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294Y1 - 플라이어 - Google Patents

플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294Y1
KR200465294Y1 KR2020110003444U KR20110003444U KR200465294Y1 KR 200465294 Y1 KR200465294 Y1 KR 200465294Y1 KR 2020110003444 U KR2020110003444 U KR 2020110003444U KR 20110003444 U KR20110003444 U KR 20110003444U KR 200465294 Y1 KR200465294 Y1 KR 200465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overlapping
tongs
wire
overlapp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844U (ko
Inventor
유지 쓰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쓰노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쓰노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쓰노다
Publication of KR201200068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8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2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22Pliers provided with auxiliary tool elements, e.g. cutting edges, nail ex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6Joints
    • B25B7/10Joints with adjustable fulc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우 실용적이고 상품 가치가 높은 획기적인 플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첩부(1a)의 일단측에 집게부(3a), 타단측에 손잡이부(4a)를 갖는 제1 몸체(A)와, 중첩부(1b)의 일단측에 집게부(3b), 타단측에 손잡이부(4b)를 갖는 제2 몸체(B)가 상기 중첩부(1a, 1b)에서 교차되어 피벗 장착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이어{PLIER}
본 고안은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일본 실용 신안 등록 공개 소 49-93494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첩부(21a)의 일단측에 집게부(23a), 타단측에 손잡이부(24a)를 갖는 제1 몸체(21A)와, 중첩부(21b)의 일단측에 집게부(23b), 타단측에 손잡이부(24b)를 갖는 제2 몸체(21B)가 중첩부(21a, 21b)에서 교차되어 피벗 장착되고, 또한, 집게부(23a)에는 제2 몸체(21B)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3a')가, 그리고 집게부(23b)에는 제1 몸체(21A)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3b')가 설치되고, 이 두 돌출부(23a', 23b')에 의해 집게면이 구성되고, 제1 몸체(21A)의 중첩부(21a)에는 상기 중첩부(21a)의 폭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창부(25)가 설치되고, 제2 몸체(21B)의 중첩부(21b)에는 창부(25)에 끼워지는 피벗축(26)이 설치되고, 피벗축(26)이 창부(25) 안을 슬라이딩함으로써 두 집게부(23a, 23b)의 대향 간격이 가변하도록 구성된 플라이어(이하, 종래예)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또, 이들 종래예는, 제1 몸체(21A)의 중첩부(21a)의 내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1 날(27a)과, 제2 몸체(21B)의 중첩부(21b)의 내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2 날(27b)로 이루어지는 선재 절단부(27)를 구비하며, 집게부(23)로 피집게물을 집는 기능 외에도, 철사나 와이어 등의 선재(X')를 절단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일본 실용 신안 등록 공개 소 49-93494호 공보
그런데, 종래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몸체(21A)에 설치한 창부(25)에 제2 몸체(21B)에 설치한 피벗축(26)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피벗 장착하는 구조상 선재 절단부(27)로 선재(X')를 양호하게 절단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즉, 종래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당한 벌림 각도로 개방 상태로 했을 때 제1 날(27a) 및 제2 날(27b)은 피벗축(26)의 축심점(P1') 및 제1 날(27a) 및 제2 날(27b)로 선재(X')를 절단할 때의 절단 중심점(P2')을 지나는 직선과, 피벗축(26)의 피벗축선을 포함하는 평면(M')을 경계로 좌우 대칭이며, 그리고, 두 손잡이부(24a, 24b)는 평면(M')이 두 손잡이부(24a, 24b) 사이의 중앙을 지나지 않고 일측의 손잡이부(24b)로 치우친 위치를 지나는 구조이며, 따라서, 실제로 선재(X')를 절단할 때, 제1 날(27a) 및 제2 날(27b)을 선재(X')에 대해 좌우로부터 균형있게 맞닿게 할 수 없고, 게다가 제1 몸체(21A)와 제2 몸체(21B)가 피벗축(26)을 지지점으로 좌우 비대칭으로 움직임을 하기 때문에 선재(X')에 대해 좌우로부터 균등한 힘을 가해 양호하게 절단할 수가 없다. 