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583A -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 Google Patents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583A
KR20140130583A KR1020130049012A KR20130049012A KR20140130583A KR 20140130583 A KR20140130583 A KR 20140130583A KR 1020130049012 A KR1020130049012 A KR 1020130049012A KR 20130049012 A KR20130049012 A KR 20130049012A KR 20140130583 A KR20140130583 A KR 20140130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ord
maze
spel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홍
Original Assignee
허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홍 filed Critical 허홍
Priority to KR1020130049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0583A/ko
Publication of KR20140130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02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23Word games, e.g. scrab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02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 A63F2003/0405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relating to specific langu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23Word games, e.g. scrabble
    • A63F2003/0426Spelling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에 관한 것으로, 몸체, 철자 인쇄부, 자석, 자석고정부를 포함하는 철자블록(110)과, 앞면 인쇄부, 부착판, 판재, 뒷면 인쇄부를 포함하는 단어블록판(120) 및 철자블록을 단어블록판위에 배열한 미로블록(100) 다수를 배치하여 고정할 수 있는 미로구성판(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어블록판(120) 앞면 인쇄부에 제시되는 단어에 맞게 철자블록을 단어블록판의 지정된 위치에 배열하여 미로블록을 구성하고, 다수의 미로블록을 미로구성판(200)위에 배치하여 미로를 구성함으로써, 단어의 철자를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미로를 구성하여 미로놀이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Block type board game using word alphabet puzzle for educational purpose}
본 발명은 단어 철자 맞추기 퍼즐이나 미로 만들기 놀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단어블록판 앞면 인쇄부에 제시되는 단어의 철자 블록을 지정된 위치에 배열하여 미로블록을 구성하고, 다수의 미로블록을 미로구성판위에 배치하여 미로를 구성함으로써, 단어의 철자를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미로를 구성하여 미로놀이를 할 수 있는 놀이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미로찾기 놀이는 오랜 역사만큼이나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미로찾기 놀이판은 처음엔 재미있게 활용하다가 미로가 익숙해지면 흥미가 반감되고, 미로를 찾는 과정의 위험물 등 흥미 요소가 부족하여 긴장감이 덜한 단점이 있다. 또한, 두뇌활동을 통한 간접적인 지능 개발의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직접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등의 학습효과를 갖기 힘들다.
