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217Y1 -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 Google Patents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217Y1
KR200447217Y1 KR2020090010608U KR20090010608U KR200447217Y1 KR 200447217 Y1 KR200447217 Y1 KR 200447217Y1 KR 2020090010608 U KR2020090010608 U KR 2020090010608U KR 20090010608 U KR20090010608 U KR 20090010608U KR 200447217 Y1 KR200447217 Y1 KR 2004472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saddle
handle
brak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주
Original Assignee
장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주 filed Critical 장현주
Priority to KR2020090010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2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2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2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16Arrangement of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가 좌회전, 우회전 및 정지시 뒤에서 자전거의 진행 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자전거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는,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연결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 전, 후에 형성된 앞,뒷바퀴와,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되, 상기 앞,뒷바퀴에 연결되어 상기 앞,뒷바퀴의 회동을 제어하는 브레이크레버와,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되어 신체의 엉덩이를 거치할 수 있는 안장이 구비된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에 고정형성되되, 상기 앞바퀴가 오른쪽, 왼쪽 방향으로 유동시 그 유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장은, 상기 감지센서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안장에 고정형성되어 점등되는 좌,우측등과, 상기 안장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좌,우측등과 감지센서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채로, 상기 안장의 상기 좌,우측등 사이에 고정형성된 브레이크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브레이크레버는, 상기 브레이크레버에 고정되되, 상기 브레이크레버의 유동에 의해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는, 제1단자를 포함 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되, 상기 제1단자에 연결 및 분리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장, 브레이크레버, 브레이크등, 손잡이, 좌,우측등, 제1,2단자, 연결스위치, 배터리, 개폐판, 앞,뒷바퀴, 감지센서

Description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BICYCLE WITH DIRECTIONAL LAMP}
본 고안은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가 좌회전, 우회전 및 정지시 뒤에서 자전거의 진행 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자전거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송수단 중의 하나인 자전거는 별도의 외부 동력원 없이 사용자가 페달을 회전시켜 체인으로 뒷바퀴에 회전력을 가하여 구동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승용수단이다.
근래에 들어와서 자전거는, 현대인의 운동기구로서의 사용뿐만 아니라 교통수단으로서의 사용을 하며, 운동이 필요한 사람들 그리고, 학생들이나 직장인들 사이에서 널리 보급 및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해, 개인의 집 주변이나 각 지역단체에서 마련된 지하철역 또는 버스정류장 그리고, 기타 공공장소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는 현대의 교통문제 및 환경오염을 해결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이동수단이라는 점에서 점차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으나, 자전거 전용도로 등 자전거를 안전하게 탈 수 있는 공간은 부족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자전거 이용자들은 자동차가 많이 다니는 도로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자전거는 진행방향을 예고하는 어떠한 장치도 없기 때문에, 인도의 보행자 및 도로의 자동차 운전자는,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예측한 상태로 보행 및 운행함으로 인해, 자전거가 급하게 진행방향 변경시 크고 작은 접촉 사고 또는, 대형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자전거 운전자는 진행 방향을 예고하기 위해 손과 팔을 사용하여, 뒤에 오는 보행자 및 차량운전자에게 진행 방향을 예고하였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자전거의 손잡이에서 손을 떼고 수신호를 해야하기 때문에, 자전거가 균형을 잃고 위험한 상황에 처해 지는 경우가 발생 되었다.
