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355B1 - 펫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펫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355B1
KR101454355B1 KR1020140029371A KR20140029371A KR101454355B1 KR 101454355 B1 KR101454355 B1 KR 101454355B1 KR 1020140029371 A KR1020140029371 A KR 1020140029371A KR 20140029371 A KR20140029371 A KR 20140029371A KR 101454355 B1 KR101454355 B1 KR 101454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tag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ntegrated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필순
이기철
권종만
이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도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도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도링크
Priority to KR1020140029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펫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컴퓨팅 기능을 구비하여 앱(App.)에 대한 설치가 가능한 모바일단말(10); 모바일단말(10)의 사용자가 소유한 펫에 부착하는 N-Tag(20); 모바일단말(10) 및 N-Tag(20)와 3G/4G 또는 WiFi 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펫에 대한 통합적 관리를 수행하는 통합 관리서버(70); 를 포함하는 펫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통합 관리서버(70)는, N-Tag(2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분석 및 위치 연산을 수행한 결과인 위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80) 상으로의 저장을 수행하며, 위치 정보에 대한 모바일단말(10)로의 전송을 수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펫의 위치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펫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모바일단말(10)이 저장부(15) 상에 저장된 모바일 N-Tag 연동앱(App.)을 실행하고, 통합 관리서버(70)로의 액세스(Access)를 통해 로그인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모바일단말(10) 또는 N-Tag(20)가 N-Tag(20)를 부착한 펫에 대한 펫 정보에 대한 통합 관리서버(70)로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DB)(80)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 2 단계; 및 모바일단말(10)이 SNS 서버(90)와 연동된 통합 관리서버(70)에 의해 제공된 SNS 서비스인 펫에 대한 글/사진 등록, 펫에 대한 답글 등록, 펫에 대한 채팅, 펫 프로필 관리, 펫 운동량 모니터링, 그리고 분실신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펫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의해, 펫 중심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애완동물 애호가들 간의 정보 공유와 친목 도모는 물론 분실 펫에 대하여 SNS를 통한 빠른 정보의 확산과 모바일단말의 특성을 활용하여 펫을 주인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찾아주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펫에 대한 위치 분석 및 일상적인 활동량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일상적 패턴을 벗어나는 경우 등록된 보호자에게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펫에 대한 분실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SNS 기반의 앱을 모바일단말로 설치한 회원은 주위에 태그를 부착하고 있는 펫을 모바일단말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펫 정보가 자동으로 표출되어 회원간 자연스러운 온/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펫 관리시스템{Pe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펫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한 애완동물(이하, ‘펫(Pet))중심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펫 애호가들 간의 정보 공유와 친목 도모는 물론 분실 펫에 대하여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한 빠른 정보의 확산과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의 특성을 활용하여 펫을 주인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찾아주도록 하기 위한 펫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펫: Pet)은 동물이 아닌 동반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재 국내 반려동물 수는 500만 마리로 추정되며, 반려 동물을 기르는 인구 1000만명 시대가 도래했다. 즉,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 저출산 기조 확산으로 반려 동물 기르는 인구 증가하고, 2011년 반려동물을 기르는 국내 가구 수는 360만 세대로 전체 가구의 17%로, 약 2조원 규모로 성장한 반려동물 산업, 프리미엄 원스톱 케어 서비스 시장이 활발해 지고 있다.
