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347Y1 - 표시등이 결합구성된 오토바이용 핸들 - Google Patents

표시등이 결합구성된 오토바이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347Y1
KR200291347Y1 KR2020020020601U KR20020020601U KR200291347Y1 KR 200291347 Y1 KR200291347 Y1 KR 200291347Y1 KR 2020020020601 U KR2020020020601 U KR 2020020020601U KR 20020020601 U KR20020020601 U KR 20020020601U KR 200291347 Y1 KR200291347 Y1 KR 200291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otorcycle
indicator
socke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상수
Original Assignee
하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상수 filed Critical 하상수
Priority to KR2020020020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3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347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토바이용 핸들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들의 양측단부에 표시등을 조립구성하여 미려한 외관을 갖는 장식과 함께 야간운전시 오토바이의 본체폭을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접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핸들축봉(22)양측 단부에 나선부(23)를 구성하고, 상기 나선부(23)에 전구(36)가 조립된 표시등(30)이 나사조립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시등이 결합구성된 오토바이용 핸들{Motorcycle handle bar with indication lamp}
본 고안은 오토바이용 핸들의 축봉양단부에 표시등을 부착하여 발광되게 하므로서 장식효과와 함께 야간주행시 전방에서 오토바이의 차체폭을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접촉사고를 사전에 예방, 안전운전을 기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오토바이용 핸들은 핸들의 기능과 함께 운전에 필요한 각종 조작기구들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오토바이의 운전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보다 새롭고 미려한 외관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총족시켜 주지 못할 뿐 아니라 특히 야간운전시 오토바이의 차체폭판단이 불가능하여 접촉사고를 야기케 할 우려가 있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단점을 시정하고자 오토바이용 핸들을 구성함에 있어서, 핸들의 축봉양측 단부에 표시등이 구성되게 하여 장식효과와 동시에 야간 운전시 오토바이의 차체폭 식별이 가능케 하므로서 접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오토바이용 핸들을 구성하는 핸들축봉의 단부에 표시등을 결합하여 오토바이에 구성된 스위치 및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러서 핸들축봉단부에 결합된 표시등이 점등가능케 구성한다.
이때 표시등을 핸들축봉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축봉의 단부내면에 나선부를 구성하고, 상기 나선부에 전구가 결합구성된 소켓을 나사식으로 결합구성하면 된다.
상기 본 고안의 표시등을 구성함에 있어서 소켓의 외측단부에 반사판을 조립식으로 결합구성하여 전구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반사판에 반사되어 소켓의 전후면으로 반사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 :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핸들의 평면구성도
도 2 : 본 고안의 요부단면구성도
도 3 : 본 고안의 요부단면분해구성도
도 4 :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평면구성도
도 5 : 도 4에서 구성되는 표시등부분의 조립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오토바이용 핸들 (20)--핸들고정본체
(21)--브라켓 (22)--핸들축봉
(30)--표시등 (31)--소켓
(32)--전구결합부 (33)--공간부
(34)--반사판 (35)--나선부
(36)--전구 (37)--전선
이하 본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표시등이 결합구성된 오토바이용 핸들(10)의 평면구성도이고 도2는 요부단면구성도로서 핸들고정본체(20)양측에 브라켓(21)을 통하여 조립구성되는 핸들축봉(22)의 단부에 전원을 인가하면 빛이 발광하는 표시등(30)을 조립구성한다.
상기 표시등(30)이 핸들축봉(22)의 단부에 조립되게 하기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도3에서와 같이 핸들축봉(22)의 내측단부에 나선부(23)를 구성하고, 상기나선부(23)에 표시등(30)이 나사식으로 나사결합되게 한다.
상기표시등의 구성은 투명 혹은 반투명수지로 소켓(31)을 구성하되 소켓(31)내면에는 전구결합부(32)와 공간부(33)를 구성한다.
이때 공간부(33)외측은 개방되게 할 수도 있으며 개방시에는 개방부에 볼록거울형태의 반사판(34)를 결합하여 빛이 반사되면서 소켓(31)의 전후방향으로 빛이 반사되게 구성한다.
소켓(31)의 전구결합부(32)외면에는 나선부(35)를 구성하여 핸들축봉(22)의 나선부(23)와 나사결합되게 하고, 전구결합부(32)에는 전구(36)를 결합구성한 다음발전기 및 스위치와 전선(37)으로 연결구성하여 스위치조작에 의해 전구(36)에 전원이 인가되게 하거나 혹은 차단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본 고안의 오토바이용 핸들(10)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4 및 도5에서와 같이 표시등(30)을 구성하는 소켓(31)의 직경을 다소 크게 구성하여 핸들축봉(22)에 결합되는 악세레이트(40)의 외경과 나란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1에서와 같이 오토바이용 핸들(10)의 핸들축봉(22)양측에 표시등(30)이 결합구성되어 있어 주로 야간운전시 표시등(30)에 전원이 인가되게 하면 전구(36)가 발광하게 되고, 전구(36)의 발광에 의해 빛이 투명 혹은 반투명수지로 구성된 소켓(31)을 통하여 외부로 투사되므로 표시등(30)전체가 발광하게 된다.
이때 표시등(30)을 구성하는 소켓(31)은 주로 유색반투명수지로 구성되어 있어 소켓(31)의 색상에 따라 표시등(30)의 색상이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위에서와 같이 핸들(10)의 양측단부에 표시등(30)이 발광하게 되므로 야간운전시 전방에서도 오토바이차체의 넓이 즉 폭정도를 판단할 수 있어 접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지금까지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핸들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소켓(31)에 결합구성된 반사판(34)은 사용되는 전구(36)가 LED전구와 같이 빛의 퍼짐없이 전방으로 조사되는 전구의 경우 사용하게 되면 LED전구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판(34)에 반사되면서 전후방향으로 반사되어 소켓(31)을 비추게 되므로 전후방에서도 표시등(30)의 식별이 가능하게 되는 역활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의 표시등(30)에 끼워지는 전구(36)를 점멸되게 하면 장식효과와 동시에 주의력을 집중시켜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고안 표시등(30)이 장착되는 핸들의 축봉(22)의 형태는 직선형이나 곡선형에 제약없이 어떠한 형태의 핸들축봉 양측단부에 조립사용할 수 있게 되며, 본 고안의 중요한 기술수단은 오토바이용 핸들축봉(22)의 양측단부에 빛이 발광하는 표시등(30)을 장착하여 오토바이의 폭 표시기능과 함께 미려한 외관을 같는 장식의 기능을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오토바이용 핸들의 양측단부에 전구에 의해 발광하는 표시등을 장착하여 미려한 외관을 갖는 장식의 효과와 동시에 야간운전시 오토바이본체의 폭을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접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통상의 오토바이용 핸들을 구성함에 있어서, 오토바이용 핸들(10)을 구성하는 핸들축봉(22)양측단부에 표시등(30)을 조립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등이 결합구성된 오토바이용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핸들축봉(22)의 단부에 나선부(23)를 구성하고, 상기 나선부(23)에 표시등(30)을 구성하는 소켓(31)을 나사조립하되, 소켓(31)내면에는 전구결합부(32)와 공간부(33)를 구성하고, 상기 전구결합부(32)에는 전구(36)를 결합하여 오토바이용 발전기 및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구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등이 결합구성된 오토바이용 핸들
KR2020020020601U 2002-07-09 2002-07-09 표시등이 결합구성된 오토바이용 핸들 KR2002913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601U KR200291347Y1 (ko) 2002-07-09 2002-07-09 표시등이 결합구성된 오토바이용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601U KR200291347Y1 (ko) 2002-07-09 2002-07-09 표시등이 결합구성된 오토바이용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347Y1 true KR200291347Y1 (ko) 2002-10-09