특히, 가시거리가 미미한 자전거의 야간 운행시에는 수신호조차 확인이 곤란하기 때문에, 봉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 점등되는 등이 구비된 전자봉을 사용하여, 자전거에 접근하는 보행자 및 차량운전자에게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예고하였지만,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자전거가 균형을 잃고 위험한 상황에 처해 지는 경우가 발생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제1목적은, 자전거에 자전거의 진행 방향을 예고하는 등을 구비하여 인도 및 도로에서 자전거를 운행시, 보행자 및 자동차 운전자에게 간편하게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예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2목적은, 자전거 운전자가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보행자 및 자동차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자전거의 손잡이에서 한쪽 손을 떼는 등의 위험한 상황을 연출하지 않으면서도, 보행자 및 자동차 운전자에게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자전거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제3목적은, 보행자와, 자동차 운전자 및 자전거 운전자의 가시거리가 낮은 야간에, 자전거 운전자가 자전거 운행을 함에 있어, 자전거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보행자 및 자동차 운전자가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확연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자전거 운전자가 야간 시에도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그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는,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연결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 전, 후에 형성된 앞,뒷바퀴와,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되, 상기 앞,뒷바퀴에 연결되어 상기 앞,뒷바퀴의 회동을 제어하는 브레이크레버와,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되어 신체의 엉덩이를 거치할 수 있는 안장이 구비된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에 고정형성되되, 상기 앞바퀴가 오른쪽, 왼쪽 방향으로 유동시 그 유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장은, 상기 감지센서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안장에 고정형성되어 점등되는 좌,우측등과, 상기 안장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좌,우측등과 감지센서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채로, 상기 안장의 상기 좌,우측등 사이에 고정형성된 브레이크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앞바퀴가 전방 0°를 기준으로 좌측 -15 ° 또는 우측 15°이상 기울어 질경우, 상기 좌측등 또는 우측등에 전기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되며, 상기 브레이크레버는, 상기 브레이크레버에 고정되되, 상기 브레이크레버의 유동에 의해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는, 제1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되, 상기 제1단자에 연결 및 분리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브레이크등은, 상기 브레이크레버의 유동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레버에 구비된 상기 제1단자가 상기 손잡이의 제2단자에 연결 및 분리되어 켜짐과 꺼짐을 반복한다.
또한, 상기 안장(160)은, 상기 배터리(23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162)와, 상기 배터리(230)가 수납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안장(160) 상부에 형성된 되어 개폐되는 개폐판(16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110, 120)는, 상기 손잡이(110, 120)에 고정형성된 채로, 상기 좌,우측등(210, 220)과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등(210, 220)이 점등 되도록 연결 및 분리하는 연결스위치(115, 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효과는, 자전거 운행자가 간편하게 보행자 및 자동차 운전자에게 자전거 진행방향을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자전거 운행을 할 수 있고, 또한 자전거 운행을 즐길 수 있는 그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제2효과는, 자전거 운전자가 간편한 조작을 통해 자전거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보행자 및 자동차 운전자에게, 자전거의 진행 방향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신체의 일부를 사용하지 않고, 손잡이에서 손을 떼는 등의 위험한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운행을 할 수 있는 그 사용상의 다른 효과가 있다.
제3효과는, 가시거리가 확보되지 않는 야간에 자전거를 운행시에도, 자전거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보행자 및 자동차 운전자가,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확연히 인지 할 수 있어, 야간시간에도 안전하게 자전거 운행을 즐길 수 있는 그 사용상의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의 다른 요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러한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는 자전거 운전자가 뒤따라 오는 차량 운전자에게 자전거 운전자의 진행 방향을 사전에 예고함으로써, 안전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는, 다수개의 프레임이 연결 형성된 몸체(100)를 갖고, 상기 몸체(100) 중앙 상부에는 신체의 엉덩이를 거치할 수 있는 안장(160)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 하부의 선단과 말단에는 상기 몸체(100)를 지지하는 앞바퀴(130)와 뒷바퀴(140)가 형성되고, 상기 앞바퀴(130)가 형성된 몸체(100)의 선단 상부에는, 사용자의 왼손과 오른손으로 파지한 채로, 상기 앞바퀴(13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손잡이(110, 120)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110, 120)에는, 상기 앞,뒤바퀴(130, 140)의 회동을 제어하 는 브레이크레버(150, 155)가 구비된다.
이어서,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몸체(100)에 고정형성되되, 상기 앞바퀴(130)가 오른쪽, 왼쪽 방향으로 유동시 그 유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안장(160)은, 상기 감지센서(200)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안장(160)에 고정형성되어 점등되는 좌,우측등(210, 220)과, 상기 안장(160)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좌,우측등(210, 220)과 감지센서(200)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230)와, 상기 배터리(230)와 연결된 채로, 상기 안장(160)의 상기 좌,우측등(210, 220) 사이에 고정형성된 브레이크등(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200)는, 상기 안장(160)의 좌,우측등(210, 220)과 연결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감지센서(200)는, 상기 앞바퀴(130)가 전방 0°를 기준으로 좌측 -15 ° 또는 우측 15°이상 기울어 질경우, 상기 좌측등(210) 또는 우측등(220)에 전기신호를 보낸다.
