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246B1 -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 - Google Patents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246B1
KR101252246B1 KR1020100080123A KR20100080123A KR101252246B1 KR 101252246 B1 KR101252246 B1 KR 101252246B1 KR 1020100080123 A KR1020100080123 A KR 1020100080123A KR 20100080123 A KR20100080123 A KR 20100080123A KR 101252246 B1 KR101252246 B1 KR 101252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bicycle
light source
switch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512A (ko
Inventor
김주환
Original Assignee
김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환 filed Critical 김주환
Priority to KR1020100080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24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21W2107/13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for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21W2107/13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for cycles
    • F21W2107/1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for cycles for motorcycles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나 오토바이 손잡이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착탈 및 조작이 용이한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 손잡이(71)의 외곽면(73)에 부착되는 부착판(40); 일단에는 상기 부착판(40)이 장착되고, 타단에는 광을 방사하는 광원(53)이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광원(53)의 조작을 위한 회로와 상기 광원(5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실장되는 몸체부(50); 및 상기 몸체부(50)의 외주면에는 광원(53)의 온/오프를 조작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스위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TURN SIGNAL AND SAFETY LAMP OF CYCLE}
본 발명은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나 오토바이 손잡이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착탈 및 조작이 용이한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이용함과 아울러 운동 목적으로 자전거를 보다 많이 이용하게 되었고, 정부 및 지자체에서도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를 위하여 자전거 도로를 설치하는 등의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자전거의 이용인구가 늘면서 자전거와 관련된 교통사고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자전거 이용은 크게 늘어났지만, 이용자들의 안전의식과 자전거 안전을 위한 관련 인프라가 크게 부족한 이유로 사고가 늘고 있다고 보여진다.
특히 자전거에는 야간에 자신의 존재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방향등 또는 표시등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야간에 각종 교통사고의 위험성에 노출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자전거에 장착하여 야간에 광을 방사할 수 있는 방향등 또는 표시등이 다양하게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방향등 및 표시등은 자전거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향등 및 표시등에는 운행중에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이용자가 자전거를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지를 표시할 수 있는 방향등의 용도로는 활용할 수 없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지시등(3)이 구비된 손잡이(1)의 경우에는, 손잡이에 방향지시등이 장착되어 있고 전류개폐조작부(5)를 통해 전구(7)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 핸들에 장착할 때 기존의 손잡이를 제거한 후 장착하거나, 상기 손잡이의 외관을 손상할 수밖에 없어서 상기 방향지시등(3)을 손잡이에서 제거하면 외관상 보기 흉하게 될 뿐만 아니라, 손잡이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 많아서 전체적인 외관에서도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손잡이(1)가 원래 상태보다 두꺼워지고 형태가 변형되면서 손잡이의 기능을 훼손함으로서 오히려 이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성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손잡이(1)의 외관을 변형하면서 방향지시등(3)을 장착하여야 하므로, 일반인이 손쉽게 장착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9'는 전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 손잡이의 외형을 손상하거나 손잡이 내부에 배터리 등을 장착하는 작업 없이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몸체부가 이동 및 이탈되지 않도록 스위치의 배치 및 몸체부의 장착방식을 채택하여 자전거나 오토바이의 운행중에서 손쉽게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착판으로부터 발광모듈을 손쉽게 해체할 수 있는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에 관한 것으로, 자전거 및 오토바이 손잡이의 외곽면에 부착되는 부착판; 일단에는 상기 부착판이 장착되고, 타단에는 광을 방사하는 광원이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광원의 조작을 위한 회로와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실장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광원의 온/오프를 조작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외곽면에 장착되는 장착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판은 상기 장착판에 면접촉되어 부착되며, 상기 장착판 및 부착판 중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위치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링 형태로 장착되어 가압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이동되고, 원주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광원의 온/오프가 순차적으로 조작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장착판에 지지되어 상기 몸체부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는 상기 장착판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단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판에는 상기 돌출단에 면접촉하는 접촉단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광원을 보호하는 보호커버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판의 중앙에는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판은 상기 장착공과 상기 손잡이의 통공을 통과하는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손잡이에 체결되며, 상기 장착공의 일단에는, 상기 나사 또는 리벳의 머리가 돌출되지 않게 안착되어 상기 장착판과 부착판이 면접촉될 수 있게 하는 안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에 의하면,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 