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280Y1 -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280Y1
KR200458280Y1 KR2020090002249U KR20090002249U KR200458280Y1 KR 200458280 Y1 KR200458280 Y1 KR 200458280Y1 KR 2020090002249 U KR2020090002249 U KR 2020090002249U KR 20090002249 U KR20090002249 U KR 20090002249U KR 200458280 Y1 KR200458280 Y1 KR 200458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hamber
electric heater
inlet
heat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2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833U (ko
Inventor
주연종
박형노
Original Assignee
박형노
주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노, 주연종 filed Critical 박형노
Priority to KR2020090002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28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8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8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2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74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 A23L7/178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by pressure release with o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 A23P30/38Puffing or expanding by he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뻥튀기할 재료를 수용하고 밀폐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가해진 열에 의해 가열되며, 그 일측에 상기 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압력챔버와; 상기 압력챔버의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를 입구 측으로 가압하여 압력챔버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과; 상기 밀폐수단에 의해 밀폐된 압력챔버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압력챔버를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싱과; 상기 압력챔버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에 의해 발열하여 압력챔버를 가열하는 전기히터와; 상기 전기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는, 가스버너를 대신하여 전기히터를 사용하므로 가스폭발에 대한 위험이나 부담이 없어 실외는 물론 실내에서 얼마든지 사용가능 하고, 특히 전기히터가 압력챔버를 완전히 감싸고 있으므로 열효율이 매우 뛰어나며, 콘트롤러를 통해 온도조절을 쉽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뻥튀기, 전기히터, 전기가열, 콘트롤러, 온도제어

Description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Popping rice device having electric heater}
본 고안은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뻥튀기장치는, 쌀이나 감자 또는 옥수수 등의 재료를 압력챔버에 넣고 밀폐 가열하여 압력챔버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킨 후, 압력챔버를 순간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압력챔버 내부의 압력을 급격히 떨어뜨려 가열된 재료가 팽창되도록 튀기는 장치이다.
상기한 뻥튀기장치에는 많은 종류가 있으며, 예컨대 쌀이나 보리 또는 감자나 고구마 등의 튀길 재료(이하, 재료)를 밀폐 수용하는 압력챔버와, 상기 압력챔버를 밀폐하는 밀폐수단과, 밀폐된 압력챔버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가열되는 동안 압력챔버를 회전시켜 재료가 압력챔버 내부에서 고르게 혼합되도록 하는 회전수단 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도 1에 종래 뻥튀기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뻥튀기장치(11)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그 아래쪽에 구멍(17a)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17)과, 상기 케이싱(17)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베어링(17b) 지지되어 축회전 하는 압력챔버(13)와, 상기 압력챔버(13)의 입구(13a)를 개폐하는 마개(15)와, 상기 마개(15)를 압력챔버(13)측으로 가압하는 밀폐수단(40)과, 상기 압력챔버(13)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0)과, 상기 케이싱(17)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멍(17a)을 통해 압력챔버(13)를 가열하는 가스버너(19)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7)은 외부의 프레임(미도시)에 지지된 상태로 그 내부에 압력챔버(13)를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케이싱(17)은 가스버너(19)의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압력챔버(13)는 케이싱(17)에 베어링(17b) 지지되어 회전축(25)를 중심으로 축회전하는 압력용기이다. 상기 압력챔버(13)는 튀길 재료를 수용하며 그 일측에 입구(13a)를 갖는다. 상기 입구(13a)를 통해 재료를 투입하고, 또한 마개(15)를 개방하는 순간 튀겨진 과자가 입구(13a)를 통해 외부로 튀어나옴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수단(30)은, 회전축(25)에 동심을 가지도록 고정되는 종동풀리(27)와, 상기 종동풀리(27)의 측부에 위치되며 종동풀리(27)에 벨트(35) 연결되는 구동풀리(33)와, 상기 구동풀리(33)를 회전시키는 모터(31)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31)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에 의해 동작하여 종동풀리(27)를 소정 속도로 회전시킨다. 즉 압력챔버(13)를 소정 속도로 회전시킨다.
