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491B1 - 낚시용 전동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전동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491B1
KR100543491B1 KR1020000040391A KR20000040391A KR100543491B1 KR 100543491 B1 KR100543491 B1 KR 100543491B1 KR 1020000040391 A KR1020000040391 A KR 1020000040391A KR 20000040391 A KR20000040391 A KR 20000040391A KR 100543491 B1 KR100543491 B1 KR 100543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pool
motor
gear
fish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925A (ko
Inventor
데라우찌다까시
Original Assignee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6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의 온/오프 절환 조작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소형이고 또한 경량이며 가격이 저렴한 낚시용 전동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릴 본체(2)에 설치되고,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모터(12)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8)과, 모터 정회전시의 회전 운동을 감속하여 스풀에 전달하고, 이 스풀을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감속 기구(20)와, 스풀을 자유 회전 가능 상태와 낚시줄 권취 가능 상태로 선택적으로 절환 가능한 클러치 기구(40)를 구비하고 있으며, 모터의 역회전 방향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스풀을 자유 회전 가능 상태와 낚시줄 권취 가능 상태로 자동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클러치 기구를 절환 제어 가능하게 했다.
낚시용 전동 릴, 클러치 기구, 감속 기구, 스풀

Description

낚시용 전동 릴{Electric Fishing Reel}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전동 릴의 외관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전동 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도2에 도시된 클러치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4의 (a) 및 도4의 (b)는 클러치 온 상태의 클러치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5의 (a) 및 도5의 (b)는 클러치 오프 상태의 클러치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전동 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7은 도6에 도시된 클러치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8의 (a) 및 도8의 (b)는 클러치 온 상태의 클러치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릴 본체
8 : 스풀
12 : 모터
20 : 감속 기구
40 : 클러치 기구
본 발명은, 클러치의 온/오프 절환 조작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낚시용 전동 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낚시용 전동 릴에는, 스풀 자유 회전 상태(클러치 오프)와 낚시줄 권취 가능 상태(클러치 온)로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클러치 기구와, 스풀을 회전시키는 스풀 구동 모터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풀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함으로써, 클러치 기구를 오프에서 온으로 자동 복귀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6-335341호 공보에는, 스풀축 상에 스풀 구동 모터가 배치된 낚시용 전동 릴이 개시되어 있고, 스풀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피니언축으로부터 동력 전달 기구를 거쳐서 클러치 기구에 전달함으로써, 클러치 기구를 오프에서 온으로 자동 복귀시키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9-107853호 공보에는, 스풀축과는 다른 축 상에 스풀 구동 모터가 배치된 낚시용 전동 릴이 개시되어 있고, 스풀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절환 부재 복귀 기구를 거쳐서 클러치 기구에 전달함으로써, 클러치 기구를 오프에서 온으로 자동 복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를 오프에서 온으로 복귀시키는 조작에 대해서는 스풀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지만, 클러치 기구를 온에서 오프로 절환하는 조작은 수동으로 행하는 방법밖에 없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낚시시에 예를 들어 동일한 서식층 부근에 있어서 치켜올리기 조작(채비를 연속적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조작을 반복해야 한다. 즉, 수동으로 클러치 기구를 온에서 오프로 절환 조작하여 채비를 자유 낙하시킨 후, 원하는 타이밍에서 스풀 구동 모터를 구동시켜, 클러치 기구를 오프에서 온으로 자동 복귀시킨 후, 소정량 만큼 낚시줄을 감아 올린다. 그리고, 다시 수동으로 클러치 기구를 온에서 오프로 절환 조작하여 채비를 자유 낙하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치켜올리기 조작이 번잡하게 되어 버린다.
또한, 스풀 구동 모터의 구동력만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치켜올리기 조작을 행하려고 해도, 클러치 기구를 오프에서 온으로 자동 복귀시킨 후에 있어서, 스풀 구동 모터의 구동력은 스풀을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일에만 이용되므로, 채비는 연속적으로 인상되며, 그 결과 동일한 서식층 부근에 채비를 위치시켜 두지 못하게 되어 버린다.
이 경우, 스풀 구동 모터에 부가하여, 또한 클러치 온/오프 절환 조작용의 모터를 릴 본체 내에 별도 증설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두 개의 모터를 릴 본체에 내장하면 릴 본체가 대형화되어 버리는 동시에, 그 중량도 증가해 버릴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도 상승해 버린다.
그래서, 단일의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치켜올리기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목적은 클러치의 온/오프 절환 조작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소형이고 또한 경량이며 가격이 저렴한 낚시용 전동 릴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낚시용 전동 릴은, 릴 본체에 설치되고,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모터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모터 정회전시의 회전 운동을 감속하여 스풀에 전달하고, 이 스풀을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감속 기구와, 스풀을 자유 회전 가능 상태와 낚시줄 권취 가능 상태로 선택적으로 절환 가능한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모터의 역회전 방향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스풀을 자유 회전 가능 상태와 낚시줄 권취 가능 상태로 자동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클러치 기구를 절환 제어 가능하게 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전동 릴에 대하여 도1 내지 도5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좌우 프레임(4a, 4b) 사이에는 스풀축(6)이 베어링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스풀축(6)을 에워싸도록 스풀(8)이 배치되어 있다. 또, 좌우 프레임(4a, 4b)에는 좌우 측판(10a, 10b) 이 부착되어 있다.
