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479Y1 -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479Y1
KR200454479Y1 KR2020090006105U KR20090006105U KR200454479Y1 KR 200454479 Y1 KR200454479 Y1 KR 200454479Y1 KR 2020090006105 U KR2020090006105 U KR 2020090006105U KR 20090006105 U KR20090006105 U KR 20090006105U KR 200454479 Y1 KR200454479 Y1 KR 200454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crater
main body
torch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608U (ko
Inventor
김광욱
Original Assignee
(주)캔파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캔파이어 filed Critical (주)캔파이어
Priority to KR2020090006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479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6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6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4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37/079Charcoal igni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숯을 수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가 내장되는 내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수납부 하부에 배열되고, 토치의 팁을 위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과 연통 가능하고, 숯을 점화시키기 위한 복수의 화염(火焰) 분출공을 포함하는 화구(火口), 그리고 상기 화구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의 내실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옥외나 야외에서 바베큐나 숯불구이를 즐기기 위해 기존의 토치에 불을 붙여 본체에 내장된 화구의 삽입공에 삽입하고, 분출공을 통하여 화염을 공급함으로써 본체에 내장된 화구가 토치의 거치대 역할과 화염의 공급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정성과 사용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아울러 화구가 본체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화염을 집중 공급함으로써 숯의 점화시간이 단축할 수 있어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숯불구이기, 토치, 화구, 분출공, 고정수단, 기밀수단, 결속수단

Description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ROASTER}
본 고안은 옥외나 야외에서 바베큐나 숯불구이를 즐기기 위해 기존의 토치에 불을 붙여 본체에 내장된 화구의 삽입공에 삽입하고, 분출공을 통하여 화염을 공급함으로써 본체에 내장된 화구가 토치의 거치대 역할과 화염의 공급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정성과 사용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아울러 화구가 본체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화염을 집중 공급함으로써 숯의 점화시간이 단축할 수 있어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가정 등에서는 소고기나 돼지고기, 오리고기 등과 같은 육류를 구울 때 육류의 냄새를 제거하고, 그 맛을 향상시키기 위해 숯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 고기를 굽기 위한 장치로는 전기를 이용한 전기 구이장치와, 가스불을 이용한 가스 구이장치와, 숯불을 이용한 숯불 구이장치로 대별되는데,
이러한 구이장치 중에서 숯불 구이장치에 구워진 고기가 전기 구이장치나, 가스 구이장치를 통해서 구워진 고기에 비해 그 맛이 월등히 뛰어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숯불 구이장치의 사용을 선호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숯불 구이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숯 또는 장작 등을 착화시키기 위해 화로나 숯통에 담긴 숯이나 장작 등에 일정 온도의 화염을 일정 시간 가열하여야 숯이 점화가 가능하므로
종래에는 일정한 화염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토치를 사용하여 숯을 일정 시간 가열하여 착화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숯불구이기로는 주식회사 세정실업에 의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53170호(2004.06.02. 등록.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토치착탈형 가스숯불겸용 바베큐구이기가 게시되어 있으며,
상기 종래기술은 숯불구이몸체의 일측면상에 토치삽입구가 설치되어 토치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화염을 공급함으로써 숯을 점화시키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토치에서 분출되는 화염에 의하여 직접 숯을 가열하여 점화시키게 되는데,
일반적인 토치의 경우에는 가스의 분출압에 의하여 화염이 전방을 향해 분출 되는 직진성을 갖게 되고, 따라서 종래기술의 토치삽입구에 설치되는 토치의 화염 역시 전방으로 분출되는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 숯에 화염이 직접 공급되는 것을 보장할 수 없으며,
또 이에 의하여 숯의 점화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가스의 사용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또한 사용자를 불편하고 짜증스럽게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 상실이라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옥외나 야외에서 바베큐나 숯불구이를 즐기기 위해 기존의 토치에 불을 붙여 본체에 내장된 화구의 삽입공에 삽입하고, 분출공을 통하여 화염을 공급함으로써 본체에 내장된 화구가 토치의 거치대 역할과 화염의 공급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정성과 사용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아울러 화구가 본체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화염을 집중 공급함으로써 숯의 점화시간이 단축할 수 있어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기가 야외나 옥외에서 불안정한 위치에 놓이거나 확실하게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 화구에 거치된 토치의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또는 흔들리는 경우를 대비하여 화구와 토치의 연결부를 기밀수단으로 감싸 공기의 유입이나 가스의 노출을 막고,
