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160B1 -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160B1
KR102654160B1 KR1020230113876A KR20230113876A KR102654160B1 KR 102654160 B1 KR102654160 B1 KR 102654160B1 KR 1020230113876 A KR1020230113876 A KR 1020230113876A KR 20230113876 A KR20230113876 A KR 20230113876A KR 102654160 B1 KR102654160 B1 KR 102654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sub
distance
terminal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3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라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라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라컴퍼니
Priority to KR1020230113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2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C09K15/04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은, 메인 유저가 소지한 메인 유저 단말; 서브 유저가 소지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유저 단말; 반려동물의 신체에 탈착 가능하게 착용되는 것으로서, 반려동물 단말; 상기 메인 유저 단말과 상기 반려동물 단말 간의 기준 거리를 설정하는 기준 거리 설정모듈과, 상기 메인 유저 단말과 반려동물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 유저 단말과 반려동물 단말 간의 거리를 파악하는 거리 파악 모듈 및, 상기 거리가 기준 거리를 초과할 시 상기 메인 유저 단말에 메인 알람을 제공하는 메인 알람 제공부와 상기 거리가 기준 거리를 초과할 시 상기 반려동물 단말과 상기 서브 유저 단말 간의 거리를 파악한 다음 상기 반려동물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상기 서브 유저 단말에 해당 반려동물의 사진을 포함한 서브 알람을 제공하는 서브 알람 제공부를 포함한 위기 대처 모듈;을 포함한 중앙 관제 서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Companion animal activity management system using companion animal terminal}
본 발명은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반려동물이 주인과 함께 야외 활동을 할 때 반려동물이 주인과 특정 거리 이상으로 멀어져 잃어버릴 위험이 따를 시에 주인은 물론 특정한 주변 사람에게 함께 알람을 제공하여 주변의 도움을 받으면서 협동하여 반려동물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은 사람에게 많은 이점을 제공하여 신체적은 물론 정신적인 웰빙에 기여할 수 있다.
강아지와 같은 반려동물을 사람에게 충성심이 강하여 고립된 사람에게 귀중한 동반자 관계를 제공할 수 있고, 스트레스와 불안을 줄이면서 정서적인 교감을 나눌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어린이에게 공감과 연민에 대해 가르칠 수 있는 것은 물론, 수유, 산책, 운동, 털 손질, 수의사 관리와 같은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일상에서의 책임감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반려동물을 소유하는 것은 중요한 책임을 진다는 것이므로 반려동물에 대한 적절한 보살핌과 운동을 제공하는 것 역시 필요하다.
현대 통신 및 단말 기술의 발달로 반려동물의 활동, 예를 들어 운동량, 수면량을 측정하여 주인에게 알리는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을 뿐 아니라, 야외 산책 시에 반려동물이 주인과 일정 거리 떨어졌을 때 주인이 소지한 단말로 알람을 제공하는 시스템도 공개된 상태이다.
국내 특허 제 2480381호인 실내외에서 스마트 애완견-자동-다룸 시스템은, 실내외에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기기를 중심으로 애완견의 행동반경을 제한하여 애완견을 다루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기기와 GPS기능이 있는 스마트태그가 부착된 목걸이를 건 애완견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기기와 애완견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애완견의 스마트태그는 GPS값을 수신한 후 애완견의 스마트태그는 GPS값을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기기는 애완견의 스마트태그로부터 수신한 GPS값과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기기가 자체 수신한 GPS값을 기반으로 하여 거리를 측정하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기기는 상기 측정한 거리와 스마트폰 앱내 저장된 또는 스마트기기 앱내 저장된 최근접거리를 비교하는 단계; 및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기기는 상기 측정한 거리와 스마트폰 앱내 저장된 또는 스마트기기 앱내 저장된 가장 먼 거리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한 거리와 최근접거리를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측정한 거리가 최근접거리보다 크고, 상기 측정한 거리와 가장먼거리를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측정한 거리가 가장먼거리보다 작으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기기는 애완견이 일정한 거리범위내에서 잘 놀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만일 반려동물이 주인과 거리가 멀어져 주인에게 알람을 제공하였을 때 막상 주인이 제대로 반려동물을 찾지 못하면 주변에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는데 상기 기술은 효율적으로 주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마땅한 수단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반려동물이 주인과 함께 야외 활동을 할 때 반려동물이 주인과 특정 거리 이상으로 멀어져 잃어버릴 위험이 따를 시에 주인은 물론 특정한 주변 사람에게 함께 알람을 제공하여 주변의 도움을 받으면서 협동하여 반려동물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는 것은 물론, 다양한 반려동물의 활동 정보를 주인에게 알릴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국내 특허 제 2480381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반려동물이 주인과 함께 야외 활동을 할 때 반려동물이 주인과 특정 거리 이상으로 멀어져 잃어버릴 위험이 따를 시에 주인은 물론 특정한 주변 사람에게 함께 알람을 제공하여 주변의 도움을 받으면서 협동하여 반려동물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는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 사람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디테일한 환경을 제시하여 반려동물의 분실 위험을 더욱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려동물의 운동량, 수면량은 물론 목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음식의 섭취량을 파악하여 주인에게 보고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스트랩을 매개로 반려동물의 목에 반려동물 단말을 걸 때 반려동물의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은, 메인 유저가 소지한 메인 유저 단말; 서브 유저가 소지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유저 단말; 반려동물의 신체에 탈착 가능하게 착용되는 것으로서, 반려동물 단말; 상기 메인 유저 단말과 상기 반려동물 단말 간의 기준 거리를 설정하는 기준 거리 설정모듈과, 상기 메인 유저 단말과 반려동물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 유저 단말과 반려동물 단말 간의 거리를 파악하는 거리 파악 모듈 및, 상기 거리가 기준 거리를 초과할 시 상기 메인 유저 단말에 메인 알람을 제공하는 메인 알람 제공부와 상기 거리가 기준 거리를 초과할 시 상기 반려동물 단말과 상기 서브 유저 단말 간의 거리를 파악한 다음 상기 반려동물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상기 서브 유저 단말에 해당 반려동물의 사진을 포함한 