통해 이동되면 결합 부재는 이미 결정된 방향으로 압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관통 개구와 결합 부재는 상응하는 단면 영역을 포함한다.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거리는 결합 부재를 따라서 종방향 캐리어를 재배치시킴으로서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결합 부재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관통 개구는 종방향 캐리어가 피팅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는 원형 홀로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결합 부재는 튜브형 방식으로 설계된다.
반면, 결합 부재가 종방향 캐리어의 종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에 재배치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종방향 사이의 거리뿐만 아니라 종방향 캐리어의 종방향 축 사이의 각도는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바람직하게 각도 브래킷의 위치는 특히 단순한 방식으로 시공 현장에서 각각의 조건에 맞춰질 수 있다.
종방향에서 재배치 가능하게 종방향 캐리어를 배치하기 위한 관통 개구가 가늘고 긴 홀로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가늘고 긴 홀은 종방향에서 결합 부재보다 더 큰 연장부를 가져서 결합 부재는 가늘고 긴 홀을 따라서 재배치 가능하다. 반면, 결합 부재가 가늘고 긴 홀의 횡방향에서 피팅 방식으로 즉, 어떤 움직임도 없이 가늘고 긴 홀에서 배치되어 결합 부재가 이동에 따라서 가늘고 긴 홀을 따라서 가이드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거리와 종방향 캐리어의 각위치를 단순한 방식으로 맞추기 위해서, 결합 부재가 피팅 방식으로 일 종방향 캐리어의 관통 개구에서 배치되고 다른 종방향 캐리어의 관통 개구에서 종방향 캐리어의 종방향으로 재배치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종방향 캐리어를 이미 결정된 평면에 고정하기 위해서, 종방향 캐리어는 각각 종방향으로 이간되고 두 개의 결합 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관통 개구를 포함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부재는 종방향 캐리어 사이에서 제공되고, 결합 부재는 종방향 캐리어의 반대편 관통 개구를 통해 관통한다.
결합 부재가 각각 피팅 방식으로 하나의 관통 개구에서 그리고 종방향 캐리어의 종방향으로 관통 개구가 종방향으로 이격된 종방향 캐리어의 관통 개구의 다른 관통 개구에서 재배치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서로에 대한 종방향 캐리어의 거리 및 각위치는 바람직하게 조절될 수 있다. 종방향 캐리어의 각 배치를 위해, 후자는 다른 각도로 결합 부재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종방향 캐리어는 종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횡방향 거리 및 각도는 서로에 대해 종방향에서 종방향 캐리어를 재배치시키지 않고 조절될 수 있다.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최대 거리 또는 최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결합 부재가 관통 개구를 통해 관통하는 단부의 외부 정지 부재에 연결되고, 정지 부재에 의해 종방향의 캐리어의 외부로의 재배치가 제한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외부로의 정지 부재는 각각의 반대편 종방향 캐리어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는 종방향 캐리어의 측면에 배치된다. 정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정지 부재는 종방향 캐리어의 적절한 관통 개구보다 더 큰 연장부를 갖는다. 외부 정지 위치에 오면, 결합 부재를 따른 즉, 각각의 경우에 다른 종방향 캐리어로부터 멀어져 종방향 캐리어의 외부로의 재배치는 외부 정지 부재에 의해 막힌다. 따라서, 외부 정지 부재는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최대 거리 또는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최대 각도를 결정한다.
종방향 캐리어의 재배치를 제한하기 위해, 결합 부재의 확장된 단부 또는 결합 부재 상에 배치된 디스크 부재 또는 결합 부재의 횡방향 보어를 통해 관통하는 보어 부재가 외부 정지 부재로 제공된다. 외부 정지 부재의 다양한 설계가 제공될 수 있다. 정지 부재로서 확장된 단부의 사용은 제작 및 조립 노력과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디스크 부재 또는 보어 부재가 정비 부재로 제공되면, 예를 들면 특히 단순한 튜브형 결합 부재는 사용될 수 있고, 그 위에 디스크 형상 또는 볼트 형상의 정지 부재가 실장된다.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최소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종방향 결합 부재 사이의 결합 부재가 내부 정비 부재에 연결되고, 그것에 의해 종방향 캐리어의 내부로의 재배치가 제한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내부 정지 위치에 도달하면, 종방향 캐리어는 내부로의 즉, 다른 종방향 캐리어 쪽으로 임의의 어떤 재배치에 대해 막힌다. 결합 부재가 양 반대편의 관통 개구에서 재배치 가능하면, 내부 정지 부재는 하나의 종방향 캐리어의 재배치를 제한하는 정지 표면과 다른 종방향 캐리어의 재배치를 제한하는 다른 정지 표면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최소 거리는 바람직하게 측정되어 종방향을 따른 다음의 다른 다중 캐리어의 추가적인 종방향 캐리어가 다중 캐리어의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내부 정치 위치에서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정지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슬리브 부재가 결합 부재 주위에 위치되거나 또한 디스크 또는 볼트 부재가 내부 정지 부재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 부재는 웰드 심을 통해 결합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결합 부재는 단면 변화 즉, 종방향 캐리어 사이의 세팅되지 않은 변형을 포함하며, 단면 변화에 의해 단면 변화를 넘어서 내부로의 종방향 캐리어의 재배치가 막힐 수 있다.
