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191A -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191A
KR20180134191A KR1020170071748A KR20170071748A KR20180134191A KR 20180134191 A KR20180134191 A KR 20180134191A KR 1020170071748 A KR1020170071748 A KR 1020170071748A KR 20170071748 A KR20170071748 A KR 20170071748A KR 20180134191 A KR20180134191 A KR 20180134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display device
module
strolle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팝
Priority to KR1020170071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4191A/ko
Publication of KR20180134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9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e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the animal on the body of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54Bag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1/00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 H04R21/02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반려동물 유모차에 설치되어 메시지와 사운드를 출력하는 반려동물 표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는, 하우징 부재와, 문자 및 그래픽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과, 반려동물 표시장치의 콘트롤 스위치들과, 파워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한 스위치 모듈과,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모듈과, 센서모듈과, 통신모듈 및 반려동물의 정보를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해두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과 사운드 모듈을 통해 메시지와 사운드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반려동물 표시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PET CARRIAGE INFORMATIO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을 태우고 외출하는 반려동물 유모차나 카트 또는 반려동물 캐리지에 반려동물 표시장치를 부착하여 반려동물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유모차의 전조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족의 구성원이 줄어듦에 따라 일상생활의 단조로움을 탈피하기 위해 인간과 함께 거주하면서 생활하는 반려동물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다양해지는 추세이다. 이처럼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생활하는 가정 수가 늘어남에 따라 반려동물로서 함께 산책하거나 외출하게 되고, 매번 안고 다니거나 목줄로 묶어서 다니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최근에는 반려동물을 태우고 다니는 반려동물 유모차나, 반려동물 캐리지 및 반려동물 가방이나 백펙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애완견 유모차가 있지만 부피도 크고 유모차 하나의 기능만으로 사용하기에는 가격대도 비싸고 비싼 만큼에 비해서 활용도가 떨어진다. 또한, 유모차의 기능에 애완견 바구니의 기능을 추가하여 자동차나 지하철, 대중 교통 수단 등에서 애완견을 이동시키는데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반려동물 유모차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10-1091428호에는 '다기능 애완견 유모차'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애완견 유모차로 외출시에는 애완견 유모차 또는 애완견 바구니가 되지만 실내에서는 애완견 집 또는 애완견 장난감인 애완견 자동차, 흔들 침대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애완견 유모차를 제안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선행기술의 애완견 유모차나, 일반 유아용 유모차와 같은 유모차에 반려동물을 태우는 바스켓을 안착시킨 반려동물 유모차에는 단순히 반려동물을 태우고 이동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야간 산책을 하거나 사람이 많은 곳을 이동할 때 반려동물 유모차임을 쉽게 알릴 수 있는 수단이 없었고, 시인성이 떨어져 충돌사고 발생이 우려될 수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1091428호 '다기능 애완견 유모차'(2011.12.01)
본 발명은 반려동물 유모차나, 반려동물 캐리지, 반려동물 카트 또는 반려동물 운반 백에 해당 반려동물 관련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조명 표시로 반려동물 탑승을 알릴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유모차에 설치되어 메시지와 사운드를 출력하는 반려동물 표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는,
하우징 부재;
문자 및 그래픽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
반려동물 표시장치의 콘트롤 스위치들과, 파워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한 스위치 모듈;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모듈과;
반려동물의 정보를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해두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과 사운드 모듈을 통해 메시지와 사운드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반려동물 표시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는,
상기 하우징 부재가 플렉시블 밴드 타입으로 구성되어 반려동물 유모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 유모차의 바스켓 지지바에 매립형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는,
전방 감시 수단을 포함하는 센서모듈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전방을 감시하여 디스플레이 및 사운드 출력을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모듈에는,
카메라와 마이크를 포함하고, 동영상을 촬영하여 선입선출 메모리 저장 기법으로 일정시간동안의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 블랙박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전방 감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순차적 스크롤방식으로 점등 제어함과 아울러 미리 설정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는,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통신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의 메시지와 사운드의 설정 입력과, 원격제어를 위한 반려동물 관리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의 통신모듈은,