서브 알람을 제공하는 서브 알람 제공부를 포함한 위기 대처 모듈;을 포함한 중앙 관제 서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브 알람 제공부는, 상기 서브 알람을 받은 상기 서브 유저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시간 내에 응답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파악한 다음, 상기 응답신호의 미수신 시 상기 반려동물 단말과 두 번째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상기 서브 유저 단말에 상기 서브 알람을 추가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반려동물 단말은, 스트랩을 매개로 상기 반려동물의 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반려동물의 모션과 목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에 따라 상기 반려동물의 활동량, 음식 섭취량, 수면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파악한 활동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활동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1) 반려동물의 분실 시 주인은 물론 반려동물에 최근접한 주변 사람에게 알람을 제공하여 도움을 받으면서 협동하여 반려동물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2) 최근접한 주변 사람의 응답이 없을 때 대응 수단을 다양하게 마련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며,
3) 반려동물의 운동량, 수면량은 물론 목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음식의 섭취량을 파악하여 주인에게 제공함으로써, 더욱 자세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4) 반려동물의 목/신체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 반려동물 단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 단말이 목걸이 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 단말을 반려동물의 목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중앙 관제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거리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알람을 출력하는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
도 6은 스트랩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및 부분확대단면도.
도 7은 복합 항산화 처리제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메인 유저 단말(10), 서브 유저 단말(20), 반려동물 단말(100) 및 중앙 관제 서버(200)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우선, 메인 유저 단말(10)은 반려동물의 주인인 유저, 즉 메인 유저가 소지한 단말로서 기본적인 통신 기능은 물론 GPS 기능 및 중앙 관제 서버(200)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로서, 가장 보편적으로 스마트폰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유저 단말(10)은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중앙 관제 서버(200)와 연동한 상태에서 자신, 즉 메인 유저 단말(10)을 소지한 메인 유저의 위치 정보를 중앙 관제 서버(200)에 전송하여 반려동물과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반려동물 단말(100) 및 중앙 관제 서버(200)와 연동하여 반려동물의 다양한 활동 정보를 전송받아 반려동물의 다양한 활동 상태를 파악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서브 유저 단말(20)은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유저가 소지한 단말로서, 본 발명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유저를 서브 유저라 한다.
즉, 서브 유저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하여 앱 스토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유저, 즉 자신 역시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다른 반려동물의 어려움(예를 들어 주인이 잃어버린 상태)을 케어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춘 유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유저 단말(20)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중앙 관제 서버(200)에 제공함으로써 특정 주인이 반려동물을 잃어버렸을 때 자신의 위치를 활용하여 주인에게서는 떨어졌지만 자신 근처에 위치한 잃어버린 반려동물을 찾을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 단말이 목걸이 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 단말을 반려동물의 목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반려동물 단말(100)은 고정 수단을 매개로 반려동물의 신체에 탈착 가능하게 착용되는 단말로서, 이 역시 기본적인 통신 및 GP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반려동물 단말(100)은 스트랩(110)을 매개로 반려동물의 목에 착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스트랩(11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에서 별도의 리드줄에 매달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할 수 있고, 버클(120)에 의해 반려동물에 탈착되는 것은 물론 스트랩(11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구(13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연결 수단은 반드시 스트랩(1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목이 아닌 반려동물의 가슴 등에 착용할 수 있는 하네스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이 반려동물 단말(100)의 외측 면에는 반려동물의 이름이나, 주인의 연락처, DNA 정보, 예방주사 접종 완료 정보 등의 반려동물에 대한 기본 정보가 기록된 인식표가 인쇄되거나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 단말(100)은 GPS 기능을 기반으로 반려동물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중앙 관제 서버(200)에 전송하면서 메인 유저 단말(10)과의 거리를 체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과 아울러, 후술하겠지만 다양한 센서를 통하여 반려동물의 수면량, 운동량, 섭취량과 같은 정보(본 발명에는 이를 '활동 정보'라 함)를 메인 유저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중앙 관제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중앙 관제 서버(200)는 메인/서브 유저 단말(10,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것은 물론 이를 매개로 기본적으로 제공된 통신 기능을 통하여 메인/서브 유저 단말(10,20)은 물론 반려동물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메인/서브 유저(10,20)와 반려동물의 실시간 거리를 파악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와 같은 중앙 관제 서버(20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현해내기 위한 일련의 주체로서, 서버PC 및 네트워크 통신망 등을 함께 포함한다. 더불어 중앙 관제 서버(20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파트' 등의 구성단위로써 후술할 예정이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 또는 '파트' 등 의 구성은 메인 서버의 저장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더불어, 중앙관제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의 일 예로서의 컴퓨팅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중앙 관제 서버(200)는 기본적으로 기준 거리 설정모듈(210), 거리 파악 모듈(220), 위기 대처 모듈(230)을 포함한다.