좌우 프레임(4a, 4b) 사이에는 스풀(8)[스풀축(6)] 보다도 전방측(낚시줄 방출 방향측)에 스풀 구동 모터(12)(이하, 모터라고 함)가 보유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이 모터(12)의 상방측에는 스풀(8)에 대하여 낚시줄(도시 생략)을 평행하게 권취시키는 레벨 와인드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모터(12)는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일단부측[좌측 프레임(4a)측]으로 연장된 좌측 구동축(12a)과, 그 타단부측[우측 프레임(4b)측]으로 연장된 우측 구동축(12b)을 갖고 있다. 우측 구동축(12b)은 일방향 클러치(11)(이하, 제1 일방향 클러치라고 함)를 거쳐서 후술하는 클러치 제어 기구(13)에 연결되어 있고, 좌측 구동축(12a)은 일방향 클러치(15)(이하, 제2 일방향 클러치라고 함)를 거쳐서 연동 기어 기구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일방향 클러치(11)는 모터(12)가 정회전했을 때 자유 회전 상태로 되어, 우측 구동축(12b)의 구동력을 클러치 제어 기구(13)에 전달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고, 한편 모터(12)가 역회전했을 때 구동력 전달 상태로 되어, 우측 구동축(12b)의 구동력을 클러치 제어 기구(13)에 전달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2 일방향 클러치(15)는 모터(12)가 정회전했을 때 구동력 전달 상태로 되어, 좌측 구동축(12a)의 구동력을 연동 기어 기구에 전달시키도록 되어 있고, 한편 모터(12)가 역회전했을 때 자유 회전 상태로 되어, 좌측 구동축(12a)의 구동력을 연동 기어 기구에 전달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모터(12)가 정회전하고 있는 상태라 함은, 제2 일방향 클 러치(15)를 거쳐서 연동 기어 기구를 구동시켜, 스풀(8)을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한편 모터(12)가 역회전하고 있는 상태라 함은, 제1 일방향 클러치(11)를 거쳐서 클러치 제어 기구(13)를 구동시켜, 후술하는 클러치 기구(40)를 제어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연동 기어 기구는, 제2 일방향 클러치(15)에 연결된 구동 기어(17)와, 이 구동 기어(17)에 맞물린 중간 기어(19)와, 이 중간 기어(19)에 맞물린 스풀 구동용 기어(14)를 구비하고 있으며, 스풀 구동용 기어(14)는 스풀축(6)의 일단부측[좌측 프레임(4a)측]에 회전 방지되게 끼워 맞춰져 있다.
중간 기어(19)는 좌측 프레임(4a)에 회전 방지된 고정축(21)에 지지되어 있고, 이 고정축(21)과 중간 기어(19) 사이에는 일방향 클러치(23)(이하, 제3 일방향 클러치라고 함)가 개재되어 있다.
제3 일방향 클러치(23)는 중간 기어(19)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터(12)가 정회전하여, 그 구동력이 제2 일방향 클러치(15)를 거쳐서 구동 기어(17)에 전달되었을 때, 이 구동 기어(17)의 회전 운동을 스풀 구동용 기어(14)에 전달하도록, 중간 기어(19)는 제3 일방향 클러치(23)에 의해서 일방향으로의 회전이 허용된 상태로 된다. 이에 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동 핸들(60)을 회전 조작하여 스풀(8)을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스풀축(6)[스풀 구동용 기어(14)]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중간 기어(19)는 제3 일방향 클러치(23)에 의해서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정지)된 상태로 된다.
또한, 레벨 와인드 기구는 모터(12)에 의해서 스풀(8)을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혹은 후술하는 핸들 조작에 의해서 스풀(8)을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그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풀축(6)의 타단부측[우측 프레임(4b)측]에는 제1 및 제2 유성 기어 기구(16, 18)로 이루어지는 감속 기구(20)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감속 기구(20)는 모터(12) 정회전시의 스풀축(6)의 회전 운동을 제1 유성 기어 기구(16)로 감속시킨 후, 또 다시 제2 유성 기어 기구(18)로 감속시켜 스풀(8)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4의 (b) 및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성 기어 기구(16)는 스풀축(6)에 회전 방지되게 끼워 맞춰진 제1 태양 기어(22)와, 이 제1 태양 기어(22)에 맞물린 복수의 제1 유성 기어(24)와, 이들 제1 유성 기어(24)가 항상 맞물리도록 스풀(8)의 단부면에 새겨진 내부 기어(26)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제1 유성 기어(24)는 각각 제1 캐리어(32)에 지지되어 있고, 이 제1 캐리어(32)는 스풀축(6)에 대하여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유성 기어 기구(18)는, 제1 캐리어(32)에 고정된 제2 태양 기어(28)와, 이 제2 태양 기어(28)에 맞물린 복수의 제2 유성 기어(30)를 구비하고 있으며, 복수의 제2 유성 기어(30)는 상기의 내부 기어(26)에 항상 맞물리게 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유성 기어(30)는 각각 제2 캐리어(34)에 지지되어 있고, 이 제2 캐리어(34)는 스풀(8)에 부착된 브래킷(36)에 끼워 맞춰지며, 또한 베어링(37)을 거쳐서 스풀축(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브래킷(36)은 베어링(39)을 거쳐서 우측 프레임(4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2 내지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축(6)의 타단부측에 있어서, 우측 프레임(4b)과 우측 측판(10b) 사이에는 후술하는 클러치 제어 기구(13)에 의해서 제어(클러치 온/오프 절환 제어)되는 클러치 기구(40)가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40)에는 스풀축(6)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술한 감속 기구(20)[구체적으로는 제2 캐리어(34)]에 대하여 결합 또는 비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피니언(42)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피니언(42)은 클러치 제어 기구(13)[클러치 기구(40)]의 온/오프 절환 제어에 의해서, 감속 기구(20)[제2 캐리어(34)]를 거쳐서 간접적으로 스풀축(6)에 결합 또는 비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스풀축(6)의 타단부측에 감속 기구(20)를 배치하지 