반려동물 산업은 관련인구 증가와 지출 확대에 따라 매력적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전환으로 사람 못지 않은 관심과 비용 지출 발생하고 있다. 반려동물 산업은 외로움을 먹고 크는 산업으로 인구/사회 변화와 발맞춰 성장 지속이 가능하며, 기존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자산에 아이디어를 접목시켜 다양한 사업 기회 창출하고, 사람과 친숙한 반려동물 관련 서비스로 소비자 참여와 친밀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ICT와의 기술 접목에서 가장 필요로 되는 분야로는 길가에 버려지거나 분실되는 유기동물에 대한 증가에 해당될 것이다. 즉, 유기동물의 증가로 피해가 많이 발생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의무 불이행 적발시 과태료 부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관리 소홀로 인해 분양받은 후 폐사하는 사례가 한국 소비자원에 접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유기동물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마이크로칩과 DNA 혈통서를 이용한 애완동물 관리시스템(Pet management system using a micro-chip and a pedigree)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111751호)
2. 전자태그를 활용한 애완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pet care service using RFID)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10879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펫 중심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애완동물 애호가들 간의 정보 공유와 친목 도모는 물론 분실 펫에 대하여 SNS를 통한 빠른 정보의 확산과 모바일단말의 특성을 활용하여 펫을 주인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찾아주도록 하기 위한 펫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펫에 대한 위치 분석 및 일상적인 활동량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일상적 패턴을 벗어나는 경우 등록된 보호자에게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펫에 대한 분실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펫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단말 상에 SNS 기반의 앱을 설치한 회원은 주위에 태그를 부착하고 있는 펫을 모바일단말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펫 정보가 자동으로 표출되어 회원간 자연스러운 온/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펫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시스템은, 컴퓨팅 기능을 구비하여 앱(App.)에 대한 설치가 가능한 모바일단말(10); 모바일단말(10)의 사용자가 소유한 펫에 부착하는 N-Tag(20); 모바일단말(10) 및 N-Tag(20)와 3G/4G 또는 WiFi 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펫에 대한 통합적 관리를 수행하는 통합 관리서버(70); 를 포함하는 펫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통합 관리서버(70)는, N-Tag(2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분석 및 위치 연산을 수행한 결과인 위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80) 상으로의 저장을 수행하며, 위치 정보에 대한 모바일단말(10)로의 전송을 수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펫의 위치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통합 관리서버(70)는, N-Tag(20)로부터 수신된 활동량 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하며, 데이터베이스(DB)(80) 상으로의 저장을 통해 N-Tag(20)를 부착한 펫에 대한 일상적 패턴을 벗어나는 경우, 등록된 보호자가 소지한 모바일단말(10)로의 알림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N-Tag(20)는, 6축 센서(21a), 자이로센서(21b), 고도센서(21c) 및 GPS 수신부(21d)를 포함하는 센싱부(21); 를 구비하며, 6축 센서(21a), 자이로센서(21b), 고도센서(21c) 및 GPS 수신부(21d)를 활용한 펫에 대한 실시간 운동량을 수집하여 제공하거나, 별도의 활동량센서를 내장함으로써 실시간 운동량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바일단말(10)은, 모바일 N-Tag 연동앱에 대한 실행을 수행하며, N-Tag(20)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통합 관리서버(70)와 3G/4G 방식 또는 WiFi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통합 관리서버(70)로의 액세스(Access)를 통해 데이터베이스(DB)(80)로의 펫 정보 등록, 펫 사진, 펫에 대한 글 공유를 등록하여 SNS 서버(90)와 연동된 통합 관리서버(70)에 의한 SNS 서비스인 펫에 대한 글/사진 등록, 펫에 대한 답글 등록, 펫에 대한 채팅, 펫 프로필 관리, 펫 운동량 모니터링, 그리고 분실신고를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방법은, 모바일단말(10)이 저장부(15) 상에 저장된 모바일 N-Tag 연동앱(App.)을 실행하고, 통합 관리서버(70)로의 액세스(Access)를 통해 로그인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모바일단말(10) 또는 N-Tag(20)가 N-Tag(20)를 부착한 펫에 대한 펫 정보에 대한 통합 관리서버(70)로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DB)(80)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 2 단계; 및 모바일단말(10)이 SNS 서버(90)와 연동된 통합 관리서버(70)에 의해 제공된 SNS 서비스인 펫에 대한 글/사진 등록, 펫에 대한 답글 등록, 펫에 대한 채팅, 펫 프로필 관리, 펫 운동량 모니터링, 그리고 분실신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모바일단말(10)이 블루투스 통신 커버리지 내에서의 블루투스 기반 주위의 태그(N-Tag)에 대한 감지시, 자동적으로 상기 모바일 N-Tag 연동앱을 웨이크업(Wake-Up) 하여 실행시키고, 상기 주위의 태그(N-Tag)의 태그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주위 펫 정보(GPS 정보 포함)를 수신하여 SNS 