최근 교구재를 활용하여 잠재적인 지능 개발과 함께 영어단어나 한글배우기, 산수놀이 등의 직접적인 학습효과를 동반하는 교구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아이들의 정서함양에 도움이 되도록 목재로 만들어 지는 제품이 대부분인 교구재는 문자나 그림 또는 사진 등을 결합하여 초기 학습단계의 어린이들에게 새로운 것을 학습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학습용 퍼즐형태의 교구와 관계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07676 ‘창의력 개발용 퍼즐 놀이기구’처럼 일정공간을 분할하여 그에 부합되는 블록을 맞추게 함으로써 공간 인지능력을 향상하는 유형이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04339 ‘한글교습도구’와 같이 보드위에 한극 자음과 모음을 배치하여 조합하는 과정을 통해 한글을 학습하는 방법처럼 철자를 배치하는 과정에 언어를 습득하는 유형이 존재해 왔다. 하지만, 학습을 위한 맞추기식 퍼즐은 지속적인 관심유발이 이루어져야 적정한 수준의 학습효과를 갖을 수 있으므로 아이들이 지속적으로 흥미를 갖지 못한다면 원하는 학습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따라서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변화를 줄 수 있는 가변형 미로구성과 학습형 놀이판 형태를 결합하여 구성하면 게임 놀이를 이용한 지속적인 흥미유발과 이를 통한 학습효과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어의 이미지를 보고 단어를 연상해 내고 그 단어를 구성하는 철자를 해당되는 위치에 놓아 단어를 완성하면 미로를 구성할 수 있어서, 미로를 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단어학습을 할 수 있고 이와 함께 미로를 만들고 길을 찾는 높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지속적인 흥미유발을 통해 단어 학습 효과를 증진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는 입면의 형태가 정사각형인 육면체 형상의 몸체 상단부에 알파벳, 한글 자음/모음, 숫자 및 부호를 인쇄한 인쇄부를 갖고 하단부에 자석고정부를 통해 자석을 포함하는 구조의 철자블록과, 다수의 철자블록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기위하여 철자블록의 입면에 의해 가로 세로 동일하게 등분되거나 가로 세로 각기 다른 배수로 분할되는 입면의 판형으로 상단면에 인쇄부를 갖으며 그 하부에 부착판, 판재 및 뒷면 인쇄부를 포함하는 구조의 단어블록판 및 단어블록판의 상부 일부 내지 전부에 철자블록들을 배열하여 형성되는 미로블록을 다수 배치하여 고정할 수 있는 미로구성판으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에 따르면, 여러 의미 분야별로 단어블록판의 인쇄면에서 제시하는 단어의 철자를 맞추어 철자블록을 배치함으로써 미로블록이 만들어지고, 미로블록 여러개를 미로구성판에 배치하면 미로가 구성된다. 단어블록판에 철자블록을 배치하면서 단어의 철자를 익힐 수 있으며, 미로가 완성된 후에는 미로놀이를 계속할 수 있어 단어의 이미지와 철자가 반복적으로 의식 또는 무의식중에 전달됨으로써 놀이 과정을 통해 단어의 철자를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놀이판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미로블록 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놀이판에 사용되는 단어블록판의 다양한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미로블록의 한글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미로블록의 수식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놀이판 구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영어나 한글 등 언어의 단어를 학습하는 과정과 공간배치를 통한 미로 구성의 요소를 혼합하여 언어학습과 공간구성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용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놀이판은 미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미로구성판(200)위에 단어블록판(120)과 철자블록(110)들로 구성된 미로블록(100)을 다수 배치하여 미로를 구성하고 길을 찾는 미로놀이를 즐길 수 있는 구조이다. 아울러, 사용되는 철자블록(110)들과 단어블록판(120)을 종류별로 정리하기 위한 블록정리함(300)을 더 포함한다. 미로구성판(200)을 블록정리함(300)의 덮개로 활용하면 본 발명에 의한 놀이판을 쉽고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단어블록판(120)은 철자블록(110)의 입면에 의해 분할되는 구조이다. 본 도면에서 예시한 그림은 하나의 단어블록판에 가로 3, 세로 3, 총 9개의 철자블록이 위치할 수 있다. 