기준 거리 설정모듈(210)은 메인 유저 단말(10)과 반려동물 단말(100) 간의 기준 거리를 설정하여 저장 처리한 것으로서, 이러한 기준 거리는 메인 유저 단말(10)을 매개로 메인 유저가 설정한 다음 설정된 기준 거리를 메인 유저 단말(10)에서 중앙 관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거리는 복잡한 도심에서는 10m, 20m, 50m..와 같이 설정될 수 있고, 한적한 시골에서는 50,100m...와 같이 설정될 수 있고, 이러한 기준 거리는 메인 유저와 반려동물이 처한 환경과 상황에 따라 메인 유저의 판단으로 설정될 수 있다.
거리 파악 모듈(220)은 메인 유저 단말(10)과 반려동물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메인 유저 단말(10)과 반려동물 단말(100) 간의 거리를 파악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인 유저 단말(10)(서브 유저 단말(20) 포함)은 물론 반려동물 단말(100)은 GPS 기능을 통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중앙 관제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는데, 이 거리 파악 모듈(220)은 수신된 이들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이들의 거리를 파악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거리 파악 모듈(220)은 이들의 직선 거리를 파악할 수도 있으나, GIS 기반의 지도와 연동하여 지도의 도로를 기준으로 한 메인 유저와 반려동물의 거리를 파악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위기 대처 모듈(230)은 반려동물의 활동 중에 위기가 발생한 경우, 예를 들어 주인(메인 유저)과 반려동물이 산책 중일 때 반려동물과 주인이 기준 거리보다 멀리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메인 유저는 물론 반려동물 근처에 위치한 서브 유저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메인 알람 제공부(231)와 서브 알람 제공부(232)를 포함한다.
메인 알람 제공부(231)는 거리 파악 모듈(220)에서 파악한 거리가 기준 거리를 초과할 시 메인 유저 단말(10)에 메인 알람을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메인 알람은 불빛과 같은 시각적 알람, 소리와 같은 청각적 알람, 진동 발생과 같은 촉각적 알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주로 반려동물을 리드줄로 묶지 않은 상태에서 주인이 잠시 다른 행동을 할 때 반려동물이 임의로 달려 나간 상황이라 할 수 있는바,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메인 유저에게 자신의 반려동물이 벗어났다는 상황을 알려줌으로써 메인 유저가 신속하게 반려동물을 부르거나 찾을 수 있는 대처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브 알람 제공부(232)는 이미 반려동물이 메인 유저에서 많은 거리를 벗어났거나 메인 유저가 쉽사리 찾지 못하는 상황까지 이르렀을 때 이러한 위기 상황을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 알람 제공부(231)와 마찬가지로 거리 파악 모듈(220)에서 파악한 거리가 기준 거리를 초과할 시 반려동물 단말(100)과 서브 유저 단말(20) 간의 거리를 파악한 다음 반려동물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서브 유저 단말(20)을 검색한 다음 검색된 서브 유저 단말(20)에 해당 반려동물의 사진을 포함한 서브 알람을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서브 알람 역시 메인 알람과 마찬가지로 시각, 청각, 촉각적인 알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메인 알람과 달리 반려동물의 사진을 포함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 사진은 메인 유저 단말(10)을 통하여 미리 중앙 관제 서버(200)의 저장 공간에 저장되었다는 전제를 가진다.