이렇게 상기 감지센서(200)가 상기 좌,우측등(210, 220)에 전기신호를 보내게 되면, 상기 좌,우측등(210, 220)은, 점등되거나 지속적으로 불빛을 발산하게 되어,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좌,우측등(210, 220)은, 빛이 화살표의 형상으로 발산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상기 좌,우측등(210, 220)을 더욱 확연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는,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에 고 정되되,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의 유동에 의해 상기 손잡이(110, 120)와 연결되는, 제1단자(250, 25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110, 120)는, 상기 손잡이(110, 120)에 고정되되, 상기 제1단자(250, 250')에 연결 및 분리되는 제2단자(260, 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는, 공기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앞,뒷바퀴(130, 140)를 멈추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를 회동하여 상기 앞,뒷바퀴(130, 140)의 회동을 멈추도록 하는데, 사용자의 손으로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가 회동 되도록 한 후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를 놓게 되면,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는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는 것은 주지된 기술이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등(240)은, 사용자가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가 유동 되도록 하여,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에 구비된 상기 제1단자(250, 250')가 상기 손잡이(110, 120)의 제2단자(260, 260')에 연결 및 분리되어 켜지거나 꺼질 수 있도록 하여,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브레이크등(240)은, 한글로 '정지' 또는 영문의 'STOP'으로 불빛이 표시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더욱 상기 브레이크등(240)을 더욱 확연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장(160)은, 상기 배터리(23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162)와, 상기 배터리(230)가 수납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안장(160) 상부에 형성된 되어 개폐되는 개폐판(16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안장(160) 내부의 수용부(162)에 상기 배터리(230)를 수납한 채로, 상기 좌,우측등(210, 220)과 브레이크등(240) 및 감지센서(200)가 동작 되도록 전류를 제공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배터리(230)가 소진되면, 상기 안장(160)의 개폐판(165)을 개구하여 상기 배터리(230)를 용이하게 교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110, 120)는, 상기 손잡이(110, 120)에 고정형성된 채로, 상기 좌,우측등(210, 220)과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등(210, 220)이 점등 되도록 연결 및 분리하는 연결스위치(115, 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이러한 연결스위치(115, 125)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가고자 하는 방향을 외부의 사람 또는 자동차 운전자에게 사전에 제공함으로써,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안전한 자전거 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스위치(115, 125)는, 상기 연결스위치(115, 125)를 유동하여 상기 좌,우측등(210, 220)에 전기신호를 보내 상기 좌,우측등(210, 220)이 점등 또는 불빛이 켜진 상태로 지속 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연결스위치(115, 125)를 버튼방식으로 눌러 상기 좌,우측등(210, 220)에 전기신호를 보내 상기 좌,우측등(210, 220)이 점등 또는 불빛이 켜진 상태로 지속 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품의 제작시, 상기 안장(160)과 분리된 채로, 상기 안장(160)의 하부에 별도로 형성되되,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고, 외부에 상기 좌,우측등(210, 220) 및 브레이크등(240)을 구비할 수 있는 수용체(미도시)를 마련하여, 상기 배터 리(230)와, 상기 좌,우측등(210, 220) 및 브레이크등(240)이 연결되도록 하고, 이때, 상기 안장(160)은, 사용자가 엉덩이를 거치할 수 있는 본연의 기능만을 확실히 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브레이크등(240)와 배터리(230), 감지센서(200), 좌,우측등(210, 220)을 상호 연결하는 전선(미도시)은, 상기 몸체(100)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어 상호 전기신호를 받게 된다.
(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상기 안장(160)의 개폐판(165)을 개구하여 상기 배터리(230)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230)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상기 감지센서(200)와, 좌,우측등(210, 220)과, 브레이크등(240)에서 받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몸체(100)의 상기 앞,뒷바퀴(130, 140)를 유동하기 위해 상기 몸체(100)에 구비된 페달(30)을 사용자의 발로 회동시키게 된다.