않은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도시 생략)에서는, 피니언(42)은 클러치 제어 기구(13)[클러치 기구(40)]의 온/오프 절환 제어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스풀축(6)에 결합 또는 비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피니언(42)에는 그 외주면에 원주홈(4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원주홈(42a)에는 클러치 제어 기구(13)[클러치 기구(40)]의 온/오프 절환 제어에 의해서, 피니언(42)을 스풀축(6)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한 슬라이드편(44)이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드편(44)은 스풀축(6)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안내봉(46)으로 안내 되면서, 스풀축(6)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드편(44)을 스풀축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클러치 기구(40)에는 클러치 제어 기구(13)[클러치 기구(40)]의 온/오프 절환 제어에 연동하여 일정 방향(S)(도3 참조)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플레이트(4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클러치 온 상태[피니언(42)이 감속 기구(20)의 제2 캐리어(34)에 대하여 결합된 상태: 도4의 (b) 참조]로부터 클러치 오프 제어하면, 그 클러치 오프 제어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48)가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플레이트(48)의 슬라이드 동작에 연동하여, 슬라이드편(44)은 한 쌍의 안내봉(46)으로 안내되면서, 스풀축(6)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 때, 슬라이드편(44)이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42)은, 슬라이드편(44)의 슬라이드 동작에 연동하여 제2 캐리어(34)로부터 이탈한다. 이 결과, 피니언(42)을 제2 캐리어(34)에 대하여 비결합 상태, 즉 스풀(8)을 자유 회전 가능 상태[클러치 오프 상태: 도5의 (b) 참조]로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클러치 오프 상태[피니언(42)이 감속 기구(20)의 제2 캐리어(34)에 대하여 비결합으로 되어 있는 상태: 도5의 (b) 참조]로부터 클러치 온 제어하면, 그 클러치 온 제어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48)가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플레이트(48)의 슬라이드 동작에 연동하여, 슬라이드편(44)은 한 쌍의 안내봉(46)으로 안내되면서, 스풀축(6)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 때, 슬라이드편(44)이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42)은, 슬라이드편(44)의 슬라이드 동작에 연동하여 제2 캐리어(34)에 결합된다. 이 결과, 피니언(42)을 제2 캐리어(34)에 대하여 결합 상태[클러치 온 상태: 도4의 (b) 참조]로 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 플레이트(48)에는 위치 결정 보유 지지용 스프링(도시 생략)이 부착되어 있고, 이 위치 결정 보유 지지용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48)를 클러치 온 상태[도4의 (a), 도4의 (b) 참조]와 클러치 오프 상태[도5의 (a) 및 도5의 (b) 참조]로 각각 위치 결정 보유 지지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42)에는 핸들축(50)에 부착된 드라이브 기어(52)가 맞물려 있고, 이 드라이브 기어(52)와 핸들축(50) 사이에는 낚시시에 스풀(8)로부터 낚시줄(도시 생략)이 방출되었을 때, 스풀(8)에 원하는 드래그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주지의 드래그 기구(54)가 배치되어 있다.
또, 낚시시에, 모터(12)에 의해서 스풀(8)을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이에 연동하여 핸들축(5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핸들축(50)에는 역회전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회전 방지 기구는, 외주면에 래칫 갈고리(56a)가 소정 피치로 형성된 래칫(56)과, 래칫 갈고리(56a)에 대하여 일정한 압박력으로 항상 결합되어 있는 스톱퍼(58)를 구비하고 있으며, 래칫(56)은 핸들축(50)에 회전 방지되게 끼워 맞춰져 있다.
이와 같은 역회전 방지 기구에 따르면, 모터(12)에 의해서 스풀(8)을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는 래칫 갈고리(56a)에 스톱퍼(58)가 결합됨으로써, 모터(12)의 회전에 연동하여 핸들축(5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핸들 축(50)에 부착된 수동 핸들(60)을 회전 조작하여 스풀(8)을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수동 핸들(60)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핸들축(5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적용한 클러치 제어 기구(1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제어 기구(13)는 제1 일방향 클러치(11)를 거쳐서 모터(12)의 우측 구동축(12b)에 연결되어 있고, 모터(12)가 역회전했을 때 제1 일방향 클러치(11)로부터 출력되는 우측 구동축(12b)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술한 클러치 기구(40)를 제어(클러치 온/오프 절환 제어)하며, 피니언(42)을 감속 기구(20)[제2 캐리어(34)]에 대하여 결합 또는 비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제어 기구(13)는, 제1 일방향 클러치(11)에 연결되고, 또한 모터(12)의 역회전시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축(70)과, 이 구동력 전달축(70)의 회전 운동을 감속하여 클러치 기구(40)에 전달하고, 또한 이 클러치 기구(40)를 제어하는 전방측 및 후방측의 유성 기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측의 유성 기어 기구는, 구동력 전달축(70)에 회전 방지된 제1 태양 기어(72)와, 이 제1 태양 기어(72)에 맞물린 복수의 제1 유성 기어(74)와, 이들 제1 태양 기어(74)가 항상 맞물리는 내부 기어(76)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 기어(76)는 지지 프레임(78)을 거쳐서 우측 프레임(4b)에 고정되어 있다.
