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874A -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874A
KR20160050874A KR1020140149988A KR20140149988A KR20160050874A KR 20160050874 A KR20160050874 A KR 20160050874A KR 1020140149988 A KR1020140149988 A KR 1020140149988A KR 20140149988 A KR20140149988 A KR 20140149988A KR 20160050874 A KR20160050874 A KR 20160050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unit
distance
driver
travel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영
Original Assignee
오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영 filed Critical 오재영
Priority to KR1020140149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0874A/ko
Publication of KR20160050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00Acoustic signal devices; Arrangement of such devices on cycles
    • B62J3/10Electr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2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B62J6/055Electrical means, e.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22Warning or information lights
    • B62J6/26Warning or information lights warning or informing other road users, e.g. police flash ligh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를 이용하여 이동함에 있어, 전방을 주시하는 운전자가 주시하지 못하는 후방 및 측방으로부터 허용 이격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고 자전거의 후방을 비롯한 자전거 주변에 자전거의 존재 여부와 이동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게 하는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행 중인 자전거와 함께 이동되는 형태로 상기 자전거와 인접 설치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에 설치되어 자전거의 후방에서 이동 중인 거리 측정 대상과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와 자전거 및 거리 측정 대상 간의 허용 이격 거리가 사전 설정되어 허용 이격 거리의 이내로 접근하는 거리 측정 대상 존재 시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자전거의 운전자에게 허용 이격 거리 내로 진입한 거리 측정 대상의 존재 사실을 알리는 추돌 경고부와 몸체부에 결합되어 자전거의 진행 방향을 후방에서 이동 중인 사람에게 표시하는 주행 방향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Driving Assistance Device for Bicycle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자전거의 주행 시 해당 자전거의 운전자가 주시하기 어려운 후방 및 측방의 접근 대상에 대한 이격 거리 정보를 토대로 해당 자전거 운전자에게 추돌 사고의 위험 신호를 전달하고 또한 해당 자전거의 주행 방향을 후방에서 이동 중인 차량이나 타 자전거 등에 표시할 수 있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그 사용자가 자신의 발 및 다리를 통해 직접 동력을 전달하며 주행하는 교통수단의 한 형태로써, 자전거에 대한 유지비용 외에 교통비가 소비되지 안는 동시에 가까운 거리를 이동 시 자동차에 비해 교통체증 없이 신속히 이동할 수 있어, 단거리의 이동수단으로 많이 이용된다.
또한 최근 들어 자전거가 교통수단의 용도 이외에 건강 증진 등을 위한 운동 및 취미 용도로 더 활발히 이용되는 추세이며, 이렇게 운동 및 취미 용도로 자전거를 이용 시 비교적 장거리의 주행도 하게 되므로, 자전거 주행 시의 안전사고 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그러나 자전거 전용도로가 곳곳에 확충되는 등 자전거를 이용한 주행 환경이 개선되는 추세에 있지만, 모든 도로에 자전거 전용도로가 병행 설치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차도의 변을 따라 자전거를 주행하거나 차도 겸용의 인도에서 차량과 자전거가 함께 주행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며, 이는 자전거 운전자가 차량과의 추돌 등 교통사고의 위험에 수시로 노출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자전거는 통상 백미러 또는 사이드미러 등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로 제조되므로 자전거의 사용자가 후방의 위험 요소를 확인하기 어렵고, 또한 자전거의 후방에서 주행 중인 차량 운전자의 경우에는 전방에서 주행하는 자전거의 진행 방향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전거 운전자 및 차량 운전자 간에 상호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조금이라도 소홀히 할 경우 가벼운 접촉사고에서부터 인명 피해 등의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상존한다.
