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226A -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 Google Patents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226A
KR20130101226A KR1020120022201A KR20120022201A KR20130101226A KR 20130101226 A KR20130101226 A KR 20130101226A KR 1020120022201 A KR1020120022201 A KR 1020120022201A KR 20120022201 A KR20120022201 A KR 20120022201A KR 20130101226 A KR20130101226 A KR 20130101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plate
block
maze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홍
Original Assignee
유소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소미 filed Critical 유소미
Priority to KR1020120022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1226A/ko
Publication of KR20130101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0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magn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도형 형상의 몸체(101), 몸체의 하단부에 자석홈(101a)을 통해 자석(102)을 포함하는 구조의 블록(100)들과 투명 판재로 상판(201)과 하판(202)을 갖으며 그 사이에 블록(100)의 폭과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을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한 중간판(202a) 및 중간판(202a) 천공부에 부착재(202b)를 포함하는 부착판(200)과 부착판(200)을 고정하기 위한 밑판(301)과 다수의 옆판(302)을 포함하는 받침대(300) 및 상기 부착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단어카드(400);로 구성되어, 받침대(300)에 부착판을 고정하여, 부착판 아래에 단어카드(400)를 넣고, 단어카드가 제시하는 그림에 적합한 알파벳이나, 한글, 숫자의 블록(100)을 부착판(200)의 부착재(202b)가 배치된 위치에 자성에 의해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Structure of labyrinth block playing board using word alphabet puzzle for educational purpose}
본 발명은 단어 철자 맞추기 퍼즐이나 미로 만들기 놀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알파벳 등 문자가 인쇄된 블록을 자석이 구비된 판재에 부착하여 단어의 알파벳을 맞추고 미로를 구성함으로써, 단어의 철자를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미로를 구성하여 미로놀이를 할 수 있는 놀이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미로찾기 놀이는 오랜 역사만큼이나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미로찾기 놀이판은 처음엔 재미있게 활용하다가 미로가 익숙해지면 흥미가 반감되고, 미로를 찾는 과정의 위험물 등 흥미 요소가 부족하여 긴장감이 덜한 단점이 있다. 또한, 두뇌활동을 통한 간접적인 지능 개발의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직접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등의 학습효과를 갖기 힘들다.
최근 교구재를 활용하여 잠재적인 지능 개발과 함께 영어단어나 한글배우기, 산수놀이 등의 직접적인 학습효과를 동반하는 교구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아이들의 정서함양에 도움이 되도록 목재로 만들어 지는 제품이 대부분인 교구재는 문자나 그림 또는 사진 등을 결합하여 초기 학습단계의 어린이들에게 새로운 것을 학습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학습용 퍼즐형태의 교구와 관계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07676 ‘창의력 개발용 퍼즐 놀이기구’처럼 일정공간을 분할하여 그에 부합되는 블록을 맞추게 함으로써 공간 인지능력을 향상하는 유형이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04339 ‘한글교습도구’와 같이 보드위에 한극 자음과 모음을 배치하여 조합하는 과정을 통해 한글을 학습하는 방법처럼 철자를 배치하는 과정에 언어를 습득하는 유형이 존재해 왔다. 