후방측의 유성 기어 기구는, 구동력 전달축(70)에 대하여 자유 회전 가능하 게 지지된 제2 태양 기어(80)와, 이 제2 태양 기어(80)에 맞물린 복수의 제2 유성 기어(82)를 구비하고 있으며, 복수의 제2 유성 기어(82)는 상기의 내부 기어(76)에 항상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유성 기어(74)는 각각 제1 캐리어(8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제1 캐리어(84)는 제2 태양 기어(8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유성 기어(82)는 각각 제2 캐리어(8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제2 캐리어(86)는 상술한 클러치 기구(40)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캐리어(86)에는 1개의 보스(88)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한편 클러치 기구(40)의 슬라이드 플레이트(48)에는 긴 구멍(4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88)를 긴 구멍(48a)에 결합시킴으로써, 제2 캐리어(86)는 클러치 기구(40)[슬라이드 플레이트(48)]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제2 캐리어(86)가 회전하면, 그 회전에 수반하여 보스(88)가 180 °회전한다. 이 때, 보스(88)가 긴 구멍(48a)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동시에, 제2 캐리어(86)의 회전 운동을 화살표(S) 방향(도3 참조)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48)에 전달한다. 이 때, 슬라이드 플레이트(48)가 화살표(S)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슬라이드편(44)을 한 쌍의 안내봉(46)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킨다. 이 슬라이드편(44)에는 피니언(42)이 결합되어 있고, 슬라이드편(44)이 슬라이드함으로써, 피니언(42)을 스풀축(6)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이 결과, 피니언(42)을 상술한 감속 기구(20)[제2 캐리어(34)]에 대하여 결합 또는 비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상술한 클러치 제어 기구(13)에 의해서 클러치 기구(40)를 온/오프 절환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1 내지 도5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클러치 제어 기구(13)에 의해서 클러치 기구(40)를 온/오프 절환 제어하는 경우에는, 릴 본체(2)의 표면(낚시하는 사람에 대향하는 면)에 탑재된 조작 패널(90)(도1 참조)을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온 상태[피니언(42)이 감속 기구(20)의 제2 캐리어(34)에 결합된 상태: 낚시줄 권취 가능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피니언(42)이 제2 캐리어(34)에 비결합된 상태: 스풀(8)의 자유 회전 가능 상태] 로 자동적 또는 선택적으로 절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우선, 클러치 오프 상태로 클러치 기구(40)가 절환 제어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도5의 (a), 도5의 (b) 참조], 이 상태에 있어서 피니언(42)이 감속 기구(20)의 제2 캐리어(34)에 대하여 비결합 상태로 되므로, 스풀(8)은 자유 회전 가능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낚시줄은 채비의 자유 낙하에 의해서 스풀(8)로부터 방출된다.
그리고, 낚시줄이 원하는 양만큼 방출되었을 때(예를 들어, 채비가 원하는 서식층에 도달했을 때), 조작 패널(90)을 온 조작하면 모터(12)가 역회전하고, 그 때의 역회전 운동은 좌측 구동축(12a) 및 우측 구동축(12b)으로 각각 출력된다.
좌측 구동축(12a)은 제2 일방향 클러치(15)를 거쳐서 연동 기어 기구에 연결되어 있고, 이 제2 일방향 클러치(15)는 모터(12)가 역회전했을 때 자유 회전 상태로 되므로, 좌측 구동축(12a)의 구동력은 연동 기어 기구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우측 구동축(12b)은 제1 일방향 클러치(11)를 거쳐서 클러치 제어 기구(13)에 연결되어 있고, 이 제1 일방향 클러치(11)는 모터(12)가 역회전했을 때 구동력 전달 상태로 되므로, 우측 구동축(12b)의 구동력은 클러치 제어 기구(13)에 전달된다.
클러치 제어 기구(13)에 전달된 우측 구동축(12b)의 구동력은 전방측의 유성 기어 기구로 감속된 후, 계속해서 후방측의 유성 기어 기구로 감속된다.
우선, 전방측의 유성 기어 기구에 전달된 우측 구동축(12b)의 구동력은, 구동력 전달축(70)을 거쳐서 제1 태양 기어(72)에 전달되고, 이 제1 태양 기어(72)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제1 태양 기어(72)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복수의 제1 유성 기어(74)는 자전하면서 동시에 내부 기어(76)를 따라서 공전한다.
