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028A -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028A
KR20150115028A KR1020140039002A KR20140039002A KR20150115028A KR 20150115028 A KR20150115028 A KR 20150115028A KR 1020140039002 A KR1020140039002 A KR 1020140039002A KR 20140039002 A KR20140039002 A KR 20140039002A KR 20150115028 A KR20150115028 A KR 20150115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signal
smartphone
terminal device
ow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규
Original Assignee
(주)블루노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노바 filed Critical (주)블루노바
Priority to KR1020140039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5028A/ko
Publication of KR2015011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3Measuring rate of metabolism by using breath test, e.g. measuring rate of oxygen consumption
    • A61B5/0833Measuring rate of oxygen consump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9Signalling of the alarm condition to a substation whose identity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relaying alarm signals in order to extend communication rang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besity (AREA)
  • Pulmo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 단말장치,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 메인서버, 의료진의 스마트폰이 연동되도록 이루어지며,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애완동물의 심박(맥박)신호, 현재위치(GPS) 신호뿐만 아니라, 산소포화도 신호, 운동량 신호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져 애완동물의 건강 및 비만관리를 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위급한 상황에 놓인 경우에는 애완동물 단말장치에서 불빛으로 위험상황을 알림과 동시에 기 저장된 애완동물을 안정시키는 소리를 출력하고, 또한,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도 위험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산소포화도신호를 검출하는 산소포화도 센서와 맥파신호를 검출하는 맥파센서와 호흡신호를 검출하는 호흡센서를 구비하는 애완동물 단말장치; 애완동물 단말장치로부터 산소포화도신호, 맥파신호 및 호흡신호를 포함하는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메인서버로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 부터 수신된 측정신호를 저장하고, 측정신호를 의료진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메인서버; 메인서버로 부터 수신된 측정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의료진의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검출된 맥파신호로부터 심박수를 검출하여 심박수가 기준범위를 초과할 경우, 애완동물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로 특정 색의 광을 출력하거나 애완동물 단말장치의 스피커부로 특정 소리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되, 애완동물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빈맥, 서맥, 부정맥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하며,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가속도 센서를 더 구비하여,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신호인 이동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Pet health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애완동물 단말장치,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 메인서버, 의료진의 스마트폰이 연동되도록 이루어지며,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애완동물의 심박(맥박)신호, 현재위치(GPS) 신호뿐만 아니라, 산소포화도 신호, 운동량 신호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져 애완동물의 건강 및 비만관리를 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위급한 상황에 놓인 경우에는 애완동물 단말장치에서 불빛으로 위험상황을 알림과 동시에 기 저장된 애완동물을 안정시키는 소리를 출력하고, 또한,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도 위험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인간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애완동물)에게 비만은 아주 큰 문제거리로, 음식, 운동 등을 조절하여 체중을 줄이거나 건강의 증진을 하는 건강관리는 상당히 중요한 것으로 대두되었다.
최근에는 애완동물들에게서도 비만, 부정맥 등이 큰 문제로 발생하며, 이들 애완동물들의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심박신호 뿐만 아니라 산소포화도 신호, 운동량 신호가 필수적이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647731호는 동물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동물용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동물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전극으로부터 측정되는 심전도 측정 신호를 입력 받아 제어부로 출력하기 위한 측정 모듈과; 상기 심전도 측정 신호를 심전도 데이터로 변환하여 정상 심전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독출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독출된 안내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647731호의 경우, 심전도 데이터와 정상신호를 변환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독출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도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심전도 데이터, 맥박데이터, 체온데이터만으로는 동물의 건강관리를 행하기 어려우며, 또한, 운동량을 계속적으로 체크하여 비만정도 등을 관리하는 것또한 어려웁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애완동물 단말장치,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 메인서버, 의료진의 스마트폰이 연동되도록 이루어지고,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애완동물의 심박(맥박)신호, 현재위치(GPS) 신호뿐만 