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889Y1 -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889Y1
KR200469889Y1 KR2020110010098U KR20110010098U KR200469889Y1 KR 200469889 Y1 KR200469889 Y1 KR 200469889Y1 KR 2020110010098 U KR2020110010098 U KR 2020110010098U KR 20110010098 U KR20110010098 U KR 20110010098U KR 200469889 Y1 KR200469889 Y1 KR 200469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smoked
accommodating member
barbec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068U (ko
Inventor
부의식
Original Assignee
부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의식 filed Critical 부의식
Priority to KR2020110010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88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0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0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8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44Smoking; Smoking devices
    • A23B4/052Smoke generators ; Smoking apparatus
    • A23B4/0523Smoke generators using wood-pyrolysis or wood-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2037/077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foldable construc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는 다리가 결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관통형성된 개구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제1 수납부재와, 상기 제1 수납 부재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걸림턱에 걸리는 제2 수납부재와, 상기 제2 수납부재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제2걸림턱에 걸리는 제3 수납부재와, 상기 제2 수납부재에 올려지며, 숯이 올려지는 그물망과, 상기 제1 수납부재의 상측에 올려지는 불판과, 상기 불판 위에 올려지는 뚜껑과, 상기 제1 수납부재의 측면에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 하부에 설치된 훈제목 유입부와, 상기 개구부의 반대측에 조리된 음식이 올려지도록 상기 본체에 상부에 올려지는 접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a roasting apparatus of smoking barbecue}
본 고안은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를 축소시켜서 보관할 수 있는 바베큐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는 밀폐된 내부에서 훈제목 또는 훈연 칩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이용하여 고기의 냄새를 좋게 하여 고기를 조리하는 조리 기구이며, 웰빙 생활의 증대와 야외 활동의 증가로 인하여 이러한 바베큐 구이 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바베큐 구이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숯에서 발생된 복사열을 이용하여 불판에 올려진 고기를 가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선행 기술에는 출원번호 제10-2002-0047162호 (2002년 08월 09일 출원됨)'지지프레임 바베큐 그릴조립체', 출원번호 제20-2002-0034818호 (2002년 11월 21일 출원됨) '터널식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바베큐 구이 장치는 부피가 크므로 수납하기 불편하고, 조리 방법을 선택하기 힘들고, 숯에 불을 붙이기 불편하며, 조리된 고기를 별도의 접시로 옮겨야 하며, 잔존하는 숯불은 처리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부피가 큰 바베큐 구이 장치를 슬립한 형태로 보관할 수 있는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숯불구이와 훈연구이를 선택해서 조리할 수 있고, 숯에 불을 손쉽게 붙일 수 있고, 조리된 고기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조리 완료 후에 남아 있는 숯불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는 다리가 결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관통형성된 개구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제1 수납부재와, 상기 제1 수납 부재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걸림턱에 걸리는 제2 수납부재와, 상기 제2 수납부재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제2걸림턱에 걸리는 제3 수납부재와, 상기 제2 수납부재에 올려지며, 숯이 올려지는 그물망과, 상기 제1 수납부재의 상측에 올려지는 불판과, 상기 불판 위에 올려지는 뚜껑과, 상기 제1 수납부재의 측면에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 하부에 설치된 훈제목 유입부와, 상기 개구부의 반대측에 조리된 음식이 올려지도록 상기 본체에 상부에 올려지는 접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 상부에는 상기 접시판의 다리부가 거치되는 고정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시판은 상기 제1 수납부재 내부에 수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리는 본체와 분리되며 다리가 수납되는 거치대가 본체 하부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3 수납부재는 일측면에 다수 개의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는 다리를 분리하여 거치대에 보관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수납 부재를 겹쳐서 보관하고, 제1 수납부재 내부에 접시판을 수납시켜서 슬립한 형태로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훈제목 유입부를 통해서 숯불구이와 훈연구이를 선택해서 조리할 수 있고, 제3 수납 부재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를 통해서 숯에 불을 손쉽게 붙일 수 있고, 접시판을 이용하여 조리된 고기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조리 완료 후에 남아 있는 숯불을 접시판을 통해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변화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리(12)가 결합된 본체(10)가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0)에 일측에는 접시판(90)이 올려지고, 타측에는 뚜껑(80)의 하부에 조리 공간이 설치된다.