단어블록판에 어떤 단어를 연상시키는 그림이나 사진을 제시하고, 그 단어의 철자를 이 9칸의 공간 내에 미로를 구성하는 형태로 배치하고 특정한 표식(예 : 의문부호 ‘?’)으로 표시한다. 단어블록판의 앞면에 표시된 위치에 해당하는 철자의 철자블록(110)들을 배치하면 각 단어블록판이 채워져 미로블록(100)이 완성된다. 각각의 단어블록판은 제각각 다른 형상의 미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미로 구성 요소로서의 형상을 갖도록 되어 있어서, 완성된 각각의 미로블록들은 미로구성판(200)위에 배치하면 미로가 구성된다. 미로를 구성하는 흥미를 배가하기 위해 단어블록판(120)과 동일한 크기의 입면 형상으로 미로를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입면의 중앙이 천공된 구멍블록판(130), 입면에 철자블록(110)을 배열하지 않는 평면 블록판(140), 입체도형 장애물을 입면에 구비한 블록판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일종의 장애물을 배치하여 미로놀이의 흥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미로블록 구조의 사시도이다. 미로블록(100)은 단어를 형성하기 위한 철자블록(110)과 단어를 제시하여 배치할 수 있는 단어블록판(120)으로 구성된다. 우선, 철자블록(110)은 입면이 정사각형인 육면체의 형상을 띈 몸체(111)위 상단에 각각의 철자가 표기되는 인쇄부(112)를 갖는다. 또한, 철자블록이 단어블록판위에 쉽게 고정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자석을 고정하기 위해 하단 중심을 안쪽으로 깎아내어 자석을 넣고 부착할 수 있는 자석고정부(114)를 구비하여, 자석(113)을 위치시키고 고정한다. 단어블록판(120)은 단어의 철자 맞추기 문제를 제시하는 역할과 철자를 지정된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며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단어블록판은 판형의 형태로 여러 겹의 층이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최상단의 층은 각 단어문제를 제시하도록 인쇄되는 앞면 인쇄부(121)이다. 코팅된 종이나 합성수지 표면에 흑백 또는 컬러로 인쇄한다. 단어블록판의 면적은 본 실시예에서 각 철자블록(110)이 가로 3, 세로 3, 총 9개가 놓일 수 있는 크기이다. 이 공간을 식별이 용이하게 분할하여 표시해주면 철자블록(110)을 배치할 때 용이하다. 단어의 철자문제를 제시하기 위해 단어를 연상시키는 그림 또는 사진을 보여준다. 이것을 문제로 하여 사용자는 이 그림 또는 사진이 어떤 단어인지를 생각해 내고, 어떤 칸에 어떤 철자블록을 채워야하는 지 판단하여, 철자블록을 놓도록 표시된 영역(본 도면의 의문부호로 표시된 영역)에 각각의 철자블록을 놓는다. 단어를 맞추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 단어의 영역(의미 분야), 난이도 수준, 유사어 또는 반의어, 철자블록(110)이 놓이는 공간와 그렇지 않은 공간과의 구분표시 등을 할 수 있다. 단어블록판 앞면 인쇄부(121)의 하부에는 철판이나 자석으로 된 부착판(122)이 구성되는 층으로 철자블록(110)이 안정되게 잘 부착되고 쉽게 뗄 수 있도록 한다. 부착판(122)의 하부에는 판재(123)가 구성되는 층이다. 판재는 목재나 종이,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료로 구성이 가능하며 두께를 보강하거나 부착판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단어블록판이 너무 얇으면 쉽게 분리될 수 있어서 미로를 구성하여 놀이를 할 때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두께를 형성하고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판재를 보강한다. 부착판(122)과 판재(123)의 구성형태는 도면 우측 상단과 같이 철판이나 얇은 자석판에 판재가 보강되는 구조와 도면의 하단과 같이 자석 또는 자석면과 동일한 형태의 금속을 각 철자블록별로 판재에 고정하여 구성하는 형태가 가능하다. 도면 하단과 같이 각 철자별로 하나 또는 그이상의 자석이나 금속을 구비하는 이유는 단어블록판(120)에서 철자블록(110)이 놓이지 않는 영역에는 철자블록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우측 하단의 도면은 하나의 철자블록 하단에 대각선으로 두 개의 자석 또는 금속으로 부착판을 구성한 예이다. 이러한 형태는 각 철자블록이 단어블록판위에 고정되어 미로놀이를 할 때 쉽게 위치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높여 철자블록이 있어야 할 지정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해준다. 