아니라, 산소포화도 신호, 운동량 신호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져 애완동물의 건강 및 비만관리를 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위급한 상황에 놓인 경우에는 애완동물 단말장치에서 불빛으로 위험상황을 알림과 동시에 기 저장된 애완동물을 안정시키는 소리를 출력하고, 또한,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도 위험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애완동물 단말장치,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 메인서버, 의료진의 스마트폰이 연동되도록 이루어지고, 애완동물 단말장치에서 애완동물의 심박(맥박)신호, 현재위치(GPS) 신호뿐만 아니라, 산소포화도 신호, 운동량 신호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져, 애완동물의 건강 및 비만관리를 보다 잘 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위급한 상황에 놓인 경우에는 애완동물 단말장치에서 불빛으로 위험상황을 알림과 동시에 기 저장된 애완동물을 안정시키는 소리를 출력하고, 또한,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도 위험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산소포화도신호를 검출하는 산소포화도 센서와 맥파신호를 검출하는 맥파센서와 호흡신호를 검출하는 호흡센서를 구비하는 애완동물 단말장치; 애완동물 단말장치로부터 산소포화도신호, 맥파신호 및 호흡신호를 포함하는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메인서버로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 부터 수신된 측정신호를 저장하고, 측정신호를 의료진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메인서버; 메인서버로 부터 수신된 측정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의료진의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검출된 맥파신호로부터 심박수를 검출하여 심박수가 기준범위를 초과할 경우, 애완동물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로 특정 색의 광을 출력하거나 애완동물 단말장치의 스피커부로 특정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애완동물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빈맥, 서맥, 부정맥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가속도 센서를 더 구비하여,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신호인 이동신호를 검출하며, 또한,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위치신호 검출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은 메인서버와 연동하여, 앱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설정된 사용자 ID 및 애완동물 ID는 메인서버에 저장된다.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검출된 맥파신호로부터 심박수를 검출하여 심박수가 기준범위를 초과할 경우, 위험경고신호를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설정된 각 측정신호의 동물별 기준범위 및 동물별 의료진 정보는 메인서버에 저장된다.
산소포화도 센서 및 맥파센서는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발광부와 포토센서로 이루어진 수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산소포화도 센서와 맥파센서는 동일 센서일 수 있다.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밴드와 신호검출단말로 이루어지며, 호흡센서는 전도성 탄성체로 이루어져, 밴드 또는 신호검출단말에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소포화도신호와 맥파신호와 호흡신호와 가속도신호를 포함하는 측정신호를 검출하는 애완동물 단말장치, 상기 애완동물 단말장치로부터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 상기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 부터 수신된 측정신호를 저장하는 메인서버, 상기 메인서버로 부터 수신된 측정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의료진의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산소포화도 센서, 맥파센서, 호흡센서, 가속도센서로부터 산소포화도신호, 맥파신호, 호흡신호, 가속도 신호를 수신하는, 측정신호 수신단계; 산소포화도 신호로부터 산소포화도를 구하고, 맥파신호로부터 심박수를 구하고, 호흡신호로부터 호흡수를 구하고, 가속도 신호로부터 운동량을 검출하여,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측정파라미터 추출단계; 측정파라미터 추출단계에서 검출된 산소포화도, 심박수를 기 설정된 각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판단단계; 위험 판단단계에서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위험경고신호로서 애완동물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로 빛을 발생하거나 또는 애완동물 단말장치의 스피커부로 소리 를 출력하고, 위험경고신호를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로 전송하는, 위험 경고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측정신호 수신단계의 앞에,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과의 거리 측정용신호를 무선전송하여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보다 멀다고 판단되면 별도의 AP기기(Access Point)를 이용하도록 애완동물 단말장치와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을 페어링하며, 측정된 거리가 상기 기준거리 보다 가깝다고 판단되면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로 페어링을 행하는, 애완동물 단말장치의 초기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은, 애완동물 소유자에 의해 설정된 애완동물 소유자의 ID, 애완동물의 ID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의 초기화단계;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의 초기화단계 후, 애완동물 소유자에 의해 설정된 애완동물별의 운동량, 심박수, 산소포화도 의 기준범위와, 애완동물별의 담당의료진 정보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애완동물별 설정단계;애완동물별 설정단계 후, 애완동물 단말장치로부터, 산소포화도, 심박수, 호흡수, 운동량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메인서버로도 전송하는, 측정파라미터 수신단계;애완동물 단말장치로부터, 위험경고신호를 수신하면, 이 위험경고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위험경고신호 수신단계; 위험경고신호 수신단계 후, 수신된 위험경고신호에 따라,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 빛 또는 소리 또는 진동을 출력하는, 위험경고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서버는,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애완동물 소유자의 ID, 애완동물의 ID를 저장하고, 또한,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애완동물별로 