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626Y1 - 훈제 바비큐 키트 - Google Patents

훈제 바비큐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626Y1
KR200473626Y1 KR2020120007739U KR20120007739U KR200473626Y1 KR 200473626 Y1 KR200473626 Y1 KR 200473626Y1 KR 2020120007739 U KR2020120007739 U KR 2020120007739U KR 20120007739 U KR20120007739 U KR 20120007739U KR 200473626 Y1 KR200473626 Y1 KR 200473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grill
charcoal
smok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431U (ko
Inventor
김형천
최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봉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봉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봉적
Priority to KR2020120007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62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4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4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6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받침대를 접어서 형성된 오목부에 숯통을 배치하여 간편하게 훈제 바비큐를 요리할 수 있도록 한 훈제 바비큐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석쇠와, 상기 석쇠가 놓이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석쇠에 놓인 식품을 덮는 커버와, 상기 받침대내에 형성된 오목부에 배치되는 숯통을 포함하되, 상기 숯통은 상기 받침대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와이어로 만들어진 지지체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 바비큐 키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훈제 바비큐 키트{SMOKED BARBEQUE KIT}
본 고안은 훈제 바비큐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받침대를 접어서 형성된 오목부에 숯통을 배치하여 간편하게 훈제 바비큐를 요리할 수 있도록 한 훈제 바비큐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익히는 구이기로는 열원에 따라 다른 것으로 가스를 사용하는 구이기, 숯을 가열한 후 그 위에 석쇠를 올려놓고 굽는 구이기 등이 있는데 가스불과 숯불은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 달라 즉, 가스불은 대류방식이고, 숯불은 복사방식이다.
복사현상으로 열을 내뿜는 숯불은 고기 안팎의 온도를 올려주는 속도가 가스불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며, 숯불을 이용한 구이는 고기의 주영양소인 단백질과 지방을 용해시켜 표면에 막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막은 고기속의 수분을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고기속까지 익혀주는 역할을 하면서, 숯불을 피울때 나오는 재 속에 함유된 칼륨성분이 고기에 함유된 지방산을 중화시켜 독특한 맛을 내준다.
그리고 가스불을 이용한 구이는 고기표면의 수분은 물론 속의 수분까지 모두 증발시키기 때문에 고기를 구울수록 고기가 질겨지고, 고기맛도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가스불을 이용한 구이보다는 숯불을 이용한 구이를 선호하기 때문에 야외에 놀러가서도 숯불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고 있다.
숯불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구이기는 장기범외 1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1-0025033호(공개일: 2011.03.09., 훈제식 숯불구)이외에도 다수가 출원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를 포함하는 종래의 훈제식 숯불구이기는 숯불에 의한 직화구이 및 훈연에 의한 훈제구이의 장점만을 살려 그 풍미를 즐길 수 있을 뿐, 조립식이 아니거나 또는 일부 구성요소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무거워 차량에 적재하기가 까다로워 보관 및 휴대가 불편하였다.
또한 종래의 또다른 형태의 구이기는 화롯대와, 그 화롯대의 형상에 맞춰 제작된 석쇠와, 그 석쇠내의 식품을 덮도록 그 석쇠의 크기를 맞춘 커버로 구성되기 때문에, 야외에서 숯불을 이용하여 훈제 구이를 할 경우 부피가 크고 무거운 화롯대, 석쇠 및 커버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구이기는 부피가 커서 보관할 장소를 많이 차지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받침대를 접어서 형성된 오목부에 숯통을 배치하여 간편하게 훈제 바비큐를 요리할 수 있도록 한 훈제 바비큐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받침대 내에 석쇠, 커버 및 숯통이 포함되어 있음에 따라 수납성이 매우 우수한 훈제 바비큐 키트를 제공함에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석쇠와, 상기 석쇠가 놓이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석쇠에 놓인 식품을 덮는 커버와, 상기 받침대내에 형성된 오목부에 배치되는 숯통을 포함하는 훈제 바비큐 키트가 제공된다.
