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844Y1 - 바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바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844Y1
KR200485844Y1 KR2020170003660U KR20170003660U KR200485844Y1 KR 200485844 Y1 KR200485844 Y1 KR 200485844Y1 KR 2020170003660 U KR2020170003660 U KR 2020170003660U KR 20170003660 U KR20170003660 U KR 20170003660U KR 200485844 Y1 KR200485844 Y1 KR 200485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s
unit
alabaster
sew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만
Original Assignee
김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만 filed Critical 김진만
Priority to KR2020170003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8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844Y1/ko
Priority to CN201821101915.1U priority patent/CN208768979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07Stac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35Feeding or advancing

Abstract

본 고안은 바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양측에 각각 다른 패턴 또는 디자인을 갖는 바지의 앞판(100a) 및 뒷판(100b)을 형성하는 제단본, 상기 제단본이 각각 이송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제단본이 각각 순차적으로 실장 되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제단본을 봉합시키는 재봉부 및 상기 재봉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제단본의 봉합 상태를 검사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검사부를 포함하는 바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지 제조장치{PANTS MANUFACTURING EQUIPMENT}
본 고안은 바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양측의 패턴 또는 디자인이 다른 바지의 앞판 및 뒷판이 형성되는 제단본을 재봉하여 독특한 디자인을 형성하는 바지를 제공하는 바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바지에 형성된 디자인은, 청바지 제조사에서 기계장치에 의해 획일적인 문양이 새겨 넣어져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모든 구매자가 동일한 디자인의 청바지를 입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개성을 중시하는 풍조가 만연해 짐에 따라, 특히, 젊은 층의 구매자들 사이에서는, 다른 사람들과 차별화되지 않는 동일한 디자인의 청바지를 입고 다니는 것을 꺼려하는 경향이 강해져, 동일한 문양이 새겨진 청바지의 판매가 현저하게 감소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획일적 디자인의 청바지 보다는, 청바지 표면에 임의로 특정글자나 그림으로 된 문양을 청바지 착용자 자신이 직접 새겨넣은 상품이 인기를 많이 끌고 있다.
그러나, 구매자 자신이 착용하거나 착용코자 하는 청바지에 임의로 문양을 새겨넣을 경우, 처음에는 그러한 문양이 그대로 유지될 수는 있으나, 착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착용중 표면의 마찰 등에 의해 쉽게 지워지거나, 세탁시에 문양이 변색되거나 문양의 형태를 알 수가 없을 정도로 발색되거나 지워져 없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112852호 (공개일 2008.12.26) "청바지 디자인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바, 청바지에 사용자가 원하는 독특한 문양을 자유자재로 새겨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게임을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문양을 디자인할 수 있는 청바지 디자인 장치가 개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전술한 청바지 디자인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페인트를 발사장치로 원하는 타깃에 정확하게 발사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미적 감각에 따라 무늬가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대적으로 미적 감각이 떨어지는 사용자는 만족감이 크지 않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112852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좌우 양측에 각각 다른 패턴 또는 디자인을 갖는 바지의 앞판 및 뒷판을 형성하는 제단본을 재봉하여 독특한 디자인을 형성하는 바지를 제조하는 새로운 구조의 바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좌우 양측에 각각 다른 패턴 또는 디자인을 갖는 바지의 앞판 및 뒷판을 형성하는 제단본,
상기 제단본이 각각 이송되도록 ‘자 형으로 이루어진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제단본이 각각 순차적으로 실장 되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제단본을 봉합시키는 재봉부 및
상기 재봉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제단본의 봉합 상태를 검사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검사부를 포함하는 바지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단본이 상기 정렬부로 이송되는 순서를 제어하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일정간격으로 On / Off되는 제1 링크수단 및 상기 이송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링크수단의 On / Off되는 횟수에 대해 ‘’의 결과값에 따라 On / Off되는 제2 링크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뒷판이 상기 정렬부에 먼저 실장되기 위해 상기 제1 링크수단이 먼저 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패드형상이며, 상기 패드는 재봉 라인을 따라 단차가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제단본의 일측 끝이 돌출되는 시접 분량만큼의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지 제조장치는 좌우 양측의 패턴 또는 디자인이 다른 바지를 제공함으로써, 독특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사용자의 개성을 충족시켜 만족감을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지 제조장치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패턴 또는 디자인된 제단본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많은 독창성을 가지는 바지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지 제조장치는 이송부에 링크부를 포함함으로써, 제단본의 앞판 및 뒷판이 정렬부에 순차적으로 놓여지도록 하여 서로 엉키지 않고 재봉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지 제조장치는 검사부를 통해, 바지의 불량을 미리 체크하여 대량생산 시, 제조자의 불량률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 제조장치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이다.