운동량, 심박수, 산소포화도의 기준범위, 애완동물별로 담당의료진 정보를 저장하는, 소유자별 동물별 설정데이터 저장단계;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산소포화도, 심박수, 호흡수, 운동량을 소유자별 동물별로 저장하는, 측정데이터 저장단계; 주기적으로 또는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의 요청에 따라, 메인서버는 애완동물별로 통계를 행하여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계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의료진의 스마트폰은, 메인서버로부터, 산소포화도, 심박수, 호흡수, 운동량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측정파라미터 출력단계; 메인서버로부터 월별 심박수, 월별 운동량 등의 통계, 분석값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통계치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애완동물 단말장치,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 메인서버, 의료진의 스마트폰이 연동되도록 이루어지고, 애완동물 단말장치에서 애완동물의 심박(맥박)신호, 현재위치(GPS) 신호뿐만 아니라, 산소포화도 신호, 운동량 신호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져, 애완동물의 건강 및 비만관리를 보다 잘 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위급한 상황에 놓인 경우에는 애완동물 단말장치에서 불빛으로 위험상황을 알림과 동시에 기 저장된 애완동물을 안정시키는 소리를 출력하고, 또한,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도 위험 알림신호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위급상황에 신속히 대처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목에 스트랩 형태의 애완동물 단말을 채워 심박수(맥박) 및 심박세동, 산소포화도를 지속적으로 체크함과 동시에 반려동물의 운동량과 칼로리를 계산할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건강관리를 체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애완동물 단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 화면의 일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으로, 애완동물 단말장치(100),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 메인서버(300), 의료진의 스마트폰(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애완동물 단말장치(100)는 밴드(110)와 신호검출단말(150)을 구비하여, 측정데이터, 즉, 산소포화도 신호, 맥파신호, 호흡신호, 위치(GPS)신호 및 움직임에 따른 이동신호(즉, 가속도 신호)를 검출하며, 검출된 측정데이터를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로 전송한다.
또한, 애완동물 단말장치(100)는 맥파신호로부터 심박수를 검출하여 기준치와 비교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하고, 위험이라고 판단될 경우(빈맥, 서맥, 부정맥 등일 경우)는 위험 알람신호를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로 전송하며, 또한 애완동물 단말(100)은 위험여부에 따라 신호검출 단말(150)을 빛 또는 소리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위험정도에 따라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으며, 기 저장된 애완동물을 안정시키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 단말장치(100)는 위치신호로부터 현재 애완동물이 기준범위를 벗어난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준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기준범위 이탈 알람신호를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로 전송하며, 또한 애완동물 단말(100)은 기준범위 이탈정도에 따라 신호검출 단말(150)에서 기 저장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애완동물 단말장치(100)는 산소포화도 센서, 맥파센서(용적맥파센서), 호흡센서, 가속도센서, 위치검출센서 등의 측정센서들을 구비한다. 또한, 이들 측정센서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전처리부(미도시), 전처리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미도시), 이들 측정신호들, 즉, 산소포화도 신호, 맥파신호(용적맥파신호), 호흡신호, 가속도신호, 위치검출신호 등을 분석하고, 위험여부 또는 이탈여부를 판단하고, 위험여부 또는 이탈여부에 따라 서로다른 색상을 출력하거나 소리를 출력하게 하는 연산처리부(미도시) 등을 구비한다. 또한 이들 측정신호들을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는 애완동물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측정데이터인, 산소포화도 신호, 맥파신호(용적맥파신호), 호흡신호, 가속도신호, 위치검출신호를 화면상 출력하며, 또한, 메인서버(300)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메인서버(300)로부터 앱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스마트폰(200)에 설치하고 사용자 ID 및 애완동물 ID를 설정하며, 각 측정신호의 동물별 기준범위를 설정하고, 동물별 의료진을 설정하게 하며, 이들 설정된 값을 메인서버(300)로 전송한다. 메인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분석치 또는 통계치를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메인서버(300)는 스마트폰(200)로부터 사용자 ID, 애완동물 ID, 각 측정신호의 동물별 기준범위,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분석하여 분석치 또는 통계치를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 및 의료진의 스마트폰(400)으로 전송한다. 특히, 메인서버(300)는 애완동물이 동물별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 알람신호와 함께 의료진의 스마트폰(400)으로 애완동물 ID, 각 측정신호의 동물별 기준범위,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의료진의 스마트폰(400)은 애완동물 ID별로 위험알람신호를 수신하며, 메인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애완동물 ID, 각 측정신호의 동물별 기준범위, 측정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의료진의 스마트폰(400)에서 각 측정신호의 동물별 기준범위를 재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애완동물 단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애완동물 단말장치(100)는 밴드(110)와 신호검출단말(15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되, 신호검출단말(150)에서 피부 접촉면에 산소포화도 센서, 맥파센서(용적맥파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산소포화도 센서와 맥파센서는 하나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산소포화도 센서 및 맥파센서는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발광부와 포토센서로 이루어진 수광부를 구비한다.