손잡이의 외형을 손상시키지 않고 장착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의 변형에 의한 외관 손상 및 파지 불량에 의한 사고 발생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 내부 또는 외부에 배터리 등을 장착하는 작업 없이 자석에 의한 발광모듈의 부착만으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몸체부가 이동 및 이탈되지 않도록 스위치의 배치 및 몸체부의 장착방식을 채택하여 자전거나 오토바이의 운행중에서 손쉽게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자유로운 방향표시 및 손쉬운 조작으로 교통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판으로부터 발광모듈을 손쉽게 해체할 수 있으므로,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른 용도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 램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가 자전거의 손잡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리벳에 의해 장착판이 손잡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광원의 발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가 자전거의 손잡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리벳에 의해 장착판이 손잡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광원의 발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는, 부착판(40), 몸체부(50) 및 스위치(60)를 포함하는 발광모듈(30)과 장착판(2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자전거를 위주로 설명되지만, 오토바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먼저, 장착판(20)은 자전거(70)의 손잡이(71) 외곽면(73)에 장착된다. 다시 말하면, 자전거의 손잡이(71)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핸들(72)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핸들(72)의 끝단에 지지되어 더 이상의 삽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핸들(72)의 끝단에 대응되는 부분은 막혀 있다. 이때 상기 핸들(72)의 끝단에 대응되는 부분은 자전거 손잡이(71)의 외곽면(73)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장착판(20)은 그러한 외곽면(73)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판(20)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외곽면(73)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를 통해 장착되거나, 나사 또는 리벳(27)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자전거와 오토바이 손잡이(71)의 외곽면(73) 중앙에는 통공(7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나사 또는 리벳(27)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장착판(20)에는 장착공(21)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고, 상기 장착공(21)과 통공(75)을 이용하여 나사나 리벳(27)을 통해 장착판(20)은 손잡이(71)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나사나 리벳(27)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나사나 리벳(27)의 머리가 장착판(20) 상에 돌출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장착판(20)에 부착판(40)이 면접촉하기 위하여 별도로 상기 부착판(40)에 홈부가 마련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판(40)에 별도의 홈부를 마련하는 대신에, 장착판(20)에는 상기 장착공(21)의 일단에 안착홈(23)을 마련하여 나사 또는 리벳(27)의 머리가 돌출되지 않게 안착되도록 하였다.
아울러, 상기 장착판(20)은 부착판(40)을 접착제를 통해 상기 외곽면(73)에 바로 부착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부착판(40)은 상기 장착판(20)에 대향하여 상기 장착판(20)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부착판(40)은 몸체부(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장착판(20)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견고히 부착됨과 아울러, 스위치(60)를 포함한 몸체부(50)를 다른 용도로 활용하거나 배터리 교환을 위하여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부착판(40)과 장착판(20)이 서로 면접촉하여 접촉면적을 극대화함으로서 접착력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부착판(40)과 장착판(20) 중 어느 하나를 자석으로 제작하고 다른 하나를 금속으로 제작하여 착탈 용이한 구성을 채택하였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판(40)을 자석으로 구성하고, 장착판(20)을 금속으로 구성하여 부착판(40), 몸체부(50) 및 스위치(60)로 이루어지는 발광모듈(30)을 철제로 이루어지는 다른 위치, 예를 들면, 차량의 외면이나 건물 또는 가구의 금속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더구나, 몸체부(5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고, 특히 스위치(60)의 조작시에 몸체부(50)가 상기 손잡이(7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몸체부(50)의 일단에는 상기 장착판(20)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단(51)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판(20)에는 상기 돌출단(51)에 면접촉하는 접촉단(25)을 구비한다.
상기 접촉단(25)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 이상의 관통공(미도시)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직선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접촉단(25)이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돌출단(51)은 상기 관통공에 각각 삽입되어 면접촉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접촉단(25)이 평행한 직선면으로 구성되면, 상기 돌출단(51)은 상기 직선면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직선면 사이를 연결하는 장착판(20)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50)의 타단에는 광을 방사하는 광원(53)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광원(53)의 조작을 위한 회로와 상기 광원(5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4)가 실장된다. 이때 광원(53)은 LED가 사용되지만, LED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50)의 타단에는 상기 광원(53)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55)가 장착된다. 이러한 보호커버(55)는 광투과율이 우수한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광원(53)으로부터 방사된 광이 은은하게 비춰질 수 있도록 반투명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50)는 손잡이(71)의 외형과 유사하게 원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팔각 기둥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50)의 외주면에는 광원(53)의 온/오프를 조작하기 위하여 스위치(60)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60)는 상기 몸체부(50)의 외주면에 링 형태로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한 가압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이동되고, 원주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광원(53)의 온/오프가 순차적으로 조작된다.