이러한 조리 공간은 숯불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는 것이며, 보관시에 접철되고 상기 접시판(9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슬립한 형태로 보관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공간에는 제1 수납부재(20), 제2 수납부재(30), 제3 수납부재(40), 그물망(50), 불판(60), 훈제목 유입부(70) 및 뚜껑(80)이 차례로 결합된다.
상기 제1 수납부재(20)는 본체(10)에 관통형성된 개구부(10a)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제2 수납부재(30)는 상기 제1 수납 부재(20)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걸림턱(21)에 걸리고, 제3 수납부재(40)는 상기 제2 수납부재(30)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제2걸림턱(31)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제1 내지 제3 수납부재는 차례로 겹쳐서 슬립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고, 조리시에는 순서대로 조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숯이 올려지는 그물망(50)은 상기 제2 수납부재(30)에 올려지고, 불판(60)은 상기 제1 수납부재의 상측에 올려진다.
상기 불판(60)은 중심부가 높고 가장자리가 상대적으로 낮아서 고기의 기름이 외곽측으로 흐를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며, 가장자리의 일측에는 기름 배출구(62)가 형성된다. 또한, 불판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서 훈연 연기가 통과하여 고기에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기름 배출구(62)는 본체(10)에 형성된 기름 배출공(18)에 연결되도록 하여 기름이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불판(60) 위에 올려지는 뚜껑(80)은 조리 공간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열 손실을 막고 훈연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측면에 체결공(81)가 형성되어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고리(19)를 통해서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뚜껑(80)은 분리되는 보조 뚜껑(82)이 설치되어 조리 상태를 중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수납부재(30), 제3 수납부재(40) 및 불판(60)에는 회전가능한 손잡이(39,49,69)가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훈제목 유입부(70)는 상기 제1 수납부재(20)의 측면에 형성된 훈제목 유입구(22)에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10) 하부에 설치되고, 단부에는 마개(72)가 결합된다.
사용자는 상기 마개(72)를 열고 훈제목 유입부(70) 내부에 훈제목을 넣어서 훈제목이 훈제목 유입구(22)를 통해서 단부가 제1 수납부재 내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연기가 발생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개구부(10a)의 반대측에 조리된 음식이 올려지는 접시판(90)의 다리부(92)가 거치되는 고정핀(14)이 설치된다.
상기 접시판(90)은 구운 음식을 놓는 접시 역할을 하며, 음식을 놓기전에 알루미늄 호일을 깔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시판(90)은 상기 제1 수납부재(2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크기와 높이로 제작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체에 설치된 다리(12)는 나사부(12a)를 통해서 본체(10)와 분리되며 상기 다리(12)가 수납되는 거치대(11a, 11b)가 상기 본체(10) 하부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3 수납부재(40)는 일측면에 다수 개의 공기 유입구(42)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42)에 가스 토치를 삽입하여 그물망(50)올려진 숯에 불에 붙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의 사용 태양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변화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상태는 조리 과정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보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판(60)에 고기(2)가 올려지고, 그물망(50)의 상측에는 숯(1)이 올려진다.
사용자는 제3 수납부재(40)의 일측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42)를 통해서 토치를 삽입하여 가스에 불을 붙이게 된다.
물론 뚜껑과 불판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가능하지만 결합된 상태에서 숯불을 피우는 것이 보다 간편하며, 숯불 발생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때문에 눈이 매워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숯(1)에 불이 붙으면 훈제목 유입부(70)에 훈제목(3)을 넣고 제1 수납부재 측으로 밀어서 숯(1)에 의해서 훈연이 발생되도록 하며,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은 기름 배출구(62)와 기름 배출공(18)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는 조리가 완료되면 뚜껑(80)을 열고 조리된 고기를 접시판(90)에 옮겨 바로 먹게 된다.
조리가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먼저, 다리(12)는 분리하여 거치대(11a, 11b)에 넣어서 보관하고, 제1 수납 부재(20) 내부에 제2 수납 부재와 제3 수납 부재를 차례로 수납하게 된다.
