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016B1 - 숯불화로 - Google Patents

숯불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016B1
KR100325016B1 KR1019990019483A KR19990019483A KR100325016B1 KR 100325016 B1 KR100325016 B1 KR 100325016B1 KR 1019990019483 A KR1019990019483 A KR 1019990019483A KR 19990019483 A KR19990019483 A KR 19990019483A KR 100325016 B1 KR100325016 B1 KR 100325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rill
height
gas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4953A (ko
Inventor
심영섭
오재욱
정광수
최현우
신석근
이용성
Original Assignee
심영섭
주식회사에이테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영섭, 주식회사에이테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심영섭
Priority to KR1019990019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016B1/ko
Publication of KR19990064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37/079Charcoal igni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숯불의 점화를 용이하게 하고, 숯불의 특성상 시간의 경과에 따른 화력의 세기, 또는 화력의 세기에 따라 고기가 타는 것 등을 고려하여 석쇠가 숯불과의 접근되는 높이를 미세 조절하며, 뚜껑의 사용 용도 확대와 다리의 사용에 편의를 제공하는 숯불 고기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외관을 구성하는 고기구이기 본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양 사이드 내향 경사면의 전,후 부분에 각각 고정된 다리고정용 브래킷의 삽입홀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딩 설치되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를 지지하는 제1,2,3,4다리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에 부착되는 가스점화장치 및 이 가스점화장치와 연결되고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연료재에 가스화염을 방사시키는 혼합기분사노즐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안착되어 연료재를 올려놓는 연료받이틀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서로 대향하여 일단이 힌지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연료받이틀로부터 일정높이를 두고 설치되는 석쇠를 받이함과 동시에 이 석쇠를 석쇠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상,하 높이 조절되게 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용 로드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양 사이드 상부에 경첩으로 각각 설치되어 고기구이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 및 개방하며, 개방시 식탁 역할을 겸하는 뚜껑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사이드 또는 저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연료재의 화력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개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숯불 고기구이기{charcoal fire meat roaster}
본 발명은 숯을 연료로 사용하는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숯불의 점화시 착화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의를 제공하고, 숯불의 특성상 시간의 경과에 따른 화력의 세기, 또는 화력의 세기에 따라 고기가 타는 것 등을 고려하여 석쇠가 숯불과의 접근되는 높이를 미세 조절 가능하게 하며, 고기구이기를 구성하는 뚜껑을 펼쳤을 때 간이 탁자로 이용될 수 있게 하고, 폴대 형태의 분리 가능한 다리, 또는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다리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에 의해 미사용시에는 포장 및 운반의 편의를 도모하여 고기능성, 고효율성, 고실용성의 특징을 갖는 숯불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기구이기에 사용되는 연료는, 통나무를 조각 내어 만들어진 숯을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이와 유사한 목탄(일명; 조개탄) 숯을 성형한 구멍숯탄 등의 숯을 주재로한 연료재(이하, '연료재'라 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고기구이기 또는 바비큐(barbecue)라 불리는, 고기를 구워먹는 도구(이하, '고기구이기'라 칭함)는 많은 발명가들에 의해 발명되어 왔다.
그런데 지금까지 발명된 고기구이기 중에 특히 연료재로 숯을 사용하는 숯불 고기구이기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 예를 살펴보면 첫째, 신문지, 기름 종이나 번개탄(상품명) 등의 착화제를 이용하여 숯에 불을 붙이기 때문에 부채질을 한다거나 아니면 별도의 송풍기를 이용하게 되는 바, 그 과정에서 착화제의 연소로 인한 연기, 재 및 그을음, 냄새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연기는 착화제가 타면서 발생되는 것으로, 연기가 주위 사람의 눈에 들어가 눈물을 쏟게 하는 등의 매우 짜증스런 일을 발생시키게 되며, 또한 착화제의 화력이 비교적 약하여 숯에 불을 붙이기까지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그 결과 고기를 굽기 위한 준비시간이 매우 더디게 진행되어 사용자를 짜증스럽게 한다.
재 및 그을음의 경우에는 고기구이기 본체를 더럽히게 되어 고기구이기를 사용할 때마다 청소를 해주어야 하는 불편을 주게 되며, 더욱이 그러한 재 및 그을음은 본체 및 숯불에 잔존해 있게 되어 고기를 구울 때 날리면서 고기에 달라붙게 되어 비위생적이 된다.
또한 송풍기를 사용하더라도 별도의 착화제를 필요로 하게 되는 바, 신문지, 기름 종이나 번개탄 등의 착화제는 숯 이외의 부산물로 잔존하게 되어 이 부산물이 고기를 구울 때 날리면서 달라붙게 되어 매우 비위생적이 된다.
또한 종래의 경우에 숯불이 완전히 꺼지게 되면 다시 착화제를 사용하여 숯불을 점화시키기 때문에 앞서 설명된 문제들이 재 발생된다.
둘째, 숯불의 특성이 시간이 경과할수록 화력의 세기가 점점 약해지거나 또는 도중에 새로운 숯을 넣어 화력의 세기가 다시 강해지게 되는 바, 종래의 고기구이기 석쇠는 숯불과 접근되는 높이조절이 불가능하게 되어 고기가 쉽게 타거나 필요에 따라 고기를 서서히 익힐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셋째, 종래의 뚜껑은 단순히 고기구이기 본체의 포장을 위한 덮개 역할을 하는 단순 기능을 갖고 있어 보관 및 사용에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고기구이기 본체에 고열량의 가스(예로, 부탄가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점화장치를 부착함으로서 숯의 점화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불편(연기, 그을음 등)을 없애고, 동시에 숯의 점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고기를 굽는 진행시간을 빠르게 하여 사용자를 만족시키고, 또한 본체에 석쇠높이조절장치를 설치하여숯의 화력 세기에 대응하여 고기의 타는 것을 적절히 방지하고 필요에 따라 오래 동안 익혀야 할 고기는 천천히 익을 수 있게 하며, 본체를 지탱하는 다리를 끼웠다 뺄 수 있는 폴대 형식의 다리 또는 다리를 접었을 때 접혀진 다리가 본체에 부착된 채로 본체의 사이드 내향 경사면에 수납됨으로서 별도의 보관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보관의 콤팩트화 및 이동성과 분실염려를 없애며, 뚜껑을 간이 식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능의 극대화를 꾀하는 숯불 고기구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관을 구성하는 고기구이기 본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양 사이드 내향 경사면의 전,후 부분에 각각 고정된 다리고정용 브래킷의 삽입홀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딩 설치되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를 지지하는 제1,2,3,4다리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에 부착되는 가스점화장치 및 이 가스점화장치와 연결되고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연료재에 가스화염을 방사시키는 혼합기분사노즐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안착되어 연료재를 올려놓는 연료받이틀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서로 대향하여 일단이 힌지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연료받이틀로부터 일정높이를 두고 설치되는 석쇠를 받이함과 동시에 이 석쇠를 석쇠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상,하 높이 조절되게 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용 로드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양 사이드 상부에 경첩으로 각각 설치되어 고기구이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 및 개방하며, 개방시 식탁 역할을 겸하는 뚜껑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사이드 또는 저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연료재의 화력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개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점화장치는, 고기구이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하우징을 통해 설치되어 일측은 부탄가스통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스통연결브래킷과 연결되고 타측은 혼합기분사노즐과 연결되는 가스조절밸브와; 상기 가스조절밸브를 조작하여 가스량을 조절하고 동시에 압전장치를 작동시켜 점화시키는 가스조절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기분사노즐은, 중공형 파이프로 이루어져 그 끝단부는 캡으로 막혀 있고, 가스가 공급되는 시단부에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흡입구가 천공되며, 이 중공형 