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 제조장치의 정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지 제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 제조장치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이고,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 제조장치의 정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다른 바지 제조장치(10)는 제단본(100), 이송부(200), 정렬부(300), 재봉부(400) 및 검사부(5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 제조장치(10)는 좌우 양측에 각각 다른 패턴 또는 디자인을 갖는 바지의 앞판(100a) 및 뒷판(100b)을 형성하는 제단본(100), 제단본이 각각 이송되도록 ‘자 형으로 이루어진 이송부(200),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제단본이 각각 순차적으로 실장되는 정렬부(300), 정렬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제단본을 봉합시키는 재봉부(400) 및 재봉부로부터 이송된 제단본의 봉합 상태를 검사하는 카메라(510)가 구비된 검사부(5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제단본(100)은 좌우 양측에 각각 다른 패턴 또는 디자인을 갖는 바지의 앞판(100a) 및 뒷판(100b)을 형성하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복수의 패턴 또는 디자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단본(100)은 청바지 뿐만 아니라 하의의 형태를 가지며 독특한 패턴 또는 디자인을 요구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단본(100)은 바지 형상을 가지는 양측 테두리 부분이 재봉될 수 있도록 시접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단본(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다른 패턴 또는 디자인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주머니, 지퍼 등 부수적인 부품의 조립은 전단계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일반적인 공정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단본(100)은 앞판(100a) 및 뒷판(100b)이 실장되는 별도의 거치대(110)가 구비되며, 제단본(100)은 거치대(110)로부터 이송부(200)에 놓여지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거치대(110)는 후술하는 이송부(200)의 움직임에 따라 거치대(110)가 이동할 수도 있다.(미도시) 또한, 거치대(110)는 제단본(100)이 후술하는 정렬부(300)로 이동된 경우, 이송부(200)의 말단부에서 원래위치로 되돌아오거나, 이송부(200)에 복수의 거치대(110)가 결합되어 롤러 형상의 이송부(200)의 회전에 따라 원래 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는 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미도시)
즉, 거치대(11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의 거치대(110)에 제단본(100)이 실장되고, 제단본(100)이 정렬부(300)로 이송되면, 거치대(110)는 이송부(200)의 회전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면서 새로운 제단본(100)이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부(200)는 제단본(100)이 각각 이송되도록 ‘자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이송부(200)는 제단본(100)을 이루는 바지의 앞판(100a) 및 뒷판(100b)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이송부(200)가 구동된다.
또한, 이송부(200)는 링크부(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링크부(210)는 제단본(100)이 후술하는 정렬부(300)로 이송되는 순서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링크부(210)는 제1 링크수단(211) 및 제2 링크수단(2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링크수단(211)은 이송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일정간격으로 On / Off된다.
제2 링크수단(212)은 이송부(200)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1 링크수단(211)의 On / Off되는 횟수에 대해 ‘’의 결과값에 따라 On / Off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송부(200)의 일측 및 타측은 명세서 전반에 걸쳐 제단본(100)을 이루는 바지의 앞판(100a) 및 뒷판(100b)이 실장된 거치대(110)와 연결되는 것을 지시한다. 즉, 이송부(200)의 일측은 제단본(100) 중 앞판(100a)을 실장하는 거치대(1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단본(100) 중 뒷판(100b)을 실장하는 거치대(110)와 연결된다.
한편, 링크부(210)는 제1 링크수단(211) 및 제2 링크수단(212)의 On / Off 횟수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부를 통해 얻어진 결과값에 따라, 제1 링크수단(211) 및 제2 링크수단(212)의 On / Off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링크부(210)는 뒷판이 정렬부(300)에 먼저 실장되기 위해 제1 링크수단(211)이 On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부(200)는 링크부(210)에 의해, 제단본(100)이 정렬부(300)에 뒷판(100b)이 실장되고, 이후 앞판(100a)이 뒷판의 상측에 놓여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송부(200)는 거치대(110)와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가 정렬부(300)를 이송시키는 부분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지의 뒷판(100b) 및 앞판(100a)이 서로 포개지도록 순차적으로 놓여 지는데 있어서,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이송부(200)는 제단본(100)이 정렬부(300)로 이송되는 부분에서 단일형상의 롤러 형태를 이룬다. 즉, 앞판(100a) 및 뒷판(100b)을 이송시키기 위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이송부(200)는 정렬부(300)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단일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자 형을 이룬다.