이러한 이유로 자전거용 사이드미러 등 자전거의 안전주행을 위한 보조용품들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지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자전거용 보조용품들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입되어 설치되는 방식이므로, 이를 개별 구입하여 설치해야 하는데 따른 불편함이 있고, 따라서 대다수의 자전거 사용자들이 최소한의 보조용품만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인 상황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03313호(2012.11.21. 공고), “자전거 운행 표시기” 한국 등록특허 제10-1277549호(2013.06.27. 공고), “착용형 자전거용 안전장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전거의 주행 시 해당 자전거의 운전자가 주시하기 어려운 후방 및 측방의 접근 대상에 대한 이격 거리 정보를 토대로 해당 자전거 운전자에게 추돌 사고의 위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전거의 주행 시 해당 자전거의 운전자가 주행 방향을 후방에서 이동 중인 차량이나 타 자전거 또는 보행자 등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전거의 주행 시 해당 자전거의 존재 사실을 주변에 알릴 수 있어 야간 주행 시와 같이 어두운 주행 환경에서 해당 자전거의 운전자가 주변에서 주행하는 차량 등에 의해 사고를 당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전거 주행 과정에서의 후방 및 측방 영상을 촬영 및 저장할 수 있어 자전거의 주행 상황을 추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자전거 주행 과정에서의 사고 발생 시 해당 사고 발생 상황의 확인용 영상 자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는 자전거의 주행 시를 기준으로 상기 자전거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자전거와 함께 이동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전거의 후방에서 이동 중인 거리 측정 대상과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와 상기 자전거 및 거리 측정 대상 간의 허용 이격 거리가 사전 설정되어 상기 허용 이격 거리의 이내로 접근하는 거리 측정 대상 존재 시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자전거의 운전자에게 상기 허용 이격 거리 내로 진입한 거리 측정 대상의 존재 사실을 알리는 추돌 경고부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자전거의 진행 방향을 후방에서 이동 중인 사람에게 표시하는 주행 방향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자전거 운전자의 의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돌 경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상기 자전거 운전자의 신체에 진동을 전달하거나 상기 자전거 운전자의 청각에 진동 소리를 전달하는 진동모터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방향 표시부는 복수의 LED가 화살표의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전거의 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전거의 존재 사실을 상기 자전거의 후방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의 변을 따라 설치되어 발광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거리 센서, 제어부, 추돌 경고부, 주행 방향 표시부에 직간접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방전형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타 전자기기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USB 방식의 보조전원 공급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주행 방향 표시부의 동작용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제 1 통신모듈과 상기 제 1 통신모듈과의 통신을 위한 제 2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주행 방향 표시부의 동작용 제어신호를 상기 제 2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 1 통신모듈에 전송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주행 방향 표시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전기전자적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형 스마트 단말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전거의 주행 시 해당 자전거의 운전자가 주시하기 어려운 후방 및 측방의 접근 대상에 대한 이격 거리 정보를 토대로 해당 자전거 운전자에게 추돌 사고의 위험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전거 주행 시의 추돌 사고 및 그에 따른 사고자의 부상 및 인명 피해 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자전거의 주행 시 해당 자전거의 운전자가 주행 방향을 후방에서 이동 중인 차량이나 타 자전거 또는 보행자 등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전거의 갑작스런 주행 방향 변경에 따른 후방 차량 내지 타 자전거 등과의 추돌 사고가 잘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자전거의 보다 안정적인 주행 환경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전거의 주행 시 해당 자전거의 존재 사실을 주변에 알릴 수 있어 야간 주행 시와 같이 어두운 주행 환경에서 해당 자전거의 운전자가 주변에서 주행하는 차량 등에 의해 사고를 당하는 현상을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자전거 주행 과정에서의 후방 및 측방 영상을 촬영 및 저장할 수 있어 자전거의 주행 상황을 추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자전거 주행 과정에서의 사고 발생 시 해당 사고 발생 상황의 확인용 영상 