파이프의 양 측면으로 다수의 혼합가스분출공이 천공되며, 상기 혼합가스분출공으로의 점화를 용이하게 전파하기 위하여 가스점화장치를 구성하는 압전장치의 방전단자와 인접된 중공형 파이프의 상부에는 복수의 혼합가스점화공을 천공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기분사노즐의 변형 예는, 공기흡입구와 상부에 점화를 전파하기 위한 복수의 혼합가스점화공이 천공된 혼합가스도입파이프와; 상기 혼합가스도입파이프의 단부로부터 연결되고 혼합가스분출공이 다수 천공된 혼합기환형노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료받이틀은 고기구이기 본체의 양 사이드에 돌출된 복수의 받침턱에 의해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서 분리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쇠높이조절수단은, 고기구이기 본체 내의 일측에 고정된 가이드브래킷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이루어진 터언버클샤프트및 이 터언버클샤프트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터언버클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높이조절핸들과; 상기 터언버클샤프트의 왼나사와 오른나사에 각각 나사 결합된 너트블록과; 상기 각각의 너트블록 일측에 고정되고 가이드브래킷에 형성된 양 장공에 각각 안내되어 너트블록의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너트블록의 좌,우 수평이동을 보장하는 가이드핀 및, 상기 가이드핀과 힌지 연결되고 그 양 단부의 절곡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양 높이조절용 로드와 슬라이딩 연결되는 로드연결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절핸들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너트블록이 터언버클샤프트에서 좌,우 이동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핀을 매개로 연결된 로드연결편에 의하여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결합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가 상,하로 높이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 뚜껑은 개방시 고기구이기 본체로부터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의 직각 절곡면과 맞닿는 부분인 고기구이기 본체의 사이드에 돌출된 복수의 받침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사이드 상부 플랜지 부위에는 열을 방출하는 다수의 열방출공을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 뚜껑에는 눕혀짐이 가능한 이동손잡이와 양 뚜껑을 서로 체결하는 열림방지용 래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에는 양 높이조절용 로드에 받침되어 상,하 높이 이동되는 석쇠의 편심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석쇠편심방지가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쇠편심방지가이드는, 고기구이기 본체의 전, 후 플랜지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발취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하단에 걸림턱을 갖고 플랜지에서 걸림되는 양 수직이동안내로드부와, 상기 양 수직이동안내로드부의 상부로부터 절곡 연결되어 고기구이기 본체에 설치된 높이조절용 로드에 받쳐지는 수평받침로드부와, 상기 수평받침로드부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석쇠의 틀 사이에 넣어져 석쇠를 고정시켜 편심 및 이탈을 방지시키는 가이드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쇠높이조절수단의 변형 예는, 고기구이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하우징 내에 스크루받침브래킷을 통해 공회전되게 설치된 스크루와; 상기 스크루의 상단과 연결되어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높이조절손잡이와; 상기 스크루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블록 및, 일단이 상기 너트블록의 일측에 고정되고 고기구이기 본체에 형성된 수직장공에 안내되어 상기 너트블록의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너트블록의 상,하 이동을 보장하고, 타단이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설치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를 받치고 있는 상태로 접촉되는 가이드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절손잡이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너트블록이 스크루에서 상,하 이동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핀이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결합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를 상,하로 높이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쇠높이조절수단의 또다른 변형 예는, 고기구이기 본체 내의 고정된 브래킷에 공회전안내축을 통해 공회전되게 설치된 스크루와; 상기 스크루에 나사 설치되는 너트블록과; 상기 스크루의 저면과 연결된 플렉시블 와이어 및 이 플렉시블 와이어와 연결되어 고기구이기 본체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높이조절손잡이와; 상기 너트블록의 상부에 고정되어 너트블록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그양단의 연장절곡부에 형성된 슬롯에 의하여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설치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를 받치고 있는 상태로 접촉되는 가이드받침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절손잡이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너트블록이 스크루에서 상,하 이동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받침편이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결합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를 상,하로 높이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쇠높이조절수단의 또다른 변형 예는, 고기구이기 본체에 고정되는 하우징 내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피니언축과; 상기 피니언축의 일단과 연결되고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조절손잡이와; 상기 피니언축과 치합되는 래크 및 이 래크의 하부에 고정되어 래크를 하우징 내에서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동안내브래킷과; 상기 래크의 상부에 고정되어 래크의 상,하 이동에 의해 고기구이기 본체에 형성된 수직장공을 따라 상,하 이동되어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설치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를 받치고 있는 상태로 접촉되는 가이드핀으로 구성하여 상기 높이조절손잡이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축에서 상,하 이동되는 래크에 의해 가이드핀이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결합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를 상,하로 높이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쇠높이조절수단의 또다른 변형 예는, 고기구이기 본체의 사이드에 설치되어 스톱볼에 의하여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한 높이조절손잡이와; 상기 높이조절손잡이와 축 결합되는 좌,우 회전링크와; 상기 좌,우 회전링크의 양 단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설치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의 연결단에 연결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절손잡이의 정,역회전에 따라상기 좌,우 회전링크에 각각 연결된 제1링크 및 제2링크의 작동에 의해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결합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를 상,하로 높이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고기구이기의 다른 실시 예는, 외관을 구성하는 고기구이기 본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양 사이드 내향 경사면에 각각 한 조를 이루면서 일단이 고정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밀착 고정되고 중앙이 고정볼트로 고정되어 적첩되고, 이를 펼침시 X자 형태로 되어 고정볼트로 고정 및 풀림되는 제1다리, 제3다리 및 제2다리, 제4다리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바닥에 형성되어 공지된 휴대용 가스기구의 가스점화몸체를 탈,부착할 수 있는 가스점화몸체고정홀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안착되어 연료재를 올려놓는 연료받이틀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서로 대향하여 일단이 힌지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연료받이틀로부터 일정높이를 두고 설치되는 석쇠를 받이함과 동시에 이 석쇠를 석쇠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상,하 높이 조절되게 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용 로드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양 사이드 상부에 경첩으로 각각 설치되어 고기구이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 및 개방하며, 개방시 식탁 역할을 겸하는 뚜껑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사이드 또는 저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연료재의 화력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개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고기구이기의 또다른 실시 예는, 외관을 구성하는 고기구이기 본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양 사이드 내향 경사면에 각각 한 조를 이루면서 일단이 