아울러 기밀수단을 결속수단으로 가압 고정하여 기밀수단의 밀착성과 고정력을 보장할 수 있는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화구는 단면 형상이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반 구와 하반구로 이루어지고, 화구의 분출공이 하반구 상부 양측에 배열되어 수납부에 구비된 숯이 연소되어 내실 저면으로 떨어지는 경우 재가 분출공으로 들어가 분출공이 막히거나 또는 화염이 불안정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구가 내장된 숯불구이기는 숯을 수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가 내장되는 내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수납부 하부에 배열되고, 토치의 팁을 위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과 연통 가능하고, 숯을 점화시키기 위한 복수의 화염(火焰) 분출공을 포함하는 화구(火口); 및 상기 화구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의 내실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화구와 토치의 연결부에는 기밀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기밀수단은 결속수단에 의하여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화구는 단면 형상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반구와 하반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구의 분출공은 상기 하반구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는 옥외나 야외에서 바베큐나 숯불구이를 즐기기 위해 기존의 토치에 불을 붙여 본체에 내장된 화구의 삽입공에 삽입하고, 분출공을 통하여 화염을 공급함으로써 본체에 내장된 화구가 토치의 거치대 역할과 화염의 공급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정성과 사용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아울러 화구가 본체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화염을 집중 공급함으로써 숯의 점화시간이 단축할 수 있어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기가 야외나 옥외에서 불안정한 위치에 놓이거나 확실하게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 화구에 거치된 토치의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또는 흔들리는 경우를 대비하여 화구와 토치의 연결부를 기밀수단으로 감싸 공기의 유입이나 가스의 노출을 막고,
아울러 기밀수단을 결속수단으로 가압 고정하여 기밀수단의 밀착성과 고정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화구는 단면 형상이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반구와 하반구로 이루어지고, 화구의 분출공이 하반구 상부 양측에 배열되어 수납부에 구비된 숯이 연소되어 내실 저면으로 떨어지는 경우 재가 분출공으로 들어가 분출공이 막히거나 또는 화염이 불안정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기의 가이드수단이 본체 내실에 중심부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의 가이드수단이 본체의 내실 양측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방향 기준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특정하면,
수납부(13)가 인출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인 가스공급부(20)가 위치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특정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는
숯(HS)을 위한 수납부(13)와, 상기 수납부(13)가 내장되는 내실(11)을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수납부(13) 하부에 배열되고, 토치(20)의 팁(21)을 위한 삽입공(35)과, 상기 삽입공(35)과 연통 가능하고, 숯을 점화시키기 위한 복수의 화염(火焰) 분출공(31)을 포함하는 화구(火口)(30); 및 상기 화구(30)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10)의 내실(11) 저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구(30) 내장형 숯불구이기에서, 상기 본체(10)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는 트임구조의 개구부를 갖고, 그 내부는 반원 형상의 내실(11)이 형성되어, 상기 내실(11)에는 숯이나 장작 등의 숯(HS)이 담기는 수납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상단에는 조리 대상체나 식기류 등을 올려놓기 위한 테이블(1)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본체(10)의 내실(11) 양측에는 상기 수납부(13)를 거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수납부(13)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부(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부(2) 상부에는 조리 대상체에서 배출되는 기름이나 찌꺼기를 수거하기 위한 기름받이(3)가 거치되는 장착부(3b)가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기름받이(3)는 상기 장착부(3b)에 놓인 상태에서 전방을 향해 일정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3) 전방에는 상기 기름받이(3)에 흘러내리는 기름이나 찌꺼기를 담기 위한 수거함(3a)이 구비되고, 상기 수거함(3a)은 수납부(13)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수거된 기름이나 찌꺼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본체(10)의 장착부(3b) 상부에는 조리 대상체가 올려놓고 익히거나 굽기 위한 그릴이나 불판(4) 등을 얹기 위한 안착부(4a)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 외측 하부에는 본체(10)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5)가 양측에 연결되고, 그리고 지지대(5) 일측 또는 양측에는 본체(10)의 이동이나 운반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캐스터(5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전방 벽면은 상기 수납부(13)의 인출을 위한 배출구(6)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13)가 안내부(2)를 타고 인출되어 숯(HS)인 숯이나 장작을 보충하거나 또는 숯(HS)이 연소되고 남은 재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본체(10)의 후방 벽면 하부에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화구(30)의 삽입공(35)과 토치(20)의 팁과의 연결을 위해 화구(30)의 단부, 즉 삽입 공(35)이 외측으로 노출 가능하도록 관통공(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수납부(13) 전방에는 댐퍼(8)가 구비되어 점화된 숯(HS)의 화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외기를 유입시키고, 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납부(13) 전방에는 수납부를 인출 가능하도록 손잡이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 상부에는 조리 대상체의 조리 시 열 방출을 차단하기 위해 덮개(9) 힌지 결합방식으로 구비되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토치(20)는 상기 본체(10)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토치(20) 하부에는 가스통(27)과 탈부착 가능한 어댑터(25)가 구비되고, 상기 토치(20)의 일측에는 가스의 공급과 토치의 점화를 위한 조절레버(23)가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토치(20)에서 조절레버(23)의 반대쪽 단부에는 가스의 공급을 위한 팁(21)이 구비된다.