서비스로 상대 펫 정보 제공, 그리고 상기 상대 펫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단말을 구비한 사용자와의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4 단계; 및 모바일단말(10)이 통합 관리서버(70)로부터 상기 주위의 태그(N-Tag)를 부착한 펫에 대한 분실신고 펫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분실신고 펫인 경우, 상기 주위 펫 정보에 포함된 GPS 정보를 이용한 GPS 기반 분실 펫 위치 및 사진을 상기 통합 관리서버(70)로 전송하는 제 5 단계; 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2 단계의 펫 정보는, 펫 전용 태그에 해당하는 상기 N-Tag의 태그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로 1) 펫 이름, 2) 펫의 성별/연령, 3) 펫의 종/사진, 4) 펫에 대한 정보 공유 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시스템은, 펫 중심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애완동물 애호가들 간의 정보 공유와 친목 도모는 물론 분실 펫에 대하여 SNS를 통한 빠른 정보의 확산과 모바일단말의 특성을 활용하여 펫을 주인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찾아주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시스템은, 펫에 대한 위치 분석 및 일상적인 활동량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일상적 패턴을 벗어나는 경우 등록된 보호자에게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펫에 대한 분실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시스템은, SNS 기반의 앱을 모바일단말로 설치한 회원은 주위에 태그를 부착하고 있는 펫을 모바일단말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펫 정보가 자동으로 표출되어 회원간 자연스러운 온/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펫 관리시스템 중 N-Tag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펫 관리시스템 중 모바일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전체에 있어서, 애완동물을 펫(Pet)이라고 간략하게 명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펫 관리시스템은 모바일단말(10), N-Tag(20), 기지국(30), 이동통신망(40), IP 네트워크(50), 게이트웨이(60), 통합 관리서버(70), DB(80), SNS 서버(9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의 펫 관리시스템 중 N-Tag(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펫 관리시스템 중 모바일단말(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통합 관리서버(70)는 무선통신형 관리 서버로, 위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다.
즉, 통합 관리서버(70)는 N-Tag(2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 분석 및 위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그 결과인 위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80) 상으로의 저장을 수행하며, 이동통신망(40)을 통해 모바일단말(10)로의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펫의 위치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통합 관리서버(70)는 N-Tag(20)로부터 수신된 활동량 데이터의 분석및 연산을 수행하며, 데이터베이스(DB)(80) 상으로의 저장을 통해 N-Tag(20)를 부착한 펫에 대한 일상적 패턴을 벗어나는 경우, 등록된 보호자의 모바일단말(10)로의 전송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의 N-Tag(20) 및 모바일단말(10)의 구성을 중심으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펫 관리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N-Tag(20)는 센싱부(21), 제 1 제어부(22), 제 1 블루투스 통신모듈(23), 제 1 무선통신부(24) 및 태그 정보저장부(25)를 구비함으로써, 도 1과 같은 타입의 모바일형 N-Tag(20), 도 2와 같은 타입의 무선통신형 N-Tag(20)로 사용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펫에 대한 목걸이형으로 제작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진 않으며, 고리형, 착용형 등으로 펫에 부착할 수 있는 태그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N-Tag(20)를 활용해 펫의 정보를 등록하고 정보 노출 단계를 설정함으로써, 회원간 관심분야에 대해 사진, 동영상, 글 등을 공유할 수 있는 펫 중심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센싱부(21)는 6축 센서(21a), 자이로센서(21b), 고도센서(21c) 및 GPS 수신부(21d)를 포함함으로써, 제 1 제어부(22)에 의한 각 센서를 이용한 활동정보 외의 각종 정보 수집을 위해 활용된다. 한편, 센싱부(21)는 6축 센서(21a), 자이로센서(21b), 고도센서(21c) 및 GPS 수신부(21d)를 활용한 펫에 대한 실시간 운동량을 수집하여 제공하거나, 별도의 활동량센서를 내장함으로써 실시간 운동량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22)는 애완동물(펫) 관리서버에 해당하는 통합 관리서버(70)와의 3G/4G 또는 Wi-Fi 방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제 1 무선통신부(24)를 제어함으로써, 센싱부(21)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통합 관리서버(70)로 전송하여 통합 관리서버(70)에 의한 정보가 관리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모바일단말(10)의 모바일 N-Tag 연동앱 실행에 의해, 모바일단말(10)이 통합 관리서버(7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펫 정보에 대한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 1 블루투스 통신모듈(23)은 모바일단말(10)과 N-Tag(20) 간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으로 정보 수집이 수행되기 위해 형성되며, 제 1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N-Tag 연동앱과의 연동을 통해 펫에 대한 정보 관리 및 건강 관리시 활용된다.