하지만, 학습을 위한 맞추기식 퍼즐은 지속적인 관심유발이 이루어져야 적정한 수준의 학습효과를 갖을 수 있으므로 아이들이 지속적으로 흥미를 갖지 못한다면 원하는 학습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따라서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변화를 줄 수 있는 미로를 교체할 수 있는 구성형태와 학습형 놀이판 형태를 결합하여 구성하면 게임 놀이를 이용한 지속적인 흥미유발과 이를 통한 학습효과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어의 이미지를 보고 단어를 연상해 내고 그 단어를 구성하는 철자에 해당되는 알파벳을 제 위치에 놓아 단어를 완성하면 미로를 구성할 수 있어서, 미로를 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단어학습을 할 수 있고 이와 함께 미로를 만들고 길을 찾는 높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지속적인 흥미유발을 통해 단어 학습 효과를 증진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는 입체도형 형상의 몸체(101), 몸체의 하단부에 자석홈(101a)을 통해 자석(102)을 포함하는 구조의 블록(100)들과 투명 판재로 상판(201)과 하판(202)을 갖으며 그 사이에 블록(100)의 폭과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을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한 중간판(202a) 및 중간판(202a) 천공부에 부착재(202b)를 포함하는 부착판(200)과 부착판(200)을 고정하기 위한 밑판(301)과 다수의 옆판(302)을 포함하는 받침대(300) 및 상기 부착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단어카드(400)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에 따르면, 여러 의미 분야별로 단어카드에서 제시하는 단어의 철자를 맞추어 블록을 배치함으로써 미로가 만들어지고, 블록을 배치하면서 단어의 철자를 익힐 수 있으며, 미로가 완성된 후에는 미로놀이를 계속할 수 있어 단어의 이미지와 철자가 반복적으로 의식 또는 무의식중에 전달됨으로써 놀이 과정을 통해 단어의 철자를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놀이판 구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놀이판 구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놀이판 구조에 사용되는 단어카드의 일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놀이판 구조 일실시예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놀이판 구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영어나 한글 등 언어의 단어를 학습하는 과정과 공간배치를 통한 미로 구성의 요소를 혼합하여 언어학습과 공간구성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용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놀이판은 상단면이 정다각형인 입체도형 형상의 몸체 상단면에 알파벳, 한글 자음/모음, 숫자 및 부호 중 하나를 인쇄는 구조의 블록(100)들과 아크릴 같은 투명 판재로 구성되는 부착판(200)과 받침대(300) 및 상기 부착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단어카드(400)로 구성되어, 받침대(300)에 단어카드(400)를 넣고, 단어카드에 제시하는 단어에 해당되는 문자의 블록(100)을 해당되는 위치에 놓음으로써, 미로가 구성되는 놀이판의 구조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놀이판 구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영어의 알파벳이나 한글의 자음/모음, 숫자 및 부호가 상단면에 표기되는 블록(100)은 하단부에 자석(102)을 구비하기 위한 자석홈(101a)을 갖는다. 이 블록은 단어카드(400)에서 제시하는 여러 가지 단어의 알파벳 배치에 맞도록 블록을 놓아 미로를 구성하게 된다. 블록(100)은 정다각형으로 정사각형, 정육각형, 정팔각형 등의 형태를 띌 수 있으며, 상단면의 형태에 따라 육면체, 팔면체, 십면체의 입체도형이 된다. 단어카드(400)에는 알파벳 등의 문자가 놓이는 위치와 놓이지 않는 위치가 구분되어 배치됨으로써, 문자가 놓이는 위치에 블록(100)이 배열되어 장애물의 역할을 하게 되고, 문자가 놓이지 않는 위치는 미로의 통로가 되는 역할을 한다. 알파벳 등 문자가 표기된 블록(100)을 자성에 의해 부착하고, 단어카드(400)에서 제시하는 단어의 그림이나 형상을 볼 수 있도록, 부착판(200)은 아크릴판 같은 투명 재질로 구성된다. 부착판(200)은 단어카드(400)의 문자가 놓이는 위치와 놓이지 않는 위치를 합한 공간과 동일한 크기의 정다각형의 형태를 띄게 되는데, 그 형상은 블록(100)의 상단면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 블록의 상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판재로 블록들이 놓여지게 될 공간을 확보하여 자성에 의해 블록을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투명한 판재로 상판(201)과 하판(203)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입면의 형상은 상판 및 하판과 동일하나, 블록(100)의 크기와 동일한 간격으로 구멍을 천공한 중간판(202a)이 상판과 하판의 중앙에 위치한다. 중간판(202a)의 천공 홈에는 자석이나 철판으로 된 부착재(202b)가 위치하여, 자석이 구비된 블록(100)들을 배치하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중간판(202a)의 천공된 홈의 개수만큼 부착재(202b)가 구성되며, 이는 단어카드(400)의 분할된 공간의 수와 일치한다. 