또한, 접시판(90)을 제1 수납 부재(20) 내부에 넣어서 보관할 수도 있고, 상기 접시판(90)은 조리 과정에서 남아 있는 숯불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그물망(50)위에 올려 놓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 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본체
10a: 개구부
11a, 11b: 거치대
12: 다리
14: 고정핀
20: 제1 수납 부재
21: 제1 걸림턱
22: 훈제목 유입구
30: 제2 수납 부재
31: 제2 걸림턱
40: 제3 수납 부재
42: 공기 유입구
50: 그물망
60: 불판
70: 훈제목 유입부
72: 마개
80: 뚜껑
90: 접시판

Claims (5)

  1. 다리가 결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관통형성된 개구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제1 수납부재와;
    상기 제1 수납부재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걸림턱에 걸리는 제2 수납부재와;
    상기 제2 수납부재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제2걸림턱에 걸리는 제3 수납부재와;
    상기 제2 수납부재에 올려지며, 숯이 올려지는 그물망과;
    상기 제1 수납부재의 상측에 올려지는 불판과;
    상기 불판 위에 올려지는 뚜껑과;
    상기 제1 수납부재의 측면에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 하부에 설치된 훈제목 유입부와;
    상기 개구부의 반대측에 조리된 음식이 올려지도록 상기 본체에 상부에 올려지는 접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부에는,
    상기 접시판의 다리부가 거치되는 고정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판은,
    상기 제1 수납부재 내부에 수납됨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본체와 분리되며, 다리가 수납되는 거치대가 본체 하부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납부재는,
    일측면에 다수 개의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KR2020110010098U 2011-11-15 2011-11-15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KR200469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098U KR200469889Y1 (ko) 2011-11-15 2011-11-15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098U KR200469889Y1 (ko) 2011-11-15 2011-11-15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068U KR20130003068U (ko) 2013-05-24
KR200469889Y1 true KR200469889Y1 (ko) 2013-11-11

Family

ID=5074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098U KR200469889Y1 (ko) 2011-11-15 2011-11-15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88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347Y1 (ko) 1998-10-16 2001-03-02 김기환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
KR20040099212A (ko) * 2004-11-01 2004-11-26 김기용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
KR20100013395A (ko) * 2008-07-31 2010-02-10 이재현 휴대 가능한 그릴장치
KR20100011608U (ko) * 2009-05-20 2010-11-30 (주)캔파이어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347Y1 (ko) 1998-10-16 2001-03-02 김기환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
KR20040099212A (ko) * 2004-11-01 2004-11-26 김기용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
KR20100013395A (ko) * 2008-07-31 2010-02-10 이재현 휴대 가능한 그릴장치
KR20100011608U (ko) * 2009-05-20 2010-11-30 (주)캔파이어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068U (ko)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617B1 (ko) 훈제 겸용 바비큐 구이기
US5293859A (en) Grill with fuel modules
KR101378612B1 (ko) 일회용 구이기 셋트
KR200466279Y1 (ko) 난로 겸용 구이기
KR20140114728A (ko)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US8365717B1 (en) Barbecue accessory and method of use
KR102236131B1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KR200463877Y1 (ko) 숯불을 이용한 훈제기
KR101042079B1 (ko) 숯불 고기구이기
KR102076911B1 (ko) 구이장치
KR200442783Y1 (ko) 휴대용 숯불구이기
KR200466341Y1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KR200469889Y1 (ko)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KR20140045476A (ko) 구이기
CN105307546B (zh) 烹饪设备
KR101479097B1 (ko) 기름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장치
KR200486112Y1 (ko) 바비큐 그릴
KR20130023434A (ko) 구이기
KR20220071335A (ko) 조립식 항아리형 바비큐 장치
KR200473626Y1 (ko) 훈제 바비큐 키트
JP3232596U (ja) 調理器具セット
KR20120136469A (ko) 숯불구이기
KR20130090047A (ko) 기름 배출 석쇠 구이 장치
CN215305171U (zh) 一种新型炭烤炉
US20230148794A1 (en) Canister Grilling 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