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417Y1 - 도로 경계석의 반사판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도로 경계석의 반사판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417Y1
KR200447417Y1 KR2020090010170U KR20090010170U KR200447417Y1 KR 200447417 Y1 KR200447417 Y1 KR 200447417Y1 KR 2020090010170 U KR2020090010170 U KR 2020090010170U KR 20090010170 U KR20090010170 U KR 20090010170U KR 200447417 Y1 KR200447417 Y1 KR 2004474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boundary stone
groove
road boundary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덕
Original Assignee
김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환 filed Critical 김규환
Priority to KR2020090010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4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4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F16B13/065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fastened by extrac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경계석의 도로 방향의 벽면에 반사판을 설치하여 시계가 불량한 어두운 도로 여건 상황에서 차량에서 조사되는 전조등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반사판을 도로 경계석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반사판에 먼지 및 이물질 적층이 적고, 경계석 블럭에 구조적으로 견고한 상태로 결합되어 외부 충격에 대해서 파손이 적으며, 반사체의 고정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도로 경계석에 반사체 결합 후 뒤틀림 변형이나 이탈 및 훼손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로 경계석의 도로 방향의 벽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홈으로 파여져 형성된 반사판 고정홈과, 상기 반사판 고정홈의 안쪽 내벽 상에 형성된 앵커홈과, 상기 앵커홈에 고정 결합되는 앵커와, 상기 앵커를 통하여 상기 고정홈을 중심으로 장착되고, 주행하는 차량의 광원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을 상기 앵커를 중심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사판에 형성되는 체결구멍과, 외부에서 상기 반사판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통과시켜 상기 앵커에 체결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 경계석, 경계석블럭, 도로블럭

Description

도로 경계석의 반사판 설치 구조{Reflecter construction structure of road boundary stone}
본 고안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도로 경계석에 반사판을 설치하기 위한 반사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도를 향하는 도로 경계석의 벽면에 반사판을 설치하여 시계가 불량한 어두운 도로 여건 상황에서 차량에서 조사되는 전조등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반사판을 도로 경계석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반사판에 먼지 및 이물질 적층이 적고, 도로 경계석에 구조적으로 견고한 상태로 결합되어 외부 충격에 대해서 파손이 적으며, 반사체의 고정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도로 경계석에 반사체 결합 후 뒤틀림 변형이나 이탈 및 훼손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경계석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거나 또는 차도의 경계 부분을 표시하기 위하여 도로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도로 경계석(10)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양 방향 차량 통행과 보행 통행이 가능한 도로(11)에 도로 경계석(10)이 시설된 예이다. 도로 주행 중 전조등을 켜고 비추면 전조등에서 조사되는 빛은 도로 경계석(10)의 도로 방향의 벽면(12)과 닿는다.
도로 경계석(10)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갓길 운행선, 보도 분리선 등에 설치되어 도로의 구획을 결정하여 차량 및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 도로 경계석(10)은 화강석과 같은 자연석 또는 콘크리트를 본체로 하여 제조되었다.
도로 경계석(10)은 시계가 불량한 조건에서 빛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키지 못했다. 즉, 도로 경계석(10)은 화강암 등의 석재를 가공하여 시공되거나 또는 콘크리트 등과 같은 구조물을 성형하여 시공하였으므로 전조등 빛을 반사시키지 못해 터널 등과 같은 시계가 불량한 곳에서는 식별이 어려웠고, 사물 식별이 어려운 야간에서는 차량 전조등 빛 보다는 가로등 빛에 의해 도로 경계석(10)의 위치 확인과 식별이 가능했다.
가로등이 없거나 빛이 흐린 도로에서 서로 마주쳐오는 차량 간 교행시 전조등 불빛에 의한 전방 주시 시각장애를 일으켜 도로 경계석(10)을 시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여 도로이탈, 전복사고 등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도로 경계부분이 뚜렷이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도로 경계석(10)의 표면에 황색 페인트를 칠하거나 반사 테이프를 부착시켰다.