주요 캐리어 상의 슬리핑을 방지하여 다중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정면 상에 정지를 포함하고, 정지가 작동 위치에 대해 하향으로 종방향 캐리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것은 지지 장치의 제작 과정에서 안전도를 높인다. 거푸집 판이 지지 장치 상에 실장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종방향 캐리어의 정면은 그에 따라 보호될 수 있다. 정지는 스트립의 형태로 종방향 캐리어의 정면 하면 에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정지는 종방향 캐리어의 정면을 바람직하게 피복하는 커버 판의 하면 단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다중 캐리어의 실장을 원할하게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캐리어가 특히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거푸집 판용 고정 스트립을 수용하기 위해 상부측에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거푸집 판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 스트립은 못으로 박을 수 있다 즉, 못이 제공될 수 있다. 리세스를 규정하기 위해, 종방향 캐리어가 프로필 부재 특히, 돌출 프로필로 설계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필 부재는 관통 개구가 형성된 측면 벽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필 부재는 상부로 넓어지는 즉, 거푸집 판용 접촉 표면을 향한 단면 형상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접촉 부재는 바람직하게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결합 부재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다. 결합 부재의 강성 때문에, 결합 부재는 스틸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안정성이라는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설계에서 결합 부재는 내부 정지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세팅되지 않은 변형을 특히 단순한 방식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의 단점은 스틸로 만들어진 결합 부재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설계와 비교하여 증가된 중량을 갖는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판용 지지를 위해, 다수의 다중 캐리어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다중 캐리어가 제공되며, 다중 캐리어가 하부측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캐리어 상에서 지지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 위치에서, 다중 캐리어는 동일한 수평 평면에서 배치된다. 그러한 주요 캐리어는 이전의 고안 자체에서 주지된다. 주요 캐리어는 지지 부재를 통해 하부 구조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도면에 나타난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의해 더 도시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음이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결합 부재를 관통할 수 있게 하여 서로에 대한 종방향 캐리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관통 개구를 포함하는 두 개의 종방향 캐리어 각각으로 구성된 다중 캐리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지지를 위한 고안에 따른 지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라 본질적으로 형성된 다중 캐리어의 도이며, 종방향 캐리어가 서로에 대해 최대 거리로 배치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다중 캐리어의 도이며, 종방향 캐리어는 서로에 대해 최소 거리로 배치된다.
도 4는 도 2, 3에 따라서 본질적으로 형성된 다중 캐리어의 도이며, 종방향 캐리어는 서로에 대해 각위치에서 배치된다.
