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145B1 -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145B1
KR101413145B1 KR1020130072076A KR20130072076A KR101413145B1 KR 101413145 B1 KR101413145 B1 KR 101413145B1 KR 1020130072076 A KR1020130072076 A KR 1020130072076A KR 20130072076 A KR20130072076 A KR 20130072076A KR 101413145 B1 KR101413145 B1 KR 101413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amp
unit
detachable
tur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춘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Priority to KR1020130072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수단에 있어서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면서 방향의 전환의 표시가 가능한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은, 외형을 형성하며 이송수단에 체결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지시부와 제동을 표시하는 후미등부를 포함하는 램프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충전기 및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충전기로부터 외부장치에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을 제공한다. 따라서, 휴대가 용이하며 운행중에 다양한 용도로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DETACHABLE TURN INDICATOR AND TURN INDICATING SYSTEM}
본 발명은 방향지시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송수단에 있어서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면서 방향의 전환의 표시가 가능한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의 입출력 기능 및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람의 힘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주행하는 중,단거리 이동수단으로서, 놀이기구나 레저 스포츠용품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고유가 시대에 발맞추어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교통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자동차 및 오토바이의 보급이 증가되면서 교통체증이 빈번해지고, 주차난이 심각하여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전거의 이용이 점점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자전거 이용이 증가됨에 따라 자전거 전용도로 또한 확장되고 있으나 차량 도로의 일정 구간에만 자전거 전용도로가 마련되어 있어, 불가피하게 자전거 운전자가 차량도로로 운전하는 경우가 많았다.
차량도로로 자전거를 운전할 경우에는 자전거의 주행에 따른 운전자의 방향전환과 같은 의사표시를 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없기 때문에 사고의 위험이 따르고 있으며, 차량운전자가 자전거를 쉽게 식별할 수 없어, 이로 인해 충돌에 의한 물적, 인적손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전거에 램프를 부착하거나, 운전방향을 표시하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전거용 방향지시등으로서 한국공개특허 10-2005-0052068에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전거용 방향지시등은 자전거의 안장 하측에 마련되며 발광다이오드의 점멸로 표시되는 화살표로 자전거의 운전방향을 나타낸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방향지시등은 탈부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단순히 방향을 지시하거나 점멸을 하는 데 그치므로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탈부착이 용이하면서도 방향지시등의 기능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외부의 배터리와 전력의 교환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전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은, 외형을 형성하며 이송수단에 체결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지시부와 제동을 표시하는 후미등부를 포함하는 램프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충전기 및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충전기로부터 외부장치에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을 제공한다. 따라서, 휴대가 용이하며 운행중에 다양한 용도로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은, 상기 충전단자가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USB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이용자 단말기의 충전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은, 상기 바디부의 전방측에 결합되고, 이송수단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바디부에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수단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및 지시방향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은, 상기 바디부가 전동휠체어의 후방측에 결합되며, 상기 방향지시부는 전동휠체어의 컨트롤러에 구비되는 레버의 좌우 틸팅동작에 따라 좌우방향의 지시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은, 전동휠체어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배터리의 방전여부를 검출하는 배터리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한 이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방향지시시스템은, 램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램프제어부,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통신부, 외부장치에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및 이송수단에 배치되는 배터리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여 방전여부를 감지하는 배터리검출부를 포함하는 방향지시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검출부는, 배터리의 방전을 감지하면 이송수단의 제동부를 작동하여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은 방전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은, 쉽게 이송수단에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다양한 이송수단에서 소정의 주행정보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행 중에 외부의 장치의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지시시스템은 효과적으로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고, 배터리를 모니터링하여 방전의 시기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며, 방전시 안전사고의 위험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후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의 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이 자전거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이 전동휠체어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지시시스템의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은 기본적으로 자전거에 결합되는 예를 주로 설명하나 후술될 바와 같이 전동휠체어 등 사람이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이송수단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후면측에 배치되어 발광하는 램프부(120)와, 상기 바디부(110)의 외면에 형성되고 외부 장치로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단자(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내부에 충전기(미도시) 및 PCB 등 다양한 부재를 수용할 수 있고,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10)의 재질은 생산공정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주로 외부에 배치되는 특성상 어느 정도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을 밀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부(110)는 후술될 바와 같이 브레이크의 제동시 제동여부를 표시하는 램프와 좌우 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램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양측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미관 및 파지의 기능을 고려하여 상면의 중심측이 하방으로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램프부(120)는 다양한 조명장치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전력의 소모를 고려하여 LED램프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램프부(120)는 후미등부(121)와, 방향지시부(122)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후미등부(121)와 방향지시부(122)는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구분될 수도 있지만 어느 하나의 LED램프가 