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092B1 -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092B1
KR101954092B1 KR1020170145668A KR20170145668A KR101954092B1 KR 101954092 B1 KR101954092 B1 KR 101954092B1 KR 1020170145668 A KR1020170145668 A KR 1020170145668A KR 20170145668 A KR20170145668 A KR 20170145668A KR 101954092 B1 KR101954092 B1 KR 101954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module
center module
display unit
w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
임수정
이향이
박덕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45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2J6/0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1Electric circuits
    • B62J6/015Electric circuits using electrical power not supplied by the cycle motor generator, e.g. using batteries or piezo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2J6/00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1Electr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B62J6/055Electrical means, e.g. lamps
    • B62J6/056Electrical means, e.g. lamps characterised by control means
    • B62J6/057Automatic activation, e.g. by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 B62J2006/0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 방향에 대한 제1 거리를 측정하여 저장하는 센터 모듈과,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 정보를 센터 모듈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용 모듈을 포함하되, 센터 모듈은, 측정된 거리 정보를 제1 거리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착용 모듈의 후방에 구비된 표시부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중에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시도하는 경우 혹은 돌발적으로 장애물을 발견 또는 감지하여 주행 속도를 급격히 감속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몸체가 기울어지는 각도 및 방향과 사용자의 양팔이 동시에 일정 높이 상승하는 동작을 감지하여 후방 측에 뒤따라오는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예상 주행 방향을 미리 안내하거나 돌발 상황의 발생을 알려줌으로써 방어 운전이나 예방 행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WEARABLE APPARATUS FOR DISPLAYING DIRECTION FOR USER SAFETY}
본 발명은 자전거나 전동 보드 등과 같은 1인용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는 개인용 이동수단을 지칭하는 말로써 전동 휠, 전동 킥보드, 전동 스케이트 보드 및 전기 자전거 등이 이에 해당하며 주로 전기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1인용 이동수단을 말한다.
이러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경우,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공해가 거의 없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이동수단 및 레저용품으로서 입지를 점차 늘려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교통법상 퍼스널 모빌리티에 해당하는 이동수단들은 원동기장치 자전거로 분류된다. 따라서 원동기 면허의 소지가 필요하고 헬멧 및 보호장구 착용, 인도 및 자전거 도로, 공원에서의 주행이 금지되는 등의 제약이 요구되어야 하나, 매년 확대되는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과 그 수요에도 불구하고 관련 법안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퍼스널 모빌리티를 운행하는 사용자는 인도로 통행하거나 또는 차량과 함께 차도로 통행하게 되는데, 특히 차도로 통행하는 경우, 전방의 퍼스널 모빌리티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주행 방향을 선회하려고 할 때 후방 차량 운전자에게는 전방의 퍼스널 모빌리티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기 직전까지는 좌회전하려는 것인지, 우회전하려는 것인지 아니면 직진을 하려는 것인지 여부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전방에 위치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방향 및 정지 여부 등을 후방 차량 운전자나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자가 인지하지 못할 경우, 후방 차량 운전자 등은 자신이 예측하는 방향으로 전방의 퍼스널 모빌리티가 운행할 것이라 추정하며 운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음은 물론, 실질적으로 예측운전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KR 10-2017-0106014 A KR 10-1251399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전거 또는 전동 보드 등을 이용하여 주행 중인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하여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후방에서 표시하는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는, 지면 방향에 대한 제1 거리를 측정하여 저장하는 센터 모듈과,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 정보를 상기 센터 모듈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용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센터 모듈은, 상기 측정된 거리 정보를 상기 제1 거리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 모듈의 후방에 구비된 표시부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용 모듈은, 후방 외측에 좌측 주행 여부를 안내하도록 점등 또는 점멸되는 제1 표시부가 마련되어 상기 센터 모듈의 좌측에 위치되는 것이며, 상기 센터 모듈과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제2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제2 거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센터 모듈로 전송하는 좌측 착용 모듈과, 후방 외측에 우측 주행 여부를 안내하도록 점등 또는 점멸되는 제2 표시부가 마련되어 상기 센터 모듈의 우측에 위치되는 것이며, 상기 센터 모듈과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제3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제3 거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센터 모듈로 전송하는 우측 