도면부호 29는 손잡이이다. 상기 손잡이(29)는 모터(31)나 벨트(35) 등이 없을 경우 작업자가 압력챔버(13)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마련한 것이다. 상기 압력챔버(13)의 측부에는 압력챔버(13)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게이지(47)도 설치된다.
상기 압력챔버(13)의 입구(13a)측 외주부에는 두 개의 힌지(37)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힌지 중 일측 힌지에는 마개지지아암(39)이 핀(39a)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마개지지아암(39)은 ㄷ 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부재로서 핀(39a)의 반대측 부분에는 개방홈(39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홈(39b)은 마개지지아암(39)이 상부로 회동했을 때 상측 힌지(37)에 마련되어 있는 관통구멍(미도시)에 일직선으로 맞추어진다.
상기 개폐레버(41)는 (일직선으로 맞추어진 상태의) 상기 관통구멍과 개방홈(39b)을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ㄴ 자 형태로 절곡된 부재로서 그 일부분에 평면부(41a)를 갖는다. 상기 평면부(41a)는 개방홈(39b)의 개방폭(a)보다 작은 두께(b)를 갖는 부분이다. 아울러 상기 개폐레버(41)의 직경은 개방홈(39b)의 내경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마개지지아암(39)을 상향 회동시킨 상태로 개폐레버(41)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끼우면 마개지지아암(39)이 그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마개지지아암(39)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개폐레버(41)를 화살표 d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된다. 상기 개폐레버(41)를 90도 회전시키면 평면부(41a)가 수평으로 위치하여 개방홈(39b)으로부터 개폐래버(41)가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개지지아암(39)의 중앙부에는 이송스크류(43)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스크류(43)의 일단부에는 마개(15)가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마개이송레버(45)가 끼워진다. 상기 이송스크류(43)는 마개이송레버(45)를 회전시킴에 따라 직선 운동하여 마개(15)를 상기 입구(13a)측으로 가압하거나 입구(13a)로부터 이탈시킨다.
한편, 상기 압력챔버(13)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스버너(19)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멍(17a)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가스버너(19)의 열은 구멍(17a)을 통해 압력챔버(13)로 전달된다. 상기 가스버너(19)에는 외부의 가스를 가스버너(19)로 공급하기 위한 가스관(21)이 연결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부호 23은 밸브이다. 상기 밸브(23)를 통해 가스버너(19)의 화력을 조절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뻥튀기장치(11)는, 압력챔버(13)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 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항상 폭발 및 화재의 위험성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뻥튀기장치(11)를 실내에서 사용하지 못하고 거의 대부분 실외에서만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특히 상기 가스버너(19)가 압력챔버(13)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압력챔버(13)를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압력챔버에 대한 가열면적이 좁아 열효율이 좋지 못하고 가열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가스소모량도 증가하여 수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가스버너를 대신하여 전기히터를 사용하므로 가스폭발에 대한 위험이나 부담이 없어 실외는 물론 실내에서 얼마든지 사용가능 하고, 특히 전기히터가 압력챔버를 완전히 감싸고 있으므로 열효율이 매우 뛰어나며, 콘트롤러를 통해 온도조절을 쉽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압력챔버의 내부에 뻥튀기할 재료를 뒤섞는 교반수단을 적용하여 재료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구워질 수 있게 하는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는, 뻥튀기할 재료를 수용하고 밀폐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가해진 열에 의해 가열되며, 그 일측에 상기 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압력챔버와; 상기 압력챔버의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를 입구 측으로 가압하여 압력챔버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과; 상기 밀폐수단에 의해 밀폐된 압력챔버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압력챔버를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싱과; 상기 압력챔버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에 의해 발열하여 압력챔버를 가열하는 전기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력챔버의 내부에는, 압력챔버 내에 수용되어 있는 뻥튀기 할 재료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압력챔버의 양단부는,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부로서, 일측 회전축부에는 링의 형태를 취하며 회전축부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어 압력챔버와 함께 회전하는 절연링과, 상기 절연링에 고정되되 서로에 대해 이격되며 상기 전기히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두 개의 접속링이 구비되고, 상기 각 