태그 정보저장부(25)는 N-Tag(10)의 펫에 대한 정보태그로 활용되기 위해 형성되며, 제 1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RF 태그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보호자 정보를 저장한 뒤, 필요시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형성된다.
한편, 태그 정보저장부(25)에는 펫에 대한 정보(이름/성별/종/좋아하는 것 등) 등록이 가능하며, 저장된 정보에 대한 공유정보 단계별 허용 설정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태그 저장부(25)에는 분실시 연락처 및 주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단말(10)은 입출력부(11), 제 2 제어부(12), 제 2 블루투스 통신모듈(13), 제 2 무선통신부(14) 및 저장부(15)를 포함하며,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에 해당한다.
입출력부(11)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ex. 터치 입력 모듈) 및 명령에 따른 처리 결과를 구현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를 일체로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가능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입력 모듈과 출력 모듈을 별도로 제공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12)는 모바일 N-Tag 연동앱에 대한 실행을 수행하며, 제 2 블루투스 통신모듈(13)을 제어하여 N-Tag(10)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제 2 무선통신부(14)를 제어하여 통합 관리서버(70)와 3G/4G 방식 또는 WiFi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 2 제어부(12)는 N-Tag(20)의 태그 정보저장부(25)에 대한 태그 인증으로 펫 정보 확인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태그 인증시 RF 태그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가능하다.
또한, 제 2 제어부(12)는 제 2 무선통신부(14)에 대한 제어를 통해 통합 관리서버(70)로의 액세스(Access)를 통해 데이터베이스(80)로의 펫 정보 등록, 펫 사진, 펫에 대한 글 공유를 등록함으로써, SNS 서버(90)와 연동된 통합 관리서버(70)에 의한 SNS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제 2 제어부(12)는 제 2 블루투스 통신모듈(13)을 제어하여 블루투스 통신 커버리지 내에 펫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상대편 태그(N-Tag)에 대한 감지를 수행하며, 감지시 입출력부(11)로 구현하여 자동 알림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제 2 제어부(12)는 제 2 무선통신부(14)에 대한 제어를 통해 통합 관리서버(70)로의 N-Tag(10)를 구비한 펫에 대한 분실신고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 2 제어부(12)는, 다른 모바일단말에 의한 분실신고된 펫에 대한 위치정보가 통합 관리서버(70)로 제공시, 분실된 펫에 대한 신속한 펫 찾기 기능을 통합 관리서버(70)로부터 제공받도록 제 2 무선통신부(14)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2)는 N-Tag 연동앱과 N-Tag(20)간의 연동을 매개하여, N-Tag(20)로부터 펫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2 블루투스 통신모듈(13)을 제어하고, 수신된 N-Tag(20)를 부착한 펫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펫에 대한 현재의 위치 분석 및 위치 연산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저장부(15) 상에 저장하며, 입출력부(11) 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을 통한 정보 확인을 제공한다.
한편, 제어부(12)는 펫에 대한 정보 중 활동량 데이터의 분석 및 저장부(15) 상으로의 주기적인 저장을 수행하며, 펫의 활동량 데이터의 패턴이 반복적인 일상적 패턴이 아닐 경우 입출력부(11)의 UI 화면을 통해 등록 보호자에게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12)는 펫에 대한 정보 중 GPS 수신 정보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입출력부(11)를 통해 알림을 제공한다.