전술한 평면(M')이 두 손잡이부(24a, 24b) 사이의 중앙을 지나지 않는 것은 피벗축(26)이 중첩부(21b)의 중앙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측방으로 치우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래예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날(27a)은 제1 몸체(21A)의 중첩부(21a)의 내면(21a')으로 하여 제2 몸체(21B) 측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제2 날(27b)은 제2 몸체(21B)의 중첩부(21b)의 내면(21b')으로 하여 제1 몸체(21A) 측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두 내면(21a', 21b')과 두 중첩부(21a, 21b)의 양 단면(21a", 21b")로 에워싸인 부위가 선재 절단부(27)인데, 이 선재 절단부(27)를 구성하는 단면(21a", 21b") 사이에 단차가 있기 때문에 선재(X')를 절단할 때 선재(X')는 한쪽 단면(21a")으로만 지지된 불안정한 상태가 되고, 따라서 선재(X')에 대해 제1 날(27a) 및 제2 날(27b)을 직교 방향으로부터 접촉하기가 어렵고, 이 점에서도 양호하게 절단할 수가 없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매우 실용적이고 상품 가치가 높은 획기적인 플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요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중첩부(1a)의 일단측에 집게부(3a), 타단측에 손잡이부(4a)를 갖는 제1 몸체(A)와, 중첩부(1b)의 일단측에 집게부(3b), 타단측에 손잡이부(4b)를 갖는 제2 몸체(B)가 상기 중첩부(1a, 1b)에서 교차되어 피벗 장착되고, 또한 상기 집게부(3a)에는 상기 제2 몸체(B)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a')가, 그리고 상기 집게부(3b)에는 상기 제1 몸체(A)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b')가 설치되고, 이 두 돌출부(3a', 3b')에 의해 집게면이 구성되고, 상기 제1 몸체(A)의 중첩부(1a)에는 상기 중첩부(1a)의 폭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창부(5)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몸체(B)의 중첩부(1b)에는 상기 창부(5)에 끼워지는 피벗축(6)이 설치되며, 상기 피벗축(6)이 상기 창부(5) 안을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두 집게부(3a, 3b)의 대향 간격이 가변하도록 구성된 플라이어로서, 상기 제1 몸체(A)의 상기 중첩부(1a) 또는 상기 집게부(3a)의 내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1 날(7a)과, 상기 제2 몸체(B)의 상기 중첩부(1b) 또는 상기 집게부(3b)의 내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2 날(7b)로 철사나 와이어 등의 선재(X)를 절단하는 선재 절단부(7)가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몸체(A) 및 상기 제2 몸체(B)를 적당한 벌림 각도의 벌린 상태로 했을 때, 상기 제1 날(7a) 및 상기 제2 날(7b)은 상기 피벗축(6)의 축심점(P1) 및 상기 제1 날(7a) 및 상기 제2 날(7b)로 상기 선재(X)를 절단할 때의 절단 중심점(P2)을 지나는 직선과, 상기 피벗축(6)의 피벗축선(L)을 포함하는 평면(M)을 경계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설치되고, 또 상기 두 손잡이부(4a, 4b)는 상기 평면(M)이 상기 두 손잡이부(4a, 4b) 사이의 중앙 또는 대략 중앙을 지나는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날(7a)은 상기 제1 몸체(A)의 상기 중첩부(1a)의 내면(1a')으로 하여 상기 제2 몸체(B)측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날(7b)은 상기 제2 몸체(B)의 중첩부(1b)의 내면(1b')으로 하여 상기 제1 몸체(A) 측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두 내면(1a', 1b')과 상기 두 중첩부(1a, 1b)의 양 단면(1a", 1b")으로 에워싸인 부위가 상기 선재 절단부(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두 중첩부(1a, 1b)의 양 단면(1a", 1b")은 연속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선재(X)가 맞닿는 평탄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2,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두 중첩부(1a, 1b)의 상기 두 내면(1a', 1b')은 각각 오목한 만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상술한 종래예와 달리, 선재에 대해 좌우로부터 균등한 힘을 가해 양호하게 절단할 수가 있는 등 매우 실용적이고 상품 가치가 높은 획기적인 플라이어가 된다.
또한, 청구항 2, 3에 기재된 고안에서는, 선재에 대해 제1 날 및 제2 날을직교 방향으로부터 접촉하여 절단할 수가 있고, 따라서 이 점에서도 양호하게 절단할 수가 있는 등 매우 실용적이고 상품 가치가 높은 획기적인 플라이어가 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고안에서는, 제1 날 및 제2 날로 선재를 깊이 물도록 하여 놓치지 않고 확실하고 양호하게 절단할 수가 있게 되는 등 매우 실용적이고 상품 가치가 높은 획기적인 플라이어가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를 보인 사용 상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다문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주요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요 부분을 보인 후면도이다.