가속도센서는 자이로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위치검출센서는 GPS 송수신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속도센서, 위치검출센서는 애완동물 단말장치(100)의 어디에도 장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신호검출단말(150)에 장착될 수 있다.
호흡센서는 전도성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호흡센서는 밴드(110) 또는 신호검출단말(150)에 장착되어 애완동물이 호흡에 따라 체표면의 변화를 검출하여 호흡신호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들 측정센서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전처리부(미도시), 전처리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미도시), 특정 파라미터를 검출하고, 위험여부를 판단하고, 위험정도에 따라 서로다른 색상을 출력하게 하는 연산처리부(미도시), 이들 측정신호 등을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미도시)는 신호검출단말(150)에 위치될 수 있다. 신호검출단말(150)의 제일 상부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위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 화면의 일예이다.
도 3에서는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에는 동물명, 월간 평균운동량, 월간 평균심박수가 표시되며, 현재의 운동량, 심박수, 산소포화도가 표시된다.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에 위험 알람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 위험 알람부가 점등되거나, 진동, 소리 등을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는 위치확인 스위치를 클릭하여, 애완동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애완동물 단말장치(100)의 구동에 대해 우선 설명한다.
애완동물 단말장치(100)의 초기화단계로, 애완동물 단말장치(100)에서 신호검출 단말(150)의 동작개시 스위치(미도시)가 온(ON)되면 애완동물 단말장치(100)의 동작이 개시되면(S110), 애완동물 단말장치(100)는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으로 거리 측정용신호를 무선전송하여 거리를 측정하고(S120), 거리가 소정거리(즉, 기설정된 기준거리) 보다 멀다고 판단되면 별도의 AP기기(Access Point)를 이용하도록 애완동물 단말장치(100)와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를 페어링하며(S220), 거리가 소정거리 보다 가깝다고 판단(근거리로 판단)되면 블루투스(또는 지그비) 페어링을 행한다(S130).
측정신호 수신단계로, 산소포화도 센서, 맥파센서(용적맥파센서), 호흡센서, 가속도센서, 위치검출센서로부터 산소포화도신호, 맥파신호, 호흡신호, 가속도 신호, 위치검출신호 등을 수신한다(S140).
측정파라미터 추출단계로, 산소포화도 신호로부터 산소포화도를 구하고, 맥파신호로부터 심박수 등을 구하고, 호흡신호로부터 호흡수 등을 구하고, 가속도 신호로부터 운동량을 검출하고,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S150).
위험판단단계로, 측정파라미터 추출단계에서 검출된 산소포화도, 심박수 등을 각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하고(S160), 위험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측정신호 수신단계(S140)로 되돌아가 간다.
위험 경고출력단계로, 위험판단단계(S160)에서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위험경고신호로서 애완동물 단말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로 특정 빛 또는 특정 소리 등을 출력하고(S170), 위험경고신호를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로 전송하고,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는 이를 수신한다(S260).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의 구동에 대해 우선 설명한다.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의 초기화단계로,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에서 메인서버(300)과 연동하여, 전용 앱 또는 모바일 웹을 설치하고(S210),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을 애완동물 단말장치(100)과 페어링하며(S220), 메인서버(300)에 애완동물 소유자의 ID, 애완동물의 ID를 설정하고 이를 메인서버(300)로 전송한다(S230).