판재(123)와 부착판(122)의 하부에는 앞면과 동일하게 뒷면 인쇄부(124) 층이 구성된다. 앞면 인쇄부가 문제를 내는 부분이라면 뒷면 인쇄부는 문제의 답을 알려주는 부분이다. 앞면의 그림 또는 사진과 동일하거나 같은 의미의 다른 그림 또는 사진과 함께 해당 단어의 철자를 표기한다. 학습에 더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 그 단어의 우리말 뜻이나 소리나는 발음을 표기해 줄 수도 있다. 좀 더 발전된 형태의 학습과 연결될 수 있도록 다른 언어의 단어도 제시해 주면 부가적인 학습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좌측의 도면과 같이 뒷면에 중국어, 한글, 일본어를 함께 인쇄하면 그 단어의 다른 나라 언어를 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외에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놀이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예시를 통해 사용자가 철자블록(110)을 활용하여 미로블록(100)을 구성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단어블록판(120)에 자동차 그림이 제시되고 중간의 3칸에 ‘?’표시가 되어있다. 자동차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 ‘CAR'를 구성하기 위해 C, A, R 철자블록을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하면 이 단어블록판을 활용한 미로블록이 완성된다. 영어단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나 유아의 경우는 답이 나와 있는 뒷면에 철자블록을 배치할 수도 있다. 뒷면의 답을 보고 똑같은 모양의 철자블록을 올려놓다 보면 자연스럽게 그 단어의 철자를 익힐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놀이판에 사용되는 단어블록판의 다양한 실시예로 각 단어의 단어블록판 앞면과 뒷면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놀이판은 철자블록을 단어블록판위에 배치하여 미로블록을 만들고, 여러개의 미로블록을 미로구성판에 배치함으로써 미로가 완성되는 구조이다. 사용자의 흥미와 교육적인 효과는 미로블록이 미로를 얼마나 흥미있게 구성해주는가와 각 단어블록판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철자를 학습할 수 있도록 제시되는가에 달려있을 것이다. 따라서, 단어블록판은 영어의 경우, 식별과 미로 구성이 용이하도록 가로 3, 세로 3, 총 9칸으로 분할하여 철자가 놓여야할 영역과 놓이지 않는 영역을 구분하여 준다. 철자가 놓여야할 영역은 철자블록이 놓이면서 장애물로 구성되고, 철자가 놓이지 않는 영역은 미로를 진행할 수 있는 길이 된다. 따라서 각 단어블록판에 철자가 놓이지 않는 영역을 적절히 배치하여 각 미로블록을 연결하였을 때 상호간에 길이 막히거나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교육적인 효과를 위해 각 단어의 철자를 배치함에 있어서 음절에 대한 기준을 정하고 학습에 도움이 되는 구조로 철자가 배열되어야 한다. 본 도면의 예를 살펴보면, 눈(目 )을 상징하는 그림의 단어블록판을 보면 아래 3칸이 비어있다. 답은, 'EYE'이다. 이 ‘EYE'미로블록은 아래쪽 3칸에 철자블록을 놓아 장애물이 구성되고 위의 6칸의 입면이 비어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단어의 철자가 3자 이내인 경우에는 9칸의 공간 안에 제시 이미지와 잘 어울리도록 가로나 세로로 적정한 공간에 일렬로 배치하면 되지만, 철자가 3자 이상인 경우에는 3칸으로 되어있는 한 줄을 넘어가므로,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 철자를 분할하여 배치하여야 한다. 제시하는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중요부분이 가려지지 않도록 철자를 배열해야 하며, 자음과 모음의 음절별로 연결성을 고려해야 한다. 영어의 경우 Phonics라는 개념의 음절 중심의 단어 교육방식을 고려해서 단어를 분할하여 철자를 배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우측 상단의 'HAND'는 H와 AND로 분할하거나 HAN과 D로 분할하는 것은 자연스럽지만, HA와 ND로 분할하는 것은 자연스럽지 않다. 또한 두 개의 단어가 결합된 단어는 구성 단어를 고려하여 철자를 분할하여야 한다. 도면 중앙 우측의 'AIRPLANE'의 경우처럼 'AIR'와 'PLANE'을 분할하고, 다시 "PLANE'을 음절로 분리하여 'PL'과 'ANE'으로 분리한다. 