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333Y1 - 낚시용 전동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전동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333Y1
KR200462333Y1 KR2020100012165U KR20100012165U KR200462333Y1 KR 200462333 Y1 KR200462333 Y1 KR 200462333Y1 KR 2020100012165 U KR2020100012165 U KR 2020100012165U KR 20100012165 U KR20100012165 U KR 20100012165U KR 200462333 Y1 KR200462333 Y1 KR 2004623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pool
gear
unit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854U (ko
Inventor
켄지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to KR2020100012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33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8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3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333Y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전동 릴에서 릴 본체에 설치되는 스풀에서 낚시줄 권취를 수행함에 있어서 고속 권취와 고(高)토크 권취 중 어느 쪽을 선택하여 권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낚시용 전동 릴에 따르면, 낚시용 전동릴(1)에 제1 모터부(7)와 제2 모터부(8)를 설치하며, 이들 제1 모터부(1)와 제2 모터부(8)는 한쪽이 고속 권취용이며, 다른 쪽이 고 토크 권취용이면서 릴 본체(3)에는 제1, 제2 모터부(7,8) 중 어느 쪽의 모터구동을 선택 조작하기 위한 모터 선택수단을 설치하였다.

Description

낚시용 전동 릴 {Electrically Driven Reel for fishing }
본 고안은 릴 본체에 회전 자유로이 지지되는 스풀을 모터 구동에 따라 회전시키는 낚시용 전동릴로서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기구가 설치된 것에 관한 것이다.
배 낚시용 릴로서는 모터 구동에 의해 얻어지는 회전을 감속기구에 의해 감속시키고 그 후 스풀로 전동(傳動)하여서 스풀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스풀에서의 권취는 물고기가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속 회전으로 재빠르게 수행하며, 물고기가 잡힌 상태에서는 저속이기는 하지만 물고기의 인장력에 저항할 수 있을 정도의 고(高) 토크(torque)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모터의 회전을 유성기어기구를 통하여 스풀로 전동함에 있어서, 저속회전을 얻기 위한 제1 유성기어기구와, 고속회전을 얻기 위한 제2 유성기어기구를 설치하면서, 제1, 제2의 유성기어기구 중 어느 한쪽을 선택 조작하는 선택조작기구구를 설치함으로써 스풀의 고속 감아올림, 저속 감아올림 중 어느 쪽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1 참조).
또한 모터의 회전을 유성기어기구로 변속시킴에 있어서, 그 변속은 유성기어기구를 구성하는 내치기어 혹은 태양기어의 회전정지, 회전정지 해제에 따라 수행하고, 이들 절환을 기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스풀의 고속 감아올림, 저속 감아올림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도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2 참조).
그리고 또한 모터의 출력축을 정역(正逆)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고, 그 출력축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서 각각 고속용 감속 기어기구 혹은 저속용 감속 기어기구로 전동하도록 구성하여서 스풀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3 참조).
일본실용공개공보 실개소64-41270호 일본특허공개공보 특개평9-47198호 일본특허등록 제3537363호
그런데, 상기 문헌들은 모두 하나의 모터 구동에 따른 회전을 기어식 감속기구에 의해 속도 변화시키는 것이어서 아무래도 속도 범위에 한계가 있으며, 고속 권취를 중시한 경우에는 저속 권취시에 충분한 토크를 얻는 것이 힘들며, 또한 저속 고 토크 회전을 중시한 경우에는 고속 회전시의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1, 2에 따른 것은 감속기구의 전동계(傳動係)를 절환할 수 있는 것이지만, 이 절환기구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점도 있어서 릴 그 자체가 대형화되고 조작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3과 같이, 모터의 회전을 정역(正逆)절환하여 고·저속의 절환을 수행함에 있어서, 감아 올리는 도중에 회전 절환을 했을 시에는 모터의 토막 끊김과 같은 정지가 수반되는 절환이 이루어져 절환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면서 절환시에 큰 충격이 발생하게 되어 모터 브러시의 소모를 가속화할 뿐만 아니라 기어의 이빨 결손 등, 동력 전동계에 덜컹거림이나 파손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 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기어에 따른 감속기구에 의해 감속하여 고속성과 고(高)토크성을 얻고자하는 시도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터를 대형화할 수도 있지만 모터의 대형화는 릴의 대형화, 중량화로 이어지며, 그 결과 릴의 조작성이 저해되기 때문에 이 역시 채용되기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본 실용 신안이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들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창작된 것으로서, 청구항 1의 고안은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설치되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자유로이 지지되는 스풀과, 스풀을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제어되는 모터 구동부와, 핸들 및 모터 구동부에서 스풀로의 동력 전동의 단속(斷續)을 자유롭게 차단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전동 릴로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제1 모터 본체부와 그 제1 모터 본체부로부터의 동력을 감속하는 제1 감속부를 구비한 제1 모터부와, 제2 모터 본체부와 상기 제2 모터 본체부에서의 동력을 감속하는 제2 감속부를 구비한 제2모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제1 모터부와 제2 모터부는 한쪽이 고속 권취용이며, 다른 쪽이 고 토크 권취용이면서, 릴 본체에는 상기 제1, 제2 모터부 중 어느 한쪽 모터의 구동을 선택 조작하기 위한 모터 선택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이다.