복수의 제1 유성 기어(74)는 제1 캐리어(8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제1 유성 기어(74)가 자전하면서 공전하면, 그 공전 운동에 이끌려 제1 캐리어(84)가 회전한다. 이 때, 제1 캐리어(84)의 회전 운동은 후방측의 유성 기어 기구에 전달된다.
후방측의 유성 기어 기구에 전달된 제1 캐리어(84)의 회전 운동은, 이 제1 캐리어(84)에 연결된 제2 태양 기어(80)에 전달되고, 이 태양 기어(80)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제2 태양 기어(80)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복수의 제2 유성 기어(82)는 자전하면서 동시에 내부 기어(76)를 따라서 공전한다.
복수의 제2 유성 기어(82)는 제2 캐리어(8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제2 유성 기어(82)가 자전하면서 공전하면, 그 공전 운동에 이끌려 제2 캐리어(86)가 회전한다. 이 때, 제2 캐리어(86)의 회전 운동은 클러치 기구(40)에 전달된다.
이 경우, 제2 캐리어(86)가 회전하면, 그 회전에 수반하여 보스(88)가 화살표(R) 방향[도5의 (a), 도5의 (b) 참조]으로 180 °회전한다. 이 때, 보스(88)가 긴 구멍(48a)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동시에, 제2 캐리어(86)의 회전 운동을 화살표(S) 방향(도3 참조)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48)에 전달한다. 이 때, 슬라이드 플레이트(48)가 화살표(S)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슬라이드편(44)을 한 쌍의 안내봉(46)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피니언(42)을 감속 기구(20)[제2 캐리어(34)]에 대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결과, 클러치 기구(40)는 클러치 오프 상태[도5의 (a), 도5의 (b) 참조]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도4의 (a), 도4의 (b) 참조]로 절환된다.
클러치 기구(40)가 클러치 온 상태(낚시줄 권취 가능 상태)로 절환되면, 이 절환 제어에 연동하여 모터(12)가 정회전하고, 그 때의 정회전 운동은 좌측 구동축(12a) 및 우측 구동축(12b)으로 각각 출력된다.
우측 구동축(12b)은 제1 일방향 클러치(11)를 거쳐서 클러치 제어 기구(13)에 연결되어 있고, 이 제1 일방향 클러치(11)는 모터(12)가 정회전했을 때 자유 회전 상태로 되므로, 우측 구동축(12b)의 구동력은 클러치 제어 기구(13)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좌측 구동축(12a)은 제2 일방향 클러치(15)를 거쳐서 연동 기어 기구에 연결되어 있고, 이 제2 일방향 클러치(15)는 모터(12)가 정회전했을 때 구동력 전달 상태로 되므로, 좌측 구동축(12a)의 구동력은 연동 기어 기구에 전달 된다.
연동 기어 기구에 전달된 좌측 구동축(12a)의 구동력은, 제2 일방향 클러치(15)에 연결된 구동 기어(17)로부터 중간 기어(19)를 거쳐서 스풀 구동용 기어(14)에 전달되고, 스풀축(6)을 낚시줄 방출 방향(낚시줄 권취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이 스풀축(6)의 회전 운동은 감속 기구(20)[제1 유성 기어 기구(16), 제2 유성 기어 기구(18)]를 거쳐서 스풀(8)에 전달된다.
제1 유성 기어 기구(16)에 전달된 스풀축(6)의 회전 운동은, 스풀축(6)에 회전 방지되게 끼워 맞춰진 제1 태양 기어(22)를 낚시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제1 태양 기어(22)에 맞물려 있는 복수의 제1 유성 기어(24)는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자전하면서 동시에 제1 태양 기어(22)의 주위를 낚시줄 방출 방향으로 공전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유성 기어(24)의 자전 운동은 스풀(8)의 단부면에 새겨진 내부 기어(26)에 전달되고, 이 내부 기어(26)를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결과, 내부 기어(26)가 새겨진 스풀(8)을, 제1 유성 기어 기구(16)에 의해서 감속시킨 상태로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유성 기어(24)가 낚시줄 방출 방향으로 공전하면, 그 공전 운동에 이끌려, 이들 제1 유성 기어(24)를 지지하고 있는 제1 캐리어(32)가 낚시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 운동은 제2 유성 기어 기구(18)에 전달된다.
제2 유성 기어 기구(18)에 전달된 제1 캐리어(32)의 회전 운동은, 이 제1 캐리어(32)에 연결한 제2 태양 기어(28)에 전달되고, 이 제2 태양 기어(28)를 낚시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제2 태양 기어(28)에 맞물린 동시에 제2 캐리어(34)에 지지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유성 기어(30)에는, 이들 제2 유성 기어(30)를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자전시키면서 동시에, 제2 태양 기어(28)의 주위를 낚시줄 방출 방향으로 공전시키는 힘이 작용하며, 그 공전 운동에 의해서 제2 캐리어(34)에는 낚시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상술한 역회전 방지 기구에 의해서 핸들축(6)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이 핸들축(6)에 드라이브 기어(52)를 거쳐서 연결한 피니언(42)의 회전도 규제된다. 이 결과, 이 피니언(42)이 결합된 제2 캐리어(34)는 회전하지 않고 일정 위치에 정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2 태양 기어(28)가 낚시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제2 캐리어(34)에 지지된 복수의 제2 유성 기어(30)는 제2 태양 기어(28)의 주위를 공전하지 않고 일정 위치에서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자전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제2 유성 기어(28)의 자전 운동은 스풀(8)의 단부면에 새겨진 내부 기어(26)에 전달되고, 이 내부 기어(26)를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결과, 내부 기어(26)가 새겨진 스풀(8)을, 제2 유성 기어 기구(18)에 의해서 감속시킨 상태로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풀축(6)의 회전 운동을 감속 기구(20)[제1 유성 기어 기구(16), 제2 유성 기어 기구(18)]를 거쳐서 스풀(8)에 전달하고, 이 스풀(8)을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는 동안, 동시에 레벨 와인드 기구(도시 생략)를 구동함으로써 낚시줄을 스풀(8)에 대하여 평행하게 권취시킬 수 있다.