또한, 이때의 기준 거리는 메인 알람 제공부(231)에서 파악하는 기준 거리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기준 거리 설정 모듈(210)에서 메인 유저와 반려동물과의 거리를 제 1 기준 거리(위기 거리: 예를 들어 50m), 제 2 기준 거리(위험 거리: 예를 들어 100m)로 구분하여 제 1 기준 거리보다 메인 유저와 반려동물 간의 거리가 멀어진 경우에는 메인 알람만을 메인 유저에게 제공하되, 이보다 더 먼 거리인 제 2 기준 거리보다 멀어진 경우에 비로소 서브 유저 단말(20)에 서브 알람을 제공하도록 하여 위기 단계를 구분하는 것은 물론 너무 자주 서브 알람이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기준 거리를 벗어난 반려동물은 가만히 제 자리에 있지 않고 계속 움직여 주인인 메인 유저가 쉽사리 반려동물을 찾지 못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 주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서브 유저에게 반려동물 분실 상태는 물론 해당 서브 유저가 반려동물과 가장 가까이 있다는 상태를 알림으로써 서브 유저가 반려동물을 찾는 것을 도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같이 메인/서브 알람이 발생한 이후에는 반려동물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메인/서브 유저 단말(10,20)에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반려동물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상황을 마련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반려동물의 활동, 특히 야외 활동 중에서 주인으로부터 멀리 벗어나 주인을 잃어버리는 위기 상황에서 주인인 메인 유저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여기서 더 나아가 반려동물에 가장 가까이 있는 다른 사람에게도 알람을 전송하여 협동하여 반려동물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구축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실시예에서, 위기 대처 모듈(230)은 특정 거리를 반지름으로 설정한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233)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브 알람 제공부(232)는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한 상기 서브 단말을 기준으로 거리 파악과 서브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서브 유저의 검색 대상을 메인 유저가 설정한 특정 반경 내로 한정을 미리 하여 중앙 관제 서버(200)의 검색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처리한 것으로서, 이때 해당 영역에 위치한 서브 유저를 메인 유저 단말(10)에 표시하여 메인 유저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기능(즉, 행여 반려동물을 잃어버려도 찾아 줄 수 있는 서브 유저가 이 정도의 숫자만큼 존재한다는 안도감)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서브 알람 제공부(232)는 서브 알람을 받은 서브 유저 단말(20)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시간 내에 응답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파악한 다음, 응답신호의 미수신 시 반려동물 단말(100)과 두 번째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서브 유저 단말(20)에 서브 알람을 추가로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브 유저 단말(20)은 중앙 관제 서버(200)로부터 서브 알람을 받았을 경우 예를 들어 '인지하였습니다'와 같은 응답 정보를 중앙 관제 서버(200)에 전송하도록 약속을 정할 수 있는바, 다시 말해 반려동물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서브 유저를 특정하여 서브 알람을 제공하였으므로 그만큼 해당 서브 유저의 대처 행동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반려동물에서 가장 가까운 서브 유저가 다른 행동을 하거나 서브 알람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이 서브 유저로부터 전송된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을 때 반려동물과 두 번째로 가가운 거리에 있는 서브 유저 단말(20)에 서브 알람을 추가로 제공하여 위기 대처 능력을 강화한 것이다.
이를 유추하여, 두 번째 가까운 서브 유저 단말(20)에서도 응답 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 세 번째, 네 번째와 같이 연속적으로 반려동물 주변의 서브 유저의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 5는 거리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알람을 출력하는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서브 유저와의 협동심을 기반으로 잃어버린 반려동물을 수월하게 찾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 것을 기본으로 하는데, 유저 간 네트워크 구축을 넘어서 사회적인 환경과의 네트워크 구축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일정 거리를 두고 복수 개로 야외 거리에 설치된 것으로서, 기본적인 통신 및 자신의 위치정보(고정값이므로 일종의 위치값을 포함한 식별정보)를 중앙 관제 서버(200)에 제공한 상태에서 스피커(31)를 포함한 거리 단말(3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거리 단말(30)은 거리에 고정된 건물이나 가로등과 같은 지형물에 부착/설치된 것으로서 고정 위치에 있으므로 GPS 기능을 필요로 하지는 않고 중앙 관제 서버(200)에서 각각의 거리/장소에 설치된 거리 단말(30)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족하다.
이에 대응하여, 서브 알람 제공부(232)는, 서브 알람을 받은 서브 유저 단말(20)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내에 응답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파악한 다음 응답신호의 미수신 시 반려동물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거리 단말(30)의 스피커(31)를 통해 청각 알람을 출력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서브 알람을 받은 서브 유저, 즉 반려동물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서브 유저로부터 응답 정보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 또 다른 서브 유저에게 서브 알람을 제공하면 이 서브 유저도 응답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아예 반려동물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거리 단말(30)의 스피커(31)를 통하여 청각 알람, 예를 들어 '반려동물을 분실하였는데 이 주변에 있습니다. 발견하신 분은 찾아 잠시만 돌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와 같은 안내 음성을 출력하여 일반 대중의 도움을 요청하는 대안을 제공한 것이다.
이는 마치 가로등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하여 안내 방송을 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 주변을 걷는 일반 대중이 즉각적으로 이 안내 내용을 인지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반려동물을 찾는 노력을 합심할 수 있는 환경을 자연스럽게 조성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반려동물의 다양한 활동 상태를 메인 유저 단말(10)에게 제공하여 이를 통해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체크하는 환경을 마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반려동물 단말(100)은 스트랩(110)을 매개로 상기 반려동물의 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반려동물의 모션과 목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를 구성하는 센서는 선형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심박수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형 가속도계는 반려동물의 움직임, 즉 모션을 인식하여 활동량을 파악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이러한 기능은 별도의 모션 센서를 통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자이로스코프는 각속도를 측정하여 상술한 선형 가속도계(모션 센서)의 판독값을 더욱 세분화하고 구체화하여 활동량의 정확도를 추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심박수 모니터는 반려동물의 피부에 빛(일반적으로 녹색)을 방출하고 반사되는 양을 측정하는 광혈류측정법(PPG)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빛 반사율의 변화는 혈액량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려동물의 심박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공지의 스마트워치의 센서와 같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반려동물의 활동량, 수면 시간을 포함한 반려동물 정보, 즉 활동 정보를 생성하여 메인 유저 단말(1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활동 정보는 음식 섭취량을 포함하는 특징을 가지는바, 상술한 선형 가속도계와 자이로스코프를 기반으로 한 상태에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반려동물의 일반적인 목 움직임과 음식(물 포함)을 섭취할 때의 목 움직임을 구별하여 파악함으로써 음식 섭취량을 파악하도록 한다.