청구항 2의 고안은 상기 제1, 제2 모터부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수단은 한쪽의 모터부가 구동되고 있을 때 모터 선택수단에 따른 선택 절환이 있는 경우에 양쪽 모터부를 소정 시간 동안 동시에 구동시킨 후, 다른 쪽 모터부만의 구동으로 절환할 수 있게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낚시용 전동 릴이다.
청구항 3의 고안은, 제1 모터부는 스풀 밖에 설치되고, 제2 모터부는 스풀에 내장되는 것으로, 제1 모터부에서 스풀로의 동력 전동은 제1 모터 본체에서 제1 감속부를 거친 동력이 중간 동력 전동기구, 제2 감속부를 경유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 또는 2에 기재된 낚시용 전동 릴이다.
청구항1의 고안에 따르면, 낚시줄을 고속으로 권취하는 경우에는 고속 권취용의 모터를 고(高)토크로 권취하는 경우에는 고 토크 권취용 모터를 선택하여서 구동시키면 되며 이와 같이 구동시키는 모터를 선택함으로써 고속 권취, 고 토크 권취 중 어느 것이라도 충분한 권취 능력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2의 고안에 따르면, 구동 모터를 고속 권취용 모터로부터 고 토크 권취용 모터로, 혹은 고 토크 권취용 모터에서 고속 권취용 모터로 절환하는 경우에 있어서, 절환되어진 모터가 구동 정지되고, 절환된 모터가 구동되기 시작하는 순간에 발생하는 스풀 회전의 토막적으로 끊기는 정지상태나 회전 속도의 급격한 변화를 순조로운 변화로 바꿀 수 있어서 모터 절환으로 인한 충격을 매우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풀의 회전속도가 변화함에 따라 걸려든 물고기가 장치로부터 도망가는 부적절한 상황을 피할 수 있으면서 구동 모터의 절환으로 인한 사용자의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3의 고안에 따르면, 스풀 밖에 설치되는 제1 모터부의 동력은 제1 감속부에서 감속된 것이 제2 모터부의 제2 감속부를 경유하여서 이루어지는 결과, 제1 모터부에서 스풀로의 동력 전동이 제2 감속부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모터를 두 개나 설치한 것이면서도 낚시용 전동 릴의 구조 간략화와 더불어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낚시용 전동릴의 정면도이고,
도2는 낚시용 전동릴의 클러치가 ON상태인 정면 단면도이고,
도3은 낚시용 전동릴의 클러치가 OFF상태인 정면 단면도이고,
도4는 낚시용 전동릴의 측면 단면도이다.
<전체구성>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후 설명에 있어서 좌우, 상하 등의 방향이 부여되어 있으나 이것은 설명을 상세하게 하기 위해서 편의상 이루어진 것으로 이것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도1에 있어서 (1)은 낚시용 전동릴로서, 상기 전동릴(1)은 낚시줄이 감겨지는 드럼 형상의 스풀(2)과, 그 스풀(2)을 회전 자유로이 지지하는 릴 본체(3)와, 그 릴 본체(3)를 구성하는 본체프레임(4)과, 그 본체프레임(4)의 좌우 방향 일측으로 돌출하여(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 릴 본체(3)에 대하여 회전 자유로이 설치된 핸들(5)과, 릴 본체(3)의 저면(하측)에 있으며 전동릴(1)을 낚시대에 고정하기 위한 낚시대 설치판(6)을 구비한다.
본체프레임(4)은 좌우의 프레임판(4a,4b)과, 그 프레임판(4a,4b)에 대하여 각각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외측에 배치되어 설치되며, 릴 본체(3)의 좌우 외측면이 되는 외판(4c,4d)과, 좌우 외판(4c,4d)의 전단부 사이에 끼워넣어져서 릴 본체(3)의 앞측면이 되는 앞판(4e)과, 좌우 외판(4c,4d)의 후단부끼리를 건너지르도록 형성되는 뒤판(4f)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풀(2)의 앞쪽에는 제1 모터부(7)가 프레임판(4a,4b)에 끼워지도록 배치되는 한편, 스풀(2)의 내측면에는 제2 모터부(8)가 내장되고 이에 따라 스풀(2)은 제2 모터부(8)의 케이싱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핸들(5)은 일단이 손잡이(5a)가 되어 릴 본체(3)의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으며, 타단이 외판(4d)에서 돌설되는 핸들축(9)의 일단부(9a)에 결합되어 있다. 핸들축(9)의 일단부(9a)와 오른쪽 외판(4d) 사이에는 드래그를 조정하기 위한 드래그 조정 다이얼(10)이 핸들축(9)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드래그 조정 다이얼(10)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후술하는 드래그기구(11)의 움직임에 따라 스풀(2)의 드래그 힘이 조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뒤판(4f)의 좌우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장공(4g)이 형성되며, 그 장공(4g)에는 클러치 기구(12)를 구성하는 클러치레버(13)가 상하 이동 자유롭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레버(13)를 