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377Y1 -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 - Google Patents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377Y1
KR200455377Y1 KR2020080015479U KR20080015479U KR200455377Y1 KR 200455377 Y1 KR200455377 Y1 KR 200455377Y1 KR 2020080015479 U KR2020080015479 U KR 2020080015479U KR 20080015479 U KR20080015479 U KR 20080015479U KR 200455377 Y1 KR200455377 Y1 KR 2004553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verification
block
self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518U (ko
Inventor
정아람
Original Assignee
녹색지팡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녹색지팡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녹색지팡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5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37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3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3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에 관한 것으로, 유아 또는 아동들 혼자서 단어학습시 자가검증이 가능하도록 각 면에 여러 가지 식별색을 갖는 조합글자가 표시된 복수개의 블록과, 상기 블록의 결합에 의해 식별색을 갖는 미완성단어가 완성단어가 되며, 상기 완성단어를 연상시키는 그림이 포함된 문제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교습판을 포함하며, 상기 문제부의 그림을 보고 미완성단어를 완성시키는 블록을 결합하면 블록의 식별색이 미완성단어의 식별색과 일치됨으로 인해 그림과 동일한 단어인지를 자가검증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어, 교습, 학습, 자가검증

Description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Self verification word Learning device}
본 고안은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 또는 아동들 혼자서 단어학습시 자가검증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또는 아동들은 보통 만 2세가 넘으면 그림을 보면서 그 그림에 표시된 이름을 말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그림의 표시된 이름을 말할 수 있을 정도의 나이가 되면 본격적으로 글자를 보고 말하는 학습을 시작하게 되는데, 단순한 방법으로 단어를 학습시키면 쉽게 싫증을 느낄 뿐만 아니라 학습효과도 떨어진다.
이에 따라 시각효과를 최대한 살리면서 아동이 흥미를 가지고 문자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어교습구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교습구들은 반드시 선생님 또는 부모님의 지도 아래 단어를 습득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학습방법으로 인해 유아 또는 아동들 혼자서 학습시 자가검증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아 또는 아동들 혼자서 단어학습시 자가검증이 가능한 교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각 면에 여러 가지 식별색이 채색되고 그중 한 면에는 자음이 표시되고 다른 면에는 자음에 모음을 결합한 조합글자가 표시된 복수개의 블록과, 다양한 사물을 형상화한 그림이 표시되고, 상기 그림에 해당하는 단어를 완성하기 검증색이 배경에 채색된 미완성단어의 삽입홈에 상기 블록을 결합함에 의해 완성단어가 되는 문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교습판을 포함하며, 상기 문제부의 그림을 보고 미완성단어를 완성시키는 블록을 결합하면 삽입홈에 결합시키면 블록의 식별색이 미완성단어의 검증색과 일치됨으로 인해 그림과 동일한 단어인지를 자가검증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문제부는, 상기 블록과 대응된 형상의 삽입홈과, 상기 삽입홉 상,하부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블록을 빼내기 위한 취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는 교습판에 표시된 그림을 보고 미완성단어를 완성시키는 블록을 결합하면 블록의 식별색이 미완성단어의 식별색과 일치됨으로 인해 그림과 동일한 단어인지를 자가검증이 가능하여 혼자서도 단어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잘못된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가검증용 단어 교습구 100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각 면에 조합글자 110b가 표시된 복수개의 블록 110과, 상기 블록 110의 결합에 의해 완성단어가 되는 문제부 1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교습판 120으로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 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는 각 면에 여러 가지 식별색 110c이 채색된 조합글자 110b가 표시된 복수개의 블록 110과, 상기 블록 110의 결합에 의해 검증색 125a이 채색된 미완성단어 125가 완성단어가 되며, 상기 완성단어를 연상시키는 그림 127이 포함된 문제부 1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교습판 120으로 이루어져, 상기 문제부 121의 그림 127을 보고 미완성단어 125를 완성시키는 블록 110을 결합하면 블록 110의 식별색 110c이 미완성단어 125의 검증색 125a과 일치됨으로 인해 그림 127과 동일한 단어인지를 자가검증이 가능하여 혼자서도 단어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블록 110의 형상은 정육면체가 적합하나 이러한 형상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즉, 블록 110의 형상은 다각형 형상인 정사면체, 정팔면체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더불어,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110을 설명하면 다각형의 각 면에 여러 가지 식별색 110c이 채색된다.