자료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의 각 구성별 세부 설명을 하기에 앞서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의 기본 기능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전거의 경우 후방 주시를 위한 백미러나 사이드미러를 포함하지 않은 제품이 대부분이므로, 자전거 운전자는 후방으로부터의 위험요소에 대해 항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이지만, 이는 자전거 운전 중에는 시선을 후방이나 측방으로 향할 시 사고의 위험이 급격이 높아지는 이유 등으로 인해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는 주행중인 자전거의 후방과 측방에 대한 위험요소 정보를 해당 자전거의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자전거는 차량과 달리 좌우 방향 전환에 따른 자체 신호 전달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자전거 후방이나 측방에서 이동중인 차량이나 사람의 경우 자전거의 주행 방향을 예측하기가 어렵고, 야간에 자전거로 이동 시 운전자가 별도로 조명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 자체 발광 장치가 없는 자전거는 존재 여부 확인이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는 자전거의 존재 여부와 주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해당 자전거 주변에서 이동 중인 차량이나 사람에 제공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의 각 구성들에 대한 세부 구조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100)는, 몸체부(110), 거리 센서(120), 제어부(130), 추돌 경고부(140), 주행 방향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100)는 카메라(111), 알림부(112), 충방전형 전원공급부(113), 제1 및 제2 통신모듈(114, 210), 조작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자전거의 주행 시 상기 자전거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태로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몸체부(110)는 자전거에 직접 설치 시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고, 이와 다른 형태로써 운전자의 의복에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0)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의 기본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몸체부(110)에는 거리 센서(120), 제어부(130), 추돌 경고부(140), 주행 방향 표시부(150), 카메라(111), 알림부(112), 충방전형 전원공급부(113), 제1 통신모듈(114)이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몸체부(110)가 자전거 운전자의 의복에 벨크로 테이프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부(110)가 자전거 또는 자전거 운전자의 의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결합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거리센서(120)는 주행 중인 자전거의 후방 및 측방에서 이동 중인 측정 대상과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130)에 전송하며, 여기서 거리 센서(120)를 통한 거리 측정 대상은 차량이나 타 자전거 또는 사람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거리 측정 대상은 차량인 것을 예로 하겠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하나의 거리 센서(120)가 몸체부(110)에 설치되어 이동중인 자전거 후방 차량들에 대한 이격 거리를 측정하지만 측방으로부터 접근하는 차량에 대한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추가로 거리센서(120)를 설치할 수 있으며 거리 측정 오류 보정을 위하여 각 방향에 복수로 거리 센서(120)를 설치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거리센서(120)로부터 전송되는 거리 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허용 이격 거리 이내로 차량 접근 시 추돌 경고부(140)에 신호를 보낸다. 다시 말해 제어부(130)는 주행중인 자전거 및 후방 또는 측방의 차량간 허용 이격 거리가 미리 설정되며, 이러한 허용 이격거리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100)의 제조 시 정해지는 것일 수 있고, 사용자가 조작부(200)를 통해 직접 설정하는 방식이 포함될 수도 있다.
추돌 경고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해당 자전거의 운전자에게 제어부(130)에 설정된 허용 이격거리 내로 접근한 차량이 있음을 알린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추돌 경고부(140)가 진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추돌 경고부(140)는 운전자의 신체에 진동을 전달하는 방법이나 운전자의 청각에 진동 소리를 전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후방 또는 측방 차량의 상기 허용 이격 거리 내의 차량 접근 사실을 해당 자전거 운전자에게 전달한다.
주행 방향 표시부(150)는 몸체부(110)에 결합되어 해당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후방 및 측방에 표시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주행 방향 표시부(150)가 좌측과 우측을 표시하기 위하여 화살표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LED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100)의 사용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방향 표시부(150)는 조작부(200)를 통해 전송되는 운전자의 주행 방향 정보에 따라 좌측 화살표 또는 우측 화살표를 점등하여 자전거의 주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자전거 후방 및 측방의 차량과 사람에게 표시한다.