점멸되는 방식이나 색상을 통하여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램프부(120)의 작동과 관련하여서는 도 2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바디부(110)는 외면에 외부의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충전단자(14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최근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장치들이 USB포트에 연결될 수 있는 구조 또는 케이블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USB포트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단자(140)는 바디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충전기(미도시)에 연결되어 이동간에 외부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방향지시등(100)이 전기자전거나 전동휠체어와 같이 배터리(도 5의 320)를 구비하는 이송수단에 결합되는 경우 바디부(110)의 내부에 충전기가 생략될 수도 있고, 상기 충전단자(140)는 이송수단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력을 외부 장치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외부의 전력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입력단자(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입력단자(130)는 바디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충전기를 가정용 전원으로 충전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수단의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충전단자(1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이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케이블 연결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상기 충전단자(140)는 바디부(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의 후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디부(110)의 후면에는 복수의 램프가 배열되어 램프부(120)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램프부(120)는 후미등부(121)와 방향지시부(122)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사항과 같이 방향지시부(122)는 램프부(120)의 양측에 배열되어 좌우방향의 이동을 표시할 수 있고 점멸되는 방식으로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후미등부(121)는 이송수단의 브레이크수단과 연동되어 제동상태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램프부(120)의 작동은 소정의 컨트롤러(도 5의 21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작동 가능한 범위에 배치되어 이동간에 필요에 따라 방향지시부(122)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컨트롤러와 방향지시등의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방향지시등(100)은 블루투스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지시등(100)이 블루투스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모듈은 컨트롤러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면서 램프부(120) 등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램프부(120)의 작동은 이송수단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스위치와 연동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방향지시등(100)의 내부에 가속도센서가 결합되고 감속시에 자동적으로 방향지시부(122)가 작동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브레이크 계통과 연결되지 않아 구조적으로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후미등부(121)와 방향지시부(122)는 도시사항과 같이 배열상태에 의하여 구분될 수도 있지만, 램프의 색상 또는 점멸방식에 의하여 구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동시에 램프부(120)를 이루는 램프들이 전체적으로 붉은 색으로 점멸되고, 왼쪽 방향의 방향전환의 제어신호 입력시에는 좌측에 배치되는 일부 램프가 다른 색상 또는 다른 방식의 점멸이 이루어지는 형식을 통하여 작동상태가 구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의 평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디부(110)의 상면에는 소정의 장치들과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입력단자(130)와 충전단자(140)가 배열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통신단자(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단자(150)는 램프부(120)의 작동과 같은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의 다양한 작동을 제어하거나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을 입력하는 통신라인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은 전방측에 이송수단의 소정의 부위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17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도 3의 도시사항에서는 자전거에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170)를 도시한다.
자전거의 안장 하측의 프레임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170)는 내주측에 프레임이 배치되어 후방 단부측에서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후방측이 개방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체결부(170)는 이송수단에 결합되고, 바디부(110)는 상기 체결부(170)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송수단의 정차 또는 주차시에 방향지시등(100)을 탈거하여 휴대할 수 있고, 이러한 방향지시등(100)는 경우에 따라 휴대용 랜턴으로 기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의 예에서는 체결부(170)가 방향지시등(100)을 위치고정한 상태로 체결하는 예를 도시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 이송수단에의 결합부위가 변경될 수 있고, 시인성의 향상을 위하여 지시방향의 가변이 필요한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170)가 방향지시등(100)의 전방측과 결합되는 체결부재(171)와, 상기 체결부재(17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송수단에 체결되는 고정부(1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부는 체결부재(171)와 고정부(174)의 사이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함으로써 방향지시등(100)의 이송수단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와 지시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때, 상기 회동부위의 상태유지를 위하여 회동 저항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핀부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핀부는, 링크부가 다른 체결부재(171) 및/또는 고정부(174)와의 연결부위에서 소정의 유격을 가진 상태로 결합되면 나삽되는 정도를 나삽되는 정도를 조정하여 유격의 정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복수로서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방향지시등(100)의 위치 및 지시방향의 조정을 위한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사항과 같이 체결부(170)는, 체결부재(17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링크부(172)와, 상기 제1링크부(172)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링크부(173)와, 상기 제2링크부(173)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1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172)와 제2링크부(173)는 상하 또는 좌우로 상호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171)와 제1링크부(172)의 사이의 회동방향과 제1링크부(172)와 제2링크부(173)의 회동방향은 상호 수직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링크부(172)와 체결부재(171)의 연결부위에는 유격 간격의 조절을 위한 제1핀부(175)가 배치되고, 제1링크부(172)와 제2링크부(173)의 사이에는 마찬가지로 유격 간격의 조절을 위한 제2핀부(176)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171)와 방향지시등(100)의 후면측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예에서는 체결부재(171)의 후방측에 소정의 돌기(참조번호 미표시)가 형성되고 방향지시등(100)의 전면에 이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호 슬라이딩 되는 방식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상기 돌기가 양측으로 두 개가 배열되고 상하방향으로 홈에 삽입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고정부(174)가 봉 형상의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도록 대략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예가 도시되나, 이러한 고정부(174)의 형상은 다양한 향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이 자전거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다.