페인트 등의 반사체(또는 "야광판", 이하, 반사체(판)는 야광판을 포함한다.)를 도로 경계석(10)의 표면에 부착하는 경우, 반사체에 대하여 평행하게 운행하는 차량에서 방출되는 전조등 불빛이 비스듬하게 반사체에 입사되어 반사체의 반사율이 떨어져 식별력이 낮다. 즉, 통상적으로 반사체에 빛이 입사되어 반사되는 빛은 반사체에 수직에 가깝게 빛이 입사되었을 때 반사체의 반사율이 최대에 가깝게 되는데, 전조등 불빛이 비스듬하게 반사체에 입사될 경우, 도로 경계석(10)이 부착된 반사체의 반사율에 따른 휘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도로 경계석(10)의 반사체 부착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도로에 이웃하는 측면에 간격을 두고 요홈(20)이 형성된 복수 개의 도로 경계석(10)를 구성하고, 상기 요홈(20)에는 반사체(21)를 설치하며, 상기 요홈(20)들의 이웃하는 쪽의 요홈의 단차면은 경계석 몸체의 측면에서 요홈의 바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단차면(22)에 반사체(21)를 설치하여 차량 전조등(25) 빛을 반사시키도록 한 구조와, 도 3과 같이, 도로 경계석(10)에 볼록부(23)를 형성하고, 그 볼록부(23)의 외측면에 반사체(21)를 설치하여 차량 전조등(25) 빛을 반사시키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여기서, 반사체(21)는 도로 경계석(10)에 직접 장착되지 않고 반사체(21)가 부착되어 있는 브라켓(24)을 통하여 장착된다. 또한 브라켓(24)은 도로 경계석(10)에 스크류(26)로 고정된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도로 경계석(10)에 요홈(20)을 형성하고 반사체(21)를 설치하는 경우, 요홈(20)이 도로 경계석(10)에 파여진 상태가 되므로, 각종 먼지나 이물질이 요홈(20)에 쌓이거나 반사체(21) 표면에 적층되어 잘 떨어지지 않고, 유지 보수를 위한 관리나 청소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고, 도 3과 같이, 도로 경계석(10)에 볼록부(23)를 돌출하여 반사체(21)를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하는 경우, 반사체(21) 돌출에 의해 통행에 장애를 일으키거나 쉽게 파손과 유실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다같이 반사체(21)가 부착되어 있는 브라 켓(24)을 스크류(26)로 직접 도로 경계석(10)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어, 스크류(26) 체결작업을 위해서는 특수 공구가 필요하고, 체결작업 중 도로 경계석(10)이 깨지거나 파손되는 등 체결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도로 경계석의 위치 식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알려진 또 다른 기술의 예는 도 4와 같이, 도로 경계석(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양측단부와 전면의 중앙부에 요입부(27)를 형성하고, 반사체(21)을 매입시켜 접착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도 4의 구조는, 도 2 및 도 3의 구조와는 달리 도로 경계석(10)과 반사체(21)가 평행한 상태로 설치되어, 먼지 및 이물질 적층이 없는 구조로 볼 수 있으나, 도로 경계석(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도로 경계석(10)의 양측단부와 전면의 중앙부에 요입부(27)를 형성하고, 그 요입부(27)들에 반사체(21)를 매입시켜 접착 고정하여서 된 것으로, 구조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반사체가 도로 경계석에 매입 접착되는 구조이므로 작은 외부 충격에 의해서 반사체가 도로 경계석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반사체 소재는 도로 경계석과 소재와 다르므로 접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수분 접촉 등의 경우 반사체의 고정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반사체를 직접 도로 경계석에 접착시켜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작은 충격으로도 반사체가 깨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반사체를 도로 경계석에 고정하는데 있어서 매입 접착 구조에 의존함으로서, 온도 변화에 따른 반사체의 수축팽창, 열변형에 의한 접착력 저하 등 다양 한 변형 요인들에 대하여 충분한 접착강도 유지 및 내구성을 갖지 못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먼지 및 이물질 적층이 적고, 경계석에 구조적으로 견고한 상태로 결합되어 외부 충격에 대해서 파손이 적으며, 반사체의 고정 설치 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경계석에 반사체 결합 후 뒤틀림 변형이나 이탈 및 훼손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구조는,
도로 경계석의 도로 방향의 벽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반사판을 설치하여 차량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도로 경계석 위치 확인과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로 경계석의 도로 방향의 벽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홈으로 파여져 형성된 반사판 고정홈과,
상기 반사판 고정홈의 안쪽 내벽 상에 형성된 앵커홈과,
상기 앵커홈에 고정 결합되는 앵커와,
상기 앵커를 통하여 상기 고정홈을 중심으로 장착되고, 주행하는 차량의 광원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판 과,
상기 반사판을 상기 앵커를 중심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사판에 형성되는 체결구멍과,