ON-OFF 절환함에 따라 후술하는 고속 회전용의 제1 모터부(7), 고 토크 회전용의 제2 모터부(8)에서 스풀(2)로의 동력 전동과, 핸들(5)에서 스풀(2)로의 동력 전동의 단속(끊김-계속) 상태로의 절환이 이루어져서 스풀(2)이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만 가능한 권취상태와 자유회전상태로 절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좌우외판(4c,4d)의 앞 상단부 사이에는 상기 좌우외판(4c,4d)에 걸쳐지도록 하여서 콘트롤박스(14)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콘트롤박스(14)에 배치되는 뱃전, 낚시줄 권출 설정 버튼(14a), 선반 설정 바닥 표시 버튼(14b), 모터구동버튼(14c), 모터 절환 버튼(14d)에 의해 낚시줄 권출 설정이나 뱃전 자동 정지 설정 등의 동작 설정 및 후술하는 모터구동설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들 각종 설정 버튼에 따른 설정내용, 및 낚시줄 권출량은 표시화면(14e)에 표시되어서 확인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1 모터부>
상기 제1 모터부(7)는 제1 모터 본체부(15)와 제1 감속부(제1 유성감속부)(16)를 구비한 기어드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모터 본체부(15) 및 제1 감속부(16)는 케이싱(17)에 의해 덮여진 상태로 프레임판(4a,4b) 사이에 고정 지지된다. 제1 모터 본체부(15)를 구성하는 제1 로터(아마츄어 코어)(18)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제1 모터축(19)이 돌출되어 있다. 도면에서 제1 로터(18)의 좌측에서 돌출되는 제1 모터축(19)의 좌측 돌출부(19a)는 스풀(2)의 권취방향 회전만을 허용하도록 설정된 제1 일방향 회전 클러치(20)를 통하여 케이싱(17)에 대해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다. 그리고 제1 로터(18)의 우측에서 돌출하는 제1 모터축(19)의 우측 돌출부(19b)는 제1 감속부(16)를 관통하여 우(右) 프레임판(14b)에서 외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하여서 설치되는 제1 구동축(21)에 제1 구동축 제1 베어링(21a)을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다.
제1 감속부(16)는 유성기어기구에 의해 구성되는 모터축 회전을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구이며, 상기 제1 감속부(16)는 제1 모터축(19)의 우측 돌출부(19b)를 축심으로 회전하는 제1, 제2 태양기어(22,23), 상기 제1, 제2 태양기어(22,23)으로부터는 이격되어 제1 모터축(19)의 우측 돌출부(19b)를 축심으로 회전하는 제1 내치기어(24), 제1 태양기어(22)와 제1 내치기어(24)에 치합하여 자전하면서 제1태양기어(22)의 외주를 공전하는 제1 유성기어(25), 제2태양기어(23)과 제1 내치기어(24)에 치합하여서 자전하면서 제2 태양기어(23)의 외주를 공전하는 제2 유성기어(26), 제1 유성기어(25)에서 돌출하여 제2 태양기어(23)와 일체 회전하는 제1 아암휠(腕車)(27), 제2 유성기어(26)에서 돌출하여 제1 구동축(21)과 치합하여서 상기 제1 구동축(21)과 일체 회전하는 제2 아암휠(28)에 의해 구성된다.
<제1 감속부에 의한 동력 감속>
제1 감속부(16)에서는 제1 모터축(19)에 의해 출력되는 동력이 아래와 같이 전동됨으로써 감속된다. 즉 제1 모터축(19)의 우측 돌출부(19b)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제1 태양기어(22)가 회전함으로써 제1 유성기어(25)가 자전하면서 제1 태양기어(22)의 외주를 공전하고, 제1 유성기어(25)에서 돌출되는 제1 아암휠(27)과 일체로 설치되는 제2 태양기어(23)로 전동된다. 제2 태양기어(23)의 회전에 의해 제2 유성기어(26)가 자전하면서 제2 태양기어(23)의 외주를 공전하고, 제2 유성기어(26)에서 돌출되는 제2 아암휠(28) 혹은 제2 유성기어(26)에 치합하는 제1 내치기어(24)에 전동된다. 그리고, 제1 내치기어(24)가 회전함에 따라서 제1 내치기어(24)의 외주에 형성된 외치기어(29)가 일체 회전한다.
<제2 아암휠에서 제1 구동축을 거쳐 주기어까지의 전동>
한편, 제1 구동축(21)은 제2 아암휠(28)과 일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제1 구동축(21)은 외주부 좌측이 제1 내치기어(24)에 대해서 제1 구동축 제2 베어링(21b)을 통하여 슬라이딩 이동 자유로이 설치되며, 외주부 우측이 제1 기어(49)의 내측면에 압입된 상태에서 내부 결합되어 있으며, 이들에 의해 제2 아암휠(28), 제1 구동축(21), 제1 기어(49)는 일체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1 기어(49)는 핸들축(9)을 축심으로서 회전하는 주기어(50)에 치합한다.
<주기어와 핸들축 사이에 개재되는 드래그 기구>
주기어(50)와 핸들축(9) 사이에는 전술한 드래그 기구(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드래그기구(11)에서의 드래그 힘에 의해 주기어(50)와 핸들축(9)의 결합력이 조정되도록 되어있다.