상기 숯통은 상기 받침대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와이어로 만들어진 지지체에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에는 상기 숯통과 나란하게 기름받이통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부의 내벽과 상기 숯통 사이에는 상기 숯통에서 발생된 열을 차단하기 위한 방열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받침대에서 상기 커버의 이탈을 막도록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의 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통풍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의 상부판을 접어서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쇠, 상기 커버 및 상기 숯통이 상기 받침대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를 접어서 형성된 오목부에 숯통을 배치하여 간편하게 훈제 바비큐를 요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목부의 내벽과 숯통 사이에 설치된 방열판에 의해 숯통의 열이 받침대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안전하게 훈제 바비큐를 만들 수 있도록 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의 상부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 받침대에 놓여진 커버의 이탈을 막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의 상부판을 접어서 개방시킴에 따라 오목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 내에 석쇠, 커버 및 숯통이 포함되어 있음에 따라 수납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훈제 바비큐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숯통과 숯통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도시된 받침대의 오목부를 형성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받침내에 형성된 오목부에 숯통, 기름받이통 및 방열판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훈제 바비큐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훈제 바비큐 키트는 받침대(14) 위에 놓이는 석쇠(11)와, 그 석쇠(11)에서 요리중인 식품을 덮는 커버(12)를 포함한다. 석쇠(11)에 놓인 채 식품을 거치하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식품은 치킨, 소고기, 또는 돼지고기일 수 있다.
받침대(14)는 연소물, 예컨대 숯이 저장되는 숯통(131) 배치되도록 내부에 오목부(141)를 형성한다. 오목부(141)는 받침대(14)의 상판을 접어서 개방시킴에 따라 용이하게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받침대(14)의 상판에는 칼 등으로 절개 후 양쪽의 개방면(1411)을 가압하여 접철선(L1)을 따라 절곡하여 받침대(14)의 바닥면에 닿도록 접는다. 사용설명서에 따라 절개하거나 또는 절개할 부분을 선(L2)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14)의 상판은 돌출부(142)를 형성하기 위한 접철선과 절개할 절개선이 표시되어 있다. 접철선과 절개선은 도 3에 부호로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오목부(141)로 향한 쪽은 절개선으로 'ㄷ'자 형상이고, 받침대(14)의 외주면과 면하는 쪽은 접철선으로, 절개된 면을 가압하여 위쪽으로 접어 돌출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42)를 받침대(14)의 네 가장자리에 하나씩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받침대(14)의 네 가장자리 중 두개의 가장자리에 하나 또는 두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받침대(14)는 접철선(L1)이 형성된 종이재질로 이루어진다. 받침대(14)는 외부 박스의 변형된 형태로 사용된다. 외부 박스, 즉 포장 박스의 상부면을 절개한 후 상부면을 개방시켜서 형성된 오목부를 갖는 받침대(14)로 간편하게 사용된다.
또한 받침대(14)의 가장자리에는 후술하는 커버(12)의 이탈을 막는 돌출부(142)가 형성된다. 돌출부(142)는 받침대(14)의 상부면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142)는 받침대(13)의 가장자리 일부에 형성될 접철선을 따라 일부를 위쪽으로 접철시켜서 형성된다.
한편, 받침대(14) 내에 형성된 오목부(141)에는 숯통(131)이 배치된다. 숯통(131)에는 예를 들면 압축숯이 저장된다. 이러한 숯통(131)은 받침대(14)와 일정 간격 이격된 채로 지지되도록 지치체(13)에 거치된다. 이와 같이 지지체(13)에 의해 일정높이 이격된채 숯통(131)이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숯통(131)에서 발생된 열이 종이재질의 받침대(14)의 바닥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지지체(13)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손으로 쉽게 접어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지지체(13)는 숯통(131)이 거치되는 거치부(13b)와, 받침대(14)의 바닥면에 닿는 지지다리(13a)로 구성된다.
숯통(131)은 은박사각용기이며, 지지체(13)에 숯통(131)을 거치시킨 후 적정량의 숯을 배열한다. 숯통(131)은 통풍구(143)가 적은 쪽으로 배치시킴이 바람직하다.
