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547B1 -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547B1
KR102094547B1 KR1020190062947A KR20190062947A KR102094547B1 KR 102094547 B1 KR102094547 B1 KR 102094547B1 KR 1020190062947 A KR1020190062947 A KR 1020190062947A KR 20190062947 A KR20190062947 A KR 20190062947A KR 102094547 B1 KR102094547 B1 KR 102094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panion animal
companion
network service
soci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우
Original Assignee
윤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우 filed Critical 윤정우
Priority to KR102019006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01K11/008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incorporating G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GPS를 포함하여 현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출력하는 반려동물 단말, 반려동물 단말을 등록하고, 반려동물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반려동물 단말에서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피드(Feed)로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 이벤트를 수신하는 등록부, 반려동물 단말에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피드로 전송하는 피드부, 반려동물 단말의 GPS 추적 결과 기 설정된 패턴을 벗어나는 경로가 감지되는 경우, 반려동물 단말의 GPS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트래킹할 수 있도록 하는 추적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GPS BASED ANIMAL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GPS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을 추적하고 이벤트를 피드로 소셜미디어 내에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RFID 태그를 사용하여 동물의 신원을 확인하는 동물등록제도가 2014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동물등록 방법으로 개체에 내장형 무선식별장치를 삽입하는 방법, 외장형 무선식별장치를 부착하는 방법, 등록인식표를 부착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현재 동물 등록에 사용되는 RFID 태그는 동물의 위치를 알려주는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는다. 동물 등록에 사용되는 RFID 태그는 동물을 잃어버렸을 경우, 유기견 보호소 등에서 전용 리더를 사용하여, 소유주의 정보를 읽어서 소유주와 연락을 취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이 방법은 동물이 발견 되고 그 동물이 관련 기관으로 보내지기 전까지 동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고, 관련 기관에서는 보관기간을 10일로 단축시키고 그 이후에는 안락사를 시켜버리기 때문에, 소유주가 너무 늦게 연락을 취한 경우에는 이미 죽은 사체로 발견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때, 카메라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8-0135554호(2018년12월21일 공개)에는, 반려동물의 영상자료를 확보하고, 고속도로 등에서 사고 발생시 2차 사고를 방지하고, 현장에 직접 가는 비용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원거리에서 현장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협력 방법으로, 마스터 스마트폰과, 마스터 스마트폰이 지정한 영역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스마트폰이 통신망을 통하여 협력그룹으로 형성되는 구성, 협력 글부에 속한 슬레이브 스마트폰이 촬영한 영상이 마스터 스마트폰에 전송되거나, 마스터 스마트폰이 촬영한 영상이 슬레이브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현재 시행되고 있는 RFID 뿐만 아니라 상술한 카메라 협력 방법도 CCTV를 보기 위해서는 경찰과 동행하는 것을 필요조건으로 CCTV를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현장상황에 대한 정보를 임의로 얻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추적할 때 높은 해상도로 촬영한다고 할지라도 각 반려동물의 얼굴을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이나 특징점을 잡아내기 어렵기 때문에, 동일한 종 또는 유사한 종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에는 계산의 복잡도 및 연산량이 높아져 인프라 구축에 비용이 많이 드는 것 뿐만 아니라,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려동물을 위한 소셜미디어를 구축하고, 반려동물을 별도의 수단 없이도 추적가능하도록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소셜미디어에 피드 객체로 등록된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카메라나 RFID 리더기의 도움없이도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고 이벤트를 통하여 추적할 수 있는,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PS를 포함하여 현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출력하는 반려동물 단말, 반려동물 단말을 등록하고, 반려동물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반려동물 단말에서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피드(Feed)로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 이벤트를 수신하는 등록부, 반려동물 단말에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피드로 전송하는 피드부, 반려동물 단말의 GPS 추적 결과 기 설정된 패턴을 벗어나는 경로가 감지되는 경우, 반려동물 단말의 GPS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트래킹할 수 있도록 하는 추적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반려동물을 위한 소셜미디어를 구축하고, 반려동물을 별도의 수단 없이도 추적가능하도록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소셜미디어에 피드 객체로 등록된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카메라나 RFID 리더기의 