드래그기구(11)는 주기어(50)와 일체 회전하기 위해 설치되는 원반 형상의 제1 마찰판(51)과, 핸들축(9)과 일체 회전하기 위해 설치되는 원반형상의 제2 마찰판(52)이 서로 적층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적층된 제1, 제2의 마찰판(51,52)과 드래그 조정 다이얼(10) 사이에는 드래그용 탄성기구(53)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드래그 조정 다이얼(10)을 회전 조정함에 따라서 상기 드래그용 탄성기구(53)의 제1, 제2 마찰판(51,52)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조정되고, 이에 따라서 핸들축(9)과 주기어(50)의 결합력 조정에 따른 드래그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역회전 방지 기구>
핸들축(9)의 타단부(9b)에는 핸들축(9)과 일체 회전하는 래칫기어(5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래칫기어(54)의 외주 근방에는 래칫 기어(54)에 항상 치합하는 래칫손톱(55)이 설치된다. 그리고 래칫손톱(55)이 래칫기어(54)에 치합함으로써 핸들축(9)은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으며(역회전방지기구56), 이에 의해 핸들축(9)과 일체로 설치되는 제1 마찰판(51)도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허용되어서, 제2 마찰판(52)과 일체 회전하는 주기어(50), 상기 주기어(50)와 치합하는 제1 기어(49), 그 제1 기어(49)와 일체 회전하는 제1 구동축(21)도 드래그기구 (11)의 마찰력을 따라서 회전 정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외치기어에서 스풀기어까지의 중간 동력 전동 기구>
상기 외치기어(29)는 우(右) 프레임판(4b)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연결기어축(30a)에 회전 자유로이 축지지되는 연결기어(30)에 치합하며, 그 연결기어(30)는 우 프레임판(4d)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스풀 기어축(3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자유로이 축 둘레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고정되는 스풀기어(32)에 치합한다.
스풀기어(32)는 외주부 좌측이 외치를 설치한 대경부(32a)가 되어서 상기 연결기어(30)와 치합한다. 또한 스풀기어(32)의 외주부 우측이 소경부(32)가 되는데, 상기 소경부(32b)에는 후술하는 클러치 플레이트(57)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스풀기어(32)의 내주면(32d)에는 스풀기어축(31)이 축심 방향 이동 자유롭게 내장되어 있는 한편, 상기 대경부(32a)의 내주면(32c)은 후술하는 제2 구동축(38)의 외주면 우측과의 사이에서 스풀라인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기어(32)가 스풀기어축(31)에 대해서 축심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풀라인 결합이 착탈 절환을 하고, 이에 의해 제2 구동축(38)과 스풀기어(32)와의 동력 전동의 단속(斷續)을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치기어(29)의 회전은 연결기어(30)를 거쳐 스풀기어(32)로 입력되는 중간 동력 전동기구(61)에 의해서 동력 전동되는데, 여기서 스풀기어(32)의 회전은 스풀기어(32)가 제2 구동축(38)에 스풀라인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구동축(38)에서 제2 모터부(8)를 거쳐 스풀(2)로 전동되고, 제2 구동축(38)에 스풀라인 결합되 않은 경우에는 스풀기어(32)의 회전은 제2 구동축(38)으로 전동되는 일은 없으며, 이에 따라 제2 구동축(38)은 스풀기어(32)에 의한 회전 정지가 해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동력 전동(傳動)의 전동-비전동의 절환은 클러치기구(12)를 구성하는 클러치레버(13)의 후술하는 조작에 따라 스풀기어(32)가 제2구동축(38)에 대하여 스풀라인 결합, 결합 해제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2 모터부>
상기 제2 모터부(8)는 제2 모터 본체부(33)와 제2 감속부(제2 유성감속부)(34)를 구비한 기어드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제2 모터 본체부(33) 및 제2 감속부(34)는 스풀(2)과 프레임판(4a, 4b) 사이에 내장되어 설치된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2 모터 본체부(33)를 구성하는 제2 로터(아마츄어)(35)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제 2모터축(36)이 돌출되어 있다. 제2 로터(35)의 좌측에서 돌출되는 제2 모터축(36)의 좌측 돌출부(36a)는 스풀(2)의 권취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하는 제2 일방향회전 클러치(37)을 통하여 좌(左) 프레임판(4a)에 대하여 회전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로터(38)의 우측에서 돌출하는 제2 모터(36)의 우측 돌출부(36b)는 제2 감속부(34)를 관통하여 우 프레임판(4b)에서 돌출하도록 하여서 설치되는 제2 구동축(38)에 제2 구동축 제1 베어링(38a)을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제2 감속부(34)는 제1 감속부(16)와 마찬가지로 유성기어 기구에 의해 구성되는 모터축의 회전을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구이며, 상기 제2 감속부(34)는 제2 모터축(36)의 우측 돌출부(36b)를 축심으로 회전하는 제3, 제4, 제5의 태양기어(39,40,41), 상기 제3, 제4, 제5의 태양기어(39,40,41)로부터는 이격되며 제2 모터축(36)의 우측 돌출부(36b)를 축심으로 회전하는 제2 내치기어(42), 제3 태양기어(39)와 제2 내치기어(42)에 치합하여 자전하면서 제3 태양기어(39)의 외주를 공전하는 제3 유성기어(43), 제4 태양기어(40)와 제2 내치기어(42)에 치합하여 자전하면서 제4 태양기어(40)의 외주를 공전하는 제4 유성기어(44), 제5 태양기어(41)와 제2 내치기어(42)에 치합하여서 자전하면서 제5 태양기어(41)의 외주를 공전하는 제5 유성기어(45), 제3 유성기어(43)에서 돌출하여, 제4 태양기어(40)와 일체 회전하는 제3 아암휠(46), 제4 유성기어(44)에서 돌출하여, 제5 태양기어(41)와 일체 회전하는 제4 아암휠(47), 제5 유성기어(45)에서 돌출하여 제2 구동축(38)과 치합하여서 제2 구동축(38)과 일체 회전하는 제5 아암휠(48)에 의해 구성된다.
