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526B1 -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526B1
KR101894526B1 KR1020170021335A KR20170021335A KR101894526B1 KR 101894526 B1 KR101894526 B1 KR 101894526B1 KR 1020170021335 A KR1020170021335 A KR 1020170021335A KR 20170021335 A KR20170021335 A KR 20170021335A KR 101894526 B1 KR101894526 B1 KR 101894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smartphone
indicator
control signal
direction ind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745A (ko
Inventor
김동성
이재민
김준혁
이하연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5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5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2J6/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B62J6/055Electrical means, e.g. lamps
    • B62J6/056Electrical means, e.g. lamps characterised by control means
    • B62J6/057Automatic activation, e.g. by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16Arrangement of switches
    • B62J6/165Wireless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62J2006/006
    • B62J2006/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은, 내장된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한 3차원 공간의 방향변화를 전달받아 방향변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 및 인체 또는 소지품에 탈부착 할 수 있는 탈부착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무선통신방식으로 송신되는 방향지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향지시 제어신호의 제어에 따라 이동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등을 점멸하는 방향 지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Direction indicator system for detachable type bicycle using acceleration sensor of smartphone}
본 발명은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센서를 이용한 방향 지시등의 경우, 자전거 핸들 부분에 방향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장치를 장착하고, 센서의 신호를 핸들에 부착된 방향 지시등으로 전달하여 상황에 맞는 방향정보를 후방의 사람들(자동차 운전자 등)에게 알려주었다.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52246호는,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방향 지시등을 핸들에 삽입해 장착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향 지시등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문헌에서는 핸들(72)의 손잡이(71) 부분에 발광모듈(30)이 부착되고, 발광모듈(30)의 발광에 의해 방향을 지시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의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방향을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자전거의 탑승자 몸에 의해 핸들 부분이 가리게 되므로, 좌측 후방에 있는 차량 운전자의 경우 오른쪽 방향 지시등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KR 10-1252246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방향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스마트폰에서 무선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이동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장된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한 3차원 공간의 방향변화를 전달받아 방향변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 및 인체 또는 소지품에 탈부착 할 수 있는 탈부착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무선통신방식으로 송신되는 방향지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향지시 제어신호의 제어에 따라 이동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등을 점멸하는 방향 지시장치;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방향 지시장치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 지시장치는, 인체 또는 소지품에 탈부착 할 수 있는 탈부착 고정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무선통신방식으로 송신되는 상기 방향지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받은 상기 방향지시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좌측 지시등 또는 우측 지시등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점멸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점멸신호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주기로 점멸하는 좌우측 지시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부착 고정부는, 고정 클립 타입 또는 벨크로 타입 방식을 통해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은,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방향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스마트폰에서 무선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이동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지시장치는 인체 또는 소지품에 탈부착 할 수 있는 탈부착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여 후방에 위치한 자동차 운전자 등에게 이동방향을 용이하게 알려줄 수 있다. 즉, 방향 지시장치를 사용자 등부분 또는 가방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인성과 편리성을 강화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방향 지시등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1)의 구성도
도 3은 자전거에 장착된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1)의 예시도
도 4는 스마트폰(10)의 가속도 센서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방향 지시장치(20)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1)의 구성도이고, 도 3은 자전거에 장착된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10)의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1)은 스마트폰(10)과, 방향 지시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1)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1)은 자전거를 이용하여 이동 시에 방향 지시장치(20)로 자전거의 진행 방향을 후방 자동차 운전자에게 알려 사고를 방지하고자 한다. 방향 지시장치(20)는 자전거의 손잡이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스마트폰(10)과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으로 연동되어 후방 자동차 운전자에게 자신이 진행할 경로를 알려준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1)은, 스마트폰(10)과 방향 지시장치(20)를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으로 연결하고, 스마트폰(10)에 내장 되어있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자전거 손잡이의 좌, 우 움직임을 감지한다.