도 3을 살펴보면, 자전거 도로 또는 인도 등을 주행하는 자전거가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상기 손잡이(110, 120)가 유동 되도록 하여, 상기 앞,뒷바퀴(130, 140)의 진행 방향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앞,뒷바퀴(130, 14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진행방향을 변경시, 상기 몸체(100)에 구비된 상기 감지센서(200)가 상기 앞바퀴(130)를 감지하게 되는데, 상세하게는, 상기 앞바퀴(1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15°이상 기울어 지 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200)는 상기 앞바퀴(130)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좌,우측등(210, 220)으로 전기신호를 보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등(210, 220)이 전기신호를 받게 되면, 램프가 발광 되어, 자전거를 뒤따르며 운행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운전자는 자전거의 진행 경로를 예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200)와는 별도로 상기 손잡이(110, 120)에 형성된 연결스위치(115, 125) 역시 상기 좌,우측등(210, 220)에 연결형성되어, 자전거 운전자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방향을 전환시, 상기 연결스위치(115, 125)를 조작하여 상기 좌,우측등(210, 220)이 점등되거나, 불이 켜진 상태로 지속 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연결스위치(115, 125)는, 사용자의 손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좌측으로 자전거를 주행 예정시 상기 연결스위치(125)를 조작하여, 상기 좌측등(210)에 불이 켜지도록 하고, 사용자가 우측으로 주행 예정시 상기 연결스위치(115)를 조작하여, 상기 우측등(220)에 불이 켜지도록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좌,우측등(210, 220)은, 상기 감지센서(200)에 의해 상기 앞바퀴(130)의 좌측 또는 우측 기울기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 또는 지속적으로 불이 들어오게 되고, 사용자가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암시하기 위해, 상기 연결스위치(115, 125)를 조작하여 상기 좌,우측등(210, 220)이 점등 또는 지속적으로 불이 들어오도록 한다.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는, 상기 제1단자(250, 250')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110, 120)에 구비된 상기 제2단자(260, 260')와 연결 및 분리된다.
이어서,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는, 회동 되면서 상기 앞,뒷바퀴(130, 140)의 회동을 멈춰 자전거가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의 상기 제1단자(250, 250')와 상기 제2단자(260, 260')이 상호 연결되면, 상기 제2단자(260, 260')와 연결형성된 상기 브레이크등(240)은 켜지게 되고, 상기 제1단자(250, 250')와 상기 제2단자(260, 260')이 상호 이격 되면, 상기 브레이크등(240)은 꺼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등(240)이 전기신호를 받게 되면, 램프가 발광 되어, 자전거를 뒤따르며 운행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운전자는 자전거의 진행과 멈춤을 사전에 인지하여 예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감지센서(200)와, 좌,우측등(210, 220) 및 브레이크등(240)에 의해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외부의 보행자 및 차량 운전자 등이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의 다른 요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페달
100 : 몸체 110, 120 : 손잡이
115, 125 : 연결스위치
130, 140 : 앞,뒷바퀴 150, 155 : 브레이크레버
160 : 안장 162 : 수용부
165 : 개폐판
200 : 감지센서 210, 220 : 좌,우측등
230 : 배터리 240 : 브레이크등
250, 250' : 제1단자 260, 260' : 제2단자

Claims (5)

  1.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0, 120)와, 상기 손잡이(110, 120)와 연결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 하부 전, 후에 형성된 앞,뒷바퀴(130, 140)와, 상기 손잡이(110, 120)에 구비되되, 상기 앞,뒷바퀴(130, 140)에 연결되어 상기 앞,뒷바퀴(130, 140)의 회동을 제어하는 브레이크레버(150, 155)와, 상기 몸체(100) 상부에 형성되어 신체의 엉덩이를 거치할 수 있는 안장(160)이 구비된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몸체(100)에 고정형성되되, 상기 앞바퀴(130)가 오른쪽, 왼쪽 방향으로 유동시 그 유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장(160)은,
    상기 감지센서(200)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안장(160)에 고정형성되어 점등되는 좌,우측등(210, 220)과;
    상기 안장(160)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좌,우측등(210, 220)과 감지센서(200)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230)와;
    상기 배터리(230)와 연결된 채로, 상기 안장(160)의 상기 좌,우측등(210, 220) 사이에 고정형성된 브레이크등(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200)는,
    상기 앞바퀴(130)가 전방 0°를 기준으로 좌측 -15 ° 또는 우측 15°이상 기울어 질경우, 상기 좌측등(210) 또는 우측등(220)에 전기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는,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에 고정되되,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의 유동에 의해 상기 손잡이(110, 120)와 연결되는, 제1단자(250, 25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110, 120)는,