고정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밀착 고정되고 중앙이 고정볼트로 고정되어 적첩되고, 이를 펼침시 X자 형태로 되어 고정볼트로 고정 및 풀림되는 제1다리, 제3다리 및 제2다리, 제4다리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바닥에 형성되어 공지된 휴대용 가스버너의 삼발이와 가스점화몸체가 삽입 설치되는 삼발이슬릿이 포함된 가스분사몸체삽입홀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안착되어 연료재를 올려놓는 연료받이틀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서로 대향하여 일단이 힌지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연료받이틀로부터 일정높이를 두고 설치되는 석쇠를 받이함과 동시에 이 석쇠를 석쇠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상,하 높이 조절되게 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용 로드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양 사이드 상부에 경첩으로 각각 설치되어 고기구이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 및 개방하며, 개방시 식탁 역할을 겸하는 뚜껑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사이드 또는 저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연료재의 화력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개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고기구이기의 또다른 실시 예는, 외관을 구성하는 고기구이기 본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양 사이드 내향 경사면에 각각 한 조를 이루면서 일단이 고정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밀착 고정되고 중앙이 고정볼트로 고정되어 적첩되고, 이를 펼침시 X자 형태로 되어 고정볼트로 고정 및 풀림되는 제1다리, 제3다리 및 제2다리, 제4다리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에 부착되는 가스점화장치 및 이 가스점화장치와 연결되고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연료재에 가스화염을 방사시키는 혼합기분사노즐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안착되어 연료재를 올려놓는 연료받이틀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서로 대향하여 일단이 힌지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연료받이틀로부터 일정높이를 두고 설치되는 석쇠를 받이함과 동시에 이석쇠를 석쇠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상,하 높이 조절되게 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용 로드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양 사이드 상부에 경첩으로 각각 설치되어 고기구이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 및 개방하며, 개방시 식탁 역할을 겸하는 뚜껑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사이드 또는 저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연료재의 화력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개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다리는 길이의 중앙에 나사삽입공 및 나사공이 형성되고, 제3,4다리는 상기 제1,2다리의 나사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공이 형성되어 다리의 적첩보관시 제1,4다리와, 제2,3다리가 각각 고정볼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다리의 펼침시 제1,3다리와 제2,4다리가 각각 고정볼트에 의하여 풀림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는 바닥패널과 일체로 형성되는 양 사이드 패널과 이 바닥패널과 사이드 패널의 전 후단에 고정수단으로 설치되는 전면패널과 후면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양 사이드 패널의 약 절반 이하에는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제1,2,3,4다리를 수용하는 내향 경사면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인 숯불 고기구이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기구이기 본체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5의 정단면도로서 석쇠높이조절수단의 작용상태도.
도 8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석쇠높이조절수단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B-B선 단면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한 쌍의 석쇠편심방지가이드의 사시도.
도 12a는 본 발명의 가스점화장치 및 혼합기분사노즐의 구성도.
도 12b는 본 발명의 혼합기분사노즐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리의 변형 예로서 다리를 펼쳤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다리를 접었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다리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석쇠높이조절수단의 또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고기구이기 본체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석쇠높이조절수단을 예시한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측면도.
도 19, 도 20, 도 21은 본 발명의 석쇠높이조절수단의 또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2, 도 23은 본 발명의 석쇠높이조절수단의 또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4는 본 발명의 석쇠높이조절수단의 또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인 숯불 고기구이기의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측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인 숯불 고기구이기의 평면도.
도 28은 도 27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숯불 고기구이기 12 : 고기구이기 본체
14 : 바닥패널 16 : 사이드 패널
16a : 내향 경사면 18 : 전면패널
20 : 후면패널 21,22 : 제1다리
23, 24 : 제2다리 25, 26 : 제3다리
27, 28 : 제4다리 30 : 고정핀
32 : 고정볼트 34 : 혼합기분사노즐
42 : 가스조절손잡이 58 : 연료받이틀
60, 62 : 높이조절용 로드 64 : 석쇠
68 : 터언버클샤프트 76 : 가이드핀
78 : 로드연결편 80, 82 : 뚜껑
84 : 경첩 86 : 이동손잡이
88 : 열림방지용 래치 90 : 공기조절개폐구
92, 94 : 석쇠편심방지가이드 200 : 연료재
300 : 부탄가스통 400 : 휴대용 가스기구
500 : 휴대용 가스버너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를 나타낸 숯불 고기구이기(10)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구이기 본체(12)는 바닥패널(14)과일체로 형성되는 양 사이드 패널(16)과, 이 바닥패널(14)과 사이드 패널(16)의 전 후단에 리벳팅의 고정수단으로 설치되는 전면패널(18)과 후면패널(20)로 구성된다.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양 사이드 패널(16)의 약 절반 이하에는 내향 경사면(16a)이 형성되는 바, 이 내향 경사면(16a)의 전,후 부분에는 4개의 다리고정용 브래킷(19)이 리벳팅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이 다리고정용 브래킷(19)에 형성된 삽입홀(19a)을 통해 제1,2,3,4다리(21)(23)(25)(27)가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고정용 브래킷(19)의 삽입홀(19a) 내로 절곡되어 각각 형성된 탄성절곡편(19b)이 삽입홀(19a)에 각각 삽입된 제1,2,3,4다리(21)(23)(25)(27)를 탄성 지지하게 되어 이들 제1,2,3,4다리(21)(23)(25)(27)가 삽입홀(19a)에 슬라이딩 삽입이 쉽게 이루어지게 됨과 동시에 삽입된 후에는 잘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3,4다리(21)(23)(25)(27)의 하부에는 다리마개(21a)(23a)(25a) (27a)가 설치되어 지면에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2,3,4다리(21)(23)(25)(27)는, 제1,2다리(21)(23)와 제3,4다리(25)(27)가 한 조가 되어 X자 모양으로 고기구이기 본체(12)를 지지하게 되며, 미사용시 또는 보관시에는 상기 제1,2,3,4다리(21)(23)(25)(27)를 각 다리고정용 브래킷(19)으로부터 발취하여 고기구이기 본체(12) 내에 보관, 또는 별도로 보관하게 된다.
상기 제1,2,3,4다리(21)(23)(25)(27)를 원형 파이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2,3,4다리(21)(23)(25)(27)의 단면을 원형으로 한정시키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따라 사각 또는 다각형의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5는 고기구이지 본체(12)에 설치되는 다리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양 사이드 패널(16)에 일체로 형성된 내향 경사면(16a)에는 제1,4다리(22)(28)와 제2,3다리(24) (26)가 2개씩 한 조를 이루면 설치된다.
즉, 상기 사이드 패널(16) 일측의 내향 경사면(16a)에는 적첩된 형태로 제1다리(22)와 제4다리(28)의 일단이 고정핀(30)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의 내향 경사면(16a)에도 상기 제1다리(22) 및 제4다리(28)와 동일한 형태로 적첩되는 제2다리(24)와 제3다리(26)의 일단이 고정핀(30)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2다리(22)(24)는 길이의 중앙에 나사삽입공(22a)(24a) 및 나사공 (22b)(24b)이 형성되고, 제3,4다리(26)(28)는 상기 제1,2다리(22)(24)의 나사공 (22b)(24b)과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공(26a)(28a)이 형성되어 다리의 적첩보관시 제1,4다리(22)(28)와, 제2,3다리(24)(26)가 각각 고정볼트(32)에 의하여 고정되고, 다리의 펼침시 제1,3다리(22)(26)와 제2,4다리(24)(28)가 각각 고정볼트(32)에 의하여 풀림 및 고정되는 것이다.