외부에서 상기 반사판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통과시켜 상기 앵커에 체결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판 고정홈의 내벽면 앵커홈에 고정 결합되는 앵커의 결합 위치는 상기 반사판 고정홈의 내벽면을 기준으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의 선단부와 상기 반사판 사이에는 고무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는, 상기 앵커홈에 박힐 수 있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력작용공간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가 앵커홈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외부를 따라 돌출된 고정돌기와,
상기 몸체를 따라 외부측 상기 체결구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체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판 고정홈에 결합되는 상기 반사판의 둘레면 결합 틈새 사이는 실리콘 실런트를 도포하여 상기 반사판 고정홈과 반사판 사이 틈새를 공간을 메워주고, 반사판 표면이 도로 경계석 측면과 나란한 상태가 되도록 마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도로 경계석의 도로 방향의 벽면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에 외부에서 반사판을 설치하여 차량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도로 경계석 위치 확인과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로 경계석의 도로 방향의 벽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홈으로 파여져 형성된 반사판 고정홈과,
상기 반사판 고정홈의 안쪽 내벽 상에 형성된 핀조인트홈과,
상기 핀조인트홈에 고정 결합되는 핀조인트와,
상기 핀조인트를 통하여 상기 고정홈을 중심으로 장착되고, 주행하는 차량의 광원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을 상기 핀조인트를 중심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사판에 형성되는 체결구멍과,
상기 반사판의 체결구멍을 통과한 핀조인트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핀조인트홈에 상기 핀조인트를 안착시켜 빠지 않도록 결합하는 체결부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조인트는, 상기 도로 경계석에 형성된 핀조인트홈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선단부의 끝이 뾰족한 원추형 팁으로 형성되고, 그 타단은 반사판을 상기 핀조인트홈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하여 너트가 결합되는 나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싱은, 상기 핀조인트홈의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의 수축 변형이 가능한 다수 개의 날개편들을 구비하며, 상기 핀조인트의 선단부와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핀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차량에서 조사되는 전조등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반사판을 도로 경계석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반사판에 먼지 및 이물질 적층이 적어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고, 경계석에 구조적으로 견고한 상태로 결합되어 외부 충격에 대해서 파손이 적으며, 반사체의 고정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도로 경계석에 반사판 결합 후 뒤틀림 변형이나 이탈 및 훼손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예의 설명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은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예의 단면도 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앵커의 상세도 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예의 다른 실시 예의 설명도 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예의 단면도 이다.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이다.
본 고안은 5 내지 도 7과 같이, 도로 경계석(30)의 도로 방향의 벽면에 고정홈(3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31)에 외부에서 반사판(32)을 설치하여 차량 광원 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도로 경계석(30) 위치 확인과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주요 부분은, 도로와 마주 대하는 상기 도로 경계석(30)의 벽면(38)에 길이 방향을 따라 홈으로 파여져 형성된 반사판 고정홈(31)과, 상기 반사판 고정홈(31)의 안쪽 내벽(33) 상에 형성된 앵커홈(34)과, 상기 앵커홈(34)에 고정 결합되는 앵커(35)와, 상기 앵커(35)를 통하여 상기 고정홈(31)을 중심으로 장착되는 반사판(32)과, 상기 반사판(32)을 상기 앵커(35)를 중심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사판(32)에 형성되는 체결구멍(36)과, 외부에서 상기 반사판(32)에 형성된 체결구멍(36)을 통과시켜 상기 앵커(35)에 체결되는 체결구(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반사판 고정홈(31)은 도로 경계석(30)의 벽면(38)을 홈 형상으로 구성한 것으로, 반사판(32)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이 되고, 또한 반사판(32)을 지지 고정하는 앵커(35)를 결합 고정하기 위한 공간이다.