Family

ID=7307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601U KR200291347Y1 (ko) 2002-07-09 2002-07-09 표시등이 결합구성된 오토바이용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3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98B1 (ko) 2008-05-14 2010-03-05 윤호식 오토바이 측면 방향표시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98B1 (ko) 2008-05-14 2010-03-05 윤호식 오토바이 측면 방향표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6331B2 (en) Annular lighting fixture and method for illumination
US9593817B2 (en) Headlight device of motorcycle
US5008782A (en) Lighted handlebar for bicycles
EP1820724B1 (en) Bicycle shift control device with light structure
JP2004189019A (ja) バックミラー装置
KR200291347Y1 (ko) 표시등이 결합구성된 오토바이용 핸들
US6998970B2 (en) Turn signal assembly
US8350171B2 (en) Function switch on handle of motorcycle
CN111114675B (zh) 轻型车辆用灯
KR100787695B1 (ko) 방향지시등이 구비된 사이드미러
JP2006044321A (ja) 自動二輪車の前部灯火装置
CN110462284B (zh) 鞍乘式车辆的照明装置
JP3892698B2 (ja) 電動工具
JP3130154U (ja) 二輪車用バックミラーキット及びバックミラー
JP3162062U (ja) 自転車用錠
KR101252246B1 (ko)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
JPH0937823A (ja) 傘用発光器
JP2002362451A (ja) 自転車用前照灯
ITTO20080500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per motociclo.
KR200425233Y1 (ko) 교통 신호봉
JP3146764U (ja) 自転車用警示灯
JP3113630U (ja) 補助照明装置付き乗り物
KR920001832Y1 (ko) 자전거의 안전표시와 점멸신호장치
KR100324367B1 (ko) 자동차용 윙미러의 시그날램프 표시장치
KR0119551Y1 (ko) 헤드램프의 형상변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