부착판(200)의 아래에 받침대(300)가 놓이며, 받침대는 부착판(200)의 하부에서 부착판을 지지하고, 단어카드(400)가 놓이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밑판(301)과 측면을 막아 부착판의 위치를 지지하는 옆판(302)으로 구성된다. 밑판(301)은 블록()100)의 상단면, 부착판(200) 입면 형상과 동일하며, 옆판(302)은 블록(100)의 옆면과 동일한 수로 구성된다. 블록 상단면이 정사각형이면 네 개의 옆면을 갖으며, 그중 하나의 옆면에 횡측으로 길게 홈을 천공하여, 단어카드(4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카드삽입구(302a)를 구비한다. 블록(100) 상단면의 형태가 정사각형이면 네 개의 옆판 중 하나의 옆판에만 홈을 길게 천공하여 카드삽입구(302a)를 형성할 수 있으나, 블록(100) 상단면의 형태가 정육각형이나 정팔각형이면 두 개 내지 세 개의 옆판에 홈을 천공하여야 카드삽입구(302a)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놀이판 구조에 사용되는 단어카드의 일실시예이다. 단어카드(400)는 여러 가지 의미그룹별로 학습을 하기 위한 단어들을 모아 미로를 구성토록 배치해서 인쇄한 카드로, 두꺼운 종이나 판재에 문자와 그림이 인쇄된 형상이다. 단어들을 배치하여 미로가 형성되는 공간은 정다면체의 형상으로 블록(100)의 상단면과 동일한 형태이며, 이들 단어들이 모인 의미그룹을 표시하는 그룹표시부(401)를 카드의 일측에 갖는다. 본 도면에서는 블록(100)의 상단면이 정사각형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도면에서 예로 든 일실시예에서는 가로와 세로 동일하게 다섯 개의 단어가 놓일 수 있는 공간을 분할하고, 각 단어가 놓일 수 있는 공간은 가로3, 세로3, 총 9개의 칸으로 공간을 분할하여, 알파벳 문자가 놓일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한다. 총 9개의 칸으로 분할된 단어가 놓일 수 있는 공간인 단어제시부(402)에 그 단어를 설명하는 그림인 그림설명부(402a)를 구성하고, 그 그림에 해당되는 단어의 알파벳 등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표시부(402b)를 구성한다. 단어제시부(402)의 그림설명부(402a)를 도안하고, 적절한 음절별로 단어의 알파벳을 분할하여 9칸의 영역에 배치하므로, 그림설명부(402a)위에 문자표시부(402b)가 겹칠 수도 있다. 다만, 문자표시부(402b)는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부분과 구분되게 하기 위해 진한색이나 빗살무늬 등으로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한다. 이는 문자표시부(402b)에 블록(100)이 놓여져 미로의 장애물로 형성됨을 알려주기 위한 표식이다. 구성된 미로의 출발표시(403)와 도착표시(404)를 갖음으로써 미로의 시작과 끝을 알려준다. 도면과 같이 각 단어제시부(402)의 분할된 공간의 중앙에 문자표시부(402b)가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시에 문자표시부의 모든 문자가 부착판(200)의 부착재(202b)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이는 단어제시부(402)를 분할하는 간격과 부착재(202b)를 배치하는 홈의 간격이 동일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놀이판 구조 일실시예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어카드(400)를 받침대(300)의 카드삽입구(303)에 삽입하여 밀어넣으면, 본 도면에서 예시하는 일실시예를 예로 들면, 단어카드의 단어제시부(402)들이 가로5개, 세로5개로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에 부착판(200)이 놓이게 된다. 부착판(200)의 중간판(202a)에 부착재는 각 단어제시부(402)가 분할된 공간의 수인 9칸(가로3*세로3)*25칸(가로세로 단어제시부가 5개씩 있으므로...), 즉 총 225개의 부착재가 중간판(202a)에 배치된다. 이 부착재가 놓이는 간격이 단어제시부가(402)가 분할되는 간격과 동일하므로, 각 단어제시부의 분할 영역 중앙 지점에 부착재가 위치하게 되어, 문자표시부(402b)에 알파벳 등 문자가 표시되더라도, 부착재에 의해 가려진다. 사용자는 단어카드(400)의 그림설명부(402a)를 보고, 제시하는 단어를 연상하여 그 단어의 알파벳 등 문자를 추정하여 문자표시부(402a)임을 식별하기 위해 진한색이나 빗살무늬로 식별된 공간에 각각의 문자에 해당하는 블록(100)을 올려놓으면, 블록(100)의 자석(102)에 의해 부착판(200)의 부착재(202b)가 위치한 곳에 블록이 위치하게 된다. 블록의 입면이 단어카드의 단어제시부가 분할된 영역과 동일하므로, 단어카드(400)에서 진한색이나 빗살무늬로 표시한 문자표시부(402b) 위로 블록(100)을 모두 배치하면 미로의 구성이 완료된다. 올바른 알파벳 문자를 배치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단어카드(400)를 카드삽입구(303)에서 꺼내어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단어카드(400)로 단어의 알파벳 학습이 마무리되면, 다른 의미그룹의 단어카드를 삽입하여 또 다른 미로를 구성하며 단어를 학습할 수 있다. 다양한 의미그룹별로 다수의 단어카드를 구비하면, 무궁무진한 미로구성과 함께 많은 단어의 철자를 학습하는 효과를 갖을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의 흥미와 교육적인 효과는 단어카드(400)를 얼마나 흥미있게 구성해주는가에 달려있다. 