도 5는 종래예를 보인 사용 상태 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예에 따른 주요 부분을 보인 후면도이다.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본 고안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보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손잡이부(4a, 4b)를 조작하여 집게부(3a, 3b)로 집는 작업을 행하고, 또 선재 절단부(7)로 철사나 와이어 등의 선재(X)의 절단 작업을 행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1 몸체(A)의 중첩부(1a)에는 상기 중첩부(1a)의 폭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창부(5)가 설치되고, 제2 몸체(B)의 중첩부(1b)에는 창부(5)에 끼워지는 피벗축(6)이 설치되며, 피벗축(6)은 창부(5) 안을 슬라이딩함으로써 두 집게부(3a, 3b)의 대향 간격이 가변한다.
그런데, 본 고안은 제1 몸체(A)의 중첩부(1a) 또는 집게부(3a)의 내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1 날(7a)과, 제2 몸체(B)의 중첩부(1b) 또는 집게부(3b)의 내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2 날(7b)로 철사나 와이어 등의 선재(X)를 절단하는 선재 절단부(7)가 구성되고, 또한 제1 몸체(A) 및 제2 몸체(B)를 적당한 벌림 각도의 벌린 상태로 했을 때 제1 날(7a) 및 제2 날(7b)은 피벗축(6)의 축심점(P1) 및 제1 날(7a) 및 제2 날(7b)로 선재(X)를 절단할 때의 절단 중심점(P2)을 지나는 직선과, 피벗축(6)의 피벗축선(L)을 포함하는 평면(M)을 경계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설치되고, 그리고 두 손잡이부(4a, 4b)는 평면(M)이 두 손잡이부(4a, 4b) 사이의 중앙 또는 대략 중앙을 지나는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구성상, 실제로 선재(X)를 절단할 때 제1 날(7a) 및 제2 날(7b)을 선재(X)에 대해 좌우로부터 균형있게 맞닿게 할 수 있고, 게다가 제1 몸체(A)와 제2 몸체(B)가 피벗축(6)을 지지점으로 좌우 대칭의 움직임을 하기 때문에 선재(X)에 대해 좌우로부터 균등한 힘을 가해 양호하게 절단할 수가 있다.
<실시예>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중첩부(1a)의 일단측에 집게부(3a), 타단측에 손잡이부(4a)를갖는 제1 몸체(A)와, 중첩부(1b)의 일단측에 집게부(3b), 타단측에 손잡이부(4b)를 갖는 제2 몸체(B)가 중첩부(1a, 1b)에서 교차되어 피벗 장착되고, 또한 집게부(3a)에는 제2 몸체(B)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a')가, 그리고 집게부(3b)에는 제1 몸체(A)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b')가 설치되고, 이 두 돌출부(3a', 3b')에 의해 집게면이 구성된 플라이어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몸체(A) 및 제2 몸체(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당한 금속제의 부재로 형성한 막대형상체로서, 후술하는 피벗 장착부를 구성하는 판 형태의 중첩부(1a, 1b)로부터 선단측은 열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몸체(A) 및 제2 몸체(B) 각각의 중첩부(1a, 1b)끼리를 교차시켜 서로 포갰을 때 각각의 선단부에 설치된 집게부(3a, 3b)가 대략 평행 상태가 되는 대향 위치에 배치된다.