도 5는 도 2의 V-V 선을 따른 단면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천장 거푸집(미도시)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1)를 보여준다; 거푸집 부재는 하나 이상의 거푸집 판(미도시)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지지 장치(1)는 서로에 대해 거리를 두고 배치된 두 개의 종방향 캐리어(3)로 각각 구성된 다수의 다중 캐리어(2)를 포함한다. 다중 캐리어(2)는 동일한 수평 평면에 배치된다. 나타난 실시형태에서, 다중 캐리어(2)는 두 열로 배치되며 서로를 대면하는 종방향 캐리어(3)의 단부는 중첩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지지 장치(1)는 다중 캐리어(2)가 지지되는 주요 캐리어(4)를 더 포함한다. 주요 캐리어(4)는 지지 부재(미도시) 상에서 지지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종방향 캐리어(3)는 결합 부재(5)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며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다중 캐리어(2)는 정확히 두 개의 결합 부재(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될 바와 같이, 다중 캐리어(2)의 종방향 캐리어(3) 사이의 거리 및 각도는 결합 부재(5)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종방향 캐리어(3)는 결합 부재(5)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 개구(6)를 포함한다. 결합 부재(5)는 이미 결정된 거리로 종방향 캐리어(3)의 종방향에 수직으로 관통 개구(6) 내에서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하다. 결합 부재(5)는 종방향 캐리어(3)의 반대 관통 개구(6)에서 배치되며, 결합 부재(5)는 관통 개구(6)에서 피팅 방식으로 하나의 종방향 캐리어(3) 상에서 배치되며 종방향 캐리어(3)의 종방향으로 재배치 가능하게 반대편의 관통 개구(6)에서 다른 종방향 캐리어(3) 상에서 배치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종방향 캐리어(3)는 각각 종방향에서 떨어져 이격된 두 개의 관통 개구(6)를 포함하며, 종방향 캐리어(3)의 하나의 관통 개구(6)는 결합 부재(5)가 피팅 방식으로 배치 가능하게 하며 다른 관통 개구(6)는 결합 부재(5)가 종방향 캐리어(3)의 종방향으로 재배치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하나의 관통 개구(6)는 원형 홀(7)로 형성되며 그 안에서 결합 부재(5)의 일단부가 배치된다. 다른 관통 개구(6)는 종방향 캐리어(3)가 가늘고 긴 홀(8)을 따라서 종방향으로 재배치될 수 있는 가늘고 긴 홀(8)로서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 부재(5)는 각각 관통 개구(6)를 관통하는 단부 상의 외부 정지 부재(9)에 연결되고, 정지 부재(9)에 따라서 반대편의 종방향 캐리어(3)로부터 떨어져 외부로 종방향 캐리어(3)의 이동은 제한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 부재(10)는 외부 정지 부재(9)로서 제공되고, 결합 부재(5)의 외부 단부 상에서 미끄러진다. 디스크 부재(10)는 결합 부재(5)를 관통하는 볼트 부재(11)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디스크 부재(10)는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외부 정지 부재(9)는 볼트 부재(11)(미도시)에 의해 형성된다.
도 3에 따르면, 결합 부재(5)의 폭이 넓어지거나 커진 단부(12)가 외부 정지 부재(9)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외부 정지 부재(9)는 결합 부재(5)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중 캐리어(2)의 종방향 캐리어(3) 사이의 결합 부재(5)는 내부 정지 부재(13)에 추가로 연결되며, 그에 따라서 종방향 캐리어(3)의 내부로의 즉, 종방향 캐리어(3)의 반대편으로의 재배치는 제한된다. 결합 부재(5)를 둘러싸는 슬리브 부재(14)(비교, 도 5 참조)는 내부 정지 부재(13)로서 제공되며, 슬리브 부재(14)는 결합 부재(5)에 용접되거나 프레스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다른 위치의 지지 장치의 다중 캐리어(2)를 보여준다. 도 2에 따르면, 종방향 캐리어(3)는 최대 거리로 서로에 대해 배치되며, 종방향 캐리어(3)는 외부 정지 위치에 위치한다. 도 3에 따르면, 종방향 캐리어(3)는 최소 거리로 서로에 대해 배치되며, 종방향 캐리어(3)는 슬리브 부재(14) 상의 내부 정지 위치에 위치한다. 결합 부재(5)는 종방향 캐리어(3)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도 4에 따르면, 종방향 캐리어(3)는 서로에 대해 각위치에 배치된다. 하나의 결합 부재(5)는 외부 정지 위치에 있고 다른 결합 부재(5)는 내부 정지 위치에 있어서, 종방향 캐리어(3)의 종방향 사이에 각도가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방향 캐리어(3)는 정면측에 각각 정지부(15)를 포함하고, 정지부(15)에 의하여 하층에 있는 주요 캐리어(4)에 반하여 다중 캐리어(2)의 종방향 재배치는 제한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따르면 정지부(15)는 스트립으로 설계되고, 정지부(15)는 종방향 캐리어(4)의 전방 단부 하부 에지로부터 하부로 각이 진다.
도 1 및 도 5에 따르면 정지부(15)는 커버 판(16)의 하부 단부 상에 형성되고, 커버 판(16)은 종방향 캐리어(3)의 정면측을 덮는다. 이러한 설계는 제조 및 사용성의 이유로 바람직하다.