상기 앵커홈(34)은 앵커(35)를 박아 고정하기 위한 홈으로서, 반사판 고정홈(31)의 안쪽 내벽(33) 상에 형성되며, 한 개 또는 그 이상 여러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앵커(35)는 앵커홈(34)에 고정 결합되어 반사판(32)을 지지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앵커(35)는, 플라스틱 소재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그 구성은, 앵커홈(34)에 박힐 수 있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력작용공간(39)이 있는 몸체(40)와, 상기 몸체(40)가 앵커홈(3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몸체(40)의 외부를 따라 돌출된 고정돌기(41)와, 상기 몸체(40)를 따라 외부측 체결 구(42)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체결홈(43)을 구비하는 앵커(3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판(32)은 상기 앵커(35)를 통하여 상기 반사판 고정홈(31)을 중심으로 도로 경계석(30)의 벽면(38)을 따라 장착되어, 주행하는 차량의 광원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면(44)을 갖는 반사판(32)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형 반사체를 제외한 통상의 플라스틱 소재 성형으로 만들어지는 반사판(32)은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식별자가 인식하기 유효한 각도 범위내로 반사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반사판(32)도 이러한 유효한 반사면(44)을 갖는 반사판(32)이 적용된다.
상기 체결구멍(36)은 반사판(32)을 앵커(35)를 중심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반사판(32)에 형성되며, 적당한 지지 및 결합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한 개 이상 여러 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앵커홈(34)이 여러 개 이고, 여기에 대응되도록 체결구멍(36)을 형성한 예가 나타나 있다.
상기 체결구(37)는 외부에서 반사판(32)에 형성된 체결구멍(36)을 통과시켜 앵커(35)에 체결되는 일종의 최종 체결수단으로서, 나사볼트 조임구 및 핀형 등이 될 수 있으며, 공통적으로 앵커(35)에 조립되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결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앵커(35)의 몸체(40)를 따라 형성된 체결홈(43)에 끼워져 고정되는 다양한 결속부재가 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 고정홈(31)의 내벽(33)면 앵커홈(31)에 고정 결합되는 앵커(35) 의 결합 위치는 반사판 고정홈(31)의 내벽(33) 면을 기준으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은 반사판 고정홈(31)에 장착되는 반사판(32)의 표면이 도로 경계석(30)의 벽면(38)과 나란한 평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앵커(35)의 몸체(40)를 일정한 높이로 돌출시킨 것으로, 이를 통하여 반사판(32)이 도로 경계석(30) 안쪽으로 함몰 되거나 또는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반사판(32)이 반사판 고정홈(31)에 결합되는 위치를 사전에 결정하고, 앵커(35)의 높이를 결정하여 반사판(32)을 경계석 블럭(30)의 반사판 고정홈(31)에 장착하면 반사판(32)의 결합 위치를 도로 경계석(30)의 벽면(38)과 나란한 평행상태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로 경계석(30)에 반사판(32)을 장착하는데 있어서, 앵커(35)의 선단부와 반사판(32) 사이에 고무링(45)을 삽입한 뒤 체결구(37)로 장착하면, 고무링(45)의 수축작용에 의해 반사판(32)의 조임력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여러 개의 앵커(35) 높이 불일치에 따른 반사판(32) 장착의 기울어짐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착 후 반사판(32)의 외부 충격이 앵커(35)로 전달되는 고무링(45)을 통해 완충할 수 도 있다.