이렇게 음절별로 철자를 분할하여 배치하면, 상당수의 영어 기본단어를 9개의 칸으로 구분되는 영역에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honics에 기초하여 단어를 익히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철자를 분할함에 있어 음절별로 분할을 하더라도 분할된 철자의 의미가 왜곡될 수 있는 경우는 피해야 한다. 하단 중앙의 'CARROT'은 'CAR'와 'ROT'로 분할될 수도 있지만, 자칫하면 ‘당근’이라는 단어가 ‘CAR(자동차)’와 연관성 있게 보일 수 있으므로 달리 분할하였다. 이처럼 분할된 철자가 독립적으로 다른 뜻이거나 이상하게 읽힐 수 있는 경우를 피해서 철자를 분할하여야 할 것이다. 본 도면에서 예시하는 것처럼 단어블록판을 단어의 영역(의미 분야)별로 구분하고 난이도별로 구분하면 의미 분야별, 난이도별로 단어블록판을 추가로 별도 구비할 수 있어서, 중복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단어 학습을 확장해 나아갈 수 있다. 아울러, 철자가 9자가 넘는 단어들도 가로*세로 3*6과 같이 구성하면 다른 미로블록들과 어긋나지 않게 3*3의 단어블록판 2개의 공간을 차지하여 미로구성판에 놓일 수 있어 철자가 긴 어려운 단어들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3*3으로 가로 세로 등분되지는 않지만 가로 세로 각기 다른 배수로 철자블록에 의해 분할되는 규칙성은 유지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미로블록의 한글 실시예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실시예는 영어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구조로 한글이나 다른 외국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며 초성, 중성, 종성이 합해져서 하나의 음절을 이루게 된다. ㄱ, ㄴ, ㄷ,...과 같은 자음에 ㅏ, ㅑ, ㅓ, ㅕ,...와 같은 모음이 결합되고 받침이 있는 경우, 다시 하나 이상의 자음이 아래에 구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원할한 글자의 구성을 위해 단어블록판(120)의 세로 영역은 3칸 이상으로 분할되어야 한다. 한글 모음의 경우 자음의 우측이나 아래에 위치하고 받침이 있는 경우에는 수직으로 3칸을 필요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면에서 예시한 단어 중 ‘하늘’의 ‘늘’과 ‘맑은’의 ‘은’같은 경우가 세로로 3칸을 차지한다. 이중자음이나 이중모음이 들어간 단어는 상대적으로 많은 영역을 차지한다. 예를 들어 ‘왕’은 세로 3칸 가로 2칸의 영역에서 4칸을 차지하는 식이다. 영어의 경우에는 철자가 9자 이내의 경우, 3*3으로 균등 분할한 공간에 공통적으로 철자를 가로나 세로로 배치할 수 있으나, 한글은 문자의 특성상 세로 배열보다는 가로배열이 적합하고 3*3의 영역에 단어를 구성하는데 제한이 있다. 따라서, 한글을 적용한 단어블록판은 굳이 3*3으로만 한정하여 등분하지 않고, 3*6으로도 분할하여 3~4자로 구성된 단어를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미로블록의 수식(數式) 실시예이다. 본 도면 상단과 같이 단어블록판(120)에 수식의 기본 포맷(예 : ? X ?? = ???, ?? + ?? = ??, ? x ? = ??, ?? - ?? = ? 등)을 단어블록판 앞면 인쇄부에서 제시하면, 부모나 선생님 등이 그 포맷에 적합하도록 자릿수 등을 고려하여 문제 부분을 철자블록(110)으로 형성하여 만들 수 있다. 아이가 철자블록으로 그 수식의 답을 다는 방식으로 학습이 진행될 수 있다. 이밖에도, 본 도면의 좌측 하단 도면과 같이 숫자를 연상시키는 사물을 그림 또는 사진으로 표시하여 수식을 구성하고 답란을 비워두면, 상대방 없이 혼자서도 사물의 개수에 해당하는 숫자의 철자블록을 올려서 수식을 만들고 그 수식에 맞는 답을 달 수 있다. 또한, 하단 우측의 도면들처럼 단어블록판(120)에 별도의 수식과 관련된 제시 사항이 없고 9개의 영역을 분할한 단어블록판 위에 사용자가 자유롭게 수식을 구성하여 문제를 풀어갈 수 도 있다. 간단한 수식을 만든다든지 등호(=) 또는 부등호(>,<)를 익힐 수 도 있다. 그밖에 주사위의 표시 같은 심볼을 통해 아직 숫자를 배우지 않은 어린아이가 수를 배워갈 수 도 있다. 이와 같은 수식에 적용한 형태도 자릿수를 잘 고려하여 블록의 영역에 맞춰 배치하면 다양한 형태의 미로블록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밖에도 단어블록판을 하나의 그림으로 하고 철자블록을 그 그림의 일부분으로 하여 그림을 완성해가는 퍼즐 형태나, 단어블록판에 다양한 도형의 표시를 제시하여 블록을 배열하는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를 통해 아직 문자를 익히지 않은 어린이나 외국어를 배우기 시작하는 사용자가 보다 쉽고 재미있게 단어 및 철자를 익힐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놀이판의 구조는 나아가 다른 외국어의 기본단어를 익히거나 다양한 학습 분야에 응용되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미로블록