다시 도 1및 도 2로 돌아가서, 카메라(111)는 몸체부(110)에 설치되며, 이러한 카메라(111)는 자전거 후방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한다. 기본적으로 하나의 카메라(111)가 몸체부(110)에 설치되어 이동중인 자전거 후방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지만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추가로 카메라(111)를 설치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획득한 영상정보를 조작부(2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1)가 장기적으로 영상을 획득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부(200)를 통해 카메라(111)의 작동 시간을 설정하는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알림부(112)는 몸체부(110)의 변을 따라 발광하도록 설치되어 발광함으로써 자전거의 존재 사실을 자전거 후방에서 이동중인 차량이나 사람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조작을 통해 발광 여부가 조절될 수 있어 주행중인 자전거의 존재 사실 여부가 자전거 주변의 충분한 광량으로 인하여 확인 가능한 경우 동작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충방전형 전원공급부(113)는 몸체부(110)와 거리 센서(120) 및 제어부(130), 추돌 경고부(140), 주행 방향 표시부(150)에 직간접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몸체부(110)에 포함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지만,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USB 방식을 사용하는 보조전원 공급 케이블이 있어 타 전자기기 및 휴대형 스마트 단말기 등의 배터리로부터 전원 공급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제 1 통신모듈(114)은 몸체부(110)에 설치되어 몸체부(110)의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주행 방향 표시부(150)의 동작용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조작부(200)는 제 1 통신모듈(114)과의 통신을 위한 제 2 통신모듈(210)을 포함하며, 주행 방향 표시부(150)의 동작용 제어신호를 제 2 통신모듈(210)을 통해 제 1 통신모듈(114)에 전달한다. 그리고 조작부(200)는 주행 방향 표시부(150) 외에 카메라(111), 알림부(112) 등의 전기전자적 장치의 제어를 위한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조작부(200)가 주행 방향 표시부(150), 카메라(111), 알림부(112)의 제어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형 스마트 단말기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는, 자전거의 주행 시 해당 자전거의 운전자가 주시하기 어려운 후방 및 측방의 접근 대상에 대한 이격 거리 정보를 토대로 해당 자전거 운전자에게 추돌 사고의 위험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전거 주행 시의 추돌 사고 및 그에 따른 사고자의 부상 및 인명 피해 등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자전거의 주행 시 해당 자전거의 운전자가 주행 방향을 후방에서 이동 중인 차량이나 타 자전거 또는 보행자 등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전거의 갑작스런 주행 방향 변경에 따른 후방 차량 내지 타 자전거 등과의 추돌 사고가 잘 억제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자전거의 보다 잔정적인 주행 환경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자전거의 주행 시 해당 자전거의 존재 사실을 주변에 알릴 수 있어 야간 주행 시와 같이 어두운 주행 환경에서 해당 자전거의 운전자가 주변에서 주행하는 차량 등에 의해 사고를 당하는 현상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자전거 주행 과정에서의 후방 및 측방 영상을 촬영 및 저장할 수 있어 자전거의 주행 상황을 추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자전거 주행 과정에서의 사고 발생 시 해당 사고 발생 상황의 확인용 영상 자료가 제공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자전거용 보조장치 110 : 몸체부
111 : 카메라 112 : 알림부
113 : 전원 공급부 114 : 제 1 통신모듈
120 : 거리 센서 130 : 제어부
140 : 추돌 경고부 150 : 주행 방향 표시부
200 : 조작부 210 : 제 2 통신모듈

Claims (10)

  1. 자전거의 주행 시를 기준으로 상기 자전거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자전거와 함께 이동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전거의 후방에서 이동 중인 거리 측정 대상과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상기 자전거 및 거리 측정 대상 간의 허용 이격 거리가 사전 설정되어 상기 허용 이격 거리의 이내로 접근하는 거리 측정 대상 존재 시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자전거의 운전자에게 상기 허용 이격 거리 내로 진입한 거리 측정 대상의 존재 사실을 알리는 추돌 경고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자전거의 진행 방향을 후방에서 이동 중인 사람에게 표시하는 주행 방향 표시부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자전거 운전자의 의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돌 경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상기 자전거 운전자의 신체에 진동을 전달하거나 상기 자전거 운전자의 청각에 진동 소리를 전달하는 진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방향 표시부는 복수의 LED가 화살표의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전거의 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의 존재 사실을 상기 자전거의 후방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의 변을 따라 설치되어 발광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거리 센서, 제어부, 추돌 경고부, 주행 방향 표시부에 직간접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방전형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타 전자기기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USB 방식의 보조전원 공급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주행 방향 표시부의 동작용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제 1 통신모듈;