도 5는 결합 부재(5)를 따른 다중 캐리어(2)의 단면을 나타낸다. 다중 캐리어(2)의 종방향 캐리어(3)는 프로필 부재로서 형성되며, 특히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다. 나타난 실시형태에서, 종방향 캐리어(3)의 프로필 부재는 상부로 즉, 거푸집 판(미도시)용 접촉 표면 쪽의 방향으로 단면의 폭이 넓어진다. 리세스(17)는 프로필 부재의 상부측에 형성되며, 고정 연결을 위한 고정 스트립(18)은 거푸집 판(미도시)에 네일링될 수 있다.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중량과 비용상의 이유로 고정 스트립(18)은 하나의 종방향 캐리어(3)에만 제공되며, 리세스(17)는 다른 종방향 캐리어(3)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Claims (19)

  1. 적어도 두 개의 종방향 캐리어(3)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중 캐리어(2)를 갖고, 상기 종방향 캐리어(3)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5)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1)로서,
    상기 종방향 캐리어(3)는 상기 결합 부재(5)가 관통할 수 있는 각각의 관통 개구(6)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5)는 상기 종방향 캐리어(3)의 종방향에 대해 수직인 상기 결합 부재(5)의 종방향으로 재배치 가능하게 상기 관통 개구(6) 내에서 배치되고,
    상기 결합 부재(5)는 피팅 방식으로 하나의 상기 종방향 캐리어(3)의 상기 관통 개구(6)에서 배치되고,
    하나의 상기 종방향 캐리어(3)의 관통 개구(6)와 상기 결합 부재(5)는 상응하는 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캐리어(3)의 종방향으로 재배치 가능하도록, 다른 상기 종방향 캐리어(3)의 관통 개구(6)에서 상기 결합 부재(5)가 배치되고,
    상기 종방향 캐리어(3)들 사이의 거리 및 서로에 대한 상기 종방향 캐리어(3)의 각위치가 변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1).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5)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관통 개구(6)는 상기 종방향 캐리어(3)가 피팅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는 원형 홀(7)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1).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6)는 종방향으로 상기 종방향 캐리어(3)를 재배치 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해 가늘고 긴 홀(8)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1).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캐리어(3)는 종방향으로 이간되고, 두 개의 결합 부재(5)가 관통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관통 개구(6)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5)는 피팅 방식으로 하나의 관통 개구(6)에 각각 배치되고, 또한 관통 개구(6)가 종방향으로 이간되어 있는 상기 종방향 캐리어(3)의 관통 개구(6)의 다른 관통 개구(6)에 종방향 캐리어(3)의 종방향으로 재배치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1).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5)는 상기 관통 개구(6)를 관통하는 일단부 상의 외부 정지 부재(9)에 연결되고, 상기 정지 부재(9)에 의해서 상기 종방향 캐리어(3)의 외부로의 재배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1).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5)의 확장된 단부 또는,
    상기 결합 부재(5) 상에 위치한 디스크 부재(10)와 상기 결합 부재(5)의 횡방향 홀을 통해 위치된 볼트 부재(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 정지 부재(9)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1).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5)는 종방향 캐리어(3) 사이의 내부 정지 부재(13)에 연결되고, 상기 정지 부재(13)에 의해 상기 종방향 캐리어(3)의 내부로의 재배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1).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5)를 둘러싸는 슬리브 부재(14)는 내부 정지 부재(13)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1).
  14.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캐리어(3)는 적어도 하나의 정면측에 정지부(15)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부(15)는 작동 위치에 대하여 상기 종방향 캐리어(3)의 하부측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1).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캐리어(3)의 적어도 하나는 상부측에 거푸집 판용 고정 스트립(18)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리세스(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1).
  1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다중 캐리어(2)가 제공되고, 상기 다중 캐리어(2)는 그 하부측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주요 캐리어(4) 상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1).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2020167000017U 2013-09-24 2014-09-23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 KR20048882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GM50131/2013U AT13864U1 (de) 2013-09-24 2013-09-24 Tragvorrichtung für eine Betonschalung
ATGM50131/2013 2013-09-24
PCT/AT2014/050215 WO2015042625A1 (de) 2013-09-24 2014-09-23 Tragvorrichtung für eine betonscha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42U KR20160001842U (ko) 2016-05-30
KR200488826Y1 true KR200488826Y1 (ko) 2019-07-18

Family

ID=5166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7000017U KR200488826Y1 (ko) 2013-09-24 2014-09-23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049593B1 (ko)
JP (1) JP6514214B2 (ko)
KR (1) KR200488826Y1 (ko)