도움없이도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고 이벤트를 통하여 추적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반려동물이 안락사 처리를 당해 사체로 발견되거나 자동차에 치어 사고사를 당하거나, 심지어는 보신탕집에서 목을 매달아 죽임을 당하거나 망치로 때려잡히는 등 처참하게 죽어가거나, 건강원에서 개소주 팩으로 발견되거나, 이웃이나 노숙자에게 잡아먹히는 끔찍한 불의의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반려동물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 및 반려동물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반려동물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반려동물 단말(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반려동물 단말(500)과 연동되고,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사용자 단말(100)과 함께 반려동물 단말(500)을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반려동물 단말(5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소셜미디어를 통하여 피드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반려동물 단말(500)의 이동경로가 기 학습 또는 설정된 패턴에서 벗어나는 경우, 이를 피드로 공유받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반려동물 단말(5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나 카메라 등을 제어하고, 반려동물 단말(5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트래킹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피공유 단말(400)에서 제보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피공유 단말(400)과 연결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 및 반려동물 단말(500)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등록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반려동물 단말(500)에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등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가 기 설정된 이벤트를 충족하는 경우 소셜미디어에 피드로 공유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반려동물 단말(5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이동경로의 패턴을 학습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반려동물 단말(500)의 이동경로가 기 학습 및 저장된 패턴과 다른 경우,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로 피드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반려동물 단말(500)의 실시간 위치를 트래킹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반려동물 단말(500)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로 반려동물 단말(500)의 정보를 출력하는 서버일 수 있고, 반려동물 단말(500)의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의 DMB 단말로 서행신호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반려동물 찾음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실종 경고를 해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은,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반려동물 단말(500)의 이벤트에 대응하는 피드를 공유받는 피공유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 및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소셜미디어에서 피드를 공유받는 역할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역으로, 사용자 단말(100)도 피공유 단말(4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지만, 피드를 공유하는 역할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은,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반려동물 단말(500)이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다는 메세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반려동물 단말(500)은,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반려동물 단말(500)은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등록되는 단말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제어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반려동물 단말(500)은, 피공유 단말(400)에 근접하거나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 피공유 단말(400)로 기 설정된 메세지를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송한 메세지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반려동물 단말(500)은, 보신탕집, 건강원, 개농장 등의 위치를 기 저장하고, 기 저장된 위치를 반려동물이 지나가는 경우에는 전기충격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반려동물 단말(500)은, 고속도로, 차도 등의 위치를 기 저장하고, 역시 기 저장된 위치를 반려동물이 지나가는 경우에는 전기충격신호 등을 출력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반려동물 단말(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반려동물 단말(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반려동물 단말(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피드부(320), 추적부(330), 저장부(340), 위험알림부(350), 소셜미디어부(360), 화면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반려동물 단말(500)로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반려동물 단말(500)는,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반려동물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반려동물 단말(500) 및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하는 등록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반려동물 