또한 이 경우 토치는 조절레버(23)에 의하여 원터치 점화 방식이나, 또는 라이터나 성냥 등을 사용하여 점화가 가능한 수동 방식 등의 기존의 토치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구(30) 내장형 숯불구이기에서, 상기 화구(30)는
상기 본체(10)의 수납부(13) 하부에 배열되고, 토치(10)의 팁(21)을 위한 삽입공(35)과, 상기 삽입공(35)과 연통 가능하고 숯의 점화를 위한 복수의 화염(火焰) 분출공(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화구(30)는 중공을 갖는 관 형태를 이루며, 상기 본체(10)의 관통공(7)은 통하여 삽입공(35)이 본체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토치(20)의 팁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공(35)의 반대쪽에는 상기 본체(10)의 수납부(13) 하부에 위치하고 화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의 분출공(31)이 형성되며, 상기 분출공(31)이 형성되는 화구(30)의 단부는 막힌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렇게 화구(30)의 단부가 막힌 구조를 취하는 것은 토치(20)를 통하여 분출되는 화염이 분출공(31)을 통하여 일정한 분출압을 유지하면서 분출되도록 하여 숯에 화염이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다만 화구(30)의 단부가 개구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에는 상기 분출공(31)을 형성하지 않고 바로 화구(3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화염이 분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화구(30)의 단부가 상방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숯에 화염이 근접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토치(20)를 통하여 분출되는 화염은 화구(30)의 길이에 따라 분출공(31)을 통하여 내뿜어지는 분출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분출공(31)을 통한 화염의 분출압을 고려하여 화구(30)와 분출공(31)의 위치를 적정하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본체(10)의 길이가 길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화구(30)를 설치하는 경우 화구(30)의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는 경우에는 화구가 본체(10)의 측면을 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화구(30)의 각 분출공(31)은 관 형태의 화구(30)의 단면 형상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반구(HHS)와 하반구(LHS)로 나누어 하반구(LHS) 양측 상부에 나란히 또는 엇갈린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본체(10)의 수납부(13)에 수용된 숯(HS)이 연소되어 내실(11) 저면으로 배출되는 재가 화구(30)의 분출공(31)으로 들어가거나 끼이는 경우 각 분출공(31)이 막히거나 폐색(閉塞)되어 토치로부터 공급되는 화염의 분출이 불규칙하거나, 심하게는 화염의 분출 자체가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화구(30)의 분출공(31)은 상반구(HHS)와 하반구(LHS)가 만나는 연결선을 기준으로 연결선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수납부(13)에서 배출되는 재는 분출공(31)의 상반구(HHS)를 통하여 분출공(31)을 거치지 않고 내실(11) 저면으로 배출되어 쌓이게 되며,
또한 토치(20)에서 공급되는 화염이 분출공(31)을 통하여 상방으로 향하여 내뿜어져 상기 수납부(13)의 숯(HS)을 점화 및 가열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구(30)의 노출단부(33)에는 상기 토치(20)의 팁(21)이 화구(30)의 삽입공(35)이 삽입되는 형태나 또는 화구(30)의 노출단부(33)가 토치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연결부(C)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화염이 토치(20)의 팁(21)의 통하여 분출된 상태에서 화구(30)의 삽입공(35)에 투입하게 되므로 토치(20)의 팁이 화구(30)의 삽입공(35)으로 삽입되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그 삽입 깊이는 가스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토치(20)의 팁(21)의 직경은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화구(30)의 삽입공(35)에 삽입은 용이하면서도, 어느 정도 삽입된 후에는 토치(20)의 팁(21)이 화구(30)의 삽입공(35)에 억지 끼움방식의 결합되어 결합 깊이가 자연스럽게 결정되어 더 이상의 결합이 진행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구(30)와 토치(20)의 연 결부(C)에 기밀수단(50)이 결합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숯불구이기가 야외나 옥외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장소에 따라 불안정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토치(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숯불구이기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숯불구이기가 흔들리는 경우 화구(30)와 토치(20)의 연결부(C)에서 