즉, 숯불 고기구이기(10)의 미사용시 또는 보관 및 휴대시 양 내향 경사면 (16a)에서 밀착되고 적첩되어 한 조를 이루는 제1,4다리(22)(28)와 제2,3다리(24) (26)는 고정볼트(32)에 의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1,4다리(22)(28)와 제2,3다리(24)(26)를 고정하고있는 고정볼트(32)를 풀어 고정볼트(32)의 나사부(32a)가 제4다리(28)와 제3다리 (26)의 나사공(28a)(26a)에서 이탈될 정도로 한 다음 제1,2,3,4다리(22)(24)(26) (28)를 각 고정핀(30)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1,3다리(22)(26)와 제2,4다리(24) (28)가 X자 모양으로 위치되게 한 다음 풀었던 고정볼트(32)를 조이게 되면 제1다리(22)에 체결된 고정볼트(32)가 제3다리(26)의 나사공(26a)에 체결되고 제2다리 (24)에 체결된 고정볼트(32)가 제4다리(28)의 나사공(28a)에 체결되어 그 결과 제1,3다리(22)(26)와 제2,4다리(24)(28)가 고기구이기 본체(12)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받쳐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X자 모양으로 펼쳐 고정된 제1,3다리(22)(26)와 제2,4다리(24) (28)를 접을 때는 상기 동작의 역순에 의하면 된다.
상기 제1,2,3,4다리(22)(24)(26)(28)를 사각형 파이프로 도시하고 있다. 이는 상기 제1,2,3,4다리(22)(24)(26)(28)를 접었을 때 내향 경사면(16a)에 밀착되고 적첩되어 보관성을 좋게 하기 위함이며, 상기 제1,2,3,4다리(22)(24)(26)(28)는 그 단면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파이프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2,3,4다리(22)(24)(26)(28)를 풀고 조이는 고정볼트(32)는 손으로 쉽게 풀고 조일 수 있는 나비형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나비형 볼트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비형 볼트를 제1,2다리(22)(24)에 줄로 메달아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12)에는 가스점화장치가 부착되고, 이 가스점화장치를 통하여 고기구이기 본체(12) 내에 설치되어 연료재(200)에 가스화염을 방사시키는 혼합기분사노즐(34)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가스점화장치는,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전면패널(18)에 고정되는 하우징(36)을 통해 가스조절밸브(38)가 설치되고, 이 가스조절밸브(38)의 가스공급입구 (38a)에는 하우징(36)을 통하여 부탄가스통(300)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가스통연결브래킷(40)이 설치되고, 상기 가스조절밸브(38)의 가스공급출구(38b)에는 혼합기분사노즐(3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조절밸브(38)의 가스조절축(38c) 단부에는 가스조절손잡이 (42)가 고정 설치되고, 하우징(36) 내에는 상기 가스조절손잡이(42)에 고정된 누름핀(42a)에 의해 작동되는 압전장치(46) 및 이 압전장치(46)와 연결된 방전단자 (46a)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혼합기분사노즐(34)은 중공형 파이프로 이루어져 그 끝단부에는 캡(50)이 설치되어 막혀 있고, 가스가 공급되는 시단부에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흡입구(34a)가 복수로 천공되며, 이 중공형 파이프의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혼합가스분출공(34b)들이 천공되고, 이 혼합가스분출공(34b)으로의 점화를 용이하게 전파하기 위하여 가스점화장치를 구성하는 방전단자(46a)와 인접된 중공형 파이프의 상부에는 복수의 혼합가스점화공(34c)이 천공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가스조절손잡이(42)를 최대로 돌리면 누름핀(42a)이 압전장치(46)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가스조절밸브(38)가 열리게 되어 가스가 혼합기분사노즐(34)로 공급되게 되고 방전단자(46a)의 스파크에 의해 혼합가스점화공(34c)으로부터 먼저 가스가 점화되어 혼합가스분출공(34b)으로 화염이 전파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혼합기분사노즐(34)은 1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고기구이기 본체(12)의 형상 및 크기, 또는 보다 강력한 화력을 연료재(200)에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2b는 혼합기분사노즐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혼합기분사노즐(52)은 가스점화장치와 연결되는 혼합가스도입파이프(54)와 이 혼합가스도입파이프(54)의 단부로부터 연결되는 혼합기노즐(56)로 구성된다.
상기 혼합가스도입파이프(54)에는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공기흡입구(54a)가 천공되고, 상부에는 점화를 전파하기 위한 복수의 혼합가스점화공(54b)이 천공되어 구성되며, 상기 혼합기노즐(56)은 다수의 혼합가스분출공(56a)이 천공되어 구성된다.
상기에서는 혼합기노즐(56)이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기구이기 본체(12)의 형상 및 크기, 또는 보다 강력한 화력을 연료재(200)에 제공하기 위하여 타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도 12a, 12b에 도시된 가스점화장치에 있어 가스를 점화시키는 가스조절손잡이(42)가 측방향을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스조절손잡이(4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점화장치가 설치되는 하우징(36)을 통하여 가스조절손잡이(42)를 하늘을 향하여 약간 경사진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가스조절손잡이(42)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12) 내에는 연료재(200)를 올려놓는 연료받이틀(58)이 설치된다.
상기 연료받이틀(58)은 고기구이기 본체(12)를 구성하는 사이드 패널(16)의 내향 경사면(16a)에 엠보싱으로 돌출된 복수의 받침턱(16b)에 의하여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료받이틀(58)은 고기구이기 본체(12)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안착 설치된다.
도 5내지 도 8에 도시된 도면부호 60과 62는 한 쌍의 높이조절용 로드이다.
상기 높이조절용 로드(60)(62)는,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12) 내에는 서로 대향하여 일단의 절곡단이 양 사이드 패널(16)에 힌지(60a)(62a)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연료받이틀(58)로부터 일정높이를 두고 설치되는 석쇠(64)를 받이함과 동시에 석쇠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상,하 높이 조절되게 설치된다.
상기 석쇠높이조절수단은, 도 5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구이기 본체(12) 내의 사이드 패널(16) 일측에 고정된 가이드브래킷(66)을 통해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이루어진 터언버클샤프트(6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터언버클샤프트(68)의 일단에는 전면패널(18)을 통해 설치된 높이조절핸들(70)이 연결되며, 상기 터언버클샤프트(68)의 왼나사와 오른나사에는 너트블록(72)(74)이 각각 나사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너트블록(72)(74)의 일측에는 가이드핀(76)이 각각 고정되되, 이 가이드핀(76)은 가이드브래킷(66)에 형성된 양 장공(66a)에 안내되어 너트블록(72)(74)의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너트블록(72)(74)의 좌,우 수평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핀(76)은 상기 양 높이조절용 로드(60)(62)에 슬라이딩 삽입된 로드연결편(78)과 힌지 연결된다.