즉, 스위치(60)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 일정 각도 이동하면 온 또는 오프가 되고 다시 일정 각도 이동하면 반대의 작동이 수행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60)는 시작 지점에서만 오프로 되고 일정 각도 이동하면서 다양한 패턴으로 광원(53)이 발광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위치(60)를 일정 각도 이동시키면 광원(53)이 지속적으로 발광하는 모드로 될 수 있고, 다시 일정 각도 이동시키면 광원(53)이 깜빡거리는 모드로 될 수도 있다.
이때 스위치(60)가 일정 각도 이동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느끼게 하고 이동된 상태에서 임의로 스위치(60)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위치(60)가 몸체부(50)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광원(53)을 조작하게 한 것은, 스위치(60)의 이동방향이 발광모듈(30)이 손잡이(71)로부터 이탈되는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스위치(60)가 발광모듈(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면, 손잡이(71)의 외향방향으로 스위치(60)가 작동되면서 발광모듈(30)이 손잡이(71)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스위치(60)의 조작이 원활히 수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광모듈(30)의 이탈로 분실이나 추락에 의한 파손 우려가 있고 발광모듈(30)을 재장착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자전거의 손잡이(71)에 장착판(20)을 나사 또는 리벳(27)을 이용하여 장착한다. 이때 장착판(20)에는 장착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71)에는 일반적으로 통공(7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나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나사산이 통공(75)에 끼워지면서 상기 장착판(20)을 손잡이(71)의 외곽면(73)에 장착되게 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27)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리벳(27)이 통공(75)을 통과하여 상기 외곽면(73)의 배면에 압착되면서 상기 장착판(20)을 상기 외곽면(73)에 장착되게 한다.
장착판(20)이 손잡이(71)에 장착되면, 상기 장착판(20)의 접촉단(25)과 몸체부(50)의 돌출단(51)이 면접촉되면서 부착판(40)이 장착판(20)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발광모듈(30)을 장착판(2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부착판(40)은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장착판(20)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발광모듈(30)은 별도의 접촉수단 없이도 쉽게 장착판(2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단(51)이 접촉단(25)에 면접촉하면서 몸체부(50)의 회전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있으므로, 상기 발광모듈(30)은 상기 장착판(20)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거나 위치 변위를 일으키지 않게 된다.
특히 스위치(60)를 작동하면 몸체부(50)에 원주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돌출단(51)과 접촉단(25)의 면접촉으로 인해 스위치(60)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도 몸체부(50)의 이동 및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스위치(60)를 작동하면 광원(53)의 온/오프가 조작된다. 이때 스위치(60)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동시킴에 의해 광원(53)의 온/오프가 조정되고, 이 경우 스위치(60)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은 문제되지 않는다. 즉, 도 7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위치(60)를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광원(53)의 온/오프가 조정된다(도 7에서는 스위치의 이동 및 방향을 알 수 있도록 오프상태의 스위치 위치를 빗금으로 표시하고 있다).