또, 모터(12)를 정지시키고 수동 핸들(60)을 회전 조작한 경우, 수동 핸들(60)의 회전 운동은 핸들축(6)으로부터 드래그 기구(54)를 거쳐서 드라이브 기어(52)에 전달된 후, 피니언(42)으로부터 감속 기구(20)[구체적으로는, 제2 캐리어(34)]에 전달되어, 이 제2 캐리어(34)를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2 캐리어(34)에는 복수의 제2 유성 기어(30)가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2 캐리어(34)가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회전 운동은 복수의 제2 유성 기어(30)로부터 제2 태양 기어(28)를 거쳐서 제1 캐리어(32)에 전달된 후, 이 제1 캐리어(32)에 지지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유성 기어(24)를 거쳐서 제1 태양 기어(22)에 전달되어, 이 제1 태양 기어(22)를 회전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제1 태양 기어(22)가 회전 방지되게 끼워 맞춰진 스풀축(6)은, 상술한 제3 일방향 클러치(23)에 의해서 그 회전이 정지(규제)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제1 태양 기어(22)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제1 유성 기어(22)는 비회전 상태의 제1 태양 기어(22)의 주위를 자전하면서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공전한다.
이 때, 복수의 제1 유성 기어(22)의 회전 운동은 손실없이 내부 기어(26)에 전달되며, 이 내부 기어(26)를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결과, 내부 기어(26)가 새겨진 스풀(8)을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동안에 동시에 레벨 와인드 기구가 구동함으로써, 낚시줄을 스풀(8)에 대하여 평행하게 권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러치 기구(40)가 클러치 온 상태에 있을 때, 조작 패널(90)을 오프 조작하면 다시 모터(12)가 역회전하고, 그 때의 역회전 운동은 좌측 구동축(12a) 및 우측 구동축(12b)으로 각각 출력된다.
이 경우, 제2 일방향 클러치(15)는 자유 회전 상태로 되므로, 좌측 구동축(12a)의 구동력은 연동 기어 기구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제1 일방향 클러치(11)는 구동력 전달 상태로 되므로, 우측 구동축(12b)의 구동력은 클러치 제어 기구(13)에 전달된다.
클러치 제어 기구(13)에 전달된 우측 구동축(12b)의 구동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측 및 후방측의 유성 기어 기구로 감속된 후, 클러치 기구(40)에 전달되며, 피니언(42)을 감속 기구(20)[제2 캐리어(34)]에 대하여 비결합시킨다. 이 결과, 클러치 기구(40)는 클러치 온 상태[도4의 (a), 도4의 (b) 참조]로부터 클러치 오프 상태[도5의 (a), 도5의 (b)]로 절환되며, 낚시줄을 채비의 자유 낙하에 의해서 스풀(8)로부터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낚시줄이 원하는 양만큼 방출되었을 때(예를 들어, 채비가 원하는 서식층에 도달했을 때) 조작 패널(90)을 온 조작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다시 낚시줄을 스풀(8)에 권취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스(88)를 180 °회전마다 정지 제어하고 있는데, 이 제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모터(12)의 회전수를 전기적 또는 자기적으로 카운트하는 방법이나, 클러치 플레이트(48)의 슬라이드량이나 제2 캐리어(86)의 회전량을 전기적 또는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미 공지되어 있는 낚시용 전동 릴의 구 성에 대하여 클러치 제어 기구(13)를 조립하는 것만으로, 클러치의 온/오프 절환 조작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낚시용 전동 릴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작 패널(90)에 의해서 클러치의 온/오프 절환 타이밍을 낚시하는 사람의 기호나 낚시 환경에 맞춰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낚시시에 예를 들어 동일한 서식층 부근에 있어서 치켜올리기 조작(채비를 연속적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라도, 클러치 기구(40)를 온에서 오프로, 그리고 오프에서 온으로 자동적이면서 또한 설정한 타이밍으로 절환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일의 모터(12)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치켜올리기 조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클러치 온/오프 절환 조작용의 모터를 릴 본체 내에 별도로 증설할 필요도 없다. 이 결과, 소형이고 또한 경량이며 가격이 저렴한 낚시용 전동 릴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전동 릴에 대하여, 도6 내지 도8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설명을 행할 때,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모터(12)는 스풀(8) 내에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12)의 좌측 구동축(12a)은 일방향 클러치(92)(이하, 제1 일방향 클러치라고 함)를 거쳐서 클러치 제어 기구(13)에 연결되어 있고, 우측 구동축(12b)은 일방향 클러치(94)(이하, 제2 일방향 클러치라고 함)를 거쳐서 감속 기구(20)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일방향 클러치(92)는 모터(12)가 정회전했을 때 자유 회전 상태로 되며, 좌측 구동축(12a)의 구동력을 클러치 제어 기구(13)에 전달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고, 한편 모터(12)가 역회전했을 때 구동력 전달 상태로 되며, 좌측 구동축(12a)의 구동력을 클러치 제어 기구(13)에 