석쇠(11)는 사용자의 손의 힘만으로도 쉽게 접고 펼수 있는 재질로, 두께가 얇은 금속 재질이다. 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석쇠(11)를 사용자가 받침대대(14)의 형상에 맞춰 절곡하여 사용할 수 있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된 석쇠(11)는 이동성이 좋고 보관이 용이하다.
석쇠(11)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철판일 수 있다.
또한 석쇠(11)는 받침대(14)에 놓이는 다리(112)를 구비하며, 다리(112)에 의해 받침대(14)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석쇠(11)는 크게 상판(111)과, 수직판(112)으로 구성된다.
수직판(112)은 상판(111)의 지지다리로서, 상판(111)을 기준으로 상판(111)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석쇠(11)를 덮는 커버(12)는 은지와 합지된 골판지로, 그 골판지내에 다수의 접철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12)는 석쇠(11)와 맞닿는 바닥면이 개방되고, 석쇠(11)와 마주보는 상부면과 그 상부면을 기준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전면, 후면 및 좌우면으로 구성된다.
커버(12)에 형성된 접철선을 따라 접으면 사각형상, 즉 사다리꼴 형태로 만들어진다. 사각형상의 커버(12)는 사각형상의 받침대(14)에 배치된 석쇠(11)를 덮어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각형상의 받침대(14)에 맞춰 커버(12)의 형상이 정해짐에 따라 석쇠(11)에 놓인 식품이 훈제되어 보다 맛있게 조리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커버(12)는 아래쪽이 개방되고 위쪽이 막혀진 구조로, 석쇠(11)와 맞닿는 바닥면이 개방되어 있다.
커버(12)의 상부면은 손잡이(121)를 일체로 구비한다. 손잡이(121)에 의해, 석쇠(11)에 놓인 식품을 덮거나 열때 용이하다.
종이재질의 커버(12)는 수납시 쉽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 간편하게 접어서 석쇠(11)를 덮을 수 있으며, 훈제 요리후 별도의 세척없이 폐기할 수 있다.
주변환경 및 온도에 따라 받침대(14)의 측면에 구비된 통풍구(143)을 개폐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커버(12)의 상부면에 구비된 환기구(122)에 의해서도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환기구(122)는 석쇠(11)에 놓인 식품의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나 연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상술된 통풍구(143)는 받침대(14)의 측면에 형성된 원형상의 절개선을 가압하여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대(14)의 측면에 3개의 통풍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원형상의 절개선이 3개 구비되는데,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받침대(14)의 측면에 형성된 3개의 절개선 중에서 필요에 따라 원하는 만큼 선택적으로 절개하여 조리시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커버(12)의 상부면에 마찬가지로 환기구(122)의 형성을 위한 원형상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4)의 오목부(141)에는 숯통(131)과 나란하게 기름받이통(132)가 배치된다. 기름받이통(132)은 석쇠(11)에 놓인 식품의 요리시 발생되는 기름을 받는 통으로, 숯통(131)과 같은 은박사각용기일 수 있다.
단, 기름받이통(131)은 별도의 거치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받침대(14)의 바닥면에 배치된다.
또한 오목부(141)의 내벽과 숯통(131) 사이에는 방열판(144)이 설치되어, 숯통(131)의 발열정도가 종이재질의 받침대(14)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안전하게 석쇠(11)에 놓인 식품을 숯통(131)에 저장된 압축숯으로 훈제 바비큐로 구울 수 있다.
방열판(144)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손으로 오목부(141)의 내벽과 숯통(1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접어서 배치된다.
전술된 석쇠(11), 커버(12), 지지체(13), 숯통(131), 기름받이통(132), 방열판(144)과 같은 구성품들은 받침대(14) 내부에 포함되어 있다. 훈제 요리시에 받침대(14) 내부에 포함된 구성품들을 꺼내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가능하다.