만일 스위치(60)의 원주방향 이동시에 일정 각도별도 광원(53)이 다른 패턴으로 발광되게 설정된다면, 스위치(60)가 시작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광원(53)이 오프되고, 다른 위치에서는 각각 다른 패턴으로 광원(53)이 발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스위치(6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이동은 모두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 손잡이(71)의 외형을 손상하거나 손잡이(71) 내부에 배터리 등을 장착하는 작업 없이 간단하게 방향표시 및 안전램프를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60)의 조작에 의해 몸체부(50)가 이동 및 이탈되지 않도록 스위치(60)의 배치 및 몸체부(50)의 장착방식이 채택되었으므로, 자전거나 오토바이의 운행중에서 손쉽게 스위치(6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장착판(20)으로부터 발광모듈(30)을 손쉽게 해체할 수 있으므로, 발광모듈(30)은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발광모듈(30)은 차량의 외면에 부착하거나 건물 또는 가구의 금속면에 부착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광원(53)은 상기 배터리 대신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를 몸체부(50)로부터 생략하거나 상기 배터리를 외부 전원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50)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20 : 장착판 30 : 발광모듈
40 : 부착판 50 : 몸체부
60 : 스위치 70 : 자전거

Claims (7)

  1.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 손잡이(71)의 외곽면(73)에 부착되는 부착판(40);
    일단에는 상기 부착판(40)이 장착되고, 타단에는 광을 방사하는 광원(53)이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광원(53)의 조작을 위한 회로와 상기 광원(5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실장되는 몸체부(50); 및
    상기 몸체부(50)의 외주면에는 광원(53)의 온/오프를 조작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스위치(6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71)의 외곽면(73)에 장착되는 장착판(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판(40)은 상기 장착판(20)에 면접촉되어 부착되며,
    상기 장착판(20) 및 부착판(40) 중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착판(20)의 중앙에는 장착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판(20)은 상기 장착공(21)과 상기 손잡이(71)의 통공(75)을 통과하는 나사 또는 리벳(27)에 의해 손잡이(71)에 체결되며,
    상기 장착공(21)의 일단에는, 상기 나사 또는 리벳(27)의 머리가 돌출되지 않게 안착되어 상기 장착판(20)과 부착판(40)이 면접촉될 수 있게 하는 안착홈(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60)는 상기 몸체부(50)의 외주면에 링 형태로 장착되어 가압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이동되고, 원주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광원(53)의 온/오프가 순차적으로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60)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장착판(20)에 지지되어 상기 몸체부(5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몸체부(50)의 일단에는 상기 장착판(20)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단(51)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판(20)에는 상기 돌출단(51)에 면접촉하는 접촉단(2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50)의 타단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광원(53)을 보호하는 보호커버(55)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53)은 상기 배터리 대신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
KR1020100080123A 2010-08-19 2010-08-19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 KR101252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123A KR101252246B1 (ko) 2010-08-19 2010-08-19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123A KR101252246B1 (ko) 2010-08-19 2010-08-19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512A KR20120017512A (ko) 2012-02-29
KR101252246B1 true KR101252246B1 (ko) 2013-04-05

Family

ID=4583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123A KR101252246B1 (ko) 2010-08-19 2010-08-19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2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745A (ko) 2017-02-17 2018-08-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035A (ja) * 1994-10-25 1996-05-14 Souji Kobayashi 非常信号灯
KR20090118442A (ko) * 2008-05-14 2009-11-18 윤호식 오토바이 측면 방향표시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035A (ja) * 1994-10-25 1996-05-14 Souji Kobayashi 非常信号灯
KR20090118442A (ko) * 2008-05-14 2009-11-18 윤호식 오토바이 측면 방향표시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745A (ko) 2017-02-17 2018-08-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512A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2061B2 (en) Annular lighting fixture and method for illumination
US20100321931A1 (en) Color changing lighting device
JP2016503366A (ja) レーザービームを備えた自転車用投光装置
JP2007085858A (ja) 車両用指針計器
KR101252246B1 (ko)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
US20130301138A1 (en) Marking board with back-focusing and brightness enhancement effect
US8465169B2 (en) Driving shaft mechanism for ratchet wrench
JP2014149986A (ja) 車輌用灯具
EP3974300A1 (en) Portable light emitting signal apparatus
EP2184531A1 (en) Warning lamp
JP3113808U (ja) 合図誘導灯
GB2450882A (en) Bicycle direction indicators
US20070223240A1 (en) Auxiliary light assembly for a motorcycle
KR101447175B1 (ko) 엘이디 델리니에이터
KR20090118442A (ko) 오토바이 측면 방향표시등
JP3162062U (ja) 自転車用錠
US20060061994A1 (en) Alert lampshade device
JP2010262889A (ja) 車輌用灯具
KR200493578Y1 (ko) 견장 착용형 경광등
JP3127660U (ja) 誘導棒
JP3146764U (ja) 自転車用警示灯
KR200392206Y1 (ko) 자전거 전용 발광장치
KR200425233Y1 (ko) 교통 신호봉
JPH0937823A (ja) 傘用発光器
KR200291347Y1 (ko) 표시등이 결합구성된 오토바이용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