전달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2 일방향 클러치(94)는 모터(12)가 정회전했을 때 구동력 전달 상태로 되며, 우측 구동축(12b)의 구동력을 감속 기구(20)에 전달시키도록 되어 있고, 한편 모터(12)가 역회전했을 때 자유 회전 상태로 되며, 우측 구동축(12b)의 구동력을 감속 기구(20)에 전달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모터(12)가 정회전하고 있는 상태라 함은, 제2 일방향 클러치(94)를 거쳐서 감속 기구(20)를 구동시켜, 스풀(8)을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한편 모터(12)가 역회전하고 있는 상태라 함은, 제1 일방향 클러치(92)를 거쳐서 클러치 제어 기구(13)를 구동시켜, 클러치 기구(40)를 제어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일방향 클러치(94)와 우측 측판(10b) 사이에는 모터(12)의 좌우 구동축(12a, 12b)과 동축 상에, 제2 일방향 클러치(94)와 함께 회전 가능한 연동축(96)이 설치되어 있고, 이 연동축(96)에는 제3 일방향 클러치(98)가 부착되어 있다.
제3 일방향 클러치(98)는 연동축(96)을 일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하면서 또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터(12)가 정회전했을 때, 우측 구동축(12b)의 구동력을 제2 일방향 클러치(94)로부터 감속 기구(20)에 전달시키도록 연동축(96)을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수동 핸들(60)을 회전 조작하여 스풀(8)을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는 연동축(96)의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감속 기구(20)는 제1 및 제2 유성 기어 기구(16, 18)로 이루어지며, 모터(12)의 정회전시에 제2 일방향 클러치(94)의 회전 운동을 제1 유성 기어 기구(16)로 감속시킨 후, 또 다시 제2 유성 기어 기구(18)로 감속시켜 스풀(8)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8의 (b)도8의 (b)시한 바와 같이, 제1 유성 기어 기구(16)는, 제2 일방향 클러치(94)에 회전 방지되게 끼워 맞춰진 제1 태양 기어(22)와, 이 제1 태양 기어(22)에 맞물린 복수의 제1 유성 기어(24)와, 이들 제1 유성 기어(24)가 항상 맞물리도록 스풀(8)의 단부면에 새겨진 내부 기어(26)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유성 기어 기구(18)는, 제3 일방향 클러치(98)에 고정된 제2 태양 기어(28)와, 이 제2 태양 기어(28)에 맞물린 복수의 제2 유성 기어(30)를 구비하고 있으며, 복수의 제2 유성 기어(30)는 상기의 내부 기어(26)에 항상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유성 기어(24)는 각각 제1 캐리어(32)에 지지되어 있고, 이 제1 캐리어(32)는 제2 태양 기어(28)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유성 기어(30)는 각각 제2 캐리어(34)에 지지되어 있고, 이 제2 캐리어(34)는 스풀(8)에 부착된 브래킷(36)에 끼워 맞춰져 있다. 또, 브래킷(36)은 베어링(39)을 거쳐서 우측 프레임(4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클러치 기구(40)에 있어서, 피니언(42)은 연동축(96) 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술한 감속 기구(20)[구체적으로는, 제2 캐리어(34)]에 대하여 결합 또는 비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피니언(42)에는 그 외주면에 원주홈(4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원주홈(42a)에는 클러치 제어 기구(13)[클러치 기구(40)]의 온/오프 절환 제어에 의해서, 피니언(42)을 연동축(96)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한 슬라이드편(44)이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드편(44)은 연동축(96)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안내봉(46)으로 안내되면서, 연동축(96)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드편(44)을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클러치 기구(40)에는 클러치 제어 기구(13)[클러치 기구(40)]의 온/오프 절환 제어에 연동하여 일정 방향(S)(도7 참조)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플레이트(4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적용한 클러치 제어 기구(1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제어 기구(13)는 제1 일방향 클러치(92)를 거쳐서 모터(12)의 좌측 구동축(12a)에 연결되어 있고, 모터(12)가 역회전했을 때 제1 일방향 클러치(92)로부터 출력되는 좌측 구동축(12a)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술한 클러치 기구(40)를 제어(클러치 온/오프 절환 제어)하며, 피니언(42)을 감속 기구(20)[제2 캐리어(34)]에 대하여 결합 또는 비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제어 기구(13)는, 제1 일방향 클러치(92)에 연결되고, 또한 모터(12)의 역회전시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축(70)과, 이 구동력 전달축(70)의 회전 운동을 감속하여 클러치 기구(40)에 전달하고, 또한 이 클러치 기구(40)를 제어하는 전방측 및 후방측의 유성 기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측 유성 기어 기구는, 구동력 전달축(70)에 회전 방지된 제1 태양 기어(72)와, 이 제1 태양 기어(72)에 맞물린 복수의 제1 유성 기어(74)와, 이들 제1 태양 기어(74)가 항상 맞물리는 내부 기어(76)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 기어(76)는 지지 프레임(78)을 거쳐서 좌측 프레임(4a)에 고정되어 있다.