스마트폰(10)이 감지한 방향정보를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통해 방향 지시장치(20)에 전송하여 지시등을 점등시켜, 후방에서 접근하는 자전거 이용자나 차량 운전자에게 자신의 운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스마트폰(10)은 가속도 센서가 내장되어 있는데, 가속도 센서는 3차원 공간(x축, y축, z축)의 방향변화를 감지한다. 스마트폰(10)은 자전거의 핸들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스마트폰(10)에는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데,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은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방향변화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즉,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은 시간별 방향변화 데이터를 처리하여 자전거의 이동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10)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자전거의 이동방향을 산출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으나,
스마트폰(10)에는 9축 센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9축 센서를 모두 이용하여 이동방향을 산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9축이라 함은 가속도 3축, 관성 3축, 지자기 3축으로 총 9축의 값이 측정되기 때문에 9축 센서라고 지칭되며, 온도값에 대한 보정을 위해 온도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스마트폰(10)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 관성 센서(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모두 이용하여 3차원 공간(x축, y축, z축)의 방향변화를 감지한 후, 자전거의 이동방향을 산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가속도 센서는 중력 가속도(g=9.8㎨)가 포함된 정보를 나타내며, 가속도 센서에서 3개의 축이라 함은 센서가 3차원에서 움직일 때 x축,y축,z축 방향의 가속도를 감지한다. 또한, 관성 센서(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데, 각속도는 시간당 회전하는 각도를 의미한다. 또한, 지자기 센서는 가속도를 이용하여 절대적인 방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방향 지시장치(20)는 인체, 인체의 옷, 소지품(가방) 등에 탈부착 할 수 있는 탈부착 고정부를 구비하여 고정될 수 있다.
방향 지시장치(20)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무선통신방식으로 송신되는 방향지시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방향지시 제어신호의 제어에 따라, 이동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등을 점멸한다.
지시등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며,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을 각각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는 화살표 기호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10)과 방향 지시장치(20)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스마트폰(10)과 방향 지시장치(20)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후,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참고적으로, BLE(Bluetooth Low Energy)는 무선 이어폰/헤드폰에 가장 많이 적용된 기존의 무선개인영역통신(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기술의 하나인 블루투스(Bluetooth)를 관장하는 Bluetooth SIG(Special Internet Group)가 비슷한 거리 범위에서도 전력을 현저히 적게 사용하도록 개발한 통신 기술이다.
BLE(Bluetooth Low Energy)는 IOS, 안드로이드, 윈도우폰 그리고 블랙베리 등의 OS를 가지는 대부분의 스마트 폰, 윈도우즈 8 이상, 리눅스 3.4 이상이 이 기술을 수용하고 있는 사실이 가장 강력한 장점이 되고 있다. 그 핵심에는 기존의 블루투스와 BLE(Bluetooth Low Energy)를 다 수용하는 블루투스 스마트 레디 기능을 가짐으로써 스마트폰에 연결되는 기존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들과 함께 저전력의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새로이 수용한다는 점이 있다.
BLE(Bluetooth Low Energy)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의 블루투스와 같은 주파수 영역(2.4000GHz-2.4835GHz)을 사용하나 적용하는 무선전송방식은 다르다. 기존의 블루투스보다 1/3 정도의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며 1/100 정도의 전력을 소비한다.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은 동작 사이클을 줄여 더 오랜시간 슬립(Sleep)하고 덜 자주 깨어나며, GATT profile을 사용하여 더 작은 데이터 패킷을 더 짧은 시간동안 전송하여 기존의 블루투스 통신보다 전원사용의 효율성이 높고 저전력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10)과 방향 지시장치(20)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하므로, 낮은 전력소모를 달성할 수 있어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1)은, 스마트폰(10)의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한 방향변화 데이터를 토대로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전거의 운행 방향을 탐지하고 이를 방향 지시장치(20)에 전달하여 방향 지시장치(20)가 자전거의 운행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한다.
도 4는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폰(10)의 가속도 센서는 x, y, z 축 기준으로 값을 받아 올 수 있다. x, y, z 각 축의 회전에 대한 정의는 roll, pitch, yaw 로 표현하며, 주로 항공기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단어이다.