제1 몸체(A)의 집게부(3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몸체(A)의 선단부 내면에 오목홈을 나란히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한편, 제2 몸체(B)의 집게부(3b)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몸체(B)의 선단부 내면에 오목홈을 나란히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두 집게부(3a, 3b)는 중앙부에 오목형부가 설치되어 있고, 집게부(3)를 다문 상태로 했을 때, 이 대향하는 오목형부에 의해 집게부(3)를 정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구멍(마름모꼴 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예컨대 볼트 등의 피집게물에 대해 견고하게 집기 위한 구성으로서, 소위 조합 플라이어(combination plier)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몸체(A) 및 제2 몸체(B)는 각각의 중첩부(1a, 1b)끼리가 교차 중첩되어 피벗 장착되어 있고, 이 피벗 장착부에는 대향하는 두 집게부(3a, 3b)의 대향 간격을 가변하는 슬라이딩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몸체(A)의 중첩부(1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부(5)가 형성되고, 이 창부(5)에는 제2 몸체(B)의 중첩부(1b)에 설치된 피벗축(6)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두 집게부(3a, 3b)의 대향 간격이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창부(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원형의 대직경홀(5A)을 직선형의 소직경홀(5B)을 통해 연속 설치한 정면에서 보았을 때 눈사람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벗축(6)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당한 금속제의 핀막대로서, 서로 포갠 상태로 한 제1 몸체(A)의 중첩부(1a)와 제2 몸체(B)의 중첩부(1b)에 관통 삽입하고, 일단부를 코킹(caulking)함으로써 제2 몸체(B)의 중첩부(1b)에 회전 방지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피벗축(6)은 두 중첩부(1a, 1b) 각각에 관통 삽입하는 부위가 대향 위치에 평탄부(6a, 6b)를 갖는 단면이 가늘고 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부(4a, 4b)를 사용에 적합하지 않은 큰 개방 상태로 했을 때, 이 피벗축(6)은 소직경홀(5B)을 통과할 수 있게(슬라이딩할 수 있게) 되고, 피벗축(6)은 창부(5)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피벗축(6)이 소직경홀(5B)을 통과할 수 없어 대직경홀(5A)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이 피벗축(6)을 지지점으로 하여 집게부(3)는 개폐되고, 손잡이부(4a, 4b)를 크게 개방하여 피벗축(6)을 소직경홀(5B)을 통과하여 슬라이딩시키고, 다른 대직경홀(5A)에 피벗축(6)을 걸림 고정시키면, 집게부(3)의 개구 정도는 바뀌게 된다.
따라서, 제1 몸체(A)의 중첩부(1a)에 제2 몸체(B)의 중첩부(1a)를 포개어 배치함과 아울러, 제1 몸체(A)의 중첩부(1a)에 설치한 창부(5)에 제2 몸체(B)의 중첩부(1b)에 설치한 피벗축(6)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피벗 장착함으로써 집게부(3)는 개폐 회동 가능하게 하여 두 집게부(3a, 3b)의 대향 간격이 가변한다.
또한, 창부(5)에 따른 일측의 대직경홀(5A)(도 2의 우측)은 후술하는 선재 절단부(7)에서의 절단 기능을 양호하게 하는 위치에 피벗축(6)이 배열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몸체(A)의 중첩부(1a) 및 제2 몸체(B)의 중첩부(1b)의 베이스부에는 철사나 와이어 등의 선재(X)를 절단하는 선재 절단부(7)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재 절단부(7)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몸체(A)의 중첩부(1a)에 설치된 정면에서 보았을 때 L자형의 내면(1a')으로 하여 제2 몸체(B)측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1 날(7a)과, 제2 몸체(B)의 중첩부(1b)에 설치된 정면에서 보았을 때 L자형의 내면(1b')으로 하여 제1 몸체(A)측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2 날(7b)로 구성되고, 두 내면(1a', 1b')과 상기 두 중첩부(1a, 1b)의 양 단면(1a", 1b")으로 에워싸인 부위가 선재 절단부(7)이다.
또한, 두 중첩부(1a, 1b)의 양 단면(1a", 1b")은, 제1 몸체(A) 및 제2 몸체(B)를 적당한 벌림 각도(약 25 내지 30도)의 벌린 상태로 했을 때 동일면 상태로 연속 설치됨으로써 선재(X)가 맞닿는 평탄면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두 중첩부(1a, 1b)의 두 내면(1a', 1b')은 각각 오목한 만곡면이며, 따라서, 제1 날(7a) 및 제2 날(7b) 각각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오목한 만곡 형상이 된다.
선재 절단부(7)는, 창부(5)에 따른 일측의 대직경홀(5A)(도 2의 우측)에 피벗축(6)을 배열하고, 집게부(3a, 3b)의 개구도를 좁힌 상태로 한 경우에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두께가 있는 내면(1a')에 설치한 제1 날(7a)과 두께가 있는 내면(1b')에 설치한 제2 날(7b)끼리의 마찰에 의한 절단 구조이다.