이때, 선형 가속도계는 반려동물이 음식을 먹기 위해 머리를 아래로 기울이는 동작을 파악하고 자이로스코프는 선형 가속도계가 머리의 아래쪽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안에 목/머리의 기울기와 회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같이 반려동물의 활동량, 음식 섭취량, 수면 시간을 포함한 활동 정보를 생성하여 메인 유저 단말(10)에 제공함으로써, 주인인 메인 유저가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음식을 주기적으로 제대로 섭취하는지를 더욱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스트랩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및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 단말(100)이 스트랩(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반려동물에 목에 착용되면 가슴 등의 다른 신체 부위에 착용될 때보다 반려동물에 불필요한 압박과 답답함을 일으킬 개연성이 높아진다.
특히 목 부위에 털이 없거나 짧은 반려동물의 경우 사람보다 얇은 피부에 그대로 스트랩이 닿기 때문에 까짐, 쓰라림과 같은 상처나 고통을 유발하거나 이물감을 지속해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랩(110)에서 특히 반려동물의 신체에 닿는 내측 부위는 이중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스트랩(110)은 베이스(111)와 망체 시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1)는 반려동물의 신체에 닿는 것으로서 실리콘을 포함한 재질로 이루어져 실리콘 특유의 부드러운 촉감으로 반려동물의 얇고 예민한 피부의 상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11)는 스트랩(110)의 전체를 구성하거나 아니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피부에 닿지 않는 부위는 실리콘 이외의 재질로 제작된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피부/신체에 닿는 부위만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망체 시트(112)는 말 그대로 복수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얇은 층상 조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이러한 망체 시트(112)는 실리콘의 단점, 즉 수분을 흡수하지 못해 불필요한 미끄러움이 베이스(111) 표면에 발생하거나 아니면 반대로 건조한 상태에서 피부와 불필요한 마찰이 일어나는 문제를 방지한 것으로서, 안정적인 감촉을 제공함과 아울러 흡습성과 탄성 및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여 통공을 통하여 실리콘 특유의 부드러움을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재질을 통해 흡습 또는 불필요한 마찰을 줄이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도록 처리한 것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망체 시트(112)의 표면에는 복합 항상화 처리제가 코팅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복합 항산화 처리제는 별도의 스프레이 용기에 담겨 있다가 필요시마다 주기적으로 망체 시트(112)의 표면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 처리할 수 있다.
복합 항산화 처리제는 토코페롤(Tocopherol)과 페릴라오시모이드 씨 추출물(Perilla Ocymoides Seed Extract)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토코페롤은 비타민 E의 작용을 하는 천연물로서 생물학적 항산화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망체 시트(112)의 통공 내에 이물질이 끼어 이를 통해 산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박테리아 증식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는 항산화 기능 및 항균/항박테리아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페릴라오시모이드 씨 추출물은 들깨의 일종인 페릴라오시모이드 씨를 열수추출하거나 아임계추출한 추출물로서, 토코페놀과 같이 산화 방지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토코페롤과 같은 지용성 물질에 대한 용해 효과가 높아 복합 항산화 처리제에 첨가 시 지용성 성분인 토코페롤과 혼합되면서 결과적으로 망체 시트(112)는 물론 베이스(111)의 질감을 부드럽게 개선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항산화 처리제에 의하면, 망체 시트(112)의 통공 사이에 낀 이물질에 의해 산화 현상이 발생하거나 박테리아가 증식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부드럽고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복합 항산화 처리제는 후술할 3단계의 제조 공정을 수반하면서 다양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복합 항산화 처리제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복합 항산화 처리제는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1),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2), 복합 항산화 처리제를 완성하는 단계(S23)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S21)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가장 먼저, 아인산에스터(phosphorous ester) 15 내지 35 중량부와 키토산프로필설포네이트(Chitosan Propylsulfonate) 5 내지 15 중량부 및 에탄올(ethanol) 4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한다.
여기서 아인산에스터는 산화방지 기능의 역할을 수행하되 상술한 토코페롤과 페릴라오시모이드 씨 추출물과 함께 혼합되어 더욱 우수한 항산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이물질, 반려동물의 땀 등의 내외 요인에 의하여 베이스(111)나 망체 시트(112)가 변색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키토산프로필설포네이트는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복합 항산화 처리제의 혼합성을 높이며 안정화를 돕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이며, 나아가 피막형성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여 복합 항산화 처리제가 통공을 경유한 베이스(111)의 표면이나 망체 시트(112)에 더욱 확실하게 부착되어 복합 항산화 처리제 자체가 쉽사리 기화되거나 사라지는 문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아인산에스터, 키토산프로필설포네이트는 에탄올을 매개로 하여 용해되며, 이때 에탄올은 복합 항산화 처리제의 용매 역할을 함과 동시에 산화방지 기능을 더하는 역할을 하며 항균성을 부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22)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1차 혼합물 85 내지 90 중량부와, 제룸본(Zerumbone) 3 내지 10 중량부 및,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Ascorbyl Tetraisopalmitate)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한다.