화염이 분출되거나 또는 화염의 분출압에 의하여 화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화구(30)와 토치(20)의 연결부(C)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밀수단(50)은 일정한 탄성을 갖는 엘라스토머나 실리콘 재질의 튜브 형태의 부재를 사용하여 기밀유지와 일정한 탄성력에 의한 고정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본체(10)에서 전달되는 가열에 대하여 내열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 기밀수단(50)이 녹거나 또는 열 팽창하여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본체(10)의 후방 벽면 외측에는 상기 화구(30)와 본체(10)을 통하여 기밀수단(50)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단열재(19)를 부착하여 화구(30)와 본체(10)로부터의 열전달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화구(30)와 토치(20)의 연결부(C)에 결합된 기밀수단(50)의 결합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구성으로 결속수단(6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결속수단(60)은 일정한 탄성을 갖는 고리 형상의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부(C)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61)와, 그리고 상기 가압부(61) 양단에 각각 이어지고,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63)는 상호 엇갈린 형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각 손잡이부(63)를 내측으로 양방향에서 외력을 작용시키게 되면 상기 가압부(61)는 각 손잡이부(63)의 동작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게 되어 벌어지게 되고, 그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가압부(61)는 탄성을 발휘하여 좁아지면서 가압부(61) 사이에 위치하는 기밀수단(50)을 조여 가압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속수단(60)에 의하여 상기 기밀수단(50)의 고정력은 증가하게 되어 기밀수단(50)의 결합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고, 이에 토치(20)에서 공급되는 화염이 상기 연결부(C)를 통하여 분출되거나 공기의 유입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에서,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화구(30)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10)의 내실(11) 저면에 고정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수단(40)은 화구(30)와 연결되는 결합부(43)와, 상기 결합부(43)와 이어지는 지지부(45)와, 그리고 상기 지지부(45)와 이어지고 양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내실(11)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부(47)를 포함하는 복수의 고정브라켓(4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고정브라켓(41)은 복수의 판상의 부재가 접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47)는 판상의 부재 단부를 각각 양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고정부(47)는 상기 본체(10)의 내실(11) 저면에 용접방식이나 볼트 체결방식을 통하여 상기 내실(11) 저면에 고정 결합된다.
또 상기 결합부(43)는 상기 화구(30) 하부에 용접 방식을 통하여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지지부(45)에 의하여 상기 화구(30)가 본체(10)의 내실(11) 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이격시켜 화구(30)의 화염이 수납부(13)에 근접하도록 하여 숯(HS)을 보다 효과적으로 점화 및 가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정수단(40) 본체(10)의 내실(11) 저면인 중심선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실(11) 양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10)의 내실(11) 저면에는 숯(HS)이 연소되어 배출되는 재를 수거하기 위한 재수거수단(18)인 수거함이나 재를 긁어모을 수 있는 삽 등이 본체(10)의 내실(11) 저면으로 투입될 수 있어야 하는데
도 4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40)이 본체(10)의 내실(11) 저면의 중심선 부부에 배열되는 경우에는 상기 재수구수단(18)과 고정수단(40)은 구조적으로 상호 겹치게 되어야 재의 수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서처럼 본체(10)의 내실(11) 양측에 고정수단(40)이 배열되는 구조를 취하여 상기 재수거수단(18)의 투입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재의 수거가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상기 고정수단(40)의 고정브라켓(41)은 결합부(43)이 화구(30)의 하부에 연결되고, 지지부(45)는 양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고정부(47)는 용접이나 볼트 체결방식을 통하여 본체(10)의 내실(11) 양측에 고정 결합된다.