착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터 모듈은,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가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2 거리 및 상기 제3 거리를 각각 비교한 결과, 상기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제1 표시부가 점멸되도록 하고, 상기 제3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제2 표시부가 점멸되도록 하는 제1 점멸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터 모듈은, 상기 제2 거리 및 상기 제3 거리 모두가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가 기설정된 주파수로 점멸되도록 하는 제2 점멸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터 모듈과 상기 좌측 착용 모듈의 사이와 상기 센터 모듈과 상기 우측 착용 모듈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배선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터 모듈, 상기 좌측 착용 모듈 및 상기 우측 착용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내부에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직선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와, 상기 사용자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이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터 모듈은 외측 일면에 내부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전원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전원부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따라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 착용 모듈 또는 상기 우측 착용 모듈은, 외측 전면의 양단부에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좌측 팔 또는 우측 팔 하부를 감싸 지지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방 일측면에 형성되는 소정의 벨크로 테이프 형태의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중에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시도하는 경우, 사용자의 몸체가 기울어지는 각도 및 방향을 감지하여 후방 측에 뒤따라오는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예상 주행 방향을 미리 안내함으로써 방어 운전이나 예방 행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중에 돌발적으로 장애물을 발견 또는 감지하여 주행 속도를 급격히 감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양팔이 동시에 일정 높이 상승하는 동작을 감지하여 후방 측에 뒤따라오는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돌발 상황의 발생을 알려 전방의 상황에 따른 변동을 즉각적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퍼스널 모빌리티를 운행하는 사용자의 몸에 직접 착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각각의 퍼스널 모빌리티에 적용하기 위한 기계적 구성의 변형 등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으므로, 하나의 장치만으로 여러 종류의 퍼스널 모빌리티에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비용적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의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는 크게 센터 모듈(110)과 착용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착용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 정보를 센터 모듈(11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용 모듈은 좌측 착용 모듈(130) 및 우측 착용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측 착용 모듈(130)은 센터 모듈(110)의 좌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센터 모듈(110)과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제2 거리(d2)를 측정하여 측정된 제2 거리(d2)에 대한 정보를 센터 모듈(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좌측 착용 모듈(13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된 제1 하우징(131)과, 상기 제1 하우징(131)의 후방 외측에 상기 전동 보드의 좌측 주행 여부를 안내하도록 점등 또는 점멸되는 제1 표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부(132)는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착용 모듈(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의 양단부에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좌측 팔 하부를 감싸 지지하는 제1 고정부(133)와, 제1 고정부(133)의 전방 일측면에 형성되는 소정의 벨크로 테이프 형태의 제1 체결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여 좌측 착용 모듈(130)을 사용자의 좌측 팔에 착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좌측 착용 모듈(130)의 전면을 사용자의 좌측 팔꿈치 상측에 접한 상태에서 제1 고정부(133)로 감싼 후 제1 체결부(134)로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우측 착용 모듈(140)은 센터 모듈(110)의 우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센터 모듈(110)과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제3 거리(d3)를 측정하여 측정된 제3 거리(d3)에 대한 정보를 센터 모듈(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우측 착용 모듈(14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된 제2 하우징(141)과, 상기 제2 하우징(141)의 후방 외측에 상기 전동 보드의 우측 주행 여부를 안내하도록 점등 또는 점멸되는 제2 표시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표시부(142)는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우측 착용 모듈(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의 양단부에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우측 팔 하부를 감싸 지지하는 제2 고정부(143)와, 제2 고정부(143)의 전방 일측면에 형성되는 소정의 벨크로 테이프 형태의 제2 체결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여 우측 착용 모듈(140)을 사용자의 우측 팔에 착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우측 착용 모듈(140)의 전면을 사용자의 우측 팔꿈치 상측에 접한 상태에서 제2 고정부(143)로 감싼 후 제2 체결부(144)로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센터 모듈(110)은 지면 방향에 대한 제1 거리(d1)를 측정하여 측정된 