애완동물별 설정단계로, 애완동물별로 운동량, 심박수, 산소포화도 등의 기준범위를 설정하며, 애완동물별로 담당의료진을 설정하고 이 설정치를 메인서버(300)로 전송한다(S240). 이 설정치는 차후에 설정된 전문의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애완동물 단말장치(100)로도 전송될 수 있다.
측정파라미터 수신단계로, 애완동물 단말장치(100)로부터, 산소포화도, 심박수, 호흡수, 운동량등을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며, 이를 메인서버(300)로 전송한다(S250).
위험경고신호 수신단계로, 애완동물 단말장치(100)로부터, 위험경고신호를 수신하면, 이 위험경고신호를 메인서버(300)로 전송한다(S260).
위험경고 출력단계로, 수신된 위험경고신호에 따라,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으로 특정 빛 또는 특정 소리 또는 진동을 출력한다(S270).
통계치 출력단계로, 메인서버(300)로부터 월별 심박수, 월별 운동량 등의 통계, 분석값을 수신하고, 이를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으로 출력한다(S270).
메인서버(300)의 구동에 대해 우선 설명한다.
소유자별 동물별 설정데이터 저장단계로,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수신한 애완동물 소유자의 ID, 애완동물의 ID를 저장하고, 또한,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수신한 애완동물별로 운동량, 심박수, 산소포화도 등의 기준범위, 애완동물별로 담당의료진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S330).
측정데이터 저장단계로,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수신한 산소포화도, 심박수, 호흡수, 운동량 등을 소유자별 동물별로 저장한다(S335).
통계처리단계로,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에 따라, 메인서버(300)는 애완동물별로 통계를 작성하고 분석하여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S340).
의료진의 스마트폰(400)의 구동에 대해 우선 설명한다.
의료진의 스마트폰(400)의 초기화단계로, 의료진의 스마트폰(400)에서 메인서버(300)와 연동하여, 전용 앱 또는 모바일 웹을 설치한다(S410).
측정파라미터 수신단계로, 메인서버(300)로부터, 산소포화도, 심박수, 호흡수, 운동량등을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한다(S250).
통계치 출력단계로, 메인서버(300)로부터 월별 심박수, 월별 운동량 등의 통계, 분석값을 수신하고, 이를 의료진의 스마트폰(400)으로 출력한다(S27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애완동물 단말장치
110 : 밴드
150 : 신호검출단말
200 :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
300 : 메인서버
400 : 의료진의 스마트폰

Claims (15)

  1. 산소포화도신호를 검출하는 산소포화도 센서와 맥파신호를 검출하는 맥파센서와 호흡신호를 검출하는 호흡센서를 구비하는 애완동물 단말장치;
    애완동물 단말장치로부터 산소포화도신호, 맥파신호 및 호흡신호를 포함하는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메인서버로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 부터 수신된 측정신호를 저장하고, 측정신호를 의료진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메인서버;
    메인서버로 부터 수신된 측정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의료진의 스마트폰;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검출된 맥파신호로부터 심박수를 검출하여 심박수가 기준범위를 초과할 경우, 애완동물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로 특정 색의 광을 출력하거나 애완동물 단말장치의 스피커부로 특정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애완동물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빈맥, 서맥, 부정맥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가속도 센서를 더 구비하여,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신호인 이동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위치신호 검출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은 메인서버와 연동하여, 앱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설정된 사용자 ID 및 애완동물 ID는 메인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검출된 맥파신호로부터 심박수를 검출하여 심박수가 기준범위를 초과할 경우, 위험경고신호를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설정된 각 측정신호의 동물별 기준범위 및 동물별 의료진 정보는 메인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산소포화도 센서 및 맥파센서는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발광부와 포토센서로 이루어진 수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산소포화도 센서와 맥파센서는 동일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밴드와 신호검출단말로 이루어지며,
    호흡센서는 전도성 탄성체로 이루어져, 밴드 또는 신호검출단말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11. 산소포화도신호와 맥파신호와 호흡신호와 가속도신호를 포함하는 측정신호를 검출하는 애완동물 단말장치, 상기 애완동물 단말장치로부터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 상기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 부터 수신된 측정신호를 저장하는 메인서버, 상기 메인서버로 부터 수신된 측정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의료진의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산소포화도 센서, 맥파센서, 호흡센서, 가속도센서로부터 산소포화도신호, 맥파신호, 호흡신호, 가속도 신호를 수신하는, 측정신호 수신단계;
    산소포화도 신호로부터 산소포화도를 구하고, 맥파신호로부터 심박수를 구하고, 호흡신호로부터 호흡수를 구하고, 가속도 신호로부터 운동량을 검출하여,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측정파라미터 추출단계;