자전거의 후방측에 방향지시등(100)이 체결부(170)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러한 방향지시등(100)은 자전거의 운행시에 좌우방향의 이동의 표시를 가능하도록 한다. 후방측에서 운행하는 운행자나 보행자는 시각적으로 이러한 표시를 인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전거(200)의 핸들부에는 컨트롤러(210)가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컨트롤러(210)에 배치되는 소정의 버튼을 조정하여 방향의 지시를 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레버와 연동되어 후미등부(121)가 작동될 수 있고, 이러한 후미등부(121)의 작동은 가속도센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210)와 방향지시등(100)의 연결은 소정의 배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이 전동휠체어와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다.
전동휠체어(300)는 소정의 착좌부위와, 손이 배치되는 위치의 컨트롤러(210) 및 배터리(320)에 의하여 구동되는 복수의 휠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지시등(100)은 착좌부위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소정의 운행상태를 후방측에 표시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과 관련하여 상기 사항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방향지시등(100)의 조작은 전동휠체어(300)에 기 배치되는 컨트롤러(21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다만 방향지시등(100)의 조작을 위한 컨트롤러가 별도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반적으로 전동휠체어(300)의 이동은 소정의 레버에 의하여 조종될 수 있는데, 전동휠체어(300)에 배치되는 컨트롤러(210)에 의하여 방향지시등(100)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러한 레버의 좌우방향의 틸팅을 감지하여 방향지시등(100)이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의 작동 계통과 관련하여서는 도 7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향지시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방향지시시스템(1000)은 기본적으로, 조작이 가능한 컨트롤러(2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통신부(1100)와, 외부장치로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1200)와, 램프부(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램프제어부(1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전부(1200)는 방향지시등(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충전기의 전력을 외부로 공급하도록 충전단자(140)로 출력하게 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전기자전거나 전동휠체어의 배터리(320)의 전력을 입력받아 충전단자(140)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터리(320)의 전력을 조정하여 이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절한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향지시시스템(1000)은 이송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이송수단(400)은 기본적으로 구동동력원이 되는 배터리(320)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방향지시시스템(1000)은 배터리검출부(14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배터리검출부(1400)는 배터리(320)의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예를 들어, 바디부(110)에 구비되는 입력단자(130)에 배터리(320)가 연결되고, 배터리검출부(1400)는 배터리(32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32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인 값은 배터리(320)의 충전용량에 따라 가변됨에 착안하여,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이를 소정의 경보신호로서 출력하여 방전을 사용자에게 경고하게 된다.