제1 거리(d1)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모듈(110)은 소정의 전동 보드에 탑승한 사용자의 허리의 뒤쪽 일측에 착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센터 모듈(11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허리벨트나 바지의 일측 상단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허리 고정용 클립이 마련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센터 모듈(110)은, 제1 표시부(132) 및 제2 표시부(142)가 점등된 상태에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 및 제3 거리(d3)를 각각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 표시부(132) 및 제2 표시부(142)의 점등을 제어하여 제1 점멸신호 또는 제2 점멸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센터 모듈(110)은, 만약 제2 거리(d2)가 제1 거리(d1)보다 작으면 제1 표시부(132)가 점멸되도록 하고, 제3 거리(d3)가 제1 거리(d1)보다 작으면 상기 제2 표시부가 점멸되도록 하는 제1 점멸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반면에, 만약 제2 거리(d2) 및 제3 거리(d3) 모두가 제1 거리(d1)보다 큰 경우, 제1 표시부(132) 및 제2 표시부(142)가 기설정된 주파수로 점멸되도록 하는 제2 점멸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비록, 도면 및 전술한 내용에서는 센터 모듈(110)이 제1 거리(d1)의 크기와 제2 거리(d2)의 크기를 직접 비교하고, 제1 거리(d1)와 제3 거리(d3)의 크기를 직접 비교하는 것으로 서술되어 있긴 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터 모듈(110)이 제2 거리(d2)와 제3 거리(d3) 중 어느 하나가 제1 거리(d1)보다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 작은 경우에 제1 점멸신호를 출력하고, 제2 거리(d2) 및 제3 거리(d3)가 제1 거리(d1)보다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 큰 경우에 제2 점멸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착용 모듈(130) 및 우측 착용 모듈(140)의 경우, 사용자의 신체조건, 가령, 팔 길이나 허리길이 등에 따라 센터 모듈(110)의 착용 위치와 좌측 착용 모듈(130) 및 우측 착용 모듈(140)의 착용 위치 간의 높이 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전술한 상기 임계값은 이러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기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센터 모듈(110)의 일면에는 내부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전원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부(132) 및 제2 표시부(142)는 전원부(111)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따라 점등되거나 소등되게 된다.
예컨대, 전원부(111)가 온 되는 시점부터 제1 표시부(132) 및 제2 표시부(142)는 전원부(111)가 오프 되기 전까진 기본적으로 점등 상태를 유지하나, 센터 모듈(110)에서 출력된 점멸신호가 제1 점멸신호이면 제1 표시부(132)와 제2 표시부(142) 중 어느 하나를 점등 상태에서 점멸 상태로 전환하고, 센터 모듈(110)에서 출력된 점멸신호가 제2 점멸신호이면 제1 표시부(132) 및 제2 표시부(142)가 기설정된 주파수가 점멸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센터 모듈(110), 좌측 착용 모듈(130) 및 우측 착용 모듈(140) 중 적어도 하나는, 내부에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직선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와, 상기 사용자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이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리 측정 센서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RF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포함한다.
만일 상기 거리 측정 센서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거리 측정 센서는 센터 모듈(110), 좌측 착용 모듈(130) 및 우측 착용 모듈(140)의 외측 하부면에 장착되어 지면을 향해 적외선을 발광하고 수신되는 반사신호의 수신시간을 이용하여 지면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는 지면과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를 측정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거리 측정 센서를 통해 얻어진 거리가 'A'이고, 상기 기울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통해 측정된 회전각이 'B'라고 할 때, 최종적으로 피타고라스 정의에 의해 'A(거리) X sin B(각도) = H(높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기울기 영향도 모두 고려하여 사용자의 신체에서 지면까지의 수직 높이를 구할 수 있으므로 제1 거리와 제2 거리 및 제3 거리 간의 상대적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의 경우, 센터 모듈(110)과 좌측 착용 모듈(130)의 사이와 센터 모듈(110)과 우측 착용 모듈(140)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배선을 포함하는 연결부(1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연결부(120)를 통해 좌측 착용 모듈(130)에서 센터 모듈(110)로 제2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혹은 우측 착용 모듈(140)에서 센터 모듈(110)로 제3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혹은 센터 모듈(110)에서 출력한 제1 점멸 신호 또는 제2 점멸 신호를 좌측 착용 모듈(130) 또는 우측 착용 모듈(14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도면 및 전술한 내용에서는 센터 모듈(110)과 좌측 착용 모듈(130) 사이와 센터 모듈(110)과 우측 착용 모듈(140) 사이가 각각 연결부(120)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유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서술되어 있긴 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터 모듈(110), 좌측 착용 모듈(130) 및 우측 착용 모듈(140) 각각의 내부에 근거리 무선 통신의 일종인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모듈이 내장되어 있어 이를 통한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의 순서도이다.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센터 모듈(110)에서의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제1 거리(d1)와, 센터 모듈(110)의 좌측에 위치되는 좌측 착용 모듈(130)에서의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제2 거리(d2)와, 센터 모듈(110)의 우측에 위치되는 우측 착용 모듈(140)에서의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제3 거리(d3)를 각각 측정한다(S100).