접속링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접속링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한 쌍의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를 접속링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키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브러시를 통해 접속링에 인가하는 탄성핑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뻥튀기 장치에는, 상기 전기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압력챔버에 투입되어 있는 재료의 성질에 따라 전기히터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온도조절스위치와, 상기 전기히터의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를 갖는 콘트롤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는, 가스버너를 대신하여 전기히터를 사용하므로 가스폭발에 대한 위험이나 부담이 없어 실외는 물론 실내에서 얼마든지 사용가능 하고, 특히 전기히터가 압력챔버를 완전히 감싸고 있으므로 열효율이 매우 뛰어나며, 콘트롤러를 통해 온도조절을 쉽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압력챔버의 내부에 뻥튀기할 재료를 뒤섞는 교반수단을 적용하여 재료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구워질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뻥튀기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접속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 1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이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51)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가급적 밀폐된 형태의 케이싱(53)과, 상기 케이싱(53)의 내부에 베어링(17b)에 의해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챔버(13)와, 상기 압력챔버(13)를 감싸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압력챔버(13)를 가열하는 전기히터(55)와, 상기 전기히터(55)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기히터(55)로 하여금 열을 발생하게 하는 콘트롤러(59) 및 접속부(6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력챔버(13)의 도면상 좌측부에는 압력챔버(13)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30)이 구비되어 있고, 반대측에는 밀폐수단(40)이 위치한다. 상기 회전수단(30) 및 밀폐수단(4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전기히터(55)는 압력챔버(13)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히터(55)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압력챔버(13)로 직접 전달된다. 도 2에서는 상기 전기히터(55)가 압력챔버(13)를 부분적으로 감싸고 있지만 전기히터(55)를 보다 크게 제작하여 압력챔버(13)의 주연부 거의 대부분을 감쌀 수 도 있다.
또한 전기히터(55)가 압력챔버(13)를 감싸며 이에 더하여 케이싱(53)이 밀폐된 구조를 가지므로 그만큼 전기히터(55)의 열효율이 좋고 생산성이 높음은 물론 뻥튀기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짧다. 특히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화재나 가스폭발의 염려가 없고 주변이 가스관이나 가스통 등에 의해 번잡스럽지 않다.
상기 압력챔버(13)의 회전축방향 양단부에는 회전축부(13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부(13b)는 압력챔버(13)의 일부분으로서 일정직경을 가져 베어링(17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특히 도면상 좌측 회전축부(13b)에는 절연링(65)과 한 쌍의 접속링(63a,63b)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절연링(65)은 상기 회전축부(13b)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된 링형 부재로서 절연성 재질로 제작된다.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나무로 제작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절연링(65)의 내부에는 관통로(도 3의 6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로(65a)는 좌측 접속링(65a)에 접속되어 있는 전력선(57)을 통과시키는 통로이다. 상기 관통로(65a)를 통과한 전력선은 케이싱(53) 내부의 전기히터(55)로 연장되어 전기히터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절연링(65)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접속링(63a,63b)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접속링(63a,63b)은 구리나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링형 부재로서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고, 각각 전력선(57)을 통해 전기히터(55)에 연결된다. 좌측 접속링(63a)과 전기히터(55)를 연결하는 전력선과, 우측 접속링(63b)과 전기히터(55)를 접속시키는 전력선은 상호 절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연링(65)의 측부에는 지지링(61)이 더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링(61)은 베어링(17b)에 지지되는 링형 부재로서 상기 전력선을 그 내부로 통과시켜, 접속링(63a,63b)과 전기히터(55)가 접속되도록 한다. 상기 절연링(65)과 접속링(63a,63b)이 케이싱(53)의 내부에 설치된다면 상기 지지링(61)은 필요 없다. 절연링(65)과 접속링(63a,63b) 및 케이싱(53)내의 전력선(57)은 압력챔버(13) 및 전기히터(55)와 동시에 회전한다.
한편, 상기 전기히터(55)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콘트롤러(59)와 접속부(67)가 구비된다. 상기 콘트롤러(59)는 전기히터(55)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전기히터(55)의 온도프 및 발열온도 등을 제어한다.