그런데,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작동되는 이송수단(400)의 경우 배터리(320)의 방전으로 인하여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전동휠체어(300)의 경우 오르막길에서 방전이 이루어져 뜻하지 않게 밀림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은 이를 방지하는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방향지시시스템(1000)은 제동부(420)와 연결되어 배터리검출부(1400)에 의하여 감지되는 배터리(320)의 방전시 제동부(420)를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다양한 이송수단(400)의 방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불의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은, 쉽게 이송수단에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다양한 이송수단에서 소정의 주행정보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행 중에 외부의 장치의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지시시스템은 효과적으로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고, 배터리를 모니터링하여 방전의 시기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며, 방전시 안전사고의 위험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방향지시등 110...바디부
120...램프부 121...후미등부
122...방향지시부 130...입력단자
140...충전단자 150...통신단자
160...연결부 170...체결부
171...체결부재 172...제1링크부
173...제2링크부 174...고정부
175...제1핀부 176...제2핀부
200...자전거 210...컨트롤러
300...전동휠체어 310...컨트롤러
320...배터리 1000...방향지시시스템
1100...통신부 1200...충전부
1300...램프제어부 1400...배터리검출부
400...이송수단 410...배터리
420...제동부

Claims (7)

  1. 외형을 형성하며 이송수단에 체결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지시부와 제동을 표시하는 후미등부를 포함하는 램프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충전기;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충전기로부터 외부장치에 충전전력을 공급하도록 USB포트로 이루어지는 충전단자;
    이송수단에 배치되는 배터리의 전력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단자;
    이송수단에 배치되는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설정된 값 이하로 검출되는 경우 방전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경보하며 배터리의 방전을 감지하면 이송수단의 제동부를 작동하여 밀림을 방지하는 배터리 검출부; 및
    상기 바디부에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송수단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송수단에 체결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전동휠체어의 후방측에 결합되며,
    상기 방향지시부는, 전동휠체어의 컨트롤러에 구비되는 레버의 좌우 틸팅동작에 따라 좌우방향의 지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072076A 2013-06-24 2013-06-24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 KR101413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076A KR101413145B1 (ko) 2013-06-24 2013-06-24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076A KR101413145B1 (ko) 2013-06-24 2013-06-24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145B1 true KR101413145B1 (ko) 2014-06-26

Family

ID=5113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076A KR101413145B1 (ko) 2013-06-24 2013-06-24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1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458B1 (ko) * 2015-02-17 2015-07-09 창녕군 트렉터용 작업기에 탈.부착되는 작업모듈
KR20180095745A (ko) * 2017-02-17 2018-08-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KR20210095377A (ko) * 2020-01-23 2021-08-02 김주태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KR20220160237A (ko) 2021-05-27 2022-12-06 서영춘 농기계용 방향지시등
WO2023218365A1 (en) * 2022-05-11 2023-11-16 Mach 1 Srl Backpack with indicator ligh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4501A (ja) * 1997-01-31 1998-08-11 Yamaha Motor Co Ltd 電池式ランプ装置
KR20050052068A (ko) * 2003-11-29 2005-06-02 오홍근 자전거용 안전 장치
JP3176858U (ja) * 2012-04-26 2012-07-05 株式会社ミナミ 車両取付型照明兼充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4501A (ja) * 1997-01-31 1998-08-11 Yamaha Motor Co Ltd 電池式ランプ装置
KR20050052068A (ko) * 2003-11-29 2005-06-02 오홍근 자전거용 안전 장치
JP3176858U (ja) * 2012-04-26 2012-07-05 株式会社ミナミ 車両取付型照明兼充電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458B1 (ko) * 2015-02-17 2015-07-09 창녕군 트렉터용 작업기에 탈.부착되는 작업모듈
KR20180095745A (ko) * 2017-02-17 2018-08-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KR101894526B1 (ko) * 2017-02-17 2018-09-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KR20210095377A (ko) * 2020-01-23 2021-08-02 김주태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KR102303061B1 (ko) * 2020-01-23 2021-09-15 김주태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KR20220160237A (ko) 2021-05-27 2022-12-06 서영춘 농기계용 방향지시등
WO2023218365A1 (en) * 2022-05-11 2023-11-16 Mach 1 Srl Backpack with indicator ligh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402B1 (ko)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KR101413145B1 (ko)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
US11014623B2 (en) Intelligent headlight system for bicycle
US8803674B2 (en) Turn signal indicator system for bicycles
CN104512502A (zh) 用重心控制方向的无把手双轮自平衡电动车及其控制方法
US20160091188A1 (en) Helmet and a lighting system for a helmet
US11903429B2 (en) Turn direction indicator garment
KR101748804B1 (ko) 자전거 사고 방지를 위한 능동형 안전 시스템
CA2811721A1 (en) Bicycle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204969665U (zh) 一种自行车警示头盔
KR20180008012A (ko)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엘이디 경보등이 구성된 안전 헬멧
KR101262926B1 (ko) 장갑과 가방의 연동형 방향표시장치
KR101101584B1 (ko) 자전거의 지시등 제어장치
KR20170106014A (ko) 발광 표시 장치 및 스마트 발광 표시 시스템
CN207075634U (zh) 一种带转向指示灯的安全头盔
KR101069940B1 (ko)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KR20120093640A (ko) 자전거 운전자용 입는 안전장치
KR20080006415U (ko) 안전조끼
KR101251399B1 (ko) 페달부를 이용한 자전거용 방향지시장치
AU2015100434A4 (en) SmartSafe V2.0 Remote Intelligent Bike Safety Helmet
TWM525892U (zh) 腳踏車輔助系統
CN209972646U (zh) 一种重力感应转向灯装置
US20240065349A1 (en) Turn Direction Indicator Garment
US11691562B2 (en) Safety light
CN210642719U (zh) 一种带刹车和转向指示的安全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