제룸본은 세스퀴테르펜케톤 중 하나이며, 생강가의 뿌리줄기 정유 속에 존재한다. 녹는점이 66 내지 66℃를 나타내므로 2차 혼합물 제조 시 약간의 가열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제룸본은 강력한 산화방지제로서의 효과가 있어 복합 항산화 처리제의 항산화 품질의 강화 및 유지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망체 시트(112)에 의한 통공의 통기성 확보를 더욱 확실하게 보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는 비타민 C로 알려진 아스코빅애씨드와 지방산인 이소팔미틱애씨드중에서 테트라에스터만을 합성하여 만들어진 비타민 C 유도체이다. 강력한 산화방지 효과가 있는 비타민 C에 있어 열과 빛, 산소 등 외부 환경에 취약한 단점을 보완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복합 항산화 처리제 첨가를 통한 산화방지 효과를 더욱 증강하면서 이를 통해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를 높일 수 있다.
(S23) 복합 항산화 처리제를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2차 혼합물 92 내지 98 중량부와, 페릴라오시모이드 씨 추출물(Perilla Ocymoides Seed Extract) 1 내지 5 중량부 및, 토코페롤(Tocopherol)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복합 항산화 처리제를 완성한다.
페릴라오시모이드 씨 추출물은 앞서 언급하였듯이 산화방지 기능과 토코페롤과 같은 지용성 물질에 대한 용해 효과가 높아 복합 항산화 처리제에 첨가 시 지용성 성분, 특히 토코페롤과 혼합되면서 베이스(111)나 망체 시트(112)의 질감을 부드럽게 개선하여 반려동물의 피부를 더욱더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토코페롤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물학적 항산화제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페릴라오시모이드 씨 추출물의 기능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리하면, 이와 같이 제조된 복합 항산화 처리제는 반려동물의 야외 활동 시 비를 맞거나 미세 먼지 등의 이물질에 노출되어 망체 시트(112)에 낀 이물질을 매개로 그 주변이 쉽게 산화되거나 변색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러한 산화 방지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얻어질 수 있는 효과인 멸균성 또는 항균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베이스(111)나 망체 시트(112)의 표면을 부드럽고 매끈하게 만들어 반려동물의 예민한 피부에 대한 적합성을 높일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복합 항산화 처리제의 강력한 산화 방지 기능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항균성을 입증하기 위해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복합 항산화 처리제의 실시예 1 내지 2로 구성되어 있고, 비교예는 레몬 에센셜 오일 또는 생리식염수를 사용한 항균제이다.
<실시예 1>
아인산에스터 30g, 키토산프로필설포네이트 15g, 에탄올 65g을 혼합하여 1차 혼합물 100g을 만들었다.
제조된 1차 혼합물 85g을 제룸본 10g,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5g과 혼합하여 2차 혼합물 100g을 만들었다.
제조된 2차 혼합물 93g을 페릴라오시모이드 씨 추출물 5g, 토코페롤 3g과 혼합하여 피막 처리제 100g을 만들었다.
<실시예 2>
토코페롤 100g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1>
레몬 에센셜 오일
<비교예 2>
생리식염수
[실험예 1]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항균성 강화제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1. 항곰팡이 시험 : 곰팡이를 사멸시키거나 성장을 저해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으로, 각각의 시험 균주의 혼합 포자액을 제조하여 시험에 사용하였으며, 24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 5일간 배양하여 곰팡이의 성장 유무를 판단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시험 균주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은 항곰팡이 시험에 사용된 시험 균주를 나타낸 표이다.
균주명 종균번호
Aspergillus niger ATCC 9642
Penicillium piophilum ATCC 11797
Chaetomium globosum ATCC 6205
Trichoderma virens ATCC 9645
Aureobasidium pullulans ATCC 15233
표 2는 항곰팡이 시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종균번호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ATCC 9642 미성장 미성장 미성장 성장
ATCC 11797 미성장 미성장 미성장 성장
ATCC 6205 미성장 미성장 미성장 성장
ATCC 9645 미성장 미성장 미성장 성장
ATCC 15233 미성장 미성장 미성장 성장
상술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의 복합 항산화 처리제는 비교예 2의 항균제에 비하여 항곰팡이 시험에서 곰팡이를 사멸시키거나 성장을 저해하는 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항균 시험: 균의 증식이 저해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으로, 각각의 시험 균주는 Nutrient 액체 배지에 배양하여 시험에 사용하였으며, 37.0 ± 0.1 ℃에서 31.7 ± 0.2 % R.H 환경에서 24 시간 동안 진탕 배양시킨 후, 일정량을 채취하여 한천배지에 도말한 다음, 세균 수를 측정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시험 균주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표 3은 항균 시험에 사용된 시험 균주를 나타낸 표이다.