먼저 상기 접속부(67)는, 각 접속링(63a,63b)의 외주면에 탄성 접촉하는 한 쌍의 브러시(71)와, 상기 브러시(71)를 그 단부에 가지며 상부로 연장되고 힌지축(75)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탄성핑거(69)와, 상기 탄성핑거(69)를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당기는 스프링(73)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축(75)은 탄성핑거(69)의 상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전력선(57)과도 접속되어 전력선(57)을 통해 공급된 전기를 브러시(71)로 전달한다. 상기 브러시(71)는 스프링(73)의 작용에 의해 각 접속링(63a,63b)에 탄성적으로 밀착하며 접속링(63a,63b)에 전기를 인가한다.
결국 상기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기는, 탄성핑거(69)와 브러시(71)와 각 접속링(63a,63b)을 거쳐 케이싱(53)내의 전력선(57)을 통해 전기히터(55)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콘트롤러(59)는 전기히터(55)의 효과적인 운전을 위해 전기히터(55)의 동작을 제어하여 압력챔버(13)의 가열온도와 가열시간 등을 세밀하고 정확하게 조절한다. 이를 위해 상기 콘트롤러(59)는 신호전달선(59d)을 통해 전기히터(55)에 유선 연결된다.
종래의 가스버너는 가스의 불꽃을 조절하여 온도 제어를 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콘트롤러(59)를 이용해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을 매우 간단하고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사실 상기 압력챔버(13)에 투입된 재료의 성질과 투입량에 따라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을 적절히 조절해야 제대로 된 뻥튀기과자를 얻을 수 있는데, 종래의 가스불로는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없었다.
상기 콘트롤러(59)에는, 디스프레이창(59a)과, 온도조절스위치(59b)와, 타이머(59e)와, 온오프스위치(59c)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창(59a)은 현재 전기히터(55)의 발열온도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콘트롤러(59)의 디스플레이창(59a)에 나와있는 온도정보를 통해 압력챔버(13)를 최적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스위치(59b)는 전기히터(55)의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입력부이다. 상기 디스플레이창(59a)에 나와있는 현재 전기히터(55)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보다 낮을 높거나 낮을 경우, 상기 온도조절스위치(59b)를 통해 발열온도를 보정한다. 상기 온도조절스위치(59b)에 의해 입력되는 온도 숫자도 디스플레이창(59a)에 나타남은 물론이다.
상기 타이머(59e)는 전기히터(55)의 동작시간을 예약하는 수단이다. 예컨대 상기 타이머(59e)를 통해 전기히터(55)의 발열시간을 10분으로 설정하면 10분 후 전기히터(55)가 자동적으로 소화되는 것이다. 상기 타이머(59e)를 통해 최적의 가열시간을 입력해 놓을 수 있으므로 초보자라 하더라도 맛있는 뻥튀기 과자를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오프스위치(59c)는 전기히터(55)를 온오프 시키는 버튼이다. 예컨대 상기 온오프스위치(59c)을 한번 누르면 전기히터(55)에 전기가 공급되어 발열을 시작하고, 한번 더 누르면 전기가 차단되어 전기히터(55)의 동작이 멈춘다.