직렬통신부 및 USB포트를 포함하고, USB포트를 통해 USB 케이블로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어 반려동물 관리앱을 통해서 반려동물 정보의 설정 입력 및 출력 메시지와 사운드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의 통신모듈은,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통신에 의해 반려동물 관리앱을 통해서 반려동물 표시장치의 정보 설정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가 착용형 부재에 설치되어 반려동물에게 착용되고, 상기 유모차에 설치된 반려동물 표시장치와, 상기 반려동물에게 착용된 반려동물 표시장치가 상호 통신에 의해 상태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에 의거하여 반려동물의 유모차 탑승여부와, 분실 경보를 자동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른 자동 안내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 유모차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 운반용 카트, 반려동물 운반용 가방, 캐리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운반 수단에 반려동물 표시장치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 유모차, 반려동물 캐리지, 반려동물 카트, 반려동물 운방용 가방, 백펙 등에 반려동물 표시장치를 설치하여 조명 및 메시지를 출력하게 함으로써, 어두운 야간에도 밝은 시인성으로 안전하게 산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스플레이 조명을 스크롤 방식이나 스캔방식 등으로 제어하고, 칼라 조명으로 밝기와 방향성을 다양하게 제어함으로써 블링블링 빛나는 패션 아이템으로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나 그래픽 메시지와 사운드를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시켜 외부로 알리게 함으로써 주변 사람들에게 나의 반려동물을 정보를 알리고 관심을 유발하는 패션 아이템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 유모차와, 반려동물에게 각각 표시장치를 설치 및 착용시키고, 상호 정보교환에 의해 분실 경보와 자동 호출 메시지 출력 등으로 분실 방지 기능을 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 앱을 통한 설정제어와 원격 제어 및 분실 방지 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의한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의 기능블록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 유모차(200)에 반려동물 표시장치(100)를 부착 설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 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플렉시블 밴드 타입의 형태로 유모차(200)에 부착된 것을 실시 예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부착설치할 수도 있고, 유모차의 가이드바나 지지바에 매립형이나 내장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설치부재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 유모차(200)에 설치된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려동물 카트, 반려동물 캐리지, 반려동물 운반용 가방, 반려동물 운반용 백펙 등등에도 적용하여 반려동물 표시장치(100)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반려동물을 태우는 바스켓의 앞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 밴드 타입으로 구성하는 것을 예로 하였으며, 플렉시블 밴드 타입의 반려동물 표시장치는 반려동물 착용형 목밴드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고, 도 1에서와 같이 착용형 반려동물 표시장치(400)로서 반려동물의 목밴드로 착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유모차(200)에 부착 설치되는 반려동물 표시장치(100)는, 상기 반려동물 유모차(200)에 설치되어 전조등 조명기능과, 메시지와 사운드를 출력한다. 이러한 기본 기능을 위하여 반려동물 표시장치(100)는 도 2와 같은 기능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100)는,
하우징 부재(101)와, 문자 및 그래픽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반려동물 표시장치의 콘트롤 스위치들과, 파워 온/오프 스위치(121)를 구비한 스위치 모듈(120)과,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모듈(160)과, 반려동물의 정보를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해두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사운드 모듈(160)을 통해 메시지와 사운드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70)과, 반려동물 표시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부재(101)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플렉시블 밴드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부에 각 모듈들이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기회로장치들이 설치되며, 그 전기회로장치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모듈(110)이 상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하우징 부재(101)에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도 4의 (가)와 같이 5x36 도트 사이즈의 LED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기본형 소폭 형태인 경우는, 반려동물 목에 착용하기 위한 목밴드 타입의 표시장치를 구성할 때 이용될 수 있다. LED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하기 때문에 전체적 구성을 플렉시블 밴드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런데 한글이나 한자 또는 그래픽을 표현하고자 할 때는 소폭 디스플레이모듈로는 구현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도 4의 (나)와 같이 16x48 사이즈의 광폭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성할 수 있으며, 광폭 구성을 하게 되면 복잡한 획수를 필요로하는 한자 구현에도 적합해진다. 폭이나 길이는 설치하는 대상에 따라 맞게 사이즈를 조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사이즈를 조정하여 제작된 경우 제어모듈(17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오퍼레이션 코딩을 설정하여 조정하면 된다.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콘트롤 장치를 분리 구성하고, 콘트롤 장치에 상기한 스위치모듈, 전원모듈, 센서모듈, 통신모듈, 사운드 모듈 및 제어모듈을 내장시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모듈(120)은, 온/오프 스위치(121)를 포함하고, 콘트롤 버튼을 구비한다. 