균주명 종균번호
Escherichia coli ATCC 25922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
Salmonella typhimurium IFO 14193
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ATCC 33591
Candida albicans ATCC 10231
표 4는 항균 시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종균
번호
실시예 비교예
1 2 1 2
ATCC 25922 초기 투입
균 수
1.2×10^6 1.2×10^6 1.2×10^6 1.2×10^6
24시간 후
균 수
0 0.67×10^6 1.0×10^6 4.8×10^6
ATCC 6538 초기 투입
균 수
1.2×10^6 1.2×10^6 1.2×10^6 1.2×10^6
24시간 후
균 수
0 0.55×10^6 0.95×10^6 5×10^6
ATCC 15442 초기 투입
균 수
1.2×10^6 1.2×10^6 1.2×10^6 1.2×10^6
24시간 후
균 수
0 0.69×10^6 0.97×10^6 5.1×10^6
IFO 14193 초기 투입
균 수
1.2×10^6 1.2×10^6 1.2×10^6 1.2×10^6
24시간 후
균 수
0 0.57×10^6 0.94×10^6 4.9×10^6
ATCC 33591 초기 투입
균 수
1.2×10^6 1.2×10^6 1.2×10^6 1.2×10^6
24시간 후
균 수
0 0.53×10^6 0.93×10^6 4.8×10^6
ATCC 10231 초기 투입
균 수
1.2×10^6 1.2×10^6 1.2×10^6 1.2×10^6
24시간 후
균 수
0 0.51×10^6 0.91×10^6 5×10^6
상기 표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의 복합 항산화 처리제는 비교예 1 내지 2의 항균제에 비하여 항균 시험에서 균의 증식이 저해되는 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비교 처리를 통해 실시예 1에 추가로 포함된 물질들로 인하여 항균 효과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2와 비교예의 변색 여부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한 외관 평가는 착색제에 의한 색감의 표현과 표면상태가 얼룩이나 크랙없이 깨끗한 상태를 양호, 착색제에 의한 색감이 다소 불량하여 표면에 약간의 얼룩이 나타나는 상태를 보통, 착색제에 의한 색감이 엷게 나타나 상당히 불량하고 표면에 많은 얼룩이 나타나는 상태를 불량으로 평가기준을 두었다.
나아가 외관의 변색 여부는 별도로 평가하여 변색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변색이 발생했을 시 변색된 색을 기재하도록 하였다.
상기 평가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는 외관/변색 여부 평가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외관상태 변색여부
실시예 1 양호 변색 없음
실시예 2 양호 일부 변색(갈색)
비교예 1 불량 변색(적갈색)
비교예 2 변색 (노란색+갈색)
표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물질이 망체 시트(112)에 포함되었을 때 훨씬 부드러운 피부 적합성을 가져 반려동물의 착용감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오래 동안 사용하여도 쉽사리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이러한 착용감과 변색 방지 기능은 실시예 1이 실시예 2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단말(100)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메인 유저 단말 20: 서브 유저 단말
30: 거리 단말 31: 스피커
100: 반려동물 단말 110: 스트랩
111: 베이스 112: 망체 시트
120: 버클 130: 길이 조절구
200: 중앙 관제 서버 210: 기준 거리 설정 모듈
220: 거리 파악 모듈 230: 위기 대처 모듈
231: 메인 알람 제공부 232: 서브 알람 제공부
233: 영역 설정부

Claims (8)

  1.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으로서,
    메인 유저가 소지한 메인 유저 단말;
    서브 유저가 소지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유저 단말;
    반려동물의 신체에 탈착 가능하게 착용되는 것으로서, 스트랩을 매개로 상기 반려동물의 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반려동물의 모션과 목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를 포함한 반려동물 단말;
    상기 메인 유저 단말과 상기 반려동물 단말 간의 기준 거리를 설정하는 기준 거리 설정모듈과, 상기 메인 유저 단말과 반려동물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 유저 단말과 반려동물 단말 간의 거리를 파악하는 거리 파악 모듈 및, 상기 거리가 기준 거리를 초과할 시 상기 메인 유저 단말에 메인 알람을 제공하는 메인 알람 제공부와 상기 거리가 기준 거리를 초과할 시 상기 반려동물 단말과 상기 서브 유저 단말 간의 거리를 파악한 다음 상기 반려동물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상기 서브 유저 단말에 해당 반려동물의 사진을 포함한 서브 알람을 제공하는 서브 알람 제공부를 포함한 위기 대처 모듈과, 상기 센서부의 센싱에 따라 상기 반려동물의 활동량, 음식 섭취량, 수면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파악한 활동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활동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한 중앙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반려동물의 신체에 닿는 것으로서 실리콘을 포함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적층된 것으로서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 상태에서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망체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망체 시트의 표면에는, 복합 항산화 처리제가 코팅 처리되되,
    상기 복합 항산화 처리제는,
    아인산에스터(phosphorous ester) 15 내지 35 중량부와 키토산프로필설포네이트(Chitosan Propylsulfonate) 5 내지 15 중량부 및 에탄올(ethanol) 4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1차 혼합물 85 내지 90 중량부와, 제룸본(Zerumbone) 3 내지 10 중량부 및,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Ascorbyl Tetraisopalmitate)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혼합물 92 내지 98 중량부와, 페릴라오시모이드 씨 추출물(Perilla Ocymoides Seed Extract) 1 내지 5 중량부 및, 토코페롤(Tocopherol)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복합 항산화 처리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 대처 모듈은,
    특정 거리를 반지름으로 설정한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알람 제공부는,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한 상기 서브 유저 단말을 기준으로 거리 파악을 하여 상기 서브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알람 제공부는,