저장부(15)는 펫에 대한 전용 SNS 앱에 해당하는 모바일 N-Tag 연동앱을 저장하며, 제 2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 메모리(미도시) 상으로 로딩(Loading)되도록 프로그램 소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SNS 앱에 해당하는 모바일 N-Tag 연동앱의 기능 수행에 의해 모바일단말(10) 상에 설치된 사용자는 주위에 N-Tag(20)를 부착하고 있는 펫을 모바일단말(10)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펫 정보가 자동으로 표출되어 회원간 자연스러운 온/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기능을 통한 상대 펫 정보 획득 기술과 이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 인프라를 이용하여 펫 분실/실종에 따른 복귀율이 증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N-Tag(20)에 활동량센서를 내장하여 게이트웨이(Gateway: G/W: 60))로 펫의 운동량 정보를 수집한 뒤, 통합 관리서버(70)로의 전송을 통해 외부에서 펫에 대한 실시간 운동량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모바일단말(10)은 저장부(15) 상에 저장된 모바일 N-Tag 연동앱(App.)을 실행하고, 통합 관리서버(70)로의 액세스(Access)를 통해 로그인을 수행한다(S11). 여기서 모바일단말(10)의 통합 관리서버(70)로의 액세스는 기지국(30)과 연결된 이동통신망(40)을 통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행하거나, IP 네트워크(50)와 연결된 게이트웨이(60)를 통한 WiFi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1) 이후, 모바일단말(10) 또는 N-Tag(20)는 N-Tag(20)를 부착한 펫에 대한 펫 정보에 대한 통합 관리서버(70)로 제공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DB)(80)에 저장되도록 하는 등록을 수행한다(S12). 여기서 펫 정보는 펫 전용 태그에 해당하는 N-Tag(20)의 태그 정보저장부(25)에 저장된 내용으로, 1) 펫 이름, 2) 펫의 성별/연령, 3) 펫의 종/사진, 4) 펫에 대한 정보 공유 여부를 포함한다.
단계(S12) 이후, 모바일단말(10)은 SNS 서버(90)와 연동된 통합 관리서버(70)에 의해 제공된 SNS 서비스를 실행한다(S13). 여기서 SNS 서비스는 펫에 대한 글/사진 등록, 펫에 대한 답글 등록, 펫에 대한 채팅, 펫 프로필 관리, 펫 운동량 모니터링, 그리고 분실신고를 포함한다.
단계(S13) 이후, 모바일단말(10)은 제 2 블루투스 통신모듈(13)에 대한 제어를 통해 블루투스 기반 주위의 태그(N-Tag)에 대한 감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단계(S14)의 판단결과 주위 N-Tag가 감지된 경우, 모바일단말(10)은 자동적으로 모바일 N-Tag 연동앱을 웨이크업(Wake-Up) 하여 실행시키고, 제 2 블루투스 통신모듈(13)에 대한 제어를 통해 주위의 태그(N-Tag)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주위의 태그(N-Tag)의 태그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주위 펫 정보(GPS 정보 포함)를 수신한다(S15).
이러한 주위 펫 정보 수신에 따라, 모바일단말(10)은 SNS 서버(90)와 연동된 통합 관리서버(70)에 의한 SNS 서비스를 2 차적으로 제공받는데, 여기서 2 차적 SNS 서비스는 상대 펫 정보 제공, 그리고 상대 펫 정보를 제공한 모바일단말을 구비한 사용자와의 채팅 서비스에 해당한다.
단계(S16) 이후, 모바일단말(10)은 통합 관리서버(70)로부터 분실신고 펫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분실신고 펫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6).