단말(500)은, GPS를 포함하여 현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은, 반려동물 단말(500)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 및 반려동물 단말(500)은, MAC 또는 시리얼 넘버 등으로 등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피드부(320)는, 반려동물 단말(500)에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피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반려동물 단말(500)은, GPS를 포함하여 현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은, 반려동물 단말(5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반려동물 단말(500)에서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피드(Feed)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조건은, 산책, 외출, 동물병원 가기, 여행가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산책은, 기 설정된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100)과 이동속도가 보도 또는 자전거 속도 등인 경우 발생되는 이벤트이고, 외출은 기 설정된 경로로 이동하지는 않지만 사용자 단말(100)과 위치가 동일하게 이동할 경우의 이벤트이고, 동물병원 가기는 기 설정된 동물병원의 위치에 반려동물 단말(500)의 위치가 감지된 경우의 이벤트이고, 여행가기는 사용자 단말(100) 및 반려동물 단말(500)의 위치가 사용자 단말(100) 및 반려동물 단말(500)의 학습된 이동경로나 위치가 아니면서, 사용자 단말(100) 및 반려동물 단말(500)의 위치가 동일하게 이동하는 경우의 이벤트를 말한다. 이때, 피드(Feed)란, 뉴스피드가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소셜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로 해당 이벤트가 공유되는 동작 또는 프로세스를 일컫는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은 사용자의 반려동물이 현재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공유받게 된다. 반려동물이 산책을 가거나, 병원을 갔을 때, 또는 패턴을 이탈하여 실종 상태 등에 있는 것을 뉴스피드로 받아볼 수 있고, 근처에 있는 피공유자는 반려동물을 구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술한 이벤트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이벤트의 종류가 부가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하여, 반려동물 단말(50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카메라, GPS, WIFI, RFID, NFC 등의 값들을 피드부(320)로 전송하고, 피드부(320)는 각 값들의 조합 또는 그 자체가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지,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이벤트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여 피드를 생성 및 공유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추적부(330)는, 반려동물 단말(500)의 GPS 추적 결과 기 설정된 패턴을 벗어나는 경로가 감지되는 경우, 반려동물 단말(500)의 GPS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트래킹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추적부(330)는, 우선 반려동물 단말(500)의 배터리를 체크할 수 있고, 배터리가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이면, 에너지 하베스팅 방식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우선, 반려동물 단말(500)은 RFID를 포함할 수 있는데, 주변 무선 통신 장치들로부터 전력을 수급받고, 이를 이용하여 주변 WIFI AP(Access Point)를 거쳐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추적까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 단말(500)에서 2.4 GHz 대역 무선 신호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고 해당 안테나가 3dBi의 안테나 이득을 갖고, WIFI AP의 송출전력이 500mW라고 가정한다면, Friis 전송 방정식을 이용하면 단일 WIFI 기기가 RF 태그에 전송할 수 있는 전력을 구할 수 있다. 이때, 단일 활성 WIFI 기기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전력의 양, WIFI 기기의 분포 밀도, 및 평균 채널 사용 효율을 종합하면, 반려동물 단말(500) 내의 RF 태그로 수급될 수 있는 전력의 총량을 유도할 수 있다. 만약, 반려동물 단말(500)의 태그가 한 번 동작하기까지 주변 WIFI 기기로부터 전력을 수급할 수 있는 기간을 초기화 시간으로 가정하면, 초기화 시간마다 자신의 위치 정보를 보내기 위한 전송 시도가 가능하다는 결론이 도출되며, 평균 10μW의 전력을 수급받을 수 있다. RF 에너지 하베스팅의 원리상 비단 WIFI 신호 뿐 아니라, 블루투스 신호나 통신사 기지국의 LTE 신호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들어오는 모든 무선 신호들을 전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충분한 전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시작할 수 있고, 서버 단에서도 이를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반려동물 단말(500)에서 WIFI 기기로부터 전력을 수급받거나, 기지국 등으로부터 전력을 수급받았다면, WIFI 기기나 기지국에 로그가 남게 되는데, 이 또한 위치를 추적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서, 추적부(330)는, LoRa Communication을 이용할 수 있다. LoRa는 Long Range Low Power 무선 플랫폼으로써 92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기술이다. LoRa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시나리오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CDMA/LTE 모뎀 방식의 사물인터넷 시나리오와 유사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나 접근성이 훨씬 더 수월하다. LoRa를 이용하는 방식과 CDMA/LTE 모뎀을 이용하는 방식은 공통적으로 네트워크 환경이 용이한 실내 보다는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야외나 네트워크 구축이 힘든 실내환경에 활용될 때 많은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LoRa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시나리오를 구축할 경우에는 SKT의 ThingPlug 서버가 데이터를 수집해 주고 장치 제어를 중재해 주기 때문에 모뎀과 전화선 또는 전용 서버가 없어도 원격지 