이러한, 식별색 110c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유아 또는 아동들에게 친숙한 빨간색, 주황색, 노랑색, 초록색, 파랑색, 남색 등이 주로 사용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여기서, 다각형의 각 면 중 어느 한 면에는 한글의 경우 19개 자음 110a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하고, 다른 면에는 상기에서 선택되어 표시된 자음 110a에 14개의 모음 중에서 대표되는 모음을 선택하여 결합한 조합글자 110b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블록 110에 표시되는 글자는 한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영어, 일어, 한문 등 다양한 문자를 적용하여 학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 110을 이용하여 자가검증이 가능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교습판 120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교습판 120은 상기 블록 110이 삽입되는 문제부 121를 상부면에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부 121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이때, 문제부 121는 삽입홈 123, 취출홈 123a, 미완성단어 125, 그림 127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문제부 121의 삽입홈 123에 상기 블록 110이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문제부 121의 삽입홈 123에 상기 블록 110이 삽입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한 블록 110과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삽입홈 123의 상,하부에는 취출홈 123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취출홈 123a은 삽입홈 123에 삽입된 블록 110을 쉽게 빼내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블록 110의 폭보다 좁은 넓이와 삽입홈 123의 깊이보다 얕은 깊 이로 형성된다.
즉, 취출홈 123a에 손가락을 넣어 블록 110을 잡을 수 있도록 하여 블록 110의 취출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더불어, 삽입홈 123의 일측면에는 미완성단어 125가 표시된다.
이러한, 미완성단어 125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를 설명하면 "고래"에서 "고"자가 빠진 "래"만 표시되어 있거나, "도토리"에서 "도"자가 빠진 "토리"만 표시되어 있다.
이처럼, 다양한 예의 미완성단어 125가 도시된 교습판 120을 복수개로 구비하여 여러 가지 단어를 익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미완성단어 125에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된 삽입홈 123에 블록 110을 결합시켜 완성된 단어로 만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미완성단어 125의 상부면에 검증색 125a을 채색하였다.
이러한, 검증색 125a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블록 110에 표시된 식별색 110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하여야 한다.
즉, 블록 110이 삽입홈 123에 결합시 블록 110의 식별색 110c과 미완성단어 125의 검증색 125a이 동일하게 표시되면 완성단어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블록 110의 결합에 의해 완성된 단어를 연상시키는 그림 127을 미완성단어 125의 전면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문제부 121의 그림 127을 보고 미완성단어 125를 완성시키는 블록 110을 삽입홈 123에 결합한다.
그리하여, 블록 110의 식별색 110c이 미완성단어 125의 검증색 125a과 일치됨으로 인해 그림 127과 동일한 단어인지를 자가검증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완성단어 125의 삽입홈 123에 잘못된 조합글자 110b가 보이게 삽입하면 블록 110의 식별색 110c과 미완성단어 125의 검증색 125a이 일치하지 않게 되어 틀리게 완성되었다는 것을 자가검증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 100를 이용하여 글자를 어느 정도 학습 받은 유아 또는 아동이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양한 형태의 미완성단어 125가 표시된 교습판 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문제부 121의 그림 127을 보고 미완성단어 125의 삽입홈 123에 결합 될 블록 110을 고른다.
상기에서 찾은 블록 110의 각 면에서 미완성단어 125의 삽입홈 123에 일치하는 조합글자 110b를 찾아 삽입홈 123에 결합시킨다.
이때, 블록 110의 식별색 110c이 미완성단어 125의 검증색 125a과 일치됨으로 인해 그림 127과 동일한 단어인지 자가검증이 가능하게 된다.
만약, 블록 110의 식별색 110c과 미완성단어 125의 검증색 125a이 불일치 하게 되면 틀리게 완성되었다는걸 유아 또는 아동이 판단하게 된다.
이때, 취출홈 123a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삽입홈 123에 삽입된 블록 110을 빼낸다.
그리고, 블록 110의 조합글자 110b를 다시 선택하여 미완성단어 125의 식별 색과 동일한 색인지 식별하면서 삽입홈 123에 삽입하여 완성단어로 만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 100를 이용하여 글자를 처음 학습 받은 유아 또는 아동이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양한 형태의 미완성단어 125가 표시된 교습판 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문제부 121의 그림 127을 보고 미완성단어 125의 삽입홈 123에 결합 될 블록 110을 고른다.
상기에서 찾은 블록 110의 각 면에서 식별색 110c중 미완성단어 125의 검증색 125a과 일치되는 색을 찾는다.
그리고나서, 삽입홈 123에 블록 110을 결합시킨다.
이때, 그림 127과 동일한 단어가 완성됨으로 인해 그림 127을 통해 연상되는 단어를 반복학습 함으로 인해 단어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잘못된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단어교습구
110 : 블록 110a : 자음
110b : 조합글자 110c : 식별색
120 : 교습판
121 : 문제부 123 : 삽입홈
123a : 취출홈 125 : 미완성단어
125a : 검증색 127 : 그림