다음으로는 본 고안의 토치가 가스의 공급만을 위한 노즐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를 상정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변형례를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구(30)의 분출공(31)에 불꽃을 점화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착화수단(70)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아울러 상기 착화수단(70)을 화구(30)의 분출공(31)으로의 접근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체(10)의 개폐부(15) 및 가이드수단(17)을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착화수단(70)은
상기 본체(10)에 고정되는 고정형과, 본 고안인 숯불구이기와 별도로 구비되는 휴대용 착화수단(70)이 모두 도입 가능하며,
고정형 착화수단의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의 내실에 내장되는 점화플러그(미도시)와 상기 점화플러그(미도시)와 연결되어 본체 외측으로 노출된 점화버튼(미도시)으로 이루어져,
상기 점화버튼(미도시)을 눌러 점화플러그에서 불꽃을 튀기게 되면, 화구의 분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에 점화되어 수납부의 숯에 화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용 착화수단(70)의 경우에는 건(gun) 형태로 이루어져 휴대가 가능하고, 상기 본체(10)의 개폐부(15)는 상기 본체(10)의 내실(11)과 연통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분출공(31)과 인접한 위치에 배열되며, 상기 개폐부(15)의 구성은 입출공(15a)과 개폐판(15b)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10)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착화수단(70)의 입출을 위한 입출 공(15a)과, 상기 입출공(15a)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판(15b)이 입출공(15a) 상부에 힌지 결합된 개폐부(15)가 형성되어,
착화수단(70)이 상기 개폐부(15)를 통하여 화구(30)의 분출공(31)에서 배출되는 가스에 불꽃을 점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15)의 개폐판(15b)은 본체(10) 외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어 선회 가능하므로, 상기 개폐판(15b)을 착화수단(70)의 투입 방향으로 밀면 개폐판(15b)가 내실(11) 안쪽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개폐부(15)의 입출공(15a)을 통하여 상기 휴대용 착화수단(70)이 투입 가능하여 상기 화구(30)의 분출공(31)에 불꽃을 점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개폐부(15)를 통한 휴대용 착화수단(70)의 투입하여 분출공(31)을 점화시키는 경우 휴대용 착화수단(70)의 투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또한 화구(30)의 분출공(31)의 위치에 정확하게 접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내실(11)에는 휴대용 착화수단(70)을 개폐부(15)와 분출공(31) 사이의 최단거리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수단(17)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가이드수단(17)은 상기 본체(10)의 내실(11)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며, 본체(10)의 내실(11) 저면에 고정 결합되는 다리부(17a)와, 상기 다리부(17a) 상부에 연결되고 휴대용 착화수단(70)을 안내하기 위한 지지체(17b)를 포 함하여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지지체(17b)는 판상의 부재를 반원 형상 또는 원통형 형상으로 제작되고, 또한 상기 개폐부(15)에서 분출공(31)까지 최단거리인 직선 경로를 형성하며 아랫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지지체(17b)는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휴대용 착화수단(70)의 투입은 용이하게 하면서도, 투입 후 분출공(31)에 접근 시 그 형태가 좁아져 분출공(31)의 위치에 정확하게 휴대용 착화수단(70)이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17b)가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체(17b)의 일 구현례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또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개폐부(15)와, 상기 가이드수단(17)은 도 4와 같이 상기 화구(30)가 중심부분에 배열되는 경우에는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6와 같이 상기 화구가 본체의 내실 양측에 배열되도록 복수(2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 화구(30)에 상응하도록 본체(10)의 양측과, 본체(10)의 내 실(11)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휴대용 착화수단(70)에 의한 점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기의 가이드수단이 본체 내실에 중심부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의 가이드수단이 본체의 내실 양측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의 또 다른 구현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테이블 2 : 안내부
3 : 기름받이 3a : 수거함
3b : 장착부 4 : 불판
4a : 안착부 5 : 지지대
5a : 캐스터 6 : 배출구
7 : 관통공 8 : 댐퍼
9 : 덮개
10 : 본체 11 : 내실
13 : 수납부 15 : 개폐부
15a : 입출공 15b : 개폐판
17 : 가이드수단 17a : 다리부
17b : 지지체 18 : 재수거수단
19 : 단열재
20 : 토치 21 : 팁
23 : 조절레버 25 : 어댑터
27 : 가스통
30 : 화구 31 : 분출공
33 : 노출단부 35 : 삽입공
40 : 고정수단 41 : 고정브라켓
43 : 결합부 45 : 지지부
47 : 고정부
50 : 기밀수단
60 : 결속수단 61 : 가압부
63 : 손잡이부
70 : 착화수단
HHS : 상반구 LHS : 하반구