정렬부(300)는 이송부(200)로부터 이송된 제단본(100)이 각각 순차적으로 실장 되는 것으로, 뒷판이 먼저 정렬부(300)에 실장되고, 이후에 앞판이 뒷판의 상측에 놓여지게 된다.
또한, 정렬부(300)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패드(310) 형상이며, 단차부(32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320)는 패드(310)의 내측에 재봉라인을 따라 단차가 형성되는 것으로, 단차의 높이는 제단본(100)의 두께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차부(320)는 제단본(100)의 일측 끝이 돌출되는 시접 분량만큼의 면적을 갖도록 한다. 즉, 단차부(320)는 제단본(100)의 좌우 양측의 길이 방향의 끝단은 재봉되는 솔기부분으로, 솔기 가운데 접혀서 들어가는 부분만큼의 면적을 갖는다. 그리고 정렬부(300)는 주변에 레이저 감지센서를 포함한다.(미도시)
여기서, 레이저 감지센서는 정렬부(300)에 대하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감지하는 것으로, 뒷판이 정렬부(300)의 원하는 위치에 제대로 실장 되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앞판이 뒷판의 상측에 서로 대응하여 포개지도록 놓여지는지도 감지하도록 하여, 앞판(100a) 및 뒷판(100b)이 서로 대응하여 포개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재봉부(400)는 정렬부(300)로부터 이송된 제단본(100)을 봉합시키는 것으로, 제단본(100)의 정렬이 완료되면, 패드(310)가 이송부(200)에 의해 재봉부(400)로 이송되어 온다. 이때, 재봉부(400)에 설치된 미싱 또는 봉합기구(410)에 의해 제단본(100)을 봉합한다. 또한, 제단본(100)의 앞판(100a) 및 뒷판(100b)의 재봉 라인을 정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바지를 뒤집는 회전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봉합공정은 일반적으로 바지를 제조하는 과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검사부(500)는 재봉부(400)로부터 이송된 제단본(100)의 봉합 상태를 검사하는 카메라(510)가 구비된다.
또한, 검사부(500)는 카메라(510)에 연결되는 표본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여기서, 표본 측정부는 완성된 바지의 봉합상태를 표준화 시켜 샘플링 하고, 카메라(510)를 통해, 확인된 바지의 봉합상태와 샘플링된 바지의 봉합상태를 비교하여, 바지의 봉합상태가 샘플링과 유사도가 낮은 경우, 불량으로 간주하도록 한다.
이때, 봉합상태의 불량이 발생한 바지가 검출되는 경우에 이를 작업자에게 알리는 발신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검사부(500)는 바지의 봉합상태를 체크하여 완제품으로 출시 전에 미리 불량바지를 누락시키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바지 제조장치 100 : 제단본
110 : 거치대 200 : 이송부
210 : 링크부 211 : 제1 링크수단
212 : 제2 링크수단 300 : 정렬부
310 : 패드 320 : 단차부
400 : 재봉부 500 : 검사부

Claims (4)

  1. 바지의 좌측, 우측, 앞판 및 뒷판이 각각 다른 패턴 또는 디자인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바지의 앞판, 타측에는 상기 바지의 뒷판이 위치하여 한 쌍을 이루는 제단본;
    상기 제단본이 각각 이송되도록 ‘Y'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단본과 연결된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제단본이 각각 순차적으로 겹쳐지게 배치되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패드; 및 상기 제단본의 재봉 라인을 따라 상기 패드에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단본의 일측 끝이 돌출되는 시접 분량만큼의 면적을 갖는 단차부로 이루어진 정렬부;
    상기 정렬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제단본을 봉합시키는 재봉부; 및
    상기 재봉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제단본의 봉합 상태를 검사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단본이 상기 정렬부로 이송되는 순서를 제어하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일정간격으로 On / Off되는 제1 링크수단; 및
    상기 이송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링크수단의 On / Off되는 횟수보다 하나 작은 횟수의 결과값에 따라 On / Off되는 제2 링크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뒷판이 상기 정렬부에 먼저 실장되기 위해 상기 제1 링크수단이 먼저 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제조장치.