<제2 감속부에 의한 동력 감속>
제2 감속부(34)에서는 제2 모터축(36)에 의해 출력되는 동력이 아래와 같이 전동된다. 즉, 제2 모터축(36)의 우측 돌출부(36b)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제3 태양기어(39)가 회전함으로써 제3 유성기어(43)가 자전하면서 제3 태양기어(39)의 외주를 공전하고, 제3 유성기어(43)에서 돌출하는 제3 아암휠(46)과 일체로 설치되는 제4 태양기어(40)로 전동(傳動)한다. 제4 태양기어(40)의 회전에 의해 제4 유성기어(44)가 자전하면서 제4 태양기어(40)의 외주를 공전하고, 제4 유성기어(44)에서 돌출하는 제4 아암휠(47)과 일체로 설치되는 제5 태양기어(41)로 전동한다. 제5 태양기어(41)의 회전에 의해 제5 유성기어(45)가 자전하면서 제5 태양기어(41)의 외주를 공전하고, 제5 유성기어(45)에서 돌출하는 제5 아암휠(48) 혹은 제5 유성기어(45)에 치합하는 제2 내치기어(42)로 전동한다. 그리고, 제2 내치기어(42)는 스풀(2)의 내측면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내치기어(42)가 회전함으로써 스풀(2)도 일체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2 구동축에서 스풀 기어로의 전동>
한편, 제5 아암휠(48)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제2 구동축(38)은 외주부 좌측이 제2 내치기어(42)에 대해서 제2 구동축 제2 베어링(38b)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2 구동축(38)은 외주부 우측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풀기어(32)의 내주부 좌측에 착탈 자유롭게 스풀라인 결합하고, 내주부 좌측이 제2 구동축 제1 베어링(38a)을 통하여 제2 모터축 우측 돌출부(36b)에 슬라이딩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제2 모터부(8)가 구동된 경우, 제2 감속부(34)를 통한 제5 유성기어(45)의 회전으로 제5 아암휠(48) 및 제2 내치기어(42)로 전동되는데, 여기서 제2 구동축(38)이 스풀기어(32)에 스풀라인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구동축(38)이 스풀 기어(32)에 대하여 회전 정지된 상태이며, 이 경우에는 제5 아암휠(48)은 회전하지 않고, 상기 제5 유성기어(45)의 회전은 제2 내치기어(42)에 전동되고 이에 의해 스풀(2)은 권취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클러치 기구>
클러치기구(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풀기어(32)와 제2 구동축(38)과의 스풀라인 결합의 착탈을 함으로써 제1, 제2 모터부(7,8) 및 핸들(5)에서 스풀(2)로의 동력 전동을 단속(斷續) 절환하는 것인데, 이어서 상기 클러치기구(12)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右) 외판(4d)의 후방에는 스풀기어축(31)이 제2 모터부(8)를 향해서 돌설된다. 상기 스풀 기어축(31)의 좌측은 소경부(31a)가 되고, 상기 소경부(31a)는 제2 구동축(38)의 내주부 우측에 상기 제2 구동축(38)이 스풀기어축(31)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도록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기어축(31)의 우측은 대경부(31b)가 되며, 상기 대경부(31b)에는 스풀기어(32)가 스풀기어축(31)을 축심으로서 회전 자유로우며 스풀기어축(31)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자유롭도록 고정되어 있다.
스풀기어(32)에 형성되는 소경부(32b)에는 스풀기어축(31)의 축심에서 대각선상으로 연장되는 클러치플레이트(57)의 기단부(축심부)가, 축심방향으로는 일체 이동하지만, 축 둘레 방향으로는 자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플레이트(57)의 양단부(57a)에는 우 프레임판(4b)과 우 외판(4d) 사이에 지지된 지지축(57b)이 축방향(도2에서 좌우방향) 이동 자유롭게 관통하고, 그 지지축(57b)의 외주에는 클러치 플레이트(57)에서 우 외판(4d)으로 도달하는 복귀용의 코일스프링(57c)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기어(32)는 상기 코일스프링(57c)의 부세에 따라서 항상 제2 구동축(38)방향(도2에서 좌측)을 향하여 탄압된 상태가 된다.