또한, 반사판 고정홈(31)에 결합되는 반사판(32)의 둘레면 결합 틈새 사이는 실리콘 실런트(46)를 도포하여 반사판 고정홈(31)과 반사판(32) 사이 틈새(47) 공간을 메워줌으로서 수분과 먼지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반사판(32) 표면이 도로 경계석(30)의 벽면(38)과 나란한 상태가 되도록 마감처리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도로 경계 석(30)의 도로방향의 벽면에 고정홈(3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31)에 외부에서 반사판(32)을 설치하여 차량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도로 경계석(30) 위치 확인과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주요 부분은, 도로와 마주 대하는 도로 경계석(30)의 벽면(38)에 길이 방향을 따라 홈으로 파여져 형성된 반사판 고정홈(31)과, 상기 반사판 고정홈(31)의 안쪽 내벽(33) 상에 형성된 핀조인트홈(51)과, 상기 핀조인트홈(51)에 고정 결합되는 핀조인트(50)와, 상기 핀조인트(50)를 통하여 상기 고정홈(31)을 중심으로 장착되는 반사판(32)과, 상기 반사판(32)을 상기 핀조인트(50)를 중심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사판(32)에 형성되는 체결구멍(36)과, 상기 반사판(32)의 체결구멍(52)을 통과한 핀조인트(50)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핀조인트홈(51)에 핀조인트(50)를 안착시켜 빠지지 않도록 결합하는 체결부싱(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핀조인트(50)는, 도로 경계석(30)에 형성된 핀조인트홈(51)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선단부의 끝이 뾰족한 원추형 팁(53)으로 형성되고, 그 타단은 반사판(32)을 상기 핀조인트홈(51)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하여 너트(54)가 결합되는 나사부(55)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핀조인트(50)는 직접 핀조인트홈(51)에 결합되므로 반사판(32)을 고정홈(31)에 결합하는데 있어서, 간편하고 빠르게 결합할 수 있으며, 핀조인트(50)는 핀조인트홈(51)에 복잡한 앵커나 부속장치 없이 체결부싱(60)을 통하여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싱(60)은, 도 10과 같이, 핀조인트홈(51)의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의 수축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날개편(61)들로 이루어져 있고, 핀조인트(50)의 선단부와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핀홀(62)이 있어 핀조인트(50)를 핀조인트홈(51)에 끼워 넣으면 외경에 결합된 체결부싱(60)의 날개편(61)이 오므라들면서 핀조인트홈(51)을 따라 삽입되어 견고한 상태로 결합되고, 체결부싱(60)의 핀홀(62)에 끼워진 핀조인트(50)는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므로 이탈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구조에 의하면, 도 5 내지 도 10과 같이, 반사판(32)을 도로 경계석(30)의 벽면(38)과 거의 나란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반사판(32) 주변부에 먼지나 이물질이 적층되어 반사판(32)의 반사 기능 저하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반사판(32)을 설치할 때 먼저 도로 경계석(30)에 앵커(35)를 박고, 그 앵커(35)를 통해 반사판(32)을 고정 설치함으로서 구조적으로 견고한 상태의 결합이 가능하다. 즉 도로 경계석(30)의 소재는 통상적으로 자연석재나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여기에 직접 반사판(32)을 스크류 등의 결속구로 체결하기 어렵고, 또한 반사판(32)을 설치한다 하여도 작은 충격에 의해서 쉽게 분리 되지만, 앵커(35)를 사전에 설치하고, 그 앵커(35)를 반사판(32)의 지지축으로 하여 외부에서 체결구(37)로 체결하는 경우, 직접 체결구(37)가 도로 경계석(30)에 박히는 것이 아니고 앵커(35)에 체결되므로 반사판(32)이 쉽게 도로 경계석(3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는다.
도로 경계석(30)에 박아 끼워 넣는 앵커(35)는, 플라스틱 소재로 일체로 성형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앵커(35)는 앵커홈(34)에 박혀지면 빠지거나 이 탈되지 않는 견고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앵커(35)의 몸체(40)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력작용공간(39)을 두면 앵커홈(34)에 끼워질 때 탄력작용공간(39)이 수축되면서 끼워지고, 삽입이 완료되면 복원되어 앵커홈(34)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몸체(40)의 외부에 고정돌기(41)가 돌출되어 있는 경우 고정돌기(41)들이 앵커홈(34)의 내벽과 밀착되어 앵커홈(34)에서 보다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프라스틱 소재로 된 앵커(35)는 부식 방지에 유리하므로 반사판(32)을 외부에서 고정하는 체결구(37)를 장기간 견고한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로 경계석(30)의 벽면(38)과 나란한 상태로 설치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먼지 및 이물질의 적층이 적으며 동시에 도로 경계석(30)의 벽면(38)에서 돌출되지 않아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가능성이 낮다.