이와 같은 훈제 바비큐 키트로 인해 쉽고 빠른 조립과 설치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즉, 받침대(14)로 사용되는 얇은 박스에서 구성품들을 꺼내 석쇠(11), 커버(12), 지지체(13) 및 방열판(144)을 원하는 형상으로 조립한 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구성품들이므로 사후 처리가 간편하다. 일부 구성품들, 예를 들면 지지체 등은 사후 관리를 한 후 재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독립적으로 훈제 바비큐 조리를 가능하게 한 훈제 바비큐 키트에 포함되는 구성품들이 인체에 무해한 소재 및 가공법을 사용하였으므로 분리배출 또한 가능하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1 : 석쇠 12 : 커버
13 : 지지체 131 : 숯통
132 : 기름받이통 14 : 받침대
141 : 오목부 142 : 돌출부
143 : 통풍구 144 : 방열판

Claims (3)

  1. 삭제
  2. 석쇠와,
    상기 석쇠가 놓이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석쇠에 놓인 식품을 덮는 커버와,
    상기 받침대내에 형성된 오목부에 배치되는 숯통을 포함하되,
    상기 숯통은 상기 받침대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와이어로 만들어진 지지체에 거치되고,
    상기 오목부의 내벽과 상기 숯통 사이에는 상기 숯통에서 발생된 열을 차단하기 위한 방열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 바비큐 키트.
  3. 석쇠와,
    상기 석쇠가 놓이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석쇠에 놓인 식품을 덮는 커버와,
    상기 받침대내에 형성된 오목부에 배치되는 숯통을 포함하되,
    상기 숯통은 상기 받침대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와이어로 만들어진 지지체에 거치되고,
    상기 받침대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의 상부판을 접어서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 바비큐 키트.
KR2020120007739U 2012-08-30 2012-08-30 훈제 바비큐 키트 KR200473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739U KR200473626Y1 (ko) 2012-08-30 2012-08-30 훈제 바비큐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739U KR200473626Y1 (ko) 2012-08-30 2012-08-30 훈제 바비큐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31U KR20140001431U (ko) 2014-03-10
KR200473626Y1 true KR200473626Y1 (ko) 2014-07-17

Family

ID=5199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739U KR200473626Y1 (ko) 2012-08-30 2012-08-30 훈제 바비큐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6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690B1 (ko) * 2015-05-21 2016-11-29 홍길몽 휴대용 구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091U (ko) * 1990-03-14 1991-12-04
KR920004128Y1 (ko) * 1990-08-01 1992-06-22 김종국 절첩식 휴대용 숯불화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091U (ko) * 1990-03-14 1991-12-04
KR920004128Y1 (ko) * 1990-08-01 1992-06-22 김종국 절첩식 휴대용 숯불화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690B1 (ko) * 2015-05-21 2016-11-29 홍길몽 휴대용 구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31U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US6363842B1 (en) Indoor grill with filter
US6841759B2 (en) Indoor barbecue
US20050229916A1 (en) Food cooker
US5437222A (en) Grill and oven combination
US20120266760A1 (en) Outdoor grill with integrated griddle
WO2010063992A1 (en) Outdoor barbecues
JP2016525430A (ja) 使い捨て焼き器セット
KR20100053073A (ko) 다목적 숯불 구이기
US20090311393A1 (en) Food Flavoring System and Method
US6213004B1 (en) Portable broiling device
US9839224B2 (en) Food smoker adapter
KR101163871B1 (ko) 숯불 구이 장치
US20120216686A1 (en) Side flame stove top grill
KR200473626Y1 (ko) 훈제 바비큐 키트
JP3189881U (ja) 調理器具
JP5612792B1 (ja) 調理器用のグリル装置
US5579680A (en) Smokeless grill for indoor use
KR101495738B1 (ko) 구이 장치
KR200471441Y1 (ko) 훈제 바비큐 키트
KR200207275Y1 (ko) 훈제 구이기
JP2006029622A (ja) 加熱調理用受け皿セット及び加熱調理器
KR200365215Y1 (ko) 숯불 구이기
JP2006087854A (ja) オーブン機能を備えた引き出し付きバーベキュウ用コンロ
JP6919957B1 (ja) 組立式オーブン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