    측정파라미터 추출단계에서 검출된 산소포화도, 심박수를 기 설정된 각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판단단계;
    위험 판단단계에서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위험경고신호로서 애완동물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로 빛을 발생하거나 또는 애완동물 단말장치의 스피커부로 소리 를 출력하고, 위험경고신호를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로 전송하는, 위험 경고출력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애완동물 단말장치는, 측정신호 수신단계의 앞에,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과의 거리 측정용신호를 무선전송하여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거리 보다 멀다고 판단되면 별도의 AP기기(Access Point)를 이용하도록 애완동물 단말장치와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을 페어링하며, 측정된 거리가 상기 기준거리 보다 가깝다고 판단되면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로 페어링을 행하는, 애완동물 단말장치의 초기화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은,
    애완동물 소유자에 의해 설정된 애완동물 소유자의 ID, 애완동물의 ID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의 초기화단계;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의 초기화단계 후, 애완동물 소유자에 의해 설정된 애완동물별의 운동량, 심박수, 산소포화도 의 기준범위와, 애완동물별의 담당의료진 정보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애완동물별 설정단계;
    애완동물별 설정단계 후, 애완동물 단말장치로부터, 산소포화도, 심박수, 호흡수, 운동량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메인서버로도 전송하는, 측정파라미터 수신단계;
    애완동물 단말장치로부터, 위험경고신호를 수신하면, 이 위험경고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위험경고신호 수신단계;
    위험경고신호 수신단계 후, 수신된 위험경고신호에 따라,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 빛 또는 소리 또는 진동을 출력하는, 위험경고 출력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메인서버는,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애완동물 소유자의 ID, 애완동물의 ID를 저장하고, 또한,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애완동물별로 운동량, 심박수, 산소포화도의 기준범위, 애완동물별로 담당의료진 정보를 저장하는, 소유자별 동물별 설정데이터 저장단계;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산소포화도, 심박수, 호흡수, 운동량을 소유자별 동물별로 저장하는, 측정데이터 저장단계;
    주기적으로 또는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의 요청에 따라, 메인서버는 애완동물별로 통계를 행하여 애완동물 소유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계처리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의료진의 스마트폰은,
    메인서버로부터, 산소포화도, 심박수, 호흡수, 운동량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측정파라미터 출력단계;
    메인서버로부터 월별 심박수, 월별 운동량 등의 통계, 분석값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통계치 출력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140039002A 2014-04-02 2014-04-02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5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002A KR20150115028A (ko) 2014-04-02 2014-04-02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002A KR20150115028A (ko) 2014-04-02 2014-04-02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028A true KR20150115028A (ko) 2015-10-14

Family

ID=5435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002A KR20150115028A (ko) 2014-04-02 2014-04-02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5028A (ko)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03B1 (ko) 2016-07-21 2017-03-27 박제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
WO2019103219A1 (ko) * 2017-11-21 2019-05-31 주식회사 펫피트 행동정보를 이용한 질병예측방법 및 장치
KR20190077636A (ko) 2017-12-12 2019-07-04 (주)빅스톤하우스 반려동물 헬스케어 인공지능 시스템
WO2019198867A1 (ko) * 2018-04-09 2019-10-17 김봉균 동물 귀 정맥을 이용한 동물의 인증 방법
KR20190124573A (ko) 2018-04-26 2019-11-05 주식회사 팜프로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동물의 질병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00062522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유니메오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넥밴드를 통한 반려동물 대사증후군 사전 예방 시스템, 서버 및 방법
IT201900015554A1 (it) * 2019-09-04 2021-03-04 Abivet S R L Dispositivo e sistema di monitoraggio veterinario di un qualsiasi animale
KR20210067412A (ko) * 2019-11-29 2021-06-08 장현호 애완동물 건강측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측정 방법