즉, 상기 로드연결편(78)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으로 천공된 힌지공(78a)을 통해 상기 가이드핀(76)이 힌지 연결되고, 그 양단의 절곡부에 형성된 구멍(78b)을 통해 높이조절용 로드(60)(62)와 슬라이딩 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핸들(70)의 정,역회전에 따라 이와 연결된 터언버클샤프트(68)가 회전하여 너트블록(72)(74)이 좌,우로 이동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핀(76)이 장공(66a)에 안내되면서 이 가이드핀(76)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고 높이조절용 로드(60)(62)와 슬라이딩 연결된 로드연결편(78)에 의하여 양 높이조절용 로드(60)(62)가 힌지(60a)(62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 결과 한 쌍의 높이조절용 로드(60)(62)에 올려진 석쇠(64)가 연료받이틀 (58)과의 상,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석쇠(64)의 높이조절은, 석쇠높이조절수단을 구성하는 터언버클샤프트(68)의 왼나사와 오른나사의 나사산 피치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양 사이드 패널(16) 상부에는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상부를 폐쇄 및 개방하며, 개방시 식탁 역할을 겸하는 뚜껑(80)(82)이 경첩(84)으로 설치되며, 상기 양 뚜껑(80)(82)에는 눕혀짐이 가능한 이동손잡이(86)와 양 뚜껑(80)(82)을 서로 체결하는 열림방지용 래치(8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양 뚜껑(80)(82)은 개방시 경첩(84)의 접히는 두께에 의한 고기구이기 본체(12)로부터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80)(82)의 직각 절곡면(80a) (82a)과 맞닿는 부분인 고기구이기 본체(12) 사이드 패널(16)에 엠보싱으로 돌출된 복수의 받침턱(16c)(받침돌기)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열림방지용 래치(88)를 해제시킨 다음 이동손잡이(86)를 잡고 양 뚜껑(80)(82)을 열면 양 뚜껑(80)(82)의 직각 절곡면(80a)(82a)과 맞닿는 부분이 받침턱(16c)에 의해 지지되어 처짐이 방지됨으로서 양 뚜껑(80)(82)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12)의 후면패널(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재(200)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개폐구(9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조절개폐구(90)는 힌지핀(90a)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손잡이(90b)에 의하여 개폐되게 설치된다.
상기에서는 공기조절개폐구(90)가 후면패널(20)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편의에 따라 본체를 구성하는 전면패널(18), 사이드 패널(16) 바닥패널(14) 등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사이드 패널(16) 상부 플랜지(16d) 부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을 방출하는 다수의 열방출공(16e)이 천공되어 고기구이기 본체(12) 자체의 열발산을 줄이게 된다.
상기에서 사이드 패널(16)의 설계 변경에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열방출공을 생략해도 좋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12)에는 양 높이조절용 로드(60)(62)에 받침되어 상,하 높이 이동되는 석쇠(64)의 치우침(편심)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석쇠편심방지가이드(92)(94)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석쇠편심방지가이드(92)(94)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걸림턱(92a)(94a)을 갖는 양 수직이동안내로드부(92b)(94b)와, 상기 양 수직이동안내로드부(92b)(94b)의 상부로부터 절곡 연결된 수평받침로드부(92c)(94c)와, 상기 수평받침로드부(92c)(94c)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가이드폴(92d)(94d)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전면패널(18)과 후면패널(20)의 상부 플랜지(18a)(20a)에 복수로 형성된 슬릿(18b)(20b)을 통해 상기 걸림턱(92a)(94a)을 갖는 양 수직이동안내로드부(92b)(94b)가 발취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하단의 걸림턱(92a)(94a)이 상기 슬릿(18b)(20b)에 걸림되며, 상기 수평받침로드부(92c) (94c)는 고기구이기 본체(12)에 설치된 높이조절용 로드(60)(62)에 받쳐지게 되며, 가이드폴(92d)(94d)이 석쇠(64)의 틀 사이에 넣어져 석쇠(64)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의하면 숯불 고기구이기(10)를 보관시 또는 미사용시에는 양 뚜껑(80)(82)이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상부를 폐쇄시키게 되고, 열림방지용 래치(88)에 의하여 양 뚜껑(80)(82)은 서로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이동손잡이(86)는 뉘어져 있고, 각각의 제1,2,3,4다리(21)(23) (25)(27)는 고기구이기 본체(12)로부터 분리되어 보관되거나 또는 한 조를 이루는 제1,4다리(22)(28)와 제2,3다리(24)(26)는 양 사이드 패널(16)의 내향 경사면(16a)에 적첩된 형태로 밀착되어 있으며, 고정볼트(32)에 의하여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숯불 고기구이기(10)는 보관시의 외관 형상이 콤팩트화되고 특히, 제1,4다리(22)(28)와 제2,3다리(24)(26)가 설치될 경우에는 양 사이드 패널(16)의 내향 경사면(16a)에 위치되어 별도의 보관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며 제1,4다리(22)(28)와 제2,3다리(24)(26)가 보관시에도 고기구이기 본체(12)에 고정되기 때문에 분실의 염려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기 숯불 고기구이기(10)의 사용시에는 먼저 제1,2,3,4다리(21)(23)(25) (27)를 다리고정용 브래킷(19)의 삽입홀(19a)에 삽입시켜 고기구이기 본체(12)를 받쳐 지지시킨다.
한편 변형 예의 다리를 적용할 경우에는, 먼저 제1,4다리(22)(28)와 제2,3다리(24)(26)를 펼친다. 즉, 제1,4다리(22)(28)와 제2,3다리(24)(26)를 고정볼트(32)로 풀은 후 고정핀(3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제1,3다리(22)(26)와 제2,4다리 (24)(28)가 X자 형태로 위치되게 한 다음 풀었던 고정볼트(32)를 조이게 되면 제1다리(22)에 체결된 고정볼트(32)가 제3다리(26)의 나사공(26a)에 체결되고 제2다리 (24)에 체결된 고정볼트(32)가 제4다리(28)의 나사공(28a)에 체결되어 이들 제1,3다리(22)(26)와 제2,4다리(24)(28)가 고기구이기 본체(12)를 받치면서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료재(200)를 연료받이틀(58)에 준비하고 가스점화장치에 부탄가스(300)를 부착시킨다.
이후 가스조절손잡이(42)를 최대로 돌려 혼합기분사노즐(34)에 가스를 점화시켜 연료재(200)에 불을 붙인다. 이에 따라 연료재(200)는 고열량의 가스점화에 의하여 빠른 시간 내에 착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료재(200)에 착화가 이루어져 연료재(200) 자체에 의해 화력을 발하게 되면 가스조절손잡이(42)를 돌려 가스점화장치를 소화시키고, 필요에 따라 공기조절개폐구(90)의 공기도입을 조절한다.
이후 석쇠(64)에 준비된 고기를 올려놓고 굽는다.
이때 연료재(200)의 화력이 세거나 또는 고기를 서서히 익혀야 할 경우에는 석쇠(64)를 연료재(200)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석쇠높이조절수단을 구성하는 높이조절핸들(70)을 정회전시킴에 따라 양 높이조절용 로드(60)(62)가 힌지(60a)(62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이에 받쳐져 있는 석쇠(64)의 높이가 높게 조절되게 되며, 이때 석쇠편심방지가이드(92)(94)에 의하여 석쇠(64)가 양 높이조절용 로드(60) (62)에서 떨어지지 않고 편심 등이 방지되게 된다.