  4. 삭제
KR2020170003660U 2017-07-14 2017-07-14 바지 제조장치 KR200485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660U KR200485844Y1 (ko) 2017-07-14 2017-07-14 바지 제조장치
CN201821101915.1U CN208768979U (zh) 2017-07-14 2018-07-12 裤子制造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660U KR200485844Y1 (ko) 2017-07-14 2017-07-14 바지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844Y1 true KR200485844Y1 (ko) 2018-03-02

Family

ID=61649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660U KR200485844Y1 (ko) 2017-07-14 2017-07-14 바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5844Y1 (ko)
CN (1) CN208768979U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0982A (ja) * 1988-05-30 1989-12-05 Rockwell Rimoldi Spa 作業台
JPH04189390A (ja) * 1990-11-22 1992-07-07 Morimoto Mfg Co Ltd 曲線自動縫合方法
JPH04135274U (ja) * 1991-05-31 1992-12-16 ジユ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2929343B2 (ja) * 1991-09-18 1999-08-0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ズボン用前立片の縁縫い加工方法
JP2004124284A (ja) * 2002-09-30 2004-04-22 Yoshimura Seiki Kk ズボン仕上げ装置
KR20080010616A (ko) * 2006-07-27 2008-01-31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포켓세터
JP4107742B2 (ja) * 1998-12-28 2008-06-25 Juki株式会社 ポケット縫着装置の布載置台
KR20080112852A (ko) 2007-06-22 2008-12-26 서정문 청바지 디자인 장치
KR101368484B1 (ko) * 2012-08-27 2014-03-12 (주)피앤티디 바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0982A (ja) * 1988-05-30 1989-12-05 Rockwell Rimoldi Spa 作業台
US4901658A (en) * 1988-05-30 1990-02-20 Rockwell-Rimoldi S.P.A. Angled support surface for a multi sewing machine working site
JPH04189390A (ja) * 1990-11-22 1992-07-07 Morimoto Mfg Co Ltd 曲線自動縫合方法
JPH04135274U (ja) * 1991-05-31 1992-12-16 ジユ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2929343B2 (ja) * 1991-09-18 1999-08-0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ズボン用前立片の縁縫い加工方法
JP4107742B2 (ja) * 1998-12-28 2008-06-25 Juki株式会社 ポケット縫着装置の布載置台
JP2004124284A (ja) * 2002-09-30 2004-04-22 Yoshimura Seiki Kk ズボン仕上げ装置
KR20080010616A (ko) * 2006-07-27 2008-01-31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포켓세터
KR20080112852A (ko) 2007-06-22 2008-12-26 서정문 청바지 디자인 장치
KR101368484B1 (ko) * 2012-08-27 2014-03-12 (주)피앤티디 바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8768979U (zh)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33832B (zh) 电子元件安装装置
US9025196B2 (en)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method
CN104514099B (zh) 缝制系统
KR200485844Y1 (ko) 바지 제조장치
KR20200132725A (ko)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4700A (ko) 약품 외관 검사장치
CN109716878A (zh) 元件供给系统
CN104818585B (zh) 缝制对象物供给装置和缝制对象物供给方法
CN102902155B (zh) 光掩模及曝光装置
US20120285377A1 (en) Printed circuit board production apparatus and printing machine
CN104185412B (zh) 安装装置、输送带以及控制方法
CN110001221B (zh) 喷码位置偏移的检测方法及装置
JP2009061424A (ja) 農産物分別装置
JP5122532B2 (ja) 支持ピンの移載方法
CN104284576B (zh) 元件安装装置
CN106470920B (zh) 零件给料器
CN107667014A (zh) 用于服装的印刷系统
CN107668760B (zh) 米饭成型装置
CN108029241B (zh) 插入元件定位检查方法及装置、插入元件安装方法及装置
JP6533610B1 (ja) 物品起立装置、物品整列供給装置、及び物品起立整列供給システム
CN110961315B (zh) 粘接装置
TW202039186A (zh) 物品移載裝置
JP6770135B2 (ja) テープ不正挿入検出方法、および部品実装機
JPH1111621A (ja) 物品載置指示装置
JP7348298B2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