또한, 제1 날(7a) 및 제2 날(7b)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당한 벌림 각도(약 25 내지 30도)의 벌린 상태로 했을 때 제1 날(7a) 및 제2 날(7b)은 피벗축(6)의 축심점(P1) 및 제1 날(7a) 및 제2 날(7b)로 선재(X)를 절단할 때의 절단 중심점(P2)을 지나는 직선과, 피벗축(6)의 피벗축선(L)(도 3 참조)을 포함하는 평면(M)을 경계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설치되고, 또 두 손잡이부(4a, 4b)는 평면(M)이 두 손잡이부(4a, 4b) 사이의 중앙 또는 대략 중앙을 지나는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평면(M)이 두 손잡이부(4a, 4b) 사이의 중앙 또는 대략 중앙을 지나는 상태가 되도록 피벗축(6) 및 상기 피벗축(6)이 끼워지는 창부(5)(집게부(3)의 간격을 좁혔을 때 피벗축(6)이 걸리는 일측의 대직경홀(5A))의 형상이나 크기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선재 절단부(7)는 집게부(3)의 베이스부에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손잡이부(4a, 4b)를 조작하여 집게부(3a, 3b)로 집는 작업을 행하고, 또 선재 절단부(7)로 철사나 와이어 등의 선재(X)의 절단 작업을 행한다.
이 때, 본 실시예는, 제1 몸체(A)의 중첩부(1a)에는 상기 중첩부(1a)의 폭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창부(5)가 설치되고, 제2 몸체(B)의 중첩부(1b)에는 창부(5)에 끼워지는 피벗축(6)이 설치되며, 피벗축(6)이 창부(5) 안을 슬라이딩함으로써 두 집게부(3a, 3b)의 대향 간격이 가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 몸체(A)의 중첩부(1a)의 내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1 날(7a)과, 제2 몸체(B)의 중첩부(1b)의 내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2 날(7b)로 철사나 와이어 등의 선재(X)를 절단하는 선재 절단부(7)가 구성되고, 또한 제1 몸체(A) 및 제2 몸체(B)를 적당한 벌림 각도의 벌린 상태로 했을 때 제1 날(7a) 및 제2 날(7b)은 피벗축(6)의 축심점(P1) 및 제1 날(7a) 및 제2 날(7b)로 선재(X)를 절단할 때의 절단 중심점(P2)을 지나는 직선과, 피벗축(6)의 피벗축선(L)을 포함하는 평면(M)을 경계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설치되고, 또한 두 손잡이부(4a, 4b)는 평면(M)이 두 손잡이부(4a, 4b) 사이의 중앙 또는 대략 중앙을 지나는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상, 실제로 선재(X)를 절단할 때, 제1 날(7a) 및 제2 날(7b)을 선재(X)에 대해 좌우로부터 균형 있게 맞닿게 할 수 있고, 게다가 제1 몸체(A)와 제2 몸체(B)가 피벗축(6)을 지지점으로 좌우 대칭의 움직임을 하기 때문에 선재(X)에 대해 좌우로부터 균등한 힘을 가해 양호하게 절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종래예와 달리, 선재(X)에 대해 좌우로부터 균등한 힘을 가해 양호하게 절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 날(7a)은 제1 몸체(A)의 중첩부(1a)의 내면(1a')으로 하여 제2 몸체(B) 측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제2 날(7b)은 제2 몸체(B)의 중첩부(1b)의 내면(1b')으로 하여 제1 몸체(A) 측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두 내면(1a', 1b')과 두 중첩부(1a, 1b)의 양 단면(1a", 1b")으로 에워싸인 부위가 선재 절단부(7)이므로, 선재 절단부(7)를 구성하는 제1 날(7a)과 제2 날(7b)이 집게부(3a, 3b)를 다물 때 정밀하게 마찰 상태가 되는 중첩부(1a, 1b)에 설치되게 되므로, 쉽고 확실하게 양호한 절단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게다가 선재(X)를 절단할 때 이 선재(X)는 제1 날(7a)의 단면(1a")과 제2 날(7b)의 단면(1b")으로 지지된 안정적인 상태로 되며, 따라서 선재(X)에 대해 제1 날(7a) 및 제2 날(7b)을 직교 방향으로부터 접촉할 수가 있고, 이 점에서도 양호하게 절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두 중첩부(1a, 1b)의 두 내면(1a', 1b')은 각각 오목한 만곡면이므로 제1 날(7a) 및 제2 날(7b)로 선재(X)를 깊이 물도록 하여 놓치지 않고 확실하게 절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구성 요건의 구체적인 구성은 적당히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A…제1 몸체, B…제2 몸체,
X…선재, P1…축심점,
P2…절단 중심점, L…피벗축선,
1a…중첩부, 1a' …내면
1a" …단면, 1b…중첩부,
1b' …내면, 1b" …단면,
3a…집게부, 3a' …돌출부,
3b…집게부, 3b' …돌출부,
4a…손잡이부, 4b…손잡이부,
5…창부, 6…피벗축,
7…선재 절단부, 7a…제1 날,
7b…제2 날,

Claims (4)