단계(S16)의 판단결과 분실신고 펫인 경우 모바일단말(10)은 단계(15)에서 수신된 주위 펫 정보에 포함된 GPS 정보를 이용한 GPS 기반 분실 펫 위치 및 사진을 통합 관리서버(70)로 전송한다(S17).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모바일단말
11: 입출력부
12: 제 2 제어부
13: 제 2 블루투스 통신모듈
14: 제 2 무선통신부
15: 저장부
20: N-Tag
21: 센싱부
21a: 6축 센서
21b: 자이로센서
21c: 고도센서
21d: GPS 수신부
22: 제 1 제어부
23: 제 1 블루투스 통신모듈
24: 제 1 무선통신부
25: 태그 정보저장부
30: 기지국
40: 이동통신망
50: IP 네트워크
60: 게이트웨이
70: 통합 관리서버
80: DB
90: SNS 서버

Claims (7)

  1. 입출력부(11), 제 2 제어부(12), 제 2 블루투스 통신모듈(13), 제 2 무선통신부(14) 및 저장부(15)를 포함하여 컴퓨팅 기능을 구비하여 앱(App.)에 대한 설치가 가능한 모바일단말(10); 모바일단말(10)의 사용자가 소유한 펫에 부착하는 N-Tag(20); 모바일단말(10) 및 N-Tag(20)와 3G/4G 또는 WiFi 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펫에 대한 통합적 관리를 수행하는 통합 관리서버(70); DB(80), SNS 서버(90)를 포함하는 펫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서버(70)는,
    N-Tag(2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분석 및 위치 연산을 수행한 결과인 위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80) 상으로의 저장을 수행하며, 위치 정보에 대한 모바일단말(10)로의 전송을 수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펫의 위치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N-Tag(20)로부터 수신된 활동량 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하며, 데이터베이스(DB)(80) 상으로의 저장을 통해 N-Tag(20)를 부착한 펫에 대한 일상적 패턴을 벗어나는 경우, 등록된 보호자가 소지한 모바일단말(10)로의 알림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N-Tag(20)는,
    6축 센서(21a), 자이로센서(21b), 고도센서(21c) 및 GPS 수신부(21d)를 포함하는 센싱부(21); 를 구비하여 6축 센서(21a), 자이로센서(21b), 고도센서(21c) 및 GPS 수신부(21d)를 활용한 펫에 대한 실시간 운동량을 수집하여 제공하거나, 별도의 활동량센서를 내장함으로써 실시간 운동량을 제공하는 한편, 제 1 제어부(22)를 구비하여 통합 관리서버(70)와의 3G/4G 또는 Wi-Fi 방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제 1 무선통신부(24)를 제어함으로써 센싱부(21)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통합 관리서버(70)로 전송하여 통합 관리서버(70)에 의한 정보가 관리되도록 하는 동시에, 제 1 블루투스 통신모듈(23)을 구비하여 모바일단말(10)과 N-Tag(20) 간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으로 정보 수집을 수행하고, 이와 더불어 펫에 대한 정보(이름/성별/종/좋아하는 것) 등록이 가능하며, 저장된 정보에 대한 공유정보 단계별 허용 설정 기능을 구비하며, 분실시 연락처 및 주소를 포함하는 태그 정보저장부(25)를 구비하여 N-Tag(20)의 펫에 대한 정보태그로 활용하며,
    상기 모바일단말(10)은,
    모바일 N-Tag 연동앱에 대한 실행을 수행하며, N-Tag(20)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통합 관리서버(70)와 3G/4G 방식 또는 WiFi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통합 관리서버(70)로의 액세스(Access)를 통해 데이터베이스(DB)(80)로의 펫 정보 등록, 펫 사진, 펫에 대한 글 공유를 등록하여 SNS 서버(90)와 연동된 통합 관리서버(70)에 의한 SNS 서비스인 펫에 대한 글/사진 등록, 펫에 대한 답글 등록, 펫에 대한 채팅, 펫 프로필 관리, 펫 운동량 모니터링, 그리고 분실신고를 제공받되,
    제 2 제어부(12)가 모바일 N-Tag 연동앱에 대한 실행을 수행하도록 하며, 제 2 블루투스 통신모듈(13)을 제어하여 N-Tag(20)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하고, 제 2 무선통신부(14)를 제어하여 통합 관리서버(70)와 3G/4G 방식 또는 WiFi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하며, N-Tag(20)의 태그 정보저장부(25)에 대한 태그 인증으로 펫 정보 확인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고, 제 2 무선통신부(14)에 대한 제어를 통해 통합 관리서버(70)로의 액세스(Access)를 통해 데이터베이스(80)로의 펫 정보 등록, 펫 사진, 펫에 대한 글 공유를 등록함으로써, SNS 서버(90)와 연동된 통합 관리서버(70)에 의한 SNS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제 2 블루투스 통신모듈(13)을 제어하여 블루투스 통신 커버리지 내에 펫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상대편 태그(N-Tag)에 대한 감지를 수행하도록 하며, 감지시 입출력부(11)로 구현하여 자동 알림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제 2 무선통신부(14)에 대한 제어를 통해 통합 관리서버(70)로의 N-Tag(20)를 구비한 펫에 대한 분실신고를 수행함으로써 다른 모바일단말에 의한 분실신고된 펫에 대한 위치정보가 통합 관리서버(70)로 제공시, 분실된 펫에 대한 펫 찾기 기능을 통합 관리서버(70)로부터 제공받도록 제 2 무선통신부(14)를 제어하도록 하며, N-Tag 연동앱과 N-Tag(20)간의 연동을 매개하여, N-Tag(20)로부터 펫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2 