Claims (2)

  1. 각 면에 여러 가지 식별색이 채색되고 그중 한 면에는 자음이 표시되고 다른 면에는 자음에 모음을 결합한 조합글자가 표시된 복수개의 블록과,
    다양한 사물을 형상화한 그림이 표시되고, 상기 그림에 해당하는 단어 중에서 한글자를 제외한 나머지 글자에 검증색이 배경에 채색된 미완성단어가 표시되며, 상기 제외된 글자위치에 블록과 대응된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홉 상,하부에 대칭되게 취출홈이 형성되어, 삽입홈에 상기 블록을 결합함에 의해 완성단어가 되는 문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교습판을 포함하며,
    상기 문제부의 그림을 보고 미완성단어를 완성시키는 블록을 삽입홈에 삽입시 블록의 식별색이 미완성단어의 검증색과 일치됨을 확인하여, 그림과 동일한 단어인지가 완성되었는지를 자가검증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
  2. 삭제
KR2020080015479U 2008-11-20 2008-11-20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 KR2004553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479U KR200455377Y1 (ko) 2008-11-20 2008-11-20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479U KR200455377Y1 (ko) 2008-11-20 2008-11-20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18U KR20100005518U (ko) 2010-05-28
KR200455377Y1 true KR200455377Y1 (ko) 2011-09-02

Family

ID=4445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479U KR200455377Y1 (ko) 2008-11-20 2008-11-20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37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670B1 (ko) * 2014-01-08 2014-08-06 유승환 판형 단위 블록 및 판형 단위 블록 세트
KR20190140591A (ko) * 2018-06-12 2019-12-20 주식회사 인터포름 Iot 모듈형 복합교육 놀이가구 서비스를 기반으로한 스마트 블록 놀이 학습장치
KR102060063B1 (ko) * 2017-11-28 2019-12-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치매 환자를 위한 인지 훈련 장치
KR20220094436A (ko) * 2020-12-29 2022-07-06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670B1 (ko) * 2014-01-08 2014-08-06 유승환 판형 단위 블록 및 판형 단위 블록 세트
WO2015105328A1 (ko) * 2014-01-08 2015-07-16 유승환 판형 단위 블록 및 판형 단위 블록 세트
KR102060063B1 (ko) * 2017-11-28 2019-12-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치매 환자를 위한 인지 훈련 장치
KR20190140591A (ko) * 2018-06-12 2019-12-20 주식회사 인터포름 Iot 모듈형 복합교육 놀이가구 서비스를 기반으로한 스마트 블록 놀이 학습장치
KR102127093B1 (ko) * 2018-06-12 2020-06-25 주식회사 인터포름 Iot 모듈형 복합교육 놀이가구 서비스를 기반으로한 스마트 블록 놀이 학습장치
KR20220094436A (ko) * 2020-12-29 2022-07-06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미취학 유아 인지발달용 학습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18U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6942A (en) Crossword puzzle game and method of generating the same
US5863043A (en) Deck of playing cards for playing alphabet learning games and spelling games
KR200455377Y1 (ko) 자가검증용 단어교습구
Burke et al. The Global Renaissance
KR20070037860A (ko)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CA2669944A1 (fr) Jeu d'expression ecrite
McNally Wittgenstein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The Legacy of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KR100933357B1 (ko) 단어 학습용 놀이도구
KR100602589B1 (ko) 블록완구
KR200305299Y1 (ko) 단어 학습용 주사위
KR101161235B1 (ko) 회전맞춤형 단어 학습 장치
KR102422856B1 (ko) 중국어 병음 학습 교구
WO2006085722A1 (en) Proofreader for writing sequence
KR100781738B1 (ko) 외국어 교습용 게임카드
CN107376320A (zh) 游戏卡牌
KR20130101226A (ko)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KR200404119Y1 (ko)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KR101585632B1 (ko)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KR200457919Y1 (ko) 자가검증용 한글교습구
AU760335B2 (en) Playing cards comprising no axis of symmetry
CN104637368A (zh) 语文教学方法及装置
Westphal The complexity of quality
KR100680169B1 (ko) 문자 획 순서를 색상으로 구별하는 학습구
JP4417756B2 (ja) 知育パズル
KR20150066417A (ko) 문자 형성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