스마트폰(10)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자전거의 좌회전, 우회전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10)이 자전거 운전자가 보는 방향에서 세로로 놓여져 있다면 y축이 고정되기 때문에 x축과 z축의 벡터값의 변화에 의해 자전거의 좌회전, 우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방향 지시장치(20)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향 지시장치(20)는 전원부(210)와, 블루투스 통신모듈(220)과, 제어부(230)와, 좌우측 지시등(240)과, 탈부착 고정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부(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된 건전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블루투스 통신모듈(220), 제어부(230) 및 좌우측 지시등(240)에 제공하다.
블루투스 통신모듈(220)은 스마트폰(10)으로부터 무선통신방식으로 송신되는 방향지시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지원한다.
제어부(230)는 블루투스 통신모듈(220)을 통해 수신받은 방향지시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좌측 지시등 또는 우측 지시등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점멸신호를 생성하며, 좌우측 지시등(240)은 점멸신호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주기로 점멸한다.
참고적으로, 제어부(23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의 점멸신호를 생성한다. 즉, 점멸신호의 하이레벨은 지시등의 턴온(TURN ON) 구간에 대응되고, 점멸신호의 로우레벨은 지시등의 턴오프(TURN OFF) 구간에 대응된다. 따라서 복수의 점멸신호의 신호 형태에 따라 지시등의 다양한 점멸패턴이 쉽게 달성될 수 있다.
탈부착 고정부(250)는 인체 또는 소지품에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고정 클립 타입 또는 벨크로 타입 방식을 통해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좌우측 지시등(240)은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는데, 제어부(23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위치를 고려하여, 선택된 발광 다이오드만을 턴온(TURN ON)함으로써 다양한 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좌우측 지시등(240)은 기본적으로 좌측 화살표 및 우측 화살표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면서, 자전거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함을 자동으로 표시한다.
한편,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은 시간별 방향변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처리하여 좌측회전속도 및 우측회전속도를 파악한 후, 이를 방향지시 제어신호에 반영할 수 있다.
즉,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은 단순히 좌측으로 회전하거나, 우측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감지하는 것이 아닌, 좌측회전 속도 및 우측회전 속도까지 산출한 후, 이러한 정보를 방향지시 제어신호에 반영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좌우측 지시등(240)은 자전거의 좌측회전 속도가 빨라질수록 더 빠른 속도로 좌측 화살표를 점멸하고, 자전거의 우측회전 속도가 빨라질수록 더 빠른 속도로 우측 화살표를 점멸한다.
또한, 좌우측 지시등(240)은 자전거의 좌측회전 속도가 빨라질수록 더 빠른 속도로 좌측 화살표를 점멸할 뿐만 아니라, 좌측회전 속도가 빨라질수록 더 밝은 광원으로 좌측 화살표를 점멸한다. 우측 화살표도 좌측 화살표와 동일하게 회전속도가 빨라질수록 더 밝은 광원으로 좌측 화살표를 점멸한다.
따라서 자전거의 뒤를 운행하는 자동차 운전자가, 자전거의 회전속도를 쉽게 인지하여, 자전거와의 충돌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은 시간별 방향변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처리하여 3차원 공간에서의 방향변화를 파악한 후, 자전거의 넘어짐을 추정할 수 있다. 즉,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은, 자전거의 전체무게 및 길이, 몸체의 무게 및 길이, 앞바퀴의 크기 및 무게, 뒷바퀴의 크기 및 무게, 핸들의 회전반경 등과 같은 자전거의 제원이 미리 입력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여 시간별 방향변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처리 한 후 자전거의 넘어짐 또는 미끄러짐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이 자전거의 넘어짐을 파악했을 경우, 좌우측 지시등(240)은 좌측 화살표 및 우측 화살표를 동시에 빠르게 점멸하는 동시에 밝기를 불규칙적으로 조절하여, 뒤따르는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려주게 된다. 이때, 좌우측 지시등(240)은 자전거의 넘어짐을 형상화한 이미지를 점멸하면서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방향 지시장치(20)는 지면표시 지시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지면표시 지시등은 도로의 표면에 방향지시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는 소자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지면표시 지시등은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도로에 방향지시 화살표를 조사할 수 있다. 지면표시 지시등은 2차원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되므로, 방향지시 화살표뿐만 아니라 문자, 기호 등까지 표시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지면표시 지시등은 좌우측 지시등(240)의 점멸 동작에 동일하게 연동되어 점멸동작을 진행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측 지시등(240)과 동일한 점멸기호, 밝기로 점멸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자전거에는 후방의 물체를 감지하는 거리측정센서가 부착될 수 있는데, 거리측정센서는 자전거의 후방에 접근하는 차량 등의 위치를 감지한 후, BLE(Bluetooth Low Energy)을 통해 스마트폰(10)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송신한다. 