장치의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제어하는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만으로도 원격지 센서 네트워크를 모니터링 하거나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010 번호가 할당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존의 CDMA/LTE와는 달리 번호 자원의 소진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즉, 사물인터넷 시나리오를 구축하는 데 있어서, 비용과 시간이 덜 들게 되고, 신속하게 원하는 시나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적부(330)에서는, 저전력 LoRa 무선 통신과 GPS 수신 기능을 갖추고 있는 반려동물 단말(500)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위치추적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반려동물의 실종방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반려동물 단말(500)은 목에 걸거나 의류에 부착하는 웨어러블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 단말(500)은 현재 반려동물의 위치를 GPS 값으로 LoRa 통신을 이용하여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고,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반려동물 단말(500)의 전력수급은 WIFI AP 등을 이용했으나, 반려동물 단말(500)과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간의 통신은 WIFI AP나 리피터(repeater)가 요구되지 않는 LoRa 통신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반려동물 단말(50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반려동물 단말(500)은 6축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반려동물의 행동 파악을 위해 설계될 수 있고, LoRa 통신을 위해서 UART , SPI통신 방식 및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추적부(330)는 LoRa 통신을 통하여 반려동물 단말(500)의 GPS, 6축 자이로 센서값과, 반려동물의 고유정보(ID, 이름, 종류, 나이, 주인 연락처 등)를 합성한 값을 수신하게 된다. 이때, 추적부(330)는, 반려동물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 단말(100)로 반려동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GPS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로 전송하여 반려동물의 근처에 있는 피공유자들이 반려동물을 인지 및 인식하고 구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소유주는 반려동물이 현재 어디에 있는지는 알지만, 반려동물은 길을 잃고 낯선 환경에 겁을 먹은 상태이기 때문에 쉽게 잡히지 않고 도망다니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소유주는 금방 반려동물을 찾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주변에 위치한 피공유자가 이를 발견하고 구조할 수 있도록 하고, 사례금까지 피드로 전송하는 경우, 피공유 단말(400)의 피공유자는 착한 사마리아인의 정신을 토대로 경제적 보상까지 주어지게 되므로 구조를 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이때, 사례금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미리 결제를 받아 에스크로로 홀딩해둠으로써, 막상 반려동물을 찾았을 때 달라지는 사람의 마음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금반언의 원칙을 지킬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340)는, 반려동물 단말(500)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패턴을 학습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패턴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시계열 형태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저장부(340)는 반려동물 단말(500)의 액션 로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액션 로그는, 반려동물 단말(500)에 장착된 모든 센서 및 기타 정보를 주기적으로 로깅(Logging)하고 행동인식기(Conditional Random Fields for Accelerometer Based Activity Recognition)를 적용한다. 행동인식기는, 가속도 센서와 음향정보, WiFi 패턴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뛰기, 산책, 걷기, 대중교통으로 이동중, 자동차로 이동중, 멈춤 등의 행동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40)는, 동적 베이지안망을 이용하여 패턴을 모델링할 수 있다. 즉, 위치, 경로, 주요장소 사이의 연관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관측값 중 GPS는 위치와 환경에 따라 잡음의 크기가 달라지는데, 이러한 연관성을 모두 고려한 간결한 모델링을 위하여 마코프 가정을 도입할 수도 있다. 한 타임 슬라이스(Time Slice) 내에 풍부한 표현력을 가지도록 하면 모델의 간결한 표현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실제 분포와는 거의 차이가 나지 않게 된다. 동적 베이지안망을 이용하여 2-TBN (2-timeslice Bayesian Network)의 형태로 트랜지션(transition)을 구성할 수 있는데, 트랜지션 모델은 조건부 확률 분포(CPD)들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각 시점의 주요장소, 이동경로, 인식된 행동, 행동에 따른 노이즈가 없는 속도값, 노이즈가 없는 현재 위치가 표현될 수 있으다. 동적 베이지안 모델에서 실시간 추론을 위하여 시간과 메모리 소모가 적은 RaoBlackwellized Particle Filtering(RBPF)가 이용될 수 있다. RBPF는 일부 변수 집합을 파티클(particle) 내에서 분포로 표현하게 하여, PF에 비해 비교적 적은 수의 파티클 만으로도 유사한 분포 추정력을 가지게 하는 방법이다. 그 다음, 모델을 학습하게 되는데,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와 EM(ExpectationMaximization)가 이용될 수 있다. MLE는 주로 관측값으로 이루어진 확률 그래프 모델 학습에 이용되며 EM은 은닉변수가 있는 확률 그래프 모델 학습에 이용된다. 물론 상술한 학습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기계학습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반지도학습, 강화학습 등 다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반려동물의 행동패턴 및 이동경로을 학습했으면, 저장부(340)는 이를 저장하고 이에 벗어나는 패턴이나 상황 및 경로 등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이를 알려서 이탈 메세지를 전송하게 되고, 피공유 단말(400)로 피드를 공유하게 된다.