철자가 놓여야할 영역인 문자표시부(402a)는 블록이 놓이면서 장애물로 구성되고, 철자가 놓이지 않는 영역은 미로를 진행할 수 있는 길이 된다. 따라서 각 단어카드에 철자가 놓이지 않는 영역을 적절히 배치하여 각 블록을 연결하였을 때 상호간에 길이 막히거나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교육적인 효과를 위해 각 단어의 철자를 배치함에 있어서 음절에 대한 기준을 정하고 학습에 도움이 되는 구조로 철자가 배열되어야 한다. 본 도면의 예를 살펴보면, 손을 상징하는 그림의 단어카드의 단어제시부를 보면 4칸에 문자표시부가 식별된다. 답은, 'HAND'이다. 이 ‘HAND' 블록은 모음인 ’H'와 하나의 음절을 구성하는 ‘AND'로 분할하여 구성함으로써, 음절구조학(phonics)에 의한 단어 암기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실시예는 영어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구조로 한글이나 다른 외국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며 초성, 중성, 종성이 합해져서 하나의 음절을 이루게 된다. ㄱ, ㄴ, ㄷ,...과 같은 자음에 ㅏ, ㅑ, ㅓ, ㅕ,...와 같은 모음이 결합되고 받침이 있는 경우, 다시 하나 이상의 자음이 아래에 구성되는 구조이다. 자음과 모음별로 블록(100)의 상단면에 철자를 표시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숫자를 연상시키는 그림 또는 표식을 통하여 수식을 구성하면 산수를 학습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를 통해 아직 문자를 익히지 않은 어린이나 외국어를 배우기 시작하는 사용자가 보다 쉽고 재미있게 단어 및 철자를 익힐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놀이판의 구조는 나아가 다른 외국어의 기본단어를 익히거나 다양한 학습 분야에 응용되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블록
101 : 블록몸체
101a : 자석홈
102 : 자석
200 : 부착판
201 : 투명상판
202a : 중간판
202b : 부착재
203 : 투명하판
300 : 받침대
301 : 밑판
302 : 옆판
303 : 카드삽입구
400 : 단어카드
401 : 그룹표시부
402 : 단어제시부
402a: 그림설명부
402b : 문자표시부
403 : 출발표시
404 : 도착표시

Claims (6)

  1. 상단면이 정다각형인 입체도형 형상의 몸체(101) 상단면에 알파벳, 한글 자음/모음, 숫자 및 부호 중 하나를 인쇄하고 하단부에 자석홈(101a)을 통해 자석(102)을 포함하는 구조의 블록(100)들과;
    아크릴 같은 투명 판재로, 상판(201)과 하판(202)을 갖으며 그 사이에 상기 블록(100)의 폭과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을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한 중간판(202a) 및 중간판(202a) 천공부에 위치하는 자석 또는 철판인 부착재(202b)를 포함하는 부착판(200)과;
    상기 부착판(200)을 고정하기 위한 밑판(301)과 몸체(101) 상단면에 따라 개수를 달리하는 다수의 옆판(302)을 포함하는 받침대(300); 및
    상기 부착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단어카드(400);로 구성되어,
    받침대(300)에 부착판(200)을 고정하여, 부착판 아래에 단어카드(400)를 넣고, 단어카드가 제시하는 그림에 적합한 알파벳이나, 한글, 숫자의 블록(100)들을 부착판(200)의 부착재(202b)가 배치된 지점에 자성에 의해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0)의 옆판 중, 하나 이상의 옆판 측면에 단어카드(400)를 삽입할 수 있는, 횡측으로 긴 홈을 천공한 카드삽입구(30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0)의 형태가, 상단면이 정다각형인 기둥형태로써, 상단면이 정사각형인 육면체, 정육각형인 팔면체, 정팔각형인 십면체 중 하나이며, 상기 받침대(300) 옆판(302)의 개수가, 블록(100)의 상단면이 정사각형이면 4개, 정육각형이면 6개, 정팔각형이면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카드(400)는
    각 카드에 제시되는 단어들의 의미 그룹을 표시하는 그룹표시부(401);
    가로, 세로 등분한 공간에, 해당 단어의 철자와 빈공간을 배치하여 하나의 단어를 설명하는 단어제시부(402);
    미로의 시작을 표시하는 출발표시(403); 및
    미로의 종착을 알리는 도착표시(40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단어카드(400)에 각각이 미로를 구성하는 단위 형태인 다수의 단어제시부(402)가 배치됨으로써 이들이 상호간에 미로를 구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제시부(402)가
    각 단어를 연상시키는 도면을 제시하는 그림설명부(402a); 및