콘트롤 버튼은 모드 선택이나 메시지를 선택하는 스크롤 버튼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전원모듈(130)은, 기본적으로는 건전지를 이용하여 표시장치 내의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건전지를 이용하는 경우는 유모차나 카트 캐리지 등의 프레임이 구비되는 반려동물 이동수단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콘트롤장치를 분리 구성할 경우에 쉽게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건전지의 일회성 문제를 감안하여 충전식 전원모듈로 구성된다.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USB포트(131)를 구비하고, 내부에 충전 밧데리와 충전 모듈을 구비해 USB 포트 연결로 쉽게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표시장치(100)는, 센서모듈(140)과, 통신모듈(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모듈(140)은, 전방 감시를 위한 센서수단을 설치하고, 전방 감시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 및 사운드와, 조명을 제어하도록 한다. 전방 감시 센서수단으로는, 적외선 센서나 초음파 센서, 카메라 센서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모차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경고 부저나 디스플레이 조명제어를 하거나, 반려동물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 감지뿐만 아니라 이동물체나 급격이 거리를 좁혀오는 이동차량이나 자전거 또는 전동이동 장치 등에 대해서는 거리가 좁혀지는 시간차에 의해 긴급 경보를 발생하여 충돌 및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이러한 기능은 사람이 많은 곳이나 장애물이 많은 곳을 이동할때는 충돌경보 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콘트롤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 표시장치(100)를 바스켓의 정면에 길게 부착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된 경우, 야간에 단순 조명으로서 스캔 조명이나 스크롤 조명으로 제어하게 되면 먼 거리에서도 아주 명확한 시인성이 확보되어 효과적으로 유모차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조명제어를 하는 경우에 일측에서 타측, 타측에서 일측으로 순차적 점등 제어를 하는 스캔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양측에 각각 일정 크기 영역을 점등시키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점등제어를 할 수 있으며, 칼라 제어도 가능하다. 이렇게 본 발명의 가장 단순한 용도로 전조등과 같은 시인성 조명등으로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고, 먼거리에서도 쉽게 확인가능하고 야간 식별력이 향상되어 접촉 및 충돌 사고를 방지할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140)로서, 카메라와 마이크를 포함하고, 동영상을 촬영하여 선입선출 메모리 저장 기법으로 일정시간 동안의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 블랙박스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반려동물이 뛰어노는 것을 블랙박스 영상으로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100)는, 상기 제어모듈(170)에 의해 제어되는 통신모듈(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150)과 통신하는 통신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300)에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100)의 메시지와 사운드의 설정 입력과, 원격제어를 위한 반려동물 관리앱(3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100)의 통신모듈(150)은,
직렬통신부 및 USB포트를 포함하고, USB포트를 통해 USB 케이블로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어 반려동물 관리앱을 통해서 반려동물 정보의 설정 입력 및 출력 메시지와 사운드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100)의 통신모듈(150)은,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모바일 단말기(300)와 무선통신에 의해 반려동물 관리앱(310)을 통해서 반려동물 표시장치(100)의 정보 설정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모듈(150)을 설치하고, 모바일 단말기(300)를 통해 간편하게 설정 정보를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설정정보는 통상 반려동물 정보로서, 반려동물 이름, 소유주 주소, 연락처와, 반려동물의 종류나 나이 등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메시지로서 인사말이나 흥미 유발 문구나 상용구, 등등을 입력하여 저장해두고, 스크롤시키면서 반복하여 디스플레이하게 할 수 있고, 선택된 인사말이나 상황에 맞는 문구를 입력해 출력시키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가 착용형 부재에 설치되어 반려동물에게 착용되고, 상기 유모차에 설치된 반려동물 표시장치(100)와, 상기 반려동물에게 착용된 반려동물 표시장치(400)가 상호 통신에 의해 상태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에 의거하여 반려동물의 유모차 탑승여부와, 분실 경보를 자동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른 자동 안내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반려동물 표시장치를 유모차에 설치한 반려동물 표시장치(100)와, 반려동물에게 착용시킨 착용형 반려동물 표시장치(400)를 구비하고, 아울러 모바일 단말기(300)에 반려동물 관리앱(310)을 설치한 구성으로 복합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복합 구성한 경우, 유모차체 설치된 반려동물 표시장치(100)와 반려동물에게 착용시킨 착용형 반려동물 표시장치(400)간에 상호 통신하여 상태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고, 마찬가지로 모바일 단말기(30)의 반려동물 관리앱(310)과도 상태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위치정보 확인 신호를 주고받아 분실 경보 기능으로 작동할 수 있고, 일정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반려동물에게 착용시킨 착용형 반려동물 표시장치(400)에서 주인의 부름 목소리를 출력시켜 되돌아오게 유도할수도 있으며, 멀어진 거리에 따른 경보음 발생으로 분실전에 반려동물을 찾도록 유도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반려동물 유모차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 운반용 카트, 반려동물 운반용 가방, 캐리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운반 수단에 반려동물 표시장치를 부착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의 반려동물 관리앱을 통해서 각각의 부착 설치된 용도에 따라 표시되는 메시지나 사운드 및 제어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정하여 맞춤 용도로 적용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반려동물 표시장치 200 : 반려동물 유모차
300 : 모바일 단말기 310 : 반려동물 관리앱
400 : 착용형 반려동물 표시장치 101 : 하우징 부재