한편, 클러치레버(13)는 눌러올림 조작 혹은 눌러내림 조작에 의해 장공(4g)내부를 상하 움직이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클러치레버(13)가 상하 움직임으로써 요동레버(59)가 지축(59a)을 지점으로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요동레버(59)는 외주부에 형성되는 제1 계합부(59b)가 클러치레버(13)의 연출부(13a)에 계합하고, 제2계합부(59c)가 클러치캠(58)에 형성된 긴 홈부(58b)에 계합하고, 제3계합부(59d)가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클러치 스프링(60)의 일단부(60a)에 계합한다. 그리고, 클러치레버(13)의 조작에 수반되는 요동레버(59)의 요동에 연동하여서 클러치캠(58)이 스풀기어축(31)의 축심을 지축으로서 요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클러치스프링(60)은 타단부(60b)가 우측 프레임판(4b)에 지착(고정)되어 있어서 클러치레버(13)를 클러치 OFF 조작하지 않는 보통때에는(클러치ON시) 일단부(60a)가 타단부(60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4에서 시계방향)의 부세력을 받고, 이에 의해 클러치 플레이트(57)는 클러치캠(58)의 평판형상부(8c)에 위치하며, 이 클러치 ON의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러치 플레이트(57)가 받는 코일스프링(57c)의 부세력에 의해 스풀기어(32)와 제2구동축(38)이 스풀라인 결합하여서 동력 전동 상태가 된다.
이에 대하여 클러치레버(13)를 하측으로 누르면, 요동레버(59)는 클러치스프링(60)의 부세력에 저항하도록 하여서 지축(59a)의 중심A를 지점으로서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이에 의해 클러치스프링(60)의 일단부(60a)는 중심A를 지점으로 하는 요동궤적 D를 그리면서 요동하게 되는데, 이 요동궤적 D가 상기 중심 A와 클러치스프링(60)의 지지(고정)단 B인 타단부(60b)를 연결하는 직선 C와 교차하는 점을 사안점 E로 하고, 그리고 도4에서 클러치스프링(60)의 일단부(60a)가 사안점 E보다도 시계방향 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요동레버(60)는 시계방향측의 부세력을 받고 이에 의해 클러치레버(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러치 ON측을 향해서 부세되는데, 사안점E보다도 반시계 방향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클러치스프링(60)의 일단부(60a)는 요동레버(59)를 반시계 방향측을 향해서 부세하고, 이에 따라서 요동레버(59)는 상기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하여 이 자세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요동레버(59)가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에 연동하여서 클러치캠(58)은 반대로 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그러면, 클러치캠(58)은 클러치플레이트(57)에 대하여 상대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클러치플레이트(57)는 클러치캠(58)에 형성된 상기 평판형상부(58c)에서 경사부(58a)를 경유하여서 꼭대기부(58d)를 걸리게 되고, 핸들(5) 방향(도2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클러치플레이트(57)의 핸들(5) 방향의 이동에 연동하여서 스풀기어(32)가 제2 구동축(38)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서 양자간의 스풀라인 결합이 벗어나고, 클러치가 OFF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클러치 레버(13)를 눌러내림 조작(클러치 OFF 조작)한 경우에는 클러치 레버(13)의 연장부(13a)에 계합되는 제1계합부(59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이에 의해 제2계합부(59c)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클러치캠(58)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경사부(58a)의 회동에 의해 그 경사부(58a)의 꼭대기부(58d)가 클러치플레이트(57)를 외판방향으로 밀어내고, 이에 따라 클러치 플레이트(57) 및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57)와 일체인 스풀기어(32)는 코일스프링(57b)의 부세력에 저항하여서 핸들(5)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풀기어(32)와 제2 구동축(38)의 스풀라인 결합이 벗어난다. 이때 요동레버(59)는 클러치스프링(6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서 클러치캠(58)은 클러치 OFF 위치로 유지된다.
한편, 클러치레버(13)를 눌러올림 조작(클러치 ON 조작)한 경우는 제1 계합부(59b)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제2계합부(59c)도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클러치캠(58)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꼭대기부(58d)에 의한 클러치 플레이트(57)의 압출은 해제되어서 클러치플레이트(57)는 평판형상부(58c)와 맞닿는 위치까지 이동하며, 따라서 스풀기어(32)는 코일스프링(57b)의 부세을 받아서 제2구동축(38)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구동축(38)과 스풀라인 결합한다. 이때, 요동레버(59)는 클러치스프링(6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부세되기 때문에 클러치캠(58)은 클러치 ON 위치로 유지된다.
또한 스풀기어(32)와 제2구동축(38)의 스풀라인 결합이 이탈된 상태에서도 핸들(5)을 회전시킴으로써 래칫기어(54)의 하방에 설치된 돌기부(54a)가 클러치캠(58)의 미도시된 팽출부에 접촉되어서 클러치캠(58)을 회동시키고, 클러치플레이트(57)가 제2구동축(38)측으로 이동하여서 스풀기어(32)가 다시 제2구동축(38)에 스풀라인 결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의해, 스풀기어(32)가 제2구동축(38)에 계합되지 않는 클러치 OFF의 상태에서는 스풀(2)은 정역 모두 자유 회전상태가 되고, 스풀기어(32)가 제2구동축(38)에 계합된 클러치 ON의 상태에서는 제1, 제2 모터부(7,8)의 구동에 따른 회전 및 핸들(5)의 수동에 의한 회전이 제2감속부(34)를 경유하여서 스풀(2)를 일방향만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있다.