스마트폰(10)의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은 접근하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분석한 후, 충돌위험이 있을 경우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동시에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은 접근하는 차량이 충돌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좌우측 지시등(240) 및 지면표시 지시등이 "자전거 넘어짐"을 감지했을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위험을 표시하도록 방향지시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스마트 밴드를 손목에 착용하여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1)과 연동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스마트 밴드에는 9축 센서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방향을 지시할 경우 지시하는 방향을 3차원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스마트 밴드는 사용자가 손으로 지시한 방향을 감지한 후,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스마트폰(10)의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에 손으로 지시한 방향정보를 전송한다.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 밴드에서 지시된 방향(좌측, 우측)을 표시하도록 방향 지시장치(20) 및 지면표시 지시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자전거의 핸들을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손으로 방향을 지시함으로써, 미리 후방의 차량에 방향전환의사를 표시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방향을 지시한 시점으로부터 방향 지시장치(20) 및 지면표시 지시등의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까지의 지연시간은, 자전거의 이동속도에 따라 자동조절된다. 즉, 자전거의 이동속도가 빨라질수록 지연시간은 점점 감소한다.
또한, 방향 지시장치(20)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각도 조절부는 전동모터를 구비하여 좌우측 지시등(240)의 표시각도를 상하좌우방향으로 조절한다.
즉, 방향 지시장치(20)가 자전거 사용자의 등에 부착된 상태에서 자전거가 급한 오르막길 또는 급한 내리막길을 운행할 경우, 뒤따르는 자동차 운전자가 급한 오르막길 또는 급한 내리막길에 진입하기 전까지 방향 지시장치(20)의 표시를 확인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10)의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은 도로의 경사에 따라 각도 조절부를 일정시간동안 제어하여 뒤따르는 차량이 방향 지시장치(20)의 표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만 방향 지시장치(20)의 각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면 오르막 경사길에서는 방향 지시장치(20)의 표시각도를 일정시간 동안 상승시켜서 아직 오르막 경사길에 도달하지 않은 뒤따르는 차량이 방향 지시장치(20)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뒤따르는 차량이 오르막 경사길에 도달한 이후에는 방향 지시장치(20)의 표시각도를 원위치 시킨다. 방향 지시장치(20)의 각도가 조절되는 시간은, 자전거 속도에 따라 자동조절되는 것이 바람하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1)은, 스마트폰 가속도 센서의 정보를 사용하여 방향 지시장치(20)를 제어함으로써 후방에서 접근하는 자동차나 자전거 운전자에게 방향 지시장치(20)를 통해 운행방향을 알리거나 시선을 끌어 사고의 위험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스마트폰(10)에 내장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자전거의 운행방향 신호를 방향지시등에 전달하여 제어한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를 가진 디바이스를 추가적으로 제작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누구나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10)을 이용하여 가속도 센서의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방향 지시장치(20)를 접착력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거나 클립이나 고리 등 고정부를 사용하여 가방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옷이나 가방에도 붙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은,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방향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스마트폰에서 무선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이동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지시장치는 인체 또는 소지품에 탈부착 할 수 있는 탈부착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여 후방에 위치한 자동차 운전자 등에게 이동방향을 용이하게 알려줄 수 있다. 즉, 방향 지시장치를 사용자 등부분 또는 가방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인성과 편리성을 강화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스마트폰
20 : 방향 지시장치
210 : 전원부
220 : 블루투스 통신모듈
230 : 제어부
240 : 좌우측 지시등
250 : 탈부착 고정부

Claims (4)

  1. 자전거의 손잡이 부분에 부착되어 자전거의 좌우 회전을 감지함에 있어서, 내장된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한 3차원 공간의 방향변화를 전달받아 방향변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 및