이후 석쇠(64)의 높이를 낮추려면 상기 높이조절핸들(70)을 역회전시킴으로서 달성된다.
도 16 내지 도 18은 석쇠높이조절수단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일측에 하우징(96)이 고정 설치되고, 이 하우징(96) 내에 고정된 스크루받침브래킷(98)을 통해 스크루(100)가 공회전되게 설치되고, 이 스크루(100)의 상부에는 이를 회전시키는 높이조절손잡이(102)가 설치되고, 이 스크루(100)에는 너트블록(104)이 나사 체결되며, 상기 너트블록(104)의 일측에는 가이드핀(106)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핀(106)이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전면패널(18)에 형성된 수직장공(18c)에 안내되어 상기 너트블록(104)의 회전방지 및 상,하 이동을 보장하게 되고, 이 가이드핀(106)의 단부가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전면패널(18)과 후면패널(20)에 힌지 설치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 (108)(110)의 X자로 크로스되는 부위를 받치고 있는 상태로 접촉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손잡이(10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너트블록(104)이 공회전되는 스크루(100)에서 상,하 이동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핀(106)이 고기구이기 본체(12)에 힌지 결합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108)(110)를 상,하로 높이 조절시키게 되어 그 결과 상기 양 높이조절용 로드(108)(110)에 올려져 있는 석쇠(64)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석쇠높이조절수단의 또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구이기 본체(12) 내의 일측에 브래킷(112)이 고정되고, 이 브래킷(112)에 스크루(114)를 공회전안내축(116)으로 설치하여 상기 스크루 (114)가 공회전되게 하고, 상기 스크루(114)에 너트블록(118)을 나사 설치하고, 상기 스크루(114)의 저면에는 플렉시블 와이어(120)를 연결하고, 이 플렉시블 와이어 (120)의 일단을 고기구이기 본체(12)로부터 설치되는 높이조절손잡이(122)와 연결하고, 상기 너트블록(118)의 상부에는 너트블록(118)과 함께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받침편(124)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받침편(124)의 양측으로 연장절곡부에 형성된 슬롯(124a)을 통해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전면패널(18)과 후면패널(20)에 힌지설치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108)(110)가 받치고 있는 상태로 접촉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손잡이(12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너트블록(118)이 공회전되는 스크루(114)에서 상,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이와 함께 이동되는 가이드받침편(124)이 고기구이기 본체(12)에 힌지 결합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108)(110)를 상,하로 높이 조절시키게 되어 그 결과 상기 양 높이조절용 로드(108)(110)에 올려져 있는 석쇠(64)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22 및 도 23은 석쇠높이조절수단의 또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구이기 본체(12)에 하우징(126)이 고정 설치되고, 이 하우징(126) 내에 피니언축(128)이 회전되게 설치되며, 이 피니언축(128)에는 하우징(126)의 외부로부터 설치되는 높이조절손잡이(1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6) 내에는 피니언축(128)과 치합되는 래크(132)가 설치되고 이 래크(132)는 그 하부에 고정된 가동안내브래킷(134)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크(132)의 상부에는 가이드핀(136)이 설치되며, 이 가이드핀(136)이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전면패널(18)에 형성된 수직장공(18c)에 안내되고, 이 가이드핀(136)의 단부가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전면패널(18)과 후면패널(20)에 힌지 설치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108)(110)의 X자로 크로스되는 부위를 받치고 있는 상태로 접촉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손잡이(13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축(128)이 회전되면서 이와 치합된 래크(132)가 가동안내브래킷(134)의 안내를 받으며 상,하 이동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핀(136)이 고기구이기 본체(12)에 힌지 결합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108)(110)를 상,하로 높이 조절시키게 되어 그 결과 상기 양 높이조절용 로드(108)(110)에 올려져 있는 석쇠(64)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24는 석쇠높이조절수단의 또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사이드 패널(16)에, 스톱볼(138)에 의하여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한 높이조절손잡이(140)를 설치하고, 상기 높이조절손잡이(140)를 통해 고기구이기 본체(12) 내에 설치되는 좌,후 회전링크(142)를 축 결합하고, 상기 좌,우 회전링크(142)의 양단에 제1링크(144)와 제2링크(146)를 연결하고, 이 제1링크(144)와 제2링크(146)의 단부를 고기구이기 본체(12)에 힌지 (148a)(150a) 결합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148)(150)의 연결단(148b)(150b)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손잡이(14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좌,우 회전링크 (142)에 각각 연결된 제1링크(144) 및 제2링크(146)의 작동에 의해 고기구이기 본체(12)에 힌지 결합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148)(150)를 상,하로 높이 조절시키게 되어 그 결과 상기 양 높이조절용 로드(148)(150)에 올려져 있는 석쇠(64)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고기구기기의 제 2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는 앞서 설명된 제 1실시 예와 달리 가스점화장치가 고기구이기 본체(12)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필요에 따라 가스점화장치(통상의 휴대용 가스기구)를 고기구이지 본체(12)에 손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숯불 고기구이기를 경제적으로 제작하는데 주안점을 둔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저면을 구성하는 바닥패널(14)에 가스기구(400)의 가스점화몸체(402)를 탈,부착할 수 있는 가스점화몸체고정홀 (14a)을 천공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숯불 고기구이기의 사용시 휴대용 가스기구(400)의 가스점화몸체(402)를 가스점화몸체고정홀(14a)에 삽입하여 너트로 고정하고 휴대용 가스기구 (400)에 부탄가스통(300)을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고, 사용후에는 가스점화몸체고정홀(14a)로부터 가스점화몸체(402)를 제거하면 된다.
또한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고기구이기의 제 3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또한 숯불 고기구이기 자체에 가스점화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휴대용 가스버너(삼발이가 있는 것)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구이기 본체(12)의 저면을 구성하는 바닥패널(14)에 공지된 휴대용 가스버너(500)의 삼발이(502)와 가스점화몸체(504)가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삼발이슬릿(14b)이 포함된 가스분사몸체삽입홀(14c)이 천공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숯불 고기구이기의 사용시 휴대용 가스버너(500)의 삼발이 (502)와 가스점화몸체(504)를 삼발이슬릿(14b)과 가스점화몸체삽입홀(14c)에 삽입한 상태로 하여 사용하면 되고, 사용후에는 삼발이슬릿(14b)과 가스점화몸체삽입홀 (14c)로부터 삼발이(502)와 가스점화몸체(504)를 빼내면 된다.