여기서, 센터 모듈(110), 좌측 착용 모듈(130) 및 우측 착용 모듈(140) 중 적어도 하나는, 내부에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직선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와, 상기 사용자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이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리 측정 센서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RF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포함한다.
만일 상기 거리 측정 센서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거리 측정 센서는 센터 모듈(110), 좌측 착용 모듈(130) 및 우측 착용 모듈(140)의 외측 하부면에 장착되어 지면을 향해 적외선을 발광하고 수신되는 반사신호의 수신시간을 이용하여 지면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는 지면과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를 측정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거리 측정 센서를 통해 얻어진 거리가 'A'이고, 상기 기울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통해 측정된 회전각이 'B'라고 할 때, 최종적으로 피타고라스 정의에 의해 'A(거리) X sin B(각도) = H(높이)'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측정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를 비교한 결과, 만일 제2 거리(d2)가 제1 거리(d1)보다 작다면(S200), 좌측 착용 모듈(130)의 후방 외측에 마련된 제1 표시부(132)를 통해 제1 점멸신호를 표시한다(S300).
다음으로, 측정된 제1 거리(d1)와 제3 거리(d3)를 비교한 결과, 만일 제3 거리(d3)가 제1 거리(d1)보다 작다면(S400), 우측 착용 모듈(140)의 후방 외측에 마련된 제2 표시부(142)를 통해 제1 점멸신호를 표시한다(S500).
다음으로, 측정된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 및 제3 거리(d3)를 각각 비교한 결과, 만일 제2 거리(d2) 및 상기 제3 거리(d3)가 모두 제1 거리(d1)보다 크다면(S600), 전술한 제1 표시부(132) 및 제2 표시부(142)를 통해 제2 점멸신호를 표시한다(S700).
여기서, 센터 모듈(110)의 일면에는 내부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전원부(111)가 마련될 수 있고, 제1 표시부(132) 및 제2 표시부(142)는 전원부(111)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따라 점등되거나 소등되게 된다.
예컨대, 전술한 S200 단계 내지 S700 단계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전원부(111)가 온 되는 시점부터 제1 표시부(132) 및 제2 표시부(142)는 전원부(111)가 오프 되기 전까진 기본적으로 점등 상태를 유지하나, 센터 모듈(110)에서 출력된 점멸신호가 제1 점멸신호이면 제1 표시부(132)와 제2 표시부(142) 중 어느 하나를 점등 상태에서 점멸 상태로 전환하고, 센터 모듈(110)에서 출력된 점멸신호가 제2 점멸신호이면 제1 표시부(132) 및 제2 표시부(142)가 기설정된 주파수가 점멸시키게 된다.