C : 연결 HS : 숯

Claims (3)

  1. 삭제
  2. 숯을 수용하는 수납부(13)와, 상기 수납부가 내장되는 내실(11)을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수납부 하부에 배열되고 토치의 팁이 삽입되는 삽입공(35)과, 상기 삽입공과 연통 가능하고 숯을 점화시키기 위한 복수의 화염(火焰) 분출공(31)을 포함하는 화구(火口)(30); 및
    상기 화구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의 내실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로서,
    상기 화구와 토치의 연결부에는 기밀수단(5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기밀수단은 결속수단(60)에 의하여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구(30)는 단면 형상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반구와 하반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구의 분출공(31)은 상기 하반구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KR2020090006105U 2009-05-20 2009-05-20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KR200454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105U KR200454479Y1 (ko) 2009-05-20 2009-05-20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105U KR200454479Y1 (ko) 2009-05-20 2009-05-20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608U KR20100011608U (ko) 2010-11-30
KR200454479Y1 true KR200454479Y1 (ko) 2011-07-07

Family

ID=4420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105U KR200454479Y1 (ko) 2009-05-20 2009-05-20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4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705B1 (ko) 2014-12-03 2016-02-16 강성탁 연소가스 정화기능이 구비된 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89Y1 (ko) * 2011-11-15 2013-11-11 부의식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KR200483862Y1 (ko) * 2017-01-23 2017-07-04 최서윤 다기능 캠핑그릴
WO2022017615A1 (fr) * 2020-07-23 2022-01-27 Simoes Axel Appareil de cuisson de type barbecue comportant une cuve de réception d'un combustible et un dispositif pour amorcer la combustion de ce derni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8477A (en) 1988-04-22 1989-11-07 Mclane Jack S Barbeque grill with flameless heating element and heat restrictive cooking surface
KR100325016B1 (ko) 1999-05-28 2002-02-25 심영섭 숯불화로
KR200353170Y1 (ko) 2004-03-29 2004-06-14 주식회사 세정실업 토치착탈형 가스숯불겸용 바베큐구이기
KR20060047349A (ko) * 2004-04-23 2006-05-18 이익로 숯불 착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8477A (en) 1988-04-22 1989-11-07 Mclane Jack S Barbeque grill with flameless heating element and heat restrictive cooking surface
KR100325016B1 (ko) 1999-05-28 2002-02-25 심영섭 숯불화로
KR200353170Y1 (ko) 2004-03-29 2004-06-14 주식회사 세정실업 토치착탈형 가스숯불겸용 바베큐구이기
KR20060047349A (ko) * 2004-04-23 2006-05-18 이익로 숯불 착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705B1 (ko) 2014-12-03 2016-02-16 강성탁 연소가스 정화기능이 구비된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608U (ko) 201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8739A (en) Combination gas and charcoal grill
US6257130B1 (en) Ducted smoker for barbecue grill
KR100628996B1 (ko) 숯불 착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장치
US20070240583A1 (en) Roaster with a Door on an Upper Portion
US20130042852A1 (en) Charcoal Lighter for Individual Use with Protective Handle Placement
CN101309592A (zh) 烟增强器
KR200454479Y1 (ko)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KR200463877Y1 (ko) 숯불을 이용한 훈제기
KR101132309B1 (ko) 구이용 로스터
US20160123598A1 (en) Ultimate fire pit
KR100462938B1 (ko) 할로겐 램프에 의해 참숯을 가열하는 로스터 및 가열방법
US8967154B2 (en) Briquette ignition device
KR200400023Y1 (ko) 화목 보일러
KR101554842B1 (ko) 무동력 펠릿 연소 난로
KR101036899B1 (ko) 구이기
KR200401798Y1 (ko) 일회용 숯불구이기
US20180110366A1 (en) Charcoal grill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42628A (ko) 숯불 구이기
CN204860790U (zh) 燃气直引无烟环保炭烤炉
KR20140039856A (ko) 무연 숯불구이기
KR200353170Y1 (ko) 토치착탈형 가스숯불겸용 바베큐구이기
CN210204493U (zh) 一种烧烤炉用收油机构
CN103501667A (zh) 用于基本上使油脂或油在操作和存储状态下最小的溢出的可折叠式烧烤装置
TW201701810A (zh) 可攜式焙燒裝置及使用該焙燒裝置的焙燒方法
KR200487595Y1 (ko)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