110 : 디스플레이 모듈 120 : 스위치 모듈
130 : 전원 모듈 140 : 센서모듈
150 : 통신모듈 160 : 사운드 모듈
170 : 제어모듈

Claims (9)

  1.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유모차에 설치되어 메시지와 사운드를 출력하는 반려동물 표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는,
    문자 및 그래픽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과;
    반려동물 표시장치의 콘트롤 스위치들과, 파워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한 스위치 모듈과;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모듈과;
    반려동물의 정보를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해두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사운드 모듈을 통해 메시지와 사운드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반려동물 표시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플렉시블 밴드 타입으로 구성되어 반려동물 유모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는,
    전방 감시 수단을 포함하는 센서모듈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전방을 감시하여 디스플레이 및 사운드 출력을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에는,
    카메라와 마이크를 포함하고, 동영상을 촬영하여 선입선출 메모리 저장 기법으로 일정시간 동안의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 블랙박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전방 감시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순차적 스캔하면서 점등 제어함과 아울러 미리 설정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는,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통신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의 메시지와 사운드의 설정 입력과, 원격제어를 위한 반려동물 관리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가 착용형 부재에 설치되어 반려동물에게 착용되고, 상기 유모차에 설치된 반려동물 표시장치와, 상기 반려동물에게 착용된 반려동물 표시장치가 상호 통신에 의해 상태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상태정보에 의거하여 반려동물의 유모차 탑승여부와, 분실 경보를 자동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른 자동 안내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표시장치는,
    반려동물 운반용 카트, 반려동물 운반용 가방, 반려동물 운반용 캐리지 중 어느 하나에 부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KR1020170071748A 2017-06-08 2017-06-08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KR20180134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748A KR20180134191A (ko) 2017-06-08 2017-06-08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748A KR20180134191A (ko) 2017-06-08 2017-06-08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191A true KR20180134191A (ko) 2018-12-18

Family

ID=6495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748A KR20180134191A (ko) 2017-06-08 2017-06-08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41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472B1 (ko) * 2019-07-29 2020-03-25 주식회사 칸트 안내정보의 전달이 가능한 반려동물의 안전 리드 장치
KR102094547B1 (ko) * 2019-05-29 2020-03-27 윤정우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99443A (ko) * 2020-02-04 2021-08-12 김세희 블랙박스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및 반려동물 관리방법
KR20220020673A (ko) *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페이지원 반려견 야간 안전 보행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547B1 (ko) * 2019-05-29 2020-03-27 윤정우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93472B1 (ko) * 2019-07-29 2020-03-25 주식회사 칸트 안내정보의 전달이 가능한 반려동물의 안전 리드 장치
KR20210099443A (ko) * 2020-02-04 2021-08-12 김세희 블랙박스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및 반려동물 관리방법
KR20220020673A (ko) *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페이지원 반려견 야간 안전 보행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4191A (ko)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US20190113214A1 (en) Illuminating safety and notification device
US20180122205A1 (en) Transit Worker Warning System
JP6531299B2 (ja) 多機能スマートバックパック
JP6839625B2 (ja) 飛行体、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11551590B2 (en) Messaging display apparatus
KR102025832B1 (ko) 스마트 지팡이
CN109925171B (zh) 一种多功能导航设备
CN206808756U (zh) 智能安全帽
US20170363258A1 (en) Hand mounted mirror and indicator device
EP4101696A1 (en) Camera housing device, camera equipment and rear view system
KR20160050874A (ko) 자전거용 주행 보조장치
KR20170068196A (ko) 자전거 라이더용 스마트 헬멧
KR101638940B1 (ko)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KR101822759B1 (ko) 스마트 우산
WO2011046240A1 (ko) 노약자용 전동차에 부설되는 경로 역탐지 장치
KR20140060764A (ko)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
GB2565792A (en) A hand mounted mirror and indicator device
KR101932893B1 (ko) 도로 횡단을 지원하는 유아용 캡
CN217183359U (zh) 摄像设备及后视系统
KR20160106298A (ko)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KR100593464B1 (ko) 차량운전자의 감정을 표시하는 이모티콘 표시장치
TW201709834A (zh) 針對人之頭部的安全裝備以及藉此實施的派遣支持方法
KR102427428B1 (ko) 안전가방
KR200493944Y1 (ko) 스트랩 발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