    상기 손잡이(110, 120)에 고정되되, 상기 제1단자(250, 250')에 연결 및 분리되는 제2단자(260, 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브레이크등(240)은,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의 유동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레버(150, 155)에 구비된 상기 제1단자(250, 250')가 상기 손잡이(110, 120)의 제2단자(260, 260')에 연결 및 분리되어 켜짐과 꺼짐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160)은,
    상기 배터리(23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162)와, 상기 배터리(230)가 수납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안장(160) 상부에 형성된 되어 개폐되는 개폐판(16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0, 120)는,
    상기 손잡이(110, 120)에 고정형성된 채로, 상기 좌,우측등(210, 220)과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등(210, 220)이 점등 되도록 연결 및 분리하는 연결스위치(115, 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KR2020090010608U 2009-08-14 2009-08-14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KR2004472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08U KR200447217Y1 (ko) 2009-08-14 2009-08-14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08U KR200447217Y1 (ko) 2009-08-14 2009-08-14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217Y1 true KR200447217Y1 (ko) 2010-01-06

Family

ID=4421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608U KR200447217Y1 (ko) 2009-08-14 2009-08-14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21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313B1 (ko) * 2011-03-22 2012-11-21 박준현 자전거 운행 표시기
KR101240614B1 (ko) * 2010-06-14 2013-03-06 진홍규 유도등이 부착된 자전거
KR101251399B1 (ko) * 2010-07-15 2013-04-10 홍선우 페달부를 이용한 자전거용 방향지시장치
KR20190007663A (ko) 2017-07-13 2019-01-23 송재하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
IT202200002771A1 (it) * 2022-02-15 2023-08-15 Dieter Asam Seduta per biciclet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874U (ko) * 1998-10-28 2000-05-25 이건령 자전거 안전 주행장치
JP2004331040A (ja) 2003-05-07 2004-11-25 Taguchi Enterp:Kk 歩行三輪車
JP2005125863A (ja) 2003-10-22 2005-05-19 T S Tec Kk 移動体用座席
KR100910402B1 (ko) 2009-04-24 2009-08-04 엄경희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874U (ko) * 1998-10-28 2000-05-25 이건령 자전거 안전 주행장치
JP2004331040A (ja) 2003-05-07 2004-11-25 Taguchi Enterp:Kk 歩行三輪車
JP2005125863A (ja) 2003-10-22 2005-05-19 T S Tec Kk 移動体用座席
KR100910402B1 (ko) 2009-04-24 2009-08-04 엄경희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614B1 (ko) * 2010-06-14 2013-03-06 진홍규 유도등이 부착된 자전거
KR101251399B1 (ko) * 2010-07-15 2013-04-10 홍선우 페달부를 이용한 자전거용 방향지시장치
KR101203313B1 (ko) * 2011-03-22 2012-11-21 박준현 자전거 운행 표시기
KR20190007663A (ko) 2017-07-13 2019-01-23 송재하 이륜차량의 차선변경 시 안전장치
IT202200002771A1 (it) * 2022-02-15 2023-08-15 Dieter Asam Seduta per biciclet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217Y1 (ko)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US20210129932A1 (en) Safety light
KR20160106852A (ko) 자전거 사고 방지를 위한 능동형 안전 시스템
KR101413145B1 (ko)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
CN205737825U (zh) 一种自行车智能安全娱乐行驶灯及自行车
CN202664309U (zh) 一种带信号灯的上衣
KR20080000890U (ko) 자가발전기 및 방향표시등이 부착된 자전거
CN106043519A (zh) 一种自行车智能安全娱乐行驶灯及自行车
KR101363706B1 (ko) 주행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레저 장비용 헬멧 장치
CN207697901U (zh) 一种自行车及自行车骑行信号指示装置
EP2813396A2 (en) Vehicle light system
KR20110000511U (ko) 자전거 안전장치
CN205853993U (zh) 一种代步工具用转向灯的自动控制系统
CN215475495U (zh) 一种把式车辆
KR20120002512U (ko) 자전거용 방향 표시장치
TWM525892U (zh) 腳踏車輔助系統
KR101574479B1 (ko) 자동차 방향 안내용 자켓
CN204070997U (zh) 安全骑行包
JP7410595B2 (ja) 移動体、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3099484U (ja) 着脱式自転車方向指示装置
US11691562B2 (en) Safety light
CN2749753Y (zh) 带转向灯的自行车
CN219215289U (zh) 滑板车刹车结构及电动滑板车
JP3222819U (ja) 方向指示機付き自転車
AU2014100119A4 (en) Direction indicating cycling glo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