    상기 서브 알람을 받은 상기 서브 유저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시간 내에 응답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파악한 다음, 상기 응답신호의 미수신 시 상기 반려동물 단말과 두 번째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상기 서브 유저 단말에 상기 서브 알람을 추가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일정 거리를 두고 복수 개로 야외 거리에 설치된 것으로서, 스피커를 포함한 거리 단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브 알람 제공부는,
    상기 서브 알람을 받은 상기 서브 유저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시간 내에 응답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파악한 다음, 상기 응답신호의 미수신 시 상기 반려동물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상기 거리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청각 알람을 출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30113876A 2023-08-29 2023-08-29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 KR102654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876A KR102654160B1 (ko) 2023-08-29 2023-08-29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876A KR102654160B1 (ko) 2023-08-29 2023-08-29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160B1 true KR102654160B1 (ko) 2024-04-03

Family

ID=9066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3876A KR102654160B1 (ko) 2023-08-29 2023-08-29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1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028A (ko) * 2014-04-02 2015-10-14 (주)블루노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4866A (ko) * 2015-06-09 2016-12-19 이동훈 비콘과 nfc를 이용한 반려동물 분실 사고 지원 장치
KR20170061115A (ko) * 2017-05-15 2017-06-02 전대연 실내외에서 스마트 애완견-자동-다룸 시스템
KR200488223Y1 (ko) * 2018-08-10 2018-12-31 유경화 애완동물용 목줄
KR102094547B1 (ko) * 2019-05-29 2020-03-27 윤정우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65110A (ko) * 2021-11-03 2023-05-11 김수현 반려동물 디바이스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028A (ko) * 2014-04-02 2015-10-14 (주)블루노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4866A (ko) * 2015-06-09 2016-12-19 이동훈 비콘과 nfc를 이용한 반려동물 분실 사고 지원 장치
KR20170061115A (ko) * 2017-05-15 2017-06-02 전대연 실내외에서 스마트 애완견-자동-다룸 시스템
KR102480381B1 (ko) 2017-05-15 2022-12-23 전대연 실내외에서 스마트 애완견-자동-다룸 시스템
KR200488223Y1 (ko) * 2018-08-10 2018-12-31 유경화 애완동물용 목줄
KR102094547B1 (ko) * 2019-05-29 2020-03-27 윤정우 Gps 기반 반려동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65110A (ko) * 2021-11-03 2023-05-11 김수현 반려동물 디바이스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rld Health Organization A global brief on vector-borne diseases
Rowland et al. Control of malaria in Pakistan by applying deltamethrin insecticide to cattle: a community-randomised trial
Ewbank et al. Individual recognition and the dominance hierarchy in the domesticated pig. The role of sight
Biben Comparative ontogeny of social behaviour in three South American canids, the maned wolf, crab-eating fox and bush dog: implications for sociality
Sherlock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leg health in the broiler chicken
Serpell The human-animal bond
Rahlenbeck et al. Prevention of tick-borne diseases: an overview
CA24282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rveillance of animals
Onyett et al. Preventing mosquito and tick bites: A Canadian update
Mponzi et al. Observing the distribution of mosquito bites on humans to inform personal protection measures against malaria and dengue vectors
KR102654160B1 (ko)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
Yosef et al. Anti Covid-19 face-masks increases vigilance in Nubian ibex (Capra nubiana)
Beck Occurrence of a house-infesting tropical rat mite (Ornithonyssus bacoti) on murides and human beings
Dzul-Rosado et al. Understanding risk perception from traditional knowledge of Mayan farmers on Rickettsioses
Findly Borderline beings: Plant possibilities in early Buddhism
Latané et al. Regulation of social contact in laboratory rats: Time, not distance.
Humaerah et al. Coastal and Island Public Health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Endemicity in Big Island
Hamlen Tick-Borne infections—A growing public health threat to school-age children: prevention steps that school personnel can take
Irikannu et al. A Survey of Man-biting Mosquito Species in a Tropical Rainforest Community in the South Eastern Nigeria
Makarczuk et al. Biomimetic MEMS to assist, enhance, and expand human sensory perceptions: a survey on state-of-the-art developments
Pulagura et al. Ant bite artifacts in a case of hanging
KR20230106075A (ko) 반려견 선호 향기 조성물
THEINDIANCOBR “I am indeed; and we may be proud that we were selected for this great enterprise, for no one
O’Neill Allocation of Function Revisited: The Use of Animals in Productive Processes and Systems
Sexson Descartes, His Daughter, and Her D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