  1. 중첩부의 일단측에 집게부, 타단측에 손잡이부를 갖는 제1 몸체와, 중첩부의 일단측에 집게부, 타단측에 손잡이부를 갖는 제2 몸체가 상기 중첩부에서 교차되어 피벗 장착되고, 또한, 상기 집게부에는 상기 제2 몸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그리고 상기 집게부에는 상기 제1 몸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설치되고, 이 두 돌출부에 의해 집게면이 구성되고, 상기 제1 몸체의 중첩부에는 상기 중첩부의 폭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창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몸체의 중첩부에는 상기 창부에 끼워지는 피벗축이 설치되고, 상기 피벗축이 상기 창부 안을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두 집게부의 대향 간격이 가변하도록 구성된 플라이어로서,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중첩부 또는 상기 집게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1 날과 상기 제2 몸체의 상기 중첩부 또는 상기 집게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2 날에 의해 철사나 와이어 등의 선재를 절단하는 선재 절단부가 구성되되,
    상기 제1 날은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중첩부의 내면으로 하여 상기 제2 몸체측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날은 상기 제2 몸체의 중첩부의 내면으로 하여 상기 제1 몸체측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두 내면과 상기 두 중첩부의 양 단면으로 에워싸인 부위가 상기 선재 절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두 중첩부의 양 단면은 제1 몸체 및 제2 몸체를 소정 벌림각도의 벌린 상태로 했을 때 양 단면이 평탄면을 이루어 선재와 맞닿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를 소정의 각도로 벌림 상태로 했을 때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은 상기 피벗축의 축심점 및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로 상기 선재를 절단할 때의 절단 중심점을 지나는 직선과 상기 피벗축의 피벗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경계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두 손잡이부는 상기 평면이 상기 두 손잡이부 사이의 중앙을 지나는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중첩부의 상기 두 내면은 각각 오목한 만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
KR2020110003444U 2011-03-23 2011-04-22 플라이어 KR20046529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1546U JP3168225U (ja) 2011-03-23 2011-03-23 プライヤー
JPJP-U-2011-001546 2011-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844U KR20120006844U (ko) 2012-10-05
KR200465294Y1 true KR200465294Y1 (ko) 2013-02-12

Family

ID=4750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444U KR200465294Y1 (ko) 2011-03-23 2011-04-22 플라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68225U (ko)
KR (1) KR2004652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457B1 (ko) * 2017-07-27 2019-07-01 주식회사 피비테크 커터날의 회전각 조절수단을 갖는 엑셀파이프 수동절단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5925U (ko) * 1980-05-16 1982-05-11
US6167581B1 (en) * 1997-06-25 2001-01-02 Patrick W. Finn Pliers-based, combination to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5925U (ko) * 1980-05-16 1982-05-11
US6167581B1 (en) * 1997-06-25 2001-01-02 Patrick W. Finn Pliers-based, combination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68225U (ja) 2011-06-02
KR20120006844U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5612B2 (en) Set square for manual ceramic cutter
US9061398B2 (en) Hand tool with compound leverage mechanism
JP2015100843A (ja) 加締め締結構造、締結部品構造体、及び、画像形成装置
US8826783B2 (en) One-way open-end wrench
JP6212452B2 (ja) 把持用工具
KR200465294Y1 (ko) 플라이어
US7992466B2 (en) Cable-stripping pliers
JP2015023602A (ja) 間接活線工法用クリップ
CN101628407A (zh) 具有可调头部的夹紧及切割装置
JP2016144327A (ja) 間接活線作業用工具
JP5436644B1 (ja) 電線切断工具
JP5758038B1 (ja) ローラチェーン連結治具
JP5886169B2 (ja) プライヤ
EP0203241A1 (fr) Pince à fonctions multiples et son application à des agrafages, sertissages, poinçonnages et opérations analogues
JP5465767B1 (ja) コッタピン用割ピンの着脱工具
JP2004330348A (ja) 挟持工具
KR20170041000A (ko) 조립형 철근 연결장치
JP3190422U (ja) 切断具
JP3150528U (ja) プライヤー
JP5856586B2 (ja) 切断具
JP2009034805A (ja) スプリットリング用のプライヤー
JP2000296473A (ja) 平行移動する挟持面を持つプライヤ
JP6501144B2 (ja) クリップ
JP2015016543A (ja) ピンセット
US11833649B2 (en) Hand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