후방측의 유성 기어 기구는, 구동력 전달축(70)에 대하여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2 태양 기어(80)와, 이 제2 태양 기어(80)에 맞물린 복수의 제2 유성 기어(82)를 구비하고 있으며, 복수의 제2 유성 기어(82)는 상기의 내부 기어(76)에 항상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유성 기어(74)는 각각 제1 캐리어(8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제1 캐리어(84)는 제2 태양 기어(8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유성 기어(82)는 각각 제2 캐리어(8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제2 캐리어(80)는 구동력 전달축(70)에 회전 방지된 기어(100)에 연결되어 있다.
기어(100)는 연동 기어(102)를 거쳐서 클러치 연동축(104)에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연동축(104)은 좌측 프레임(4a)으로부터 우측 프레임(4b)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고, 이 클러치 연동축(104)의 연장 단부[우측 프레임(4b)측 부분]에는 원형 플레이트(106)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원형 플레이트(106)는 상술한 클러치 기구(40)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형 플레이트(106)에는 1개의 보스(88)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한편 클러치 기구(40)의 슬라이드 플레이트(48)에는 긴 구멍(4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88)를 긴 구멍(48a)에 결합시킴으로써, 원형 플레이트(106)는 클러치 기구(40)[슬라이드 플레이트(48)]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모터(12)를 역회전시켰을 때, 제1 일방향 클러치(92)로부터 출력되는 좌측 구동축(12a)의 구동력은, 클러치 제어 기구(13)로부터 기어(100)를 거쳐서 연동 기어(102)에 전달되고, 클러치 연동축(104)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클러치 연동축(104)이 회전하면, 이 회전 운동과 함께 원형 플레이트(106)가 회전하고, 그 회전에 수반하여 보스(88)가 회전한다. 이 때, 보스(88)가 긴 구멍(48a)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동시에, 원형 플레이트(106)의 회전 운동을 화살표(S) 방향(도7 참조)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48)에 전달한다. 이 때, 슬라이드 플레이트(48)가 화살표(S)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슬라이드편(44)을 한 쌍의 안내봉(46)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킨다. 이 슬라이드편(44)에는 피니언(42)이 결합되어 있고, 슬라이드편(44)이 슬라이드함으로써, 피니언(42)을 연동축(96)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이 결과, 피니언(42)을 상술한 감속 기구(20)[제2 캐리어(34)]에 대하여 결합 또는 비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그 밖의 구성 및 동작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클러치의 온/오프 절환 조작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소형이고 또한 경량이며 가격이 저렴한 낚시용 전동 릴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러치의 온/오프 절환 조작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소형이고 또한 경량이며 가격이 저렴한 낚시용 전동 릴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릴 본체에 설치되고,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모터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모터 정회전시의 회전 운동을 감속하여 스풀에 전달하고, 이 스풀을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감속 기구와,
    스풀을 자유 회전 가능 상태와 낚시줄 권취 가능 상태로 선택적으로 절환 가능한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모터의 역회전 방향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스풀을 자유 회전 가능 상태와 낚시줄 권취 가능 상태로 자동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클러치 기구를 절환 제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KR1020000040391A 1999-07-15 2000-07-14 낚시용 전동 릴 KR100543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01811 1999-07-15
JP20181199A JP3501691B2 (ja) 1999-07-15 1999-07-15 魚釣用電動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925A KR20010066925A (ko) 2001-07-11
KR100543491B1 true KR100543491B1 (ko) 2006-01-23

Family

ID=1644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391A KR100543491B1 (ko) 1999-07-15 2000-07-14 낚시용 전동 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01691B2 (ko)
KR (1) KR100543491B1 (ko)
TW (1) TW4404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2312B1 (en) * 2016-04-25 2020-09-15 Amir Norton System for attracting and catching fish
JP7307693B2 (ja) * 2020-03-24 2023-07-1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2022185844A (ja) * 2021-06-03 2022-12-1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25342A (ja) 2001-01-30
JP3501691B2 (ja) 2004-03-02
TW440427B (en) 2001-06-16
KR20010066925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4572B2 (en) Driving apparatus for vehicle door
JP4885666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WO2015025544A1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KR100543491B1 (ko) 낚시용 전동 릴
JP4097150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H0947198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419915B2 (ja) 負荷感応型磁気クラッチ装置
JP3579319B2 (ja) 魚釣用リール
CN220511995U (zh) 一种卷线线杯及其多操作模式渔线轮
JP3907114B2 (ja) 魚釣用リール
JP3163389U (ja) 釣魚用電動リール
KR200462333Y1 (ko) 낚시용 전동 릴
JP2001148977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21193909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1224287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957643B2 (ja) 電動リール
JP2003079293A (ja) 魚釣用電動リールの減速装置
JPH04281732A (ja) 電動リール
JP2006055073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3566619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H04158729A (ja) 両軸受リール
JP2930630B2 (ja) 電動リール用クラッチ
JPH07213203A (ja) 魚釣用リール
JP2007222112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H11215939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