이상과 같이, 도 1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고기구이기에 대한 제 1,2,3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대하여 추가의 이점 및 변형은, 이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광범한 양태에 있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 설명된 특정 상세 및 대표적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러 변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 대등물에 의해 정의된 전반적 발명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기구이기는 가스점화장치에 의하여 연료재(숯을 주재로 한 연료)의 점화시 착화를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빠른 시간 내에 착화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사용자의 불편(연기, 그을음 등)을 해소와 고기를 굽기 위한 준비시간(즉, 숯에 불을 붙이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키게 되어 사용자의 짜증스러움을 해소시켜주고, 또한 석쇠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화력에 따라 석쇠의 높이를 신속히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고기가 쉽게 타지 않고 필요에 따라 석쇠를 최고 높이로 조절함으로서 고기를 서서히 익힐 수 있게 되며, 또한 뚜껑을 간이 탁자로 하여 마늘, 양파, 익은 고기 등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되어 기능 및 사용범위를 확대시키며, 또한 다리가 접힘 및 펼침되게 설치되어 사용시 편리하고 사용후에는 보관 및 분실이 없으며, 이동에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9)

  1. 외관을 구성하는 고기구이기 본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양 사이드 내향 경사면의 전,후 부분에 각각 고정된 다리고정용 브래킷의 삽입홀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딩 설치되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를 지지하는 제1,2,3,4다리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에 부착되는 가스점화장치 및 이 가스점화장치와 연결되고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연료재에 가스화염을 방사시키는 혼합기분사노즐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안착되어 연료재를 올려놓는 연료받이틀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서로 대향하여 일단이 힌지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연료받이틀로부터 일정높이를 두고 설치되는 석쇠를 받이함과 동시에 이 석쇠를 석쇠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상,하 높이 조절되게 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용 로드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양 사이드 상부에 경첩으로 각각 설치되어 고기구이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 및 개방하며, 개방시 식탁 역할을 겸하는 뚜껑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사이드 또는 저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연료재의 화력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개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2. 외관을 구성하는 고기구이기 본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양 사이드 내향 경사면에 각각 한 조를 이루면서 일단이 고정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밀착 고정되고 중앙이 고정볼트로 고정되어 적첩되고, 이를 펼침시 X자 형태로 되어 고정볼트로 고정 및 풀림되는 제1다리, 제3다리 및 제2다리, 제4다리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에 부착되는 가스점화장치 및 이 가스점화장치와 연결되고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연료재에 가스화염을 방사시키는 혼합기분사노즐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안착되어 연료재를 올려놓는 연료받이틀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서로 대향하여 일단이 힌지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연료받이틀로부터 일정높이를 두고 설치되는 석쇠를 받이함과 동시에 이 석쇠를 석쇠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상,하 높이 조절되게 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용 로드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양 사이드 상부에 경첩으로 각각 설치되어 고기구이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 및 개방하며, 개방시 식탁 역할을 겸하는 뚜껑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사이드 또는 저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연료재의 화력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개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3. 외관을 구성하는 고기구이기 본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양 사이드 내향 경사면의 전,후 부분에 각각 고정된 다리고정용 브래킷의 삽입홀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딩 설치되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지지하는 제1,2,3,4다리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바닥에 형성되어 공지된 휴대용 가스기구의 가스점화몸체를 탈,부착할 수 있는 가스점화몸체고정홀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안착되어 연료재를 올려놓는 연료받이틀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서로 대향하여 일단이 힌지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연료받이틀로부터 일정높이를 두고 설치되는 석쇠를 받이함과 동시에 이 석쇠를 석쇠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상,하 높이 조절되게 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용 로드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양 사이드 상부에 경첩으로 각각 설치되어 고기구이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 및 개방하며, 개방시 식탁 역할을 겸하는 뚜껑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사이드 또는 저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연료재의 화력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개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4. 외관을 구성하는 고기구이기 본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양 사이드 내향 경사면의 전,후 부분에 각각 고정된 다리고정용 브래킷의 삽입홀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딩 설치되어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지지하는 제1,2,3,4다리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바닥에 형성되어 공지된 휴대용 가스버너의 삼발이와 가스점화몸체가 삽입 설치되는 삼발이슬릿이 포함된 가스분사몸체삽입홀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안착되어 연료재를 올려놓는 연료받이틀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 서로 대향하여 일단이 힌지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연료받이틀로부터 일정높이를 두고 설치되는 석쇠를 받이함과 동시에 이 석쇠를 석쇠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상,하 높이 조절되게 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용 로드와;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 양 사이드 상부에 경첩으로 각각 설치되어 고기구이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 및 개방하며, 개방시 식탁 역할을 겸하는 뚜껑과;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의 사이드 또는 저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연료재의 화력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개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는 바닥패널과 일체로 형성되는 양 사이드 패널과 이 바닥패널과 사이드 패널의 전 후단에 고정수단으로 설치되는 전면패널과 후면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양 사이드 패널의 약 절반 이하에는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제1,2,3,4다리를 수용하는 내향 경사면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다리는 길이의 중앙에 나사삽입공 및 나사공이 형성되고, 제3,4다리는 상기 제1,2다리의 나사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공이 형성되어 다리의 적첩보관시 제1,4다리와, 제2,3다리가 각각 고정볼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다리의 펼침시 제1,3다리와 제2,4다리가 각각 고정볼트에 의하여 풀림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점화장치는, 고기구이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하우징을 통해 설치되어 일측은 부탄가스통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스통연결브래킷과 연결되고 타측은 혼합기분사노즐과 연결되는 가스조절밸브와;
    상기 가스조절밸브를 조작하여 가스량을 조절하고 동시에 압전장치를 작동시켜 점화시키는 가스조절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8. 제 1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분사노즐은, 중공형 파이프로 이루어져 그 끝단부는 캡으로 막혀 있고, 가스가 공급되는 시단부에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흡입구가 천공되며, 이 중공형 파이프의 양 측면으로 다수의 혼합가스분출공이 천공되며, 상기 혼합가스분출공으로의 점화를 용이하게 전파하기 위하여 가스점화장치를 구성하는 압전장치의 방전단자와 인접된 중공형 파이프의 상부에는 복수의 혼합가스점화공을 천공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분사노즐은, 공기흡입구와 상부에 점화를 전파하기 위한 복수의 혼합가스점화공이 천공된 혼합가스도입파이프와;
    상기 혼합가스도입파이프의 단부로부터 연결되고 혼합가스분출공이 다수 천공된 혼합기노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10.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받이틀은 고기구이기 본체의 양 사이드에 돌출된 복수의 받침턱에 의해 고기구이기 본체 내에서 분리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11.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높이조절수단은,
    고기구이기 본체 내의 일측에 고정된 가이드브래킷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이루어진 터언버클샤프트 및 이 터언버클샤프트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터언버클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높이조절핸들과;
    상기 터언버클샤프트의 왼나사와 오른나사에 각각 나사 결합된 너트블록과;
    상기 각각의 너트블록 일측에 고정되고 가이드브래킷에 형성된 양 장공에 각각 안내되어 너트블록의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너트블록의 좌,우 수평이동을 보장하는 가이드핀 및,