    해당 단어의 철자를 연결하거나 분할하여 배치하는 문자표시부(402b);로 구성되며, 상기 단어제시부(402)의 문자표시부(402b)를 철자가 배치되지 않는 빈공간과 구별하기 위해, 문자표시부에 진한색이나 빗살무늬를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6. 제 1항 및 4항 내지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카드(400)를 부착판(200) 아래에 위치시키면, 부착판(200)에 배열된 자석 또는 철판인 부착재(202b)에 의해, 단어카드(400) 단어제시부(402)의 문자표시부(402b)에 표기된 알파벳이나, 한글, 숫자 및 부호같은 문자가 가려져 보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KR1020120022201A 2012-03-05 2012-03-05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KR20130101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201A KR20130101226A (ko) 2012-03-05 2012-03-05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201A KR20130101226A (ko) 2012-03-05 2012-03-05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226A true KR20130101226A (ko) 2013-09-13

Family

ID=4945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201A KR20130101226A (ko) 2012-03-05 2012-03-05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12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2996A (zh) * 2018-10-11 2019-03-15 商丘师范学院 一种英语单词组合磁盘及其使用方法
WO2020017683A1 (ko) * 2018-07-18 2020-01-23 주식회사 파코웨이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조립식 교구
KR102174331B1 (ko) * 2020-04-16 2020-11-04 김준 워드 게임 교구 세트 및 워드 게임을 위한 포인트 산출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683A1 (ko) * 2018-07-18 2020-01-23 주식회사 파코웨이 폴리오미노를 이용한 조립식 교구
CN109472996A (zh) * 2018-10-11 2019-03-15 商丘师范学院 一种英语单词组合磁盘及其使用方法
CN109472996B (zh) * 2018-10-11 2020-09-25 商丘师范学院 一种英语单词组合磁盘及其使用方法
KR102174331B1 (ko) * 2020-04-16 2020-11-04 김준 워드 게임 교구 세트 및 워드 게임을 위한 포인트 산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24101A (en) Teaching garment
US5529497A (en) Apparatus for teaching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whole numbers through the use of objects
KR20140130583A (ko)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KR101042596B1 (ko) 한글교습도구
KR20130101226A (ko)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US20070099158A1 (en) Literacy/numeracy development method and apparatus
KR20110110378A (ko) 언어 학습 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
KR101232187B1 (ko) 큐빅 형상의 어린이용 다목적 학습교구
KR101320050B1 (ko) 학습 교구
US2900742A (en) Educational game for teaching spelling
RU185031U1 (ru) Тренажер-куб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зрительно-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восприятия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RU187347U1 (ru) Тренажер-куб с углублениями в виде многолучевых фигур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восприятия и памяти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US20220044592A1 (en) Scripor alphabet - method for representing color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blind people
KR20210112611A (ko) 한글 낱말 학습을 위한 윷놀이 보드게임
US9836981B2 (en) Puzzle teaching system
KR100733484B1 (ko) 영어 교육용 블럭 세트
KR20150066417A (ko) 문자 형성 장치 및 그 방법
US9424661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facilitating efficient information coding
KR200371310Y1 (ko) 한문학습용 카드
JP3135676U (ja) 知育玩具
KR20060025038A (ko) 한문학습용 카드 및 그 이용방법
KR200295865Y1 (ko) 어린이용 학습구
KR101632996B1 (ko) 한자 학습용 보드 게임 교구
KR100692929B1 (ko) 오락을 함께 즐길 수 있는 한글과 한자 및 외국어 교습용카드
KR960002174Y1 (ko) 학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