    인체 또는 소지품에 탈부착 할 수 있는 탈부착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무선통신방식으로 송신되는 방향지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향지시 제어신호의 제어에 따라 이동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등을 점멸하는 방향 지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지시장치는, 상기 방향지시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PWM(Pulse Width Modulation) 형태의 점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지시등의 점멸패턴을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은 시간별 방향변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처리하여 좌측회전속도 및 우측회전속도를 파악한 후 이를 상기 방향지시 제어신호에 반영하고,
    상기 지시등은 파악된 좌측회전속도 및 우측회전속도에 대응하여 점멸속도 및 광원의 밝기가 자동조절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방향지시 애플리케이션은 자전거의 전체무게 및 길이, 몸체의 무게 및 길이, 앞바퀴의 크기 및 무게, 뒷바퀴의 크기 및 무게 및 핸들의 회전반경을 토대로 시간별 방향변화 데이터를 고려하여 자전거의 넘어짐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방향 지시장치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장치는,
    인체 또는 소지품에 탈부착 할 수 있는 탈부착 고정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무선통신방식으로 송신되는 상기 방향지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받은 상기 방향지시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좌측 지시등 또는 우측 지시등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점멸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점멸신호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주기로 점멸하는 좌우측 지시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고정부는,
    고정 클립 타입 또는 벨크로 타입 방식을 통해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KR1020170021335A 2017-02-17 2017-02-17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KR101894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335A KR101894526B1 (ko) 2017-02-17 2017-02-17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335A KR101894526B1 (ko) 2017-02-17 2017-02-17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745A KR20180095745A (ko) 2018-08-28
KR101894526B1 true KR101894526B1 (ko) 2018-09-05

Family

ID=6345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335A KR101894526B1 (ko) 2017-02-17 2017-02-17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377A (ko) * 2020-01-23 2021-08-02 김주태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923A (ko)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에이브로스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145B1 (ko) * 2013-06-24 2014-06-26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246B1 (ko) 2010-08-19 2013-04-05 김주환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
KR20130007237U (ko) * 2012-06-09 2013-12-18 손동섭 자전거를 위한 핸들 장착형 휴대기기 조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145B1 (ko) * 2013-06-24 2014-06-26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377A (ko) * 2020-01-23 2021-08-02 김주태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KR102303061B1 (ko) * 2020-01-23 2021-09-15 김주태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745A (ko)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4623B2 (en) Intelligent headlight system for bicycle
US10086894B2 (en) Safety device
TWI415579B (zh) 指示衣
US10271589B2 (en) Smart safety garment with signal lights
JP2016090318A (ja) 投影端末
US10611422B2 (en) Systems, methods and techniques for intelligent accessories
JP6531299B2 (ja) 多機能スマートバックパック
KR101894526B1 (ko)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US9521732B1 (en) Wearable motion-signaling bag
CN103129655A (zh) 行车状态警示系统及其控制方法
WO2017153708A1 (en) Cyclist accessory system
JP2017077296A (ja) 挙動推定システム、挙動推定方法、及び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KR20190035239A (ko)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라이더 헬멧의 방향지시 표시시스템
US11897572B2 (en) Handle with a retractable device for indicating a change in direction
KR20190035214A (ko) 스마트 밴드
KR101101584B1 (ko) 자전거의 지시등 제어장치
KR101954092B1 (ko)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EP3363002B1 (en) Device for signaling direction
KR101893880B1 (ko) 자전거용 스마트 전조등
KR101262926B1 (ko) 장갑과 가방의 연동형 방향표시장치
KR20170106014A (ko) 발광 표시 장치 및 스마트 발광 표시 시스템
KR20130105116A (ko) 동체 감지를 이용한 방향정보 지시기
KR20180029565A (ko) 자전거 후미등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35233A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방향지시 표시장치
KR20190035219A (ko)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