또한, 반사판(32)의 고정 설치 작업에 있어서 사전에 앵커(35)를 도로 경계석(30)의 앵커홈(34)에 박아 넣고 반사판(32)을 대고 외부에서 체결구(37)를 통하여 결합하는 구조이므로 반사판(32) 설치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반사판(32)의 결합에 있어서 앵커(35)와 반사판(32) 사이에 고무링(45)을 인서트시켜 결합할 수 있으므로 기울어지거나 비툴어지는 등 결합 작업 중 나타나는 반사판(32)의 조립 불량을 수정하면서 정교한 조립이 가능하고, 결합 후 앵커(35)에 의해 지지되므로 변형이 적다.
앵커(35)와 체결구(37)를 이용하는 방식 이외에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핀조인트(50)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핀조인트(50)에 의한 반사판(32)의 결합은, 먼저 도로 경계석(30)에 반사판(32)을 고정할 수 있는 크기의 고정홈(31)을 형성하 고, 그 내벽(33)에는 핀조인트홈(51)을 형성한 뒤 외부에서 반사판(32)을 결합하고, 체결부싱(60)을 핀조인트(50)에 끼운 뒤 핀조인트(50)를 핀조인트홈(51)을 향해 밀어 넣으면 체결부싱(60)의 날개편(61)이 핀조인트홈(51)의 내부에서 오므라들면서 견고한 상태로 핀조인트(50)를 결합하게 되어 반사판(32)을 유동없이 안정된 상태로 결합하게 되며, 반사판(32)의 외부로 돌출된 핀조인트(50)의 나사부(55)에 너트(54)를 체결함으로서 반사판(32)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체결부싱(60)에 의한 핀조인트(50) 결합 형식은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날개편(61)의 수축에 따라 어느정도 유격 확보도 가능하여 핀조인트홀(51)에 대하여 핀조인트(50) 및 반사판(32)측 체결구멍(36) 등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도 결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 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로 경계석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또 다른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예의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앵커의 상세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예의 다른 실시 예의 설명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예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도로경계석
31: 고정홈
32: 반사판
33: 내벽
34: 앵커홈
35: 앵커
36: 체결구멍
37: 체결구
38: 벽면
39: 탄력작용공간
40: 몸체
41: 고정돌기
43: 체결홈
44: 반사면
45: 고무링
46: 실런트
47: 틈새
50: 핀조인트
51: 핀조인트홈
53: 팁
54: 너트
60: 체결부싱
61: 날개편
62: 핀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도로 경계석의 도로 방향의 벽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반사판을 설치하여 차량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도로 경계석 위치 확인과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로 경계석의 도로 방향의 벽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홈으로 파여져 형성된 반사판 고정홈과,
    상기 반사판 고정홈의 안쪽 내벽 상에 형성된 앵커홈과,
    상기 앵커홈에 고정 결합되는 앵커와,
    상기 앵커를 통하여 상기 고정홈을 중심으로 장착되고, 주행하는 차량의 광원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을 상기 앵커를 중심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사판에 형성되는 체결구멍과,
    외부에서 상기 반사판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통과시켜 상기 앵커에 체결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앵커는, 상기 앵커홈에 박힐 수 있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력작용공간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가 앵커홈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외부를 따라 돌출된 고정돌기와,
    상기 몸체를 따라 외부측 상기 체결구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체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의 선단부와 상기 반사판 사이에는 고무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고정홈에 결합되는 상기 반사판의 둘레면 결합 틈새 사이는 실리콘 실런트를 도포하여 상기 반사판 고정홈과 반사판 사이 틈새를 공간을 메워 상기 반사판 표면이 도로 경계석 벽면과 나란한 상태가 되도록 마감 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구조.