비록, 도면 및 전술한 내용에서는 센터 모듈(110)이 제1 거리(d1)의 크기와 제2 거리(d2)의 크기를 직접 비교하고, 제1 거리(d1)와 제3 거리(d3)의 크기를 직접 비교하는 것으로 서술되어 있긴 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터 모듈(110)이 제2 거리(d2)와 제3 거리(d3) 중 어느 하나가 제1 거리(d1)보다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 작은 경우에 제1 점멸신호를 출력하고, 제2 거리(d2) 및 제3 거리(d3)가 제1 거리(d1)보다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 큰 경우에 제2 점멸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착용 모듈(130) 및 우측 착용 모듈(140)의 경우, 사용자의 신체조건, 가령, 팔 길이나 허리길이 등에 따라 센터 모듈(110)의 착용 위치와 좌측 착용 모듈(130) 및 우측 착용 모듈(140)의 착용 위치 간의 높이 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전술한 상기 임계값은 이러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기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중에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시도하는 경우, 사용자의 몸체가 기울어지는 각도 및 방향을 감지하여 후방 측에 뒤따라오는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예상 주행 방향을 미리 안내함으로써 방어 운전이나 예방 행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중에 돌발적으로 장애물을 발견 또는 감지하여 주행 속도를 급격히 감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양팔이 동시에 일정 높이 상승하는 동작을 감지하여 후방 측에 뒤따라오는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돌발 상황의 발생을 알려 전방의 상황에 따른 변동을 즉각적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퍼스널 모빌리티를 운행하는 사용자의 몸에 직접 착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각각의 퍼스널 모빌리티에 적용하기 위한 기계적 구성의 변형 등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으므로, 하나의 장치만으로 여러 종류의 퍼스널 모빌리티에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비용적 절감의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 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센터 모듈
111: 전원부
120: 연결부
130: 좌측 착용 모듈
131: 제1 하우징
132: 제1 표시부
133: 제1 고정부
134: 제1 체결부
140: 우측 착용 모듈
141: 제2 하우징
142: 제2 표시부
143: 제2 고정부
144: 제2 체결부

Claims (8)

  1. 지면 방향에 대한 제1 거리를 측정하여 저장하는 센터 모듈; 및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 정보를 상기 센터 모듈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용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센터 모듈은,
    상기 측정된 거리 정보를 상기 제1 거리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 모듈의 후방에 구비된 표시부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착용 모듈은,
    후방 외측에 좌측 주행 여부를 안내하도록 점등 또는 점멸되는 제1 표시부가 마련되어 상기 센터 모듈의 좌측에 위치되는 것이며, 상기 센터 모듈과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제2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제2 거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센터 모듈로 전송하는 좌측 착용 모듈; 및
    후방 외측에 우측 주행 여부를 안내하도록 점등 또는 점멸되는 제2 표시부가 마련되어 상기 센터 모듈의 우측에 위치되는 것이며, 상기 센터 모듈과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제3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제3 거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센터 모듈로 전송하는 우측 착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모듈은,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가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2 거리 및 상기 제3 거리를 각각 비교한 결과, 상기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제1 표시부가 점멸되도록 하고, 상기 제3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제2 표시부가 점멸되도록 하는 제1 점멸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모듈은,
    상기 제2 거리 및 상기 제3 거리 모두가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가 기설정된 주파수로 점멸되도록 하는 제2 점멸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모듈과 상기 좌측 착용 모듈의 사이와 상기 센터 모듈과 상기 우측 착용 모듈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배선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모듈, 상기 좌측 착용 모듈 및 상기 우측 착용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내부에 하측 지면 방향에 대한 직선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와, 상기 사용자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이에 따른 가속도 및 각속도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모듈은 외측 일면에 내부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전원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전원부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따라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착용 모듈 또는 상기 우측 착용 모듈은,