110 : 철자블록
111 : 철자블록 몸체
112 : 철자 인쇄부
113 : 자석
114 : 자석 고정부
120 : 단어블록판
121 : 단어블록판 앞면 인쇄부
122 : 부착판
123 : 판재
124 : 단어블록판 뒷면 인쇄부
200 : 미로구성판
300 : 블록정리함

Claims (5)

  1. 입면의 형태가 정사각형인 육면체 형상의 몸체(111) 상단부에 알파벳, 한글 자음/모음, 숫자 및 부호 중 하나를 인쇄한 인쇄부(112)를 갖고 하단부에 자석고정부(114)를 통해 자석(113)을 포함하는 구조의 철자블록(110)과;
    다수의 철자블록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기위하여 상기 철자블록(110)의 입면에 의해 가로 세로 동일하게 등분되거나 가로 세로 각기 다른 배수로 분할되는 입면의 판형으로, 상단면에 인쇄부(121)를 갖으며 그 하부에 철판이나 자석으로 구성된 부착판(122), 두께를 보강하고 부착판을 고정하기 위한 판재(123) 및 뒷면 인쇄부(124)를 포함하는 구조의 단어블록판(120) 및;
    상기 단어블록판(120)의 상부 일부 내지 전부에 철자블록(110)들을 배열하여 형성되는 미로블록(100);을 다수 배치하기 위한 고정 받침대인 미로구성판(200);으로 구성되어,
    단어블록판(120) 앞면 인쇄부(121)에 제시되는 단어 및 형식에 맞게 철자블록을 단어블록판의 지정된 위치에 배열하여 미로블록(100)을 구성하고, 다수의 미로블록을 미로구성판(200)위에 배치하여 미로를 구성함으로써, 단어의 철자 및 산수를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미로를 구성하여 미로 놀이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자블록(110)을 순서대로 정리할 수 있도록 각 철자, 숫자, 부호별로 독립적인 공간에 수납할 수 있으며, 단어블록판(120)에 제시되는 단어의 영역(의미 분야)별로 단어블록판을 분류하여 독립적인 공간에 수납할 수 있는 구조의 블록정리함(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블록판(120)의 앞면 인쇄부(121)가 단어를 연상시키는 그림 또는 사진, 해당 단어의 철자 수, 단어의 영역(의미 분야), 난이도 수준, 유사어 또는 반의어, 철자블록(110)이 놓이는 공간과 그렇지 않은 공간과의 구분표시, 산수 수식(數式), 수(數)를 연상시키는 표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블록판(120)의 뒷면 인쇄부(124)가
    앞면과 동일하거나 같은 의미의 다른 그림 또는 사진, 해당 단어의 철자(답), 단어의 영역(의미 분야), 난이도 수준, 유사어 또는 반의어, 해당 단어의 우리말 번역(뜻), 해당 단어를 읽는 소리의 우리말 표기, 같은 의미의 다른 국가 언어, 산수 수식(數式)의 예(例), 앞면 수식(數式)의 정답, 앞면과 다른 산수 수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블록판(120)과 동일한 크기와 두께의 판재 형상으로 미로를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입면의 중앙이 천공된 구멍블록판(130), 입면에 철자블록(110)을 배열하지 않는 평면 블록판(140), 입면에 입체도형 장애물을 구비한 블록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KR1020130049012A 2013-05-01 2013-05-01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KR20140130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012A KR20140130583A (ko) 2013-05-01 2013-05-01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012A KR20140130583A (ko) 2013-05-01 2013-05-01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583A true KR20140130583A (ko) 2014-11-11

Family

ID=5245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012A KR20140130583A (ko) 2013-05-01 2013-05-01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058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10650A (zh) * 2016-08-30 2016-11-16 温州任和教育科技有限责任公司 旋门透明蜂窝迷宫