    상기 제 1 통신모듈과의 통신을 위한 제 2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주행 방향 표시부의 동작용 제어신호를 상기 제 2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 1 통신모듈에 전송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주행 방향 표시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전기전자적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형 스마트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KR1020140149988A 2014-10-31 2014-10-31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KR20160050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988A KR20160050874A (ko) 2014-10-31 2014-10-31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988A KR20160050874A (ko) 2014-10-31 2014-10-31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874A true KR20160050874A (ko) 2016-05-11

Family

ID=5602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988A KR20160050874A (ko) 2014-10-31 2014-10-31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087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4389A1 (ko) * 2016-08-17 2018-02-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자전거 안전운행 시스템
KR20190014769A (ko) * 2017-08-03 2019-02-1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의 네비게이션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알림 장치
KR101954092B1 (ko) * 2017-11-03 2019-03-05 대한민국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BE1025750B1 (nl) * 2017-12-04 2019-07-04 Detectin Traffic Bvba Elektronisch waarschuwingssysteem voor een fiets dat bedoeld is om verkeersongevallen te vermijden
FR3103945A1 (fr) * 2019-11-28 2021-06-04 Sylvain Hunault Dispositif portable autonome programmable d’alerte intégré dans une veste ou un gilet de sécurité permettant de prévenir directement l’individu équipé lorsqu’un élément pénètre dans une zone derrière lui, hors de son champ visuel, dans un rayon de détection et donc à une distance de sécurité préalablement déterminée par celui-ci.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4389A1 (ko) * 2016-08-17 2018-02-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자전거 안전운행 시스템
KR20190014769A (ko) * 2017-08-03 2019-02-1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의 네비게이션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알림 장치
WO2019027146A3 (ko) * 2017-08-03 2019-04-1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의 네비게이션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알림 장치
KR101954092B1 (ko) * 2017-11-03 2019-03-05 대한민국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BE1025750B1 (nl) * 2017-12-04 2019-07-04 Detectin Traffic Bvba Elektronisch waarschuwingssysteem voor een fiets dat bedoeld is om verkeersongevallen te vermijden
FR3103945A1 (fr) * 2019-11-28 2021-06-04 Sylvain Hunault Dispositif portable autonome programmable d’alerte intégré dans une veste ou un gilet de sécurité permettant de prévenir directement l’individu équipé lorsqu’un élément pénètre dans une zone derrière lui, hors de son champ visuel, dans un rayon de détection et donc à une distance de sécurité préalablement déterminée par celui-c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9380B2 (en) Personal safety device, method and article
KR20160050874A (ko)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CN102044145B (zh) 车辆与行人的通信系统
JP6839625B2 (ja) 飛行体、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6690179B2 (ja) 挙動推定システム、及び挙動推定方法
US20180137749A1 (en) Personal Traffic Hazard Warning System
WO2015147346A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JP2010165087A (ja) 運転支援装置
US10399627B2 (en) Wearable signaling system and methods
KR101911632B1 (ko) 스마트 바이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EP3192383B1 (en) Autonomous removable signalling system for users of cabin-less vehicles
KR20180134191A (ko)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ES2903165T3 (es) Dispositivo para presentar una onomatopeya referente a resultados de evaluar un entorno circundante y método para presentar una onomatopeya
KR20130074259A (ko) 위험도에 따른 차량 색상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60764A (ko)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
CN111954611A (zh) 背在机车机械用户的背部上的具有内置式加速度计的发信装置
KR102380353B1 (ko)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
US20200369265A1 (en) Parked Vehicle Active Collision Avoidance and Multimedia System
KR102285012B1 (ko) 가상현실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1715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ersonal visual communications display
JP7055909B2 (ja) 飛行体、及び飛行体の制御方法
KR20210101672A (ko)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4851B1 (ko) 스마트폰의 내비게이션app과 연동되는 방향지시 기능이 구비된 선글라스
WO2017208056A1 (en) Traffic information system
KR20180054285A (ko) 헤드 마운트 가상현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