  6. 삭제
  7. 도로 경계석의 도로 방향의 벽면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에 외부에서 반사판을 설치하여 차량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도로 경계석 위치 확인과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로 경계석의 도로 방향의 벽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홈으로 파여져 형성된 반사판 고정홈과,
    상기 반사판 고정홈의 안쪽 내벽 상에 형성된 핀조인트홈과,
    상기 핀조인트홈에 고정 결합되는 핀조인트와,
    상기 핀조인트를 통하여 상기 고정홈을 중심으로 장착되고, 주행하는 차량의 광원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을 상기 핀조인트를 중심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사판에 형성되는 체결구멍과,
    상기 반사판의 체결구멍을 통과한 핀조인트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핀조인트홈에 상기 핀조인트를 안착시켜 빠지 않도록 결합하는 체결부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핀조인트는, 상기 도로 경계석에 형성된 핀조인트홈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선단부의 끝이 뾰족한 원추형 팁으로 형성되고, 그 타단은 반사판을 상기 핀조인트홈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하여 너트가 결합되는 나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싱은, 상기 핀조인트홈의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의 수축 변형이 가능한 다수 개의 날개편들을 구비하며, 상기 핀조인트의 선단부와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핀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반사판 설치 구조.
KR2020090010170U 2009-04-20 2009-08-04 도로 경계석의 반사판 설치 구조 KR2004474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170U KR200447417Y1 (ko) 2009-04-20 2009-08-04 도로 경계석의 반사판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294 2009-04-20
KR2020090010170U KR200447417Y1 (ko) 2009-04-20 2009-08-04 도로 경계석의 반사판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417Y1 true KR200447417Y1 (ko) 2010-01-25

Family

ID=4421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170U KR200447417Y1 (ko) 2009-04-20 2009-08-04 도로 경계석의 반사판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4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422B1 (ko) * 2012-08-16 2013-01-11 최학영 안전 유도 경계석
KR200491926Y1 (ko) * 2019-02-08 2020-07-02 김규환 도로 경계석 또는 옹벽의 반사판 설치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317A (ko) * 2000-11-30 2002-06-05 김동환 도로교통 안전 경계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200393619Y1 (ko) * 2005-05-25 2005-08-24 황주연 장식판이 구비된 도로경계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317A (ko) * 2000-11-30 2002-06-05 김동환 도로교통 안전 경계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200393619Y1 (ko) * 2005-05-25 2005-08-24 황주연 장식판이 구비된 도로경계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422B1 (ko) * 2012-08-16 2013-01-11 최학영 안전 유도 경계석
KR200491926Y1 (ko) * 2019-02-08 2020-07-02 김규환 도로 경계석 또는 옹벽의 반사판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245B1 (ko) 제거가 용이한 태양광 도로표지병
KR101906759B1 (ko) 자동차 도로용 차선 표지병
KR100908331B1 (ko)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47417Y1 (ko) 도로 경계석의 반사판 설치 구조
KR200304306Y1 (ko) 도로표지병
KR101008384B1 (ko) 도로 표지병
KR200491926Y1 (ko) 도로 경계석 또는 옹벽의 반사판 설치구조
KR100749364B1 (ko) 경계석
KR101202457B1 (ko) 표지병
KR200293183Y1 (ko) 도로용 오뚝이 표지병
KR101027802B1 (ko) 도로표지병
KR20020042317A (ko) 도로교통 안전 경계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200390643Y1 (ko) 볼트/너트 보호용 캡
KR200248484Y1 (ko) 타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도로경계석
KR200234515Y1 (ko) 도로표시용 표지판에 있어서 반사체의 착탈장치
KR100412952B1 (ko) 도로 표지병
KR200395641Y1 (ko) 중앙분리대 및 옹벽의 안전유도등
KR101607276B1 (ko) Led 모듈이 구비되는 도로용 경계석
KR20050033500A (ko) 제설용 도로표지병
KR102349642B1 (ko) 도로 표지병
JP2001064927A (ja) ガードパイプ用端部緩衝具
KR200398245Y1 (ko) 도로 표지병
KR200180323Y1 (ko) 도로 경계석용 표시판
JP3080392U (ja) 反射発光部材付きコンクリート用閉塞栓
KR200271330Y1 (ko) 표지병몸체가 삽입된 도로안전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