KR20170106181A (ko) * 2016-03-10 2017-09-20 김형기 언어 학습용 블록 교구
KR102087711B1 (ko) 2019-04-19 2020-03-11 김준 언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세트 및 이를 이용한 언어학습방법
WO2020105917A1 (ko) * 2018-11-22 2020-05-28 주식회사 코리아보드게임즈 보드게임 장치
CN111445739A (zh) * 2020-05-07 2020-07-24 湖南文理学院 一种高效的英语教学装置
KR20210001216A (ko) 2019-06-27 2021-01-06 염윤하 시지각 통합교육이 가능한 장애아동 및 영유아 학습용 교구세트,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KR20210137657A (ko)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몽키빠렛트 아이스 브레이커용 보드게임 및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아이스 브레이커용 보드게임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181A (ko) * 2016-03-10 2017-09-20 김형기 언어 학습용 블록 교구
CN106110650A (zh) * 2016-08-30 2016-11-16 温州任和教育科技有限责任公司 旋门透明蜂窝迷宫
WO2020105917A1 (ko) * 2018-11-22 2020-05-28 주식회사 코리아보드게임즈 보드게임 장치
KR102087711B1 (ko) 2019-04-19 2020-03-11 김준 언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세트 및 이를 이용한 언어학습방법
KR20210001216A (ko) 2019-06-27 2021-01-06 염윤하 시지각 통합교육이 가능한 장애아동 및 영유아 학습용 교구세트,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CN111445739A (zh) * 2020-05-07 2020-07-24 湖南文理学院 一种高效的英语教学装置
KR20210137657A (ko)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몽키빠렛트 아이스 브레이커용 보드게임 및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아이스 브레이커용 보드게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0583A (ko)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US5743740A (en) Educational word and letter game and method of playing
KR20200019550A (ko) 교육용 인형 시뮬레이터
KR101042596B1 (ko) 한글교습도구
KR101277012B1 (ko) 학습용 끼움 놀이판
KR200418978Y1 (ko) 정(직)육면체 블럭에 의한 북 형식의 한글교본.
US20070099158A1 (en) Literacy/numeracy development method and apparatus
KR20110110378A (ko) 언어 학습 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
KR101320050B1 (ko) 학습 교구
KR20120080365A (ko) 큐브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KR20130101226A (ko)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JP6489395B2 (ja) パズルゲームセット
US2900742A (en) Educational game for teaching spelling
JP2019090999A (ja) 音価とリズムの教材
JP3202206U (ja) パズルゲームセット
KR100781738B1 (ko) 외국어 교습용 게임카드
Yuli et al. Modification of Domino Card Game As an Alternative to The Introduction of Letters For Early Age Children
JP6089255B1 (ja) 漢字学習用具
KR102521266B1 (ko) 7가지 문자조각을 갖는 한글 학습도구
KR20210112611A (ko) 한글 낱말 학습을 위한 윷놀이 보드게임
US3808709A (en) Child teaching board game
KR20070009812A (ko) 한자 학습용 교재
KR20130004686U (ko) 영유아 및 장애인용 영어 학습교재
RU144502U1 (ru) Средство обучения чтению
KR102567787B1 (ko) 그림책을 이용하여 언어 학습이 가능한 글놀이 노트 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