    외측 전면의 양단부에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좌측 신체 일부 또는 우측 신체 일부를 감싸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방 일측면에 형성되는 소정의 벨크로 테이프 형태의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KR1020170145668A 2017-11-03 2017-11-03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KR101954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668A KR101954092B1 (ko) 2017-11-03 2017-11-03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668A KR101954092B1 (ko) 2017-11-03 2017-11-03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092B1 true KR101954092B1 (ko) 2019-03-05

Family

ID=6576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668A KR101954092B1 (ko) 2017-11-03 2017-11-03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0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727A (ko) 2021-01-21 2022-07-28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용 이동 수단의 안전 확보를 위한 웨어러블 방향 지시 장치
KR20230089678A (ko) * 2021-12-14 2023-06-21 (주)메티스 주행 안전성을 높인 스마트 전동 퀵-보드 및 이를 이용한 전동 퀵-보드의 주행관리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2572B1 (en) * 2004-10-29 2006-01-31 Gary Fraser Bevin Direction indicator system
KR101251399B1 (ko) 2010-07-15 2013-04-10 홍선우 페달부를 이용한 자전거용 방향지시장치
KR20140028922A (ko) * 2012-08-31 2014-03-10 (주)퓨쳐 라이팅 후방감지용 초음파 거리센서를 구비한 자전거 후방감지시스템
US20150366275A1 (en) * 2014-06-19 2015-12-24 Gyula Cserfoi Wearable Signaling Device
KR20160050874A (ko) * 2014-10-31 2016-05-11 오재영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KR101624114B1 (ko) * 2014-12-11 2016-06-07 이송무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
KR20170106014A (ko) 2016-03-11 2017-09-20 이동수 발광 표시 장치 및 스마트 발광 표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2572B1 (en) * 2004-10-29 2006-01-31 Gary Fraser Bevin Direction indicator system
KR101251399B1 (ko) 2010-07-15 2013-04-10 홍선우 페달부를 이용한 자전거용 방향지시장치
KR20140028922A (ko) * 2012-08-31 2014-03-10 (주)퓨쳐 라이팅 후방감지용 초음파 거리센서를 구비한 자전거 후방감지시스템
US20150366275A1 (en) * 2014-06-19 2015-12-24 Gyula Cserfoi Wearable Signaling Device
KR20160050874A (ko) * 2014-10-31 2016-05-11 오재영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KR101624114B1 (ko) * 2014-12-11 2016-06-07 이송무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
KR20170106014A (ko) 2016-03-11 2017-09-20 이동수 발광 표시 장치 및 스마트 발광 표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727A (ko) 2021-01-21 2022-07-28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용 이동 수단의 안전 확보를 위한 웨어러블 방향 지시 장치
KR20230089678A (ko) * 2021-12-14 2023-06-21 (주)메티스 주행 안전성을 높인 스마트 전동 퀵-보드 및 이를 이용한 전동 퀵-보드의 주행관리 시스템
KR102637918B1 (ko) 2021-12-14 2024-02-19 (주)메티스 주행 안전성을 높인 스마트 전동 퀵-보드 및 이를 이용한 전동 퀵-보드의 주행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59332T3 (es) Motocicleta con dispositivo para la detección de un vehículo aproximándose por la parte trasera
US10137827B2 (en) Position lighting device
US8325027B2 (en) Safety light device
US20090256698A1 (en) Brake light warning system with early warning feature
US97184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ely determining height clearance and generating alerts
JP2009042896A (ja) 注意情報提示システムおよび自動二輪車
US9603403B2 (en) Helmet-mounted motorcycle rider visualization device
CN106740505B (zh) 一种汽车后视镜盲区检测系统和汽车后视镜
US11498478B2 (en) Electric scooter lighting for improved conspicuity
KR101954092B1 (ko)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WO2013098454A1 (es) Equipamiento señalizador para usuarios de motocicletas
US11318888B2 (en)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battery charge level indicator
KR101470238B1 (ko)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헬멧
ES2768775T3 (es) Sistema de señalización autónomo extraíble para usuarios de vehículos sin cabina
WO2017153708A1 (en) Cyclist accessory system
EP3475150B1 (en) Motorcycle comprising an auxiliary lighting device
KR101413145B1 (ko)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
KR20180008012A (ko)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엘이디 경보등이 구성된 안전 헬멧
KR101893880B1 (ko) 자전거용 스마트 전조등
KR20140111733A (ko) 매트릭스형 스마트 자동차 전조등
KR20170106014A (ko) 발광 표시 장치 및 스마트 발광 표시 시스템
CN109311520A (zh) 包括用于停放操作的辅助照明装置的机动车
JP2008176648A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システム
KR101479126B1 (ko) 차량의 충돌 방지를 위한 사이드미러 시스템
KR20090124333A (ko) 자동차 운행형태 및 속도에 대응하는 졸음운전 경고방법 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