CN (2) CN204311740U (ko)
AT (1) AT13864U1 (ko)
AU (1) AU2014328444B2 (ko)
PL (1) PL3049593T3 (ko)
WO (1) WO2015042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3864U1 (de) * 2013-09-24 2014-10-15 Doka Ind Gmbh Tragvorrichtung für eine Betonschalung
DE102015223762A1 (de) * 2015-11-30 2017-06-01 Peri Gmbh Schalungsteil und Deckenschalung mit einem solchen Schalungsteil
CN106948597A (zh) * 2017-05-16 2017-07-14 山东颜祥模板科技有限公司 楼顶板梁快拆快装系统及其支设方法
KR102191394B1 (ko) * 2020-03-18 2020-12-15 주식회사 케이엘디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8635A (en) * 1947-01-10 1950-05-23 Roy A Badt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slabs
DE804257C (de) * 1949-01-01 1951-04-19 Rudolf Boehme Ab- und Aussteifung von Schalungen, insbesondere fuer Massivdecken
FR1165700A (fr) * 1957-01-28 1958-10-28 Panneaux de coffrage
CH364891A (de) * 1958-11-27 1962-10-15 Pedroni Bruno Abstützvorrichtung für Schalbretter
FR1381954A (fr) * 1964-02-08 1964-12-14 Betonbau Gmbh Dispositif de liaison entre éléments de poutre pour bâtiment
US3841597A (en) * 1968-11-04 1974-10-15 Hambro Structural Systems Ltd Floor form with connected truss supports
JPS5254916Y2 (ko) * 1972-10-30 1977-12-12
JPS5230044Y2 (ko) * 1972-12-11 1977-07-08
JPS58156660A (ja) * 1982-03-12 1983-09-17 當眞 嗣松 梁型枠受装置
DE10234445A1 (de) * 2002-07-29 2004-02-12 Peri Gmbh Deckenschalungselement eines Deckenschalungssystems
DE20318912U1 (de) * 2003-12-05 2004-03-04 Doka Industrie Gmbh Schaltisch
FR2900176B1 (fr) * 2006-04-20 2010-10-01 Alphi Structure de soutien d'un coffrage de dalle ou analogue
KR100778139B1 (ko) * 2006-11-22 2007-11-21 김규식 거푸집 수평 받침대 길이조절 프레임
CN201043354Y (zh) * 2007-04-28 2008-04-02 北京卓良模板有限公司 整体式建筑模板及模板托架
FR2955877B1 (fr) * 2010-02-03 2013-12-27 Alphi Module elementaire pour structure de coffrage de dalles de beton et structure de coffrage
CN201687198U (zh) * 2010-03-26 2010-12-29 刘福新 楼板模板经纬梁支撑组合结构
CN101956455A (zh) * 2010-04-23 2011-01-26 吴方伯 一种用于支撑建筑模板的可调节支撑构件
AT13864U1 (de) * 2013-09-24 2014-10-15 Doka Ind Gmbh Tragvorrichtung für eine Betonscha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13864U1 (de) 2014-10-15
JP6514214B2 (ja) 2019-05-15
AU2014328444A1 (en) 2016-04-28
CN105579647B (zh) 2018-02-23
CN105579647A (zh) 2016-05-11
KR20160001842U (ko) 2016-05-30
EP3049593B1 (de) 2017-12-13
AU2014328444B2 (en) 2017-12-21
JP2016531224A (ja) 2016-10-06
WO2015042625A1 (de) 2015-04-02
PL3049593T3 (pl) 2018-05-30
CN204311740U (zh) 2015-05-06
EP3049593A1 (de)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826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장치
ES2968201T3 (es) Accionamiento de elevación para un sistema trepador guiado por carriles y procedimiento para el trepado de un sistema trepador guiado por carriles
CA2922165C (en) Ceiling-mounted baffle system
TWI448262B (zh) 滑軌補強構造
US20160186450A1 (en) Scaffold Deck System With Bracket-Supported Partial Length Planks For Creating An Opening To Accommodate Obstacles
CA2718609A1 (en) Rail-guided self-climbing formwork system with climbing rail extension pieces
KR102061871B1 (ko) 건축 공사를 위한 안전 난간 구조물
CN101490348A (zh) 夹具
WO2014037624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supporting an element
US8950133B2 (en) Bracket and an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precast slab element of concrete on a precast structure element of concrete
RU2012100258A (ru) Опалубочный щит для бето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101616302B1 (ko) 승강기 통로용 작업발판 고정대
KR200483715Y1 (ko) 안전 비계
WO2015196264A1 (en) Connection set for formwork beams
WO2013162451A1 (en) Holding device for a frame member of a balcony glazing
KR200482504Y1 (ko) 타워크레인용 고정프레임
KR101365060B1 (ko) 가설 난간지주
KR101086219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JP3188959U (ja) 踏板隙間カバー
KR20200001737A (ko) 위치 조절식 돌기가 구비된 슬라브 판넬 지지장치
KR100680277B1 (ko) 철골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용 브라켓
KR101203395B1 (ko) 개량형 볼트리스 루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110439245A (zh) 一种脚手架用可调式施工操作平台
GB2530478A (en) A safety barrier, a kit of parts for constructing a safety barrier, a method of constructing a safety barrier and an elongate member
KR200348603Y1 (ko)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 패널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