한편, 반려동물 단말(500)은, 카메라,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고, 카메라,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GPS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위험알림부(350)는, 반려동물 단말(500)의 이동경로가 기 설정된 패턴을 벗어나는 경우, 카메라,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의 출력값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카메라,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권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제어권을 사용자가 가지고 있지 않다면 사용자는 제어권이 없는 상태에서 현재 반려동물이 어디에 있는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걷고 있는지, 갇혀 있는지 등을 전혀 확인할 수 없다. 만약, 갇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반려동물 단말(500)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다면, 카메라를 턴 온시켜 상황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에 사례금을 디스플레이하게 함으로써 가둬둔 사람과의 소통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소셜미디어부(360)는, 피드를 공유하기 위한 플랫폼인 소셜미디어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400)과 소셜미디어 페이지에 피드를 공유할 수 있다. 상술한 GPS를 이용한 위치추적 등의 구성은 반려동물이 기 설정된 장소를 이탈한 경우의 구성이라면, 소셜미디어부(360)에서는 이탈된 피드도 공유하지만, 평소의 상황을 공유하기 위한 피드도 공유하므로, 평소의 상황을 소셜미디어에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반려동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행동을 소셜미디어에 업로드함으로써 사람과 반려동물 간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황 인지를 수행해야 하는데, 소셜미디어부(360)는 반려동물 상황별 행동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려동물의 몸통위치, 소리의 높낮이와 빈도, 꼬리의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해당 데이터를 통해 몸통, 꼬리의 위치와 소리의 높낮이, 빈도에 따라 반려동물의 행동반응을 알아낼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상황인지반응을 파악할 수 있다. 반려동물은 처한 상황에 따라 몸통의 꼬리의 위치가 달라지며, 짖는 소리의 높낮이와 빈도가 달라지는데, 반려동물의 상황인지에 대한 정밀 조사를 위하여 섭취량, 음용량, 체온 데이터를 추가로 수집할 수 있다. 반려동물이 개라고 가정하면, 반려견의 소리는 짖는 소리(길이, 횟수, 높낮이, 끝소리), 으르렁거리는 소리, 울부짖는 소리(높낮이, 횟수), 헐떡거림, 한숨소리에 따라 다른 감정 상태를 보이므로 소셜미디어부(360)는, 소리의 진동수, 파장, 횟수를 분석하여 각각의 정의된 상태와 대조할 수 있다. 또한, 몸통의 높이와 자세 또한 감정 혹은 견체의 이상을 파악하는 요소이므로 소리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의학적으로 체온은 반려견 건강의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이므로 반려견의 자세와 더불어 상황을 감지할 수도 있고, 먹이 섭취량과 물 음용량의 경우, 일반적인 상태의 섭취량, 음용량과 현저한 차이가 있거나 섭취, 음용하지 않을 경우 반려견의 이상 상황을 감지한다. 이때, 소셜미디어부(360)는, 반려견 상황의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사용자에게 팝업 및 푸시의 형태로 알려주어 외부에서도 반려견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반려동물 단말(500)은 텍스트 및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제어부(370)는, 반려동물 단말(500)의 이동경로가 기 설정된 패턴을 벗어나는 경우, 반려동물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기 설정된 텍스트 또는 기 설정된 색상을 출력하도록 화면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건강원에서 개소주가 될 신세라고 가정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화면제어를 통하여 사례금 100만원 등과 같은 개소주를 만드는 것보다 안전하게 돌려주는 것이 더 경제적 보상이 크다는 것을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반려동물을 해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 및 인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반려동물 단말(500) 및 사용자 단말(100)의 등록을 수신하고, 반려동물 단말(500)의 패턴을 학습하기 위해 이동경로를 시계열 데이터로 저장하고 학습 및 저장한다. 그리고, (b)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반려동물 단말(500)에서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기 학습 및 저장된 패턴에 벗어나는지를 확인하고, (c) 기 학습 및 저장된 패턴을 벗어나는 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이를 트래킹할 수 있도록 공유하는 한편, (d) 반려동물 단말(5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디스플레이에 사용자가 하고 싶은 말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반려동물 단말(500)과 동기화 후(S4100), 등록을 완료하면(S4200, S4300), 반려동물 단말(50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값을 시계열 로그로 수집하여 학습을 진행하고 저장한다(S4300). 이때,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반려동물 단말(500)에서 출력된 신호가 기 설정된 이벤트를 만족하는 경우(S4500), 사용자 단말(100) 및 피공유 단말(400)로 소셜미디어 상에 피드를 전송하고(S4600), 반려동물 단말(500)에서 출력된 신호가 기 설정된 패턴에서 이탈하는 경우(S4700, S4800), 사용자 단말(100)로 위험알림 메세지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텍스트 등을 입력받는 경우 반려동물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4810).