블루투스 통신모듈(13)을 제어하도록 하고, 수신된 N-Tag(20)를 부착한 펫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펫에 대한 현재의 위치 분석 및 위치 연산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저장부(15) 상에 저장하도록 하며, 입출력부(11) 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을 통한 정보 확인을 제공하도록 하고, 펫에 대한 정보 중 활동량 데이터의 분석 및 저장부(15) 상으로의 주기적인 저장을 수행하도록 하며, 펫의 활동량 데이터의 패턴이 반복적인 일상적 패턴이 아닐 경우 입출력부(11)의 UI 화면을 통해 등록 보호자에게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펫에 대한 정보 중 GPS 수신 정보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입출력부(11)를 통해 알림을 제공하도록 하며,
    저장부(15)가 펫에 대한 전용 SNS 앱에 해당하는 모바일 N-Tag 연동앱을 저장하도록 하며, 제 2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 메모리 상으로 로딩(Loading)되도록 프로그램 소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29371A 2014-03-13 2014-03-13 펫 관리시스템 KR101454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371A KR101454355B1 (ko) 2014-03-13 2014-03-13 펫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371A KR101454355B1 (ko) 2014-03-13 2014-03-13 펫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355B1 true KR101454355B1 (ko) 2014-11-05

Family

ID=5228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371A KR101454355B1 (ko) 2014-03-13 2014-03-13 펫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35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545B1 (ko) * 2014-07-03 2015-12-22 신일하이텍 주식회사 트래킹 태그와 연동되는 어플이 탑재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위치 공유 클라우드시스템
WO2016122185A1 (ko) * 2015-01-27 2016-08-04 김형욱 애완동물 추적 시스템
WO2016138146A1 (en) * 2015-02-24 2016-09-01 KiLife Tech, Inc. Monitoring dependent individuals
KR20170011294A (ko) * 2015-07-22 2017-02-02 이영욱 스마트 낚싯대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낚시 에스엔에스 서비스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7194826A (ja) * 2016-04-20 2017-10-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紛失防止システム
CN107318687A (zh) * 2017-09-03 2017-11-07 佛山佳运航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宠物吊牌
KR102094547B1 (ko) * 2019-05-29 2020-03-27 윤정우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11239A (ko) * 2019-07-22 2021-02-01 윤규 반려 동물 산책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3792987A (zh) * 2021-08-24 2021-12-14 周孟婵 一种城市养狗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20220076831A (ko) * 2020-12-01 2022-06-08 김지선 애완동물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55874B1 (ko) * 2021-07-15 2022-10-17 정완섭 IoT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KR20230163038A (ko) 2022-05-23 2023-11-30 펫산타유니버스(주) 통합 반려동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856A (ko) * 2008-06-25 2010-01-06 재단법인 첨단산업개발원 착용자의 위치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단말기 및이를 이용하는 건강관제시스템
KR101256054B1 (ko) * 2012-09-13 2013-04-18 엠케어시스(주)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0827A (ko) * 2012-02-02 2013-09-12 김상준 펫 통합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856A (ko) * 2008-06-25 2010-01-06 재단법인 첨단산업개발원 착용자의 위치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단말기 및이를 이용하는 건강관제시스템
KR20130100827A (ko) * 2012-02-02 2013-09-12 김상준 펫 통합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1256054B1 (ko) * 2012-09-13 2013-04-18 엠케어시스(주)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545B1 (ko) * 2014-07-03 2015-12-22 신일하이텍 주식회사 트래킹 태그와 연동되는 어플이 탑재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위치 공유 클라우드시스템
WO2016122185A1 (ko) * 2015-01-27 2016-08-04 김형욱 애완동물 추적 시스템