    상기 가이드핀과 힌지 연결되고 그 양 단부의 절곡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양 높이조절용 로드와 슬라이딩 연결되는 로드연결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절핸들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너트블록이 터언버클샤프트에서 좌,우 이동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핀을 매개로 연결된 로드연결편에 의하여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결합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가 상,하로 높이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12.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뚜껑은 개방시 고기구이기 본체로부터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의 직각 절곡면과 맞닿는 부분인 고기구이기 본체의 사이드에 돌출된 복수의 받침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13.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뚜껑에는 눕혀짐이 가능한 이동손잡이와 양 뚜껑을 서로 체결하는 열림방지용 래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14.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구이기 본체에는 양 높이조절용 로드에 받침되어 상,하 높이 이동되는 석쇠의 편심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석쇠편심방지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편심방지가이드는,
    고기구이기 본체의 전, 후 플랜지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발취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하단에 걸림턱을 갖고 플랜지에서 걸림되는 양 수직이동안내로드부와, 상기 양 수직이동안내로드부의 상부로부터 절곡 연결되어 고기구이기 본체에 설치된 높이조절용 로드에 받쳐지는 수평받침로드부와, 상기 수평받침로드부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석쇠의 틀 사이에 넣어져 석쇠를 고정시켜 편심 및 이탈을 방지시키는 가이드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16.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높이조절수단은,
    고기구이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하우징 내에 스크루받침브래킷을 통해 공회전되게 설치된 스크루와;
    상기 스크루의 상단과 연결되어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높이조절손잡이와;
    상기 스크루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블록 및,
    일단이 상기 너트블록의 일측에 고정되고 고기구이기 본체에 형성된 수직장공에 안내되어 상기 너트블록의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너트블록의 상,하 이동을 보장하고, 타단이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설치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를 받치고 있는 상태로 접촉되는 가이드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절손잡이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너트블록이 스크루에서 상,하 이동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핀이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결합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를 상,하로 높이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17.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높이조절수단은,
    고기구이기 본체 내의 고정된 브래킷에 공회전안내축을 통해 공회전되게 설치된 스크루와;
    상기 스크루에 나사 설치되는 너트블록과;
    상기 스크루의 저면과 연결된 플렉시블 와이어 및 이 플렉시블 와이어와 연결되어 고기구이기 본체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높이조절손잡이와;
    상기 너트블록의 상부에 고정되어 너트블록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그 양단의 연장절곡부에 형성된 슬롯에 의하여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설치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를 받치고 있는 상태로 접촉되는 가이드받침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절손잡이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너트블록이 스크루에서 상,하 이동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받침편이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결합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를 상,하로 높이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18.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높이조절수단은,
    고기구이기 본체에 고정되는 하우징 내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피니언축과;
    상기 피니언축의 일단과 연결되고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조절손잡이와;
    상기 피니언축과 치합되는 래크 및 이 래크의 하부에 고정되어 래크를 하우징 내에서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동안내브래킷과;
    상기 래크의 상부에 고정되어 래크의 상,하 이동에 의해 고기구이기 본체에 형성된 수직장공을 따라 상,하 이동되어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설치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를 받치고 있는 상태로 접촉되는 가이드핀으로 구성하여 상기 높이조절손잡이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축에서 상,하 이동되는 래크에 의해 가이드핀이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결합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를 상,하로 높이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19.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높이조절수단은,
    고기구이기 본체의 사이드에 설치되어 스톱볼에 의하여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한 높이조절손잡이와;
    상기 높이조절손잡이와 축 결합되는 좌,우 회전링크와;
    상기 좌,우 회전링크의 양 단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설치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의 연결단에 연결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절손잡이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좌,우 회전링크에 각각 연결된 제1링크 및 제2링크의 작동에 의해 고기구이기 본체에 힌지 결합된 양 높이조절용 로드를 상,하로 높이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KR1019990019483A 1999-05-28 1999-05-28 숯불화로 KR100325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483A KR100325016B1 (ko) 1999-05-28 1999-05-28 숯불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483A KR100325016B1 (ko) 1999-05-28 1999-05-28 숯불화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953A KR19990064953A (ko) 1999-08-05
KR100325016B1 true KR100325016B1 (ko) 2002-02-25

Family

ID=3747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483A KR100325016B1 (ko) 1999-05-28 1999-05-28 숯불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501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12804B1 (ru) * 2008-04-29 2009-12-30 Юрий Марьянович Билинский Моду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KR200454479Y1 (ko) 2009-05-20 2011-07-07 (주)캔파이어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KR101155617B1 (ko) * 2011-10-06 2012-06-12 주종완 훈제 겸용 바비큐 구이기
WO2013187800A1 (ru) * 2012-06-13 2013-12-19 Popov Dmitrii Aleksandrovich Мангал закрытого типа
KR101515228B1 (ko) * 2014-09-30 2015-05-04 김재중 바비큐 그릴
KR200477576Y1 (ko) * 2013-12-17 2015-06-26 이동호 탄화방지용 보조구이판이 구비된 구이판
KR101554201B1 (ko) 2015-07-10 2015-09-18 사승진 다기능 화로대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593B1 (ko) * 1999-12-31 2002-12-26 주식회사에이테크엔지니어링 숯불조리기
KR200198107Y1 (ko) * 2000-05-16 2000-10-02 박동준 구이기
KR101885919B1 (ko) * 2018-03-28 2018-08-06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회전식 구이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12804B1 (ru) * 2008-04-29 2009-12-30 Юрий Марьянович Билинский Моду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KR200454479Y1 (ko) 2009-05-20 2011-07-07 (주)캔파이어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KR101155617B1 (ko) * 2011-10-06 2012-06-12 주종완 훈제 겸용 바비큐 구이기
WO2013187800A1 (ru) * 2012-06-13 2013-12-19 Popov Dmitrii Aleksandrovich Мангал закрытого типа
KR200477576Y1 (ko) * 2013-12-17 2015-06-26 이동호 탄화방지용 보조구이판이 구비된 구이판
KR101515228B1 (ko) * 2014-09-30 2015-05-04 김재중 바비큐 그릴
KR101554201B1 (ko) 2015-07-10 2015-09-18 사승진 다기능 화로대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953A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593B1 (ko) 숯불조리기
US6827076B2 (en) Quick start barbecue
US4158992A (en) Combination hibachi-type grill and rotisserie
KR100325016B1 (ko) 숯불화로
US6595198B2 (en) Multi-purpose collapsible portable stove
CA2435475A1 (en) Convertible grill and fireplace
US6802308B1 (en) Collapsible barbecue apparatus
JP7204262B2 (ja) 携帯性及び取扱性の容易な携帯用炭火焼き器
KR20010077008A (ko) 휴대용 구이기
US20040118393A1 (en) Grate assembly for a charcoal grill
US5666941A (en) Swing-out side table for barbecue grill
US20080053315A1 (en) Grilling and cooking apparatus
JPH1176070A (ja) バーベキューコンロ
US5188091A (en) Fireplace enclosure
CN106724923B (zh) 炭火烧烤架
JPS61149728A (ja) こんろ
CN110141132A (zh) 一种折叠式无烟烧烤架
KR200370294Y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JP2887456B2 (ja) コンロ
KR102474021B1 (ko) 통그릴 화로
CN219460943U (zh) 一种便携式电烤炉
KR100876194B1 (ko) 휴대용 로스터
KR200232664Y1 (ko) 화력조절이 가능한 숯불구이기
KR200196631Y1 (ko) 야외용 고기 구이기
KR200196728Y1 (ko) 휴대용 꼬치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