이에 따라, 반려동물 단말(500)은,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게 되고(S4820),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 단말(400)로부터 제보 응답(Ack)을 받으면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4840). 그리고,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반려동물 단말(500)을 실시간으로 트래킹할 수 있도록 하며(S4900), 사용자 단말(100)에서 찾음 메세지가 출력될 때까지 루프를 돌면서 프로세스를 지속하게 된다(S4910). 마지막으로,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찾음 메세지를 전송하는 경우, 실종 알림(ALERT)을 종료한다(S4920).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 이벤트를 수신한다(S5100). 그리고,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반려동물 단말에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피드로 전송한다(S5200).
마지막으로,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반려동물 단말의 GPS 추적 결과 기 설정된 패턴을 벗어나는 경로가 감지되는 경우, 반려동물 단말의 GPS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트래킹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5300).
이와 같은 도 5의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GPS를 포함하여 현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출력하는 반려동물 단말;
    상기 반려동물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반려동물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상기 반려동물 단말에서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피드(Feed)로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반려동물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등록 이벤트를 수신하는 등록부, 상기 반려동물 단말에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피드로 전송하는 피드부, 상기 반려동물 단말의 GPS 추적 결과 기 설정된 패턴을 벗어나는 경로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반려동물 단말의 GPS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트래킹할 수 있도록 하는 추적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반려동물 단말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패턴을 학습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려동물 단말은, 카메라,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GPS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며,
    상기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반려동물 단말의 이동경로가 기 설정된 패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카메라,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의 출력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카메라,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권을 부여하는 위험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피드를 공유하기 위한 플랫폼인 소셜미디어 페이지를 제공하는 소셜미디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과 상기 소셜미디어 페이지에 상기 피드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단말에는 RFID를 포함하고,
    상기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의 추적부는 상기 반려동물 단말의 배터리를 체크하고, 배터리가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이면, 에너지 하베스팅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반려동물 단말(500)의 RFID를 통해, 상기 반려동물 단말(500)이 위치하는 주변의 무선 통신 장치들로부터 저전력 LoRa 무선 통신을 통해 전력을 수급받아 상기 반려동물 단말(500)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단말은 텍스트 및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반려동물 단말의 이동경로가 기 설정된 패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반려동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기 설정된 텍스트 또는 기 설정된 색상을 출력하도록 화면제어를 수행하는 화면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에스크로 결제를 통해 사례금을 선결제하여 홀딩하고,
    상기 반려동물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텍스트 내용은 반려동물 구조 시 사례하는 사례금을 안내하는 내용이며,
    피공유 단말(400)로부터 사용자의 반려동물을 구조하였다고 안내하면, 상기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결제된 사례금이 상기 피공유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단말(500)은, 보신탕집, 건강원, 개농장 등의 위치를 기 저장하고, 기 저장된 위치를 반려동물이 지나가는 경우에는 전기충격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삭제
KR1020190062947A 2019-05-29 2019-05-29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94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947A KR102094547B1 (ko) 2019-05-29 2019-05-29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947A KR102094547B1 (ko) 2019-05-29 2019-05-29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547B1 true KR102094547B1 (ko) 2020-03-27

Family