<콘트롤박스>
콘트롤박스(14)에 설치되는 모터절환버튼(14d)은 누름조작을 할 때마다 구동되는 모터로서 제1 모터부(7)의 구동과 제2 모터부(8)의 구동을 나타내는 표시가 차례로 나타내어지는 로터리식 버튼 스위치로서 제1 모터부(7)에서 제2 모터부(8)로 절환되는 경우, 혹은 제2 모터부(8)에서 제1 모터부(7)로 절환되는 경우는, 모터절환버튼(14d)의 누름조작에 의해 차례로 절환이 이루어지는데, 구동하는 모터명(예를 들면, 「고속」, 「저속」등)을 표시화면(14e)에 표시시킴으로써 절환되는 구동모터를 식별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 콘트롤박스(14)는 상기 모터 절환을 할 때마다 모터 절환버튼(14d)을 눌러 조작한 후 소정시간 동안(예를 들면 2초간)은 양쪽 모터부(7,8)의 모터를 동시에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모터정지(모터 구동의 토막 끊김)가 없는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서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우선 낚시줄을 풀어냄에 있어서는 클러치레버(13)를 눌러 내림 조작을 함으로써 스풀기어(32)와 제2 구동축(38)의 계합이 풀어져 스풀(2)은 자유 회전 상태가 되고, 낚시줄은 자중에 의해 해저를 향해 낙하되어 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 구동시켜서 낚시줄의 권취를 수행하는 경우, 우선 클러치레버(13)를 눌러 올리는 조작을 하고 이어서 모터구동버튼(14c)을 ON조작하여서 표시화면(14e)에 구동시킬 모터명을 표시시킨다. 이때 표시화면(14e)에 예를 들면「고속」으로 표시되어 있으면, 제1 모터부(7)의 모터가 구동되고 제2 모터부(8)의 모터는 구동되지 않으며, 또한 예를 들면 「저속」으로 표시되어 있으면 제2 모터부(8)의 모터가 구동되고 제1 모터부(7)의 모터는 구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제1, 제2 모터부(7,8)의 절환은 모터 절환 버튼(14d)을 누름으로써 「고속」, 「저속」이 로터리식으로 반복적으로 표시되게 되며, 조작자는 여기서 원하는 속도를 표시시킨다.
그리고, 표시된 모터는 콘트롤박스(14)로부터의 구동개시신호에 의해 구동이 개시된다.
여기서, 우선 제1 모터부(7)의 제1 모터 본체부(15)를 구동 모터로서 선택한 경우에는 제1모터축(19)이 회전되어서 전술한 제1 감속부(16)로 동력 전동(傳動) 된다. 제1 감속부(16)에서는 제1 모터축(19)의 회전이 감속되어서 제1 내치기어(24) 혹은 제2 아암휠(28)로 전동하지만, 여기서 제2 아암휠(28)은 제1 구동축(21)과 일체 회전하기 때문에 제1 구동축(21)이 역회전 방지기구(56)의 움직임에 의해 회전 규제된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제2 아암휠(28)은 회전하지 않고, 제1 감속부(16)의 회전력은 제1 내치기어(24)만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내치기어(24)와 일체의 외치기어(29)가 회전하고, 중간 동력 전동 기구에 의한 동력 전동에 의해 스풀기어(32)가 회전한다. 그리고 클러치기구에 의해 클러치레버(13)의 눌러내림 조작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스풀기어(32)와 제2구동축(38)은 스풀라인 결합하기 때문에 스풀기어(32)의 회전은 제2구동축(38)으로 전동하고, 제2 구동축(38)에서 제2 감속부(34)를 거쳐 스풀(2)로 전동된다. 즉, 제1 모터부(7)에서 출력되는 동력은 제1 감속부(16)에서 고속상태로 감속되며, 중간 전동 동력기구(61), 제2 감속부(34)를 거쳐 스풀(2)로 동력 전동된다.
한편, 제2 모터부(8)의 제2 모터본체부(33)를 구동 모터로서 선택한 경우에는 제2 모터축(36)이 회전되어서 전술된 제2 감속부(34)로 동력 전동된다. 제2 감속부(34)에서는 제2 모터축(36)의 회전이 감속되어서 제2 내치기어(42) 혹은 제5 아암휠(48)로 전동하는데, 여기서 제5 아암휠(48)과 일체 회전하는 제2 구동축(38)은 스풀기어(32)와 스풀라인 결합되어 있는 경우, 제1 모터부(7)의 제1 방향클러치(37) 및 핸들(5)의 역회전 방지기구(56)에 의해 회전 정지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회전되지 않고, 이에 따라서 제5 아아휠(48)도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감속부(34)를 거친 동력은 제2 내치기어(42)만을 회전시키고 제2 내치기어(42)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스풀(2)도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제2 모터부(8)의 모터에 의해 스풀(2)을 구동시킨 경우에는 제2 모터부(8)로부터의 동력을 제2 감속부(34)에서 감속시켜서 스풀(2)로 전동하기 때문에 스풀(2)의 회전을 저속이며 고(高)토크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핸들(5)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풀(2)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제1, 제2 모터부(7,8)의 모터가 구동상태인지 아닌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핸들(5)의 회전이 핸들축(9)에서 드래그기구(11)를 거쳐 주기어(50), 제1 기어(49), 제1구동축(21)으로 전동한다. 그리고 제1 구동축(21)의 회전은 제2 아암휘(28)를 거쳐서 제2 유성기어(26), 제1 내치기어(24)로 전동하고, 그리고 또한 외치기어(29), 중간 전동 동력 기구(61)를 거쳐 제2 감속부(34)에서 증속되어 스풀(2)를 회전시킨다.