WO2016138146A1 (en) * 2015-02-24 2016-09-01 KiLife Tech, Inc. Monitoring dependent individuals
KR20170011294A (ko) * 2015-07-22 2017-02-02 이영욱 스마트 낚싯대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낚시 에스엔에스 서비스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17416B1 (ko) * 2015-07-22 2017-03-16 이영욱 스마트 낚싯대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낚시 에스엔에스 서비스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7194826A (ja) * 2016-04-20 2017-10-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紛失防止システム
CN107318687A (zh) * 2017-09-03 2017-11-07 佛山佳运航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宠物吊牌
KR102094547B1 (ko) * 2019-05-29 2020-03-27 윤정우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11239A (ko) * 2019-07-22 2021-02-01 윤규 반려 동물 산책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84381B1 (ko) * 2019-07-22 2021-07-30 윤규 반려 동물 산책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76831A (ko) * 2020-12-01 2022-06-08 김지선 애완동물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29551B1 (ko) * 2020-12-01 2022-08-03 김지선 애완동물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55874B1 (ko) * 2021-07-15 2022-10-17 정완섭 IoT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CN113792987A (zh) * 2021-08-24 2021-12-14 周孟婵 一种城市养狗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3792987B (zh) * 2021-08-24 2024-02-13 周孟婵 一种城市养狗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20230163038A (ko) 2022-05-23 2023-11-30 펫산타유니버스(주) 통합 반려동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355B1 (ko) 펫 관리시스템
US10798920B2 (en) Tracking and monitoring with geo-fencing
CN107277746B (zh) 用于处理在信标中操作的终端的位置信息的方法和设备
US110367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imal identification
US20200251001A1 (en) Community drone monitoring and information exchange
US9084013B1 (en) Data logging for media consumption studies
US9265015B2 (en) Detecting interaction among entities via proximity
US20170202180A1 (en) A self learning system for identifying status and location of pet animals
KR101534995B1 (ko) 모바일 로케이션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9775003B2 (en) Location and activity aware media content delivery system
US20200288267A1 (en) Signal strength determination and mobile device identification monitoring system
Joshi et al. SmartGarbage Monitoring System
US9980092B1 (en) Supporting a surveillance of positions of devices
Leone et al. An intelligent cooperative visual sensor network for urban mobility
US9384654B1 (en) Geolocation awareness item tracking
CN102724624A (zh) 在离开位置时自动登出
US104753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nteraction between monitored population and unmonitored population
CN104422944A (zh) 用于定位走失宠物的系统及方法
US2015035920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cking and Analyzing Animal Behaviors
Chihana et al. An IoT based warehouse intrusion detection (E-Perimeter) and grain tracking model for food reserve agency
Chien et al. A low-cost on-street park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luetooth beacons
US10255809B1 (en) Transport parking space availability detection
So-In et al. Mobile animal tracking systems using light sensor for efficient power and cost saving motion detection
KR20160012575A (ko) 재난 알림 서버 및 재난 알림 서버의 재난 알림 방법
KR20140147230A (ko) Usn 센서를 활용한 가축생체정보 원격진단 보조기기를 위한 웹/모바일기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