ID=6995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947A KR102094547B1 (ko) 2019-05-29 2019-05-29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5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069B1 (ko) * 2020-08-21 2021-01-08 곽원규 반려 동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20020705A (ko) * 2020-08-12 2022-02-21 임용근 짐벌락이 없는 임베디드형 9축 자이로센서 모듈
KR102411321B1 (ko) * 2021-12-21 2022-06-22 주식회사 위렌스 반려동물 펜던트 및 커뮤니티 제공 시스템
KR102414368B1 (ko) * 2021-12-21 2022-06-29 주식회사 위렌스 반려동물 위치 추적 및 운동량 측정 시스템
KR102654160B1 (ko) * 2023-08-29 2024-04-03 주식회사 라라컴퍼니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355B1 (ko) * 2014-03-13 2014-11-05 주식회사 이도링크 펫 관리시스템
KR101775932B1 (ko) * 2017-02-20 2017-09-19 주식회사 빅오이 반려동물 케어를 위한 멀티모달 시스템
KR20180113677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네오팝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 시스템
KR20180134191A (ko) * 2017-06-08 2018-12-18 주식회사 네오팝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355B1 (ko) * 2014-03-13 2014-11-05 주식회사 이도링크 펫 관리시스템
KR101775932B1 (ko) * 2017-02-20 2017-09-19 주식회사 빅오이 반려동물 케어를 위한 멀티모달 시스템
KR20180113677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네오팝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 시스템
KR20180134191A (ko) * 2017-06-08 2018-12-18 주식회사 네오팝 반려동물 유모차 표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705A (ko) * 2020-08-12 2022-02-21 임용근 짐벌락이 없는 임베디드형 9축 자이로센서 모듈
KR102476594B1 (ko) * 2020-08-12 2022-12-09 임용근 짐벌락이 없는 임베디드형 9축 자이로센서 모듈
KR102200069B1 (ko) * 2020-08-21 2021-01-08 곽원규 반려 동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411321B1 (ko) * 2021-12-21 2022-06-22 주식회사 위렌스 반려동물 펜던트 및 커뮤니티 제공 시스템
KR102414368B1 (ko) * 2021-12-21 2022-06-29 주식회사 위렌스 반려동물 위치 추적 및 운동량 측정 시스템
KR102654160B1 (ko) * 2023-08-29 2024-04-03 주식회사 라라컴퍼니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547B1 (ko)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Nóbrega et al. An IoT-based solution for intelligent farming
Germani et al. An IoT architecture for continuous livestock monitoring using LoRa LPWAN
Ilyas et al. Smart farming: An enhanced pursuit of sustainable remote livestock tracking and geofencing using IoT and GPRS
US9516860B2 (en) Anim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1801466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livestock
US20170202180A1 (en) A self learning system for identifying status and location of pet animals
KR101454355B1 (ko) 펫 관리시스템
CN110049445A (zh) 设备上报位置信息的方法及相关装置
Dieng et al. A study on IoT solutions for preventing cattle rustling in african context.
Shanmugasundaram et al. IoT based animal tracking and monitoring system in zoo
Jain et al. The fundamentals of Internet of Things: architectures, enabling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Abdullahi et al. Exploiting IoT and LoRaWAN technologies for effective livestock monitoring in Nigeria
Nadeem et al. A smart city application design for efficiently tracking missing person in large gatherings in Madinah using emerging IoT technologies
KR102415333B1 (ko) 유기동물 관리 장치 및 시스템
Chen Design of a child localization system on RFID and wireless sensor networks
Waterhouse et al.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real-time management (RTM) in extensive livestock systems
WO201714557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Deshpande et al. The internet of things: vision, architecture and applications
Mohandass Animal health monitoring and intrusion detection system based on LORAWAN
Durán López et al. A Low-power, Reachable, Wearable and Intelligent IoT Device for Animal Activity Monitoring
Jesus-Azabal et al. A self-sustainable opportunistic solution for emergency detection in ageing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AU2020103515A4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real time monitoring and identification of endangered animals
Shien et al. A secure mobile crowdsensing (MCS) location tracker for elderly in smart city
KR102411321B1 (ko) 반려동물 펜던트 및 커뮤니티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