핸들(5)은 역회전기구(56)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허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핸들(5)의 회전은 항상 스풀(2)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낚시줄을 고속으로 권취하고자 하는 경우, 혹은 저속이기는 하지만 고(高)토크로 귄취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상황에 맞게 모터를 선택하여서 구동시킴으로써 소망의 스풀 권취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속 저(低)토크, 저속 고(高)토크 2종류의 모터부를 설치함으로써 고속성에 중점을 두어 토크 특성을 희생하거나, 혹은 반대로 높은 토크성에 중점을 두어 고속특성을 희생하거나 하는 일 없이, 고속성과 고 토크성 양 특성중 어느 쪽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전동 릴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모터 절환 버튼(14d)을 고속 저속 중 어느 쪽의 모터 본체부(15,33)로 구동 절환 조작을 했을 경우, 절환전에 구동되고 있던 한쪽의 모터본체부(15 또는 33)는 절환조작이 수행되었을 때부터 소정시간(예를 들면 2초간)을 거친후 정지하기 때문에 모터 본체부(15 또는 33)의 구동 절환에 따라 발생하는 스풀(2)의 회전속도의 급격한 속도변화나 모터 구동의 토막 끊김 상태를 피할 수 있게 되어서 모터의 구동 절환을 한 경우에도 스풀(2)의 순조로운 권취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이 실시된 것에 있어서는 스풀(2)을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해서 제1 모터부(7)에서 감속한 동력을 제2 모터부(8)의 제2 감속부(34)를 경유하여서 스풀로 전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어서 제1 모터부에서 스풀로의 동력 전동을 제2 감속부(34)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서 수행할 수 있으며, 모터를 두 개 설치한 것이면서도 낚시용 전동 릴의 구조를 간략화시킨 소형화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모터 구동에 의해 스풀을 회전시키는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스풀을 고속, 고(高)토크가 다른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위해 모터로부터의 동력을 감속 기구에 의해 감속시키는 산업상의 기술분야에 기용가능하다.
1: 전동 릴
2; 스풀
3; 릴 본체
5; 핸들
7; 제1 모터부
8: 제2 모터부
12: 클러치 기구
14; 콘트롤박스
16; 제1 감속부
34: 제2 감속부

Claims (3)

  1.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설치되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자유로이 지지되는 스풀과,
    스풀을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제어되는 모터 구동부와,
    핸들 및 모터 구동부에서 스풀로의 동력 전동의 단속(斷續)을 자유롭게 차단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전동 릴로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제1 모터본체부와 그 제1 모터본체부로부터의 동력을 감속하는 제1감속부를 구비한 제1모터부와, 제2 모터본체부와 그 제2 모터본체부로부터의 동력을 감속하는 제2 감속부를 구비한 제2 모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제1 모터부와 제2 모터부는 한쪽이 고속 권취용이며, 다른 쪽이 고(高) 토크 권취용이면서 아울러,
    릴 본체에는 상기 제1, 제2 모터부 중 어느 한쪽의 모터 구동을 선택 조작하기 위한 모터 선택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모터부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수단은, 한쪽의 모터부가 구동되고 있을 때 모터 선택수단에 따른 선택 절환이 있는 경우에 양쪽 모터부를 소정 시간 동안 동시 구동시킨 후, 다른 쪽 모터부의 구동만으로 절환하게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3.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모터부는 스풀 밖에 설치되며, 제2 모터부는 스풀에 내장되는 것으로 하며, 제1 모터부에서 스풀로의 동력 전동은 제1 모터 본체에서 제1 감속부를 거친 동력이 중간 동력 전동기구, 제2 감속부를 경유하여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KR2020100012165U 2010-07-30 2010-11-25 낚시용 전동 릴 KR2004623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165U KR200462333Y1 (ko) 2010-07-30 2010-11-25 낚시용 전동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0-005121 2010-07-30
KR2020100012165U KR200462333Y1 (ko) 2010-07-30 2010-11-25 낚시용 전동 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854U KR20120001854U (ko) 2012-03-12
KR200462333Y1 true KR200462333Y1 (ko) 2012-09-07

Family

ID=4707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165U KR200462333Y1 (ko) 2010-07-30 2010-11-25 낚시용 전동 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33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7941A (ja) 2001-02-23 2002-09-03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230B2 (ja) 1987-08-06 1996-10-09 日本電気株式会社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3159637B2 (ja) 1995-05-30 2001-04-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3537363B2 (ja) 1999-11-22 2004-06-1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7941A (ja) 2001-02-23 2002-09-03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854U (ko) 201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538033A (en) Electric-powered fishing reel
US7398939B2 (en) Electric fishing reel
JP4097150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KR200462333Y1 (ko) 낚시용 전동 릴
JP3163389U (ja) 釣魚用電動リール
JP4909955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0051272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KR100543491B1 (ko) 낚시용 전동 릴
JP4397853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6055073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8193906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7020530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4136991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6174825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6230338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2253091A (ja) 魚釣用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機構
JP2006254806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6166869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960180B2 (ja) 電動リール
JP2006174732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4429770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H07213203A (ja) 魚釣用リール
JP2021193909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3086776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4024061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