결국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51)는, 압력챔버(13)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스버너를 사용하는 대신 전기히터를 사용하므로 그만큼 온도조절이 쉽고 가스폭발의 위험이 없어 이를테면 환기가 잘 되지 않는 실내에서도 안심하고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뻥튀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뻥튀기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접속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51:뻥튀기장치 13:압력챔버 13a:입구
13b:회전축부 15:마개 17:케이싱
17a:구멍 17b:베어링 19:가스버너
21:가스관 23:밸브 25:회전축
27:종동풀리 29:손잡이 30:회전수단
31:모터 33:구동풀리 35:벨트
37:힌지 39:마개지지아암 39a:핀
39b:개방홈 40:밀폐수단 41:개폐레버
41a:평면부 43:이송스크류 45:마개이송레버
47:압력게이지 53:케이싱 55:전기히터
57:전력선 59:콘트롤러 59a:디스플레이창
59b:온도조절스위치 59c:온오프스위치 59e:타이머
61:지지링 63a,63b:접속링 65:절연링
65a:관통로 67:접속부 69:탄성핑거
71:브러시 73:인장스프링 75:힌지축
77:교반돌기

Claims (4)

  1. 뻥튀기할 재료를 수용하고 밀폐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가해진 열에 의해 가열되며, 그 일측에 상기 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압력챔버와;
    상기 압력챔버의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를 입구 측으로 가압하여 압력챔버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과;
    상기 밀폐수단에 의해 밀폐된 압력챔버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압력챔버를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싱과;
    상기 압력챔버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에 의해 발열하여 압력챔버를 가열하는 전기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챔버의 내부에는, 압력챔버 내에 수용되어 있는 뻥튀기 할 재료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챔버의 양단부는,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부로서, 일측 회전축부에는 링의 형태를 취하며 회전축부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어 압력챔 버와 함께 회전하는 절연링과, 상기 절연링에 고정되되 서로에 대해 이격되며 상기 전기히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두 개의 접속링이 구비되고,
    상기 각 접속링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접속링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한 쌍의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를 접속링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키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브러시를 통해 접속링에 인가하는 탄성핑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가열식 뻥튀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뻥튀기 장치에는, 상기 전기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압력챔버에 투입되어 있는 재료의 성질에 따라 전기히터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온도조절스위치와, 상기 전기히터의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를 갖는 콘트롤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
KR2020090002249U 2009-02-27 2009-02-27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 KR200458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249U KR200458280Y1 (ko) 2009-02-27 2009-02-27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249U KR200458280Y1 (ko) 2009-02-27 2009-02-27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833U KR20100008833U (ko) 2010-09-06
KR200458280Y1 true KR200458280Y1 (ko) 2012-02-21

Family

ID=4419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249U KR200458280Y1 (ko) 2009-02-27 2009-02-27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28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123B1 (ko) * 2015-06-15 2017-03-16 유부현 뻥튀기 케이스의 배기 장치
CN108781792A (zh) * 2018-07-13 2018-11-13 内蒙古华禹高科装备科技有限公司 双腔短柱塞式汽爆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559A (ko) * 2003-10-13 2005-04-19 김우용 곡물 볶음장치
KR200426653Y1 (ko) * 2006-06-28 2006-09-18 권인칠 곡물 볶음기
KR20080061798A (ko) * 2006-12-28 2008-07-03 김우용 뻥튀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559A (ko) * 2003-10-13 2005-04-19 김우용 곡물 볶음장치
KR200426653Y1 (ko) * 2006-06-28 2006-09-18 권인칠 곡물 볶음기
KR20080061798A (ko) * 2006-12-28 2008-07-03 김우용 뻥튀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833U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9529B2 (ja) 食材煮練り攪拌機の加熱源制御装置
WO2015161708A1 (zh) 自动烹饪方法及可自动烹饪的智能灶
CN107684357A (zh) 一种压力空气炸锅
CN105105648B (zh) 一种内胆可旋转式烤箱
RU154679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хлебопечка
KR200458280Y1 (ko) 전기가열식 뻥튀기장치
JP2008188277A (ja) 加熱調理装置
WO2011142451A1 (ja) 炊飯器
JP6719786B2 (ja) ロータリー式炒め・焙煎装置
JPH09164074A (ja) 製パン機能付き炊飯器
KR101645564B1 (ko) 회전 드럼식 조리기
JP2014117564A (ja) 調理器およびパンの製造方法
JP3282574B2 (ja) 餅搗き兼用パン焼き器
JP2008125792A (ja) 加熱調理装置
JPH0788047A (ja) 誘導加熱式製パン器
KR101455932B1 (ko) 해조류 볶음장치
JP2010044912A (ja) 業務用の電磁誘導加熱器
KR20070122112A (ko) 곡물볶음장치
JP2010044912A5 (ko)
KR101366893B1 (ko) 회전수단을 구비한 가스 및 전기 가열장치
JP3354562B1 (ja) ロータリー式炒め装置
CN104883941B (zh) 可在其中加热食物的容器
KR20220056926A (ko) 스마트 라면조리기
KR100620614B1 (ko) 견과류 구이방법
JP2004187840A (ja) ロータリー式炒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