KR20210105079A (ko) * 2020-02-18 2021-08-26 스마트사운드주식회사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5913A (ko) * 2020-04-09 2021-10-19 젠트리 주식회사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366104B1 (ko) 2021-03-27 2022-02-24 장석현 스마트 팻 케어 방법
KR20220030563A (ko) * 2020-09-03 2022-03-11 젠트리 주식회사 동물 진단용 웨어러블 센싱 장치, 동물용 웨어러블 진단 장치 및 동물용 생체 진단 시스템
KR102394439B1 (ko) * 2021-07-22 2022-05-06 (주)현대에이아이티 동물 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220080911A (ko) * 2020-12-08 2022-06-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을 위한 대사체 전환능 기반 유산균 조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18161A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케어식스 광용적맥파를 이용한 반려동물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2225082A1 (ko) * 2021-04-22 2022-10-27 젠트리 주식회사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469755B1 (ko) 2022-07-14 2022-11-23 블랙썬 주식회사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KR20220160931A (ko) * 2021-05-28 2022-12-06 젠트리 주식회사 유선 타입의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센싱 장치
KR102474908B1 (ko) 2021-11-19 2022-12-07 주식회사 카이로스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4987A (ko) * 2021-06-07 2022-12-14 젠트리 주식회사 웨어러블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진단 시스템
KR20220168801A (ko) * 2021-06-17 2022-12-26 젠트리 주식회사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호흡 측정 장치
WO2023003078A1 (ko) * 2021-07-22 2023-01-26 현대에이아이티 케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케어 시스템
KR20230081681A (ko) * 2021-11-30 2023-06-07 (주)씨앤아이 토탈솔루션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돌출행동 차단 장치
CN116313094A (zh) * 2023-03-21 2023-06-23 江苏二郎神塑业有限公司 一种远程宠物治疗检测系统及方法
WO2023163425A1 (ko) * 2022-02-25 2023-08-31 주식회사 펌킨컴퍼니 애완동물의 상태 측정용 스마트 목줄 및 상태 측정 시스템
KR102593868B1 (ko) 2023-07-04 2023-10-25 김민수 손톱 및 발톱 케어 정보 제공 및 전문가 매칭 플랫폼서비스 구동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54160B1 (ko) * 2023-08-29 2024-04-03 주식회사 라라컴퍼니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03B1 (ko) 2016-07-21 2017-03-27 박제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
WO2019103219A1 (ko) * 2017-11-21 2019-05-31 주식회사 펫피트 행동정보를 이용한 질병예측방법 및 장치
KR20190077636A (ko) 2017-12-12 2019-07-04 (주)빅스톤하우스 반려동물 헬스케어 인공지능 시스템
WO2019198867A1 (ko) * 2018-04-09 2019-10-17 김봉균 동물 귀 정맥을 이용한 동물의 인증 방법
KR20190124573A (ko) 2018-04-26 2019-11-05 주식회사 팜프로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동물의 질병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00062522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유니메오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넥밴드를 통한 반려동물 대사증후군 사전 예방 시스템, 서버 및 방법
IT201900015554A1 (it) * 2019-09-04 2021-03-04 Abivet S R L Dispositivo e sistema di monitoraggio veterinario di un qualsiasi animale
KR20210067412A (ko) * 2019-11-29 2021-06-08 장현호 애완동물 건강측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측정 방법
KR20210105079A (ko) * 2020-02-18 2021-08-26 스마트사운드주식회사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5913A (ko) * 2020-04-09 2021-10-19 젠트리 주식회사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220030563A (ko) * 2020-09-03 2022-03-11 젠트리 주식회사 동물 진단용 웨어러블 센싱 장치, 동물용 웨어러블 진단 장치 및 동물용 생체 진단 시스템
KR20220080911A (ko) * 2020-12-08 2022-06-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을 위한 대사체 전환능 기반 유산균 조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18161A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케어식스 광용적맥파를 이용한 반려동물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66104B1 (ko) 2021-03-27 2022-02-24 장석현 스마트 팻 케어 방법
WO2022225082A1 (ko) * 2021-04-22 2022-10-27 젠트리 주식회사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220160931A (ko) * 2021-05-28 2022-12-06 젠트리 주식회사 유선 타입의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센싱 장치
KR20220164987A (ko) * 2021-06-07 2022-12-14 젠트리 주식회사 웨어러블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진단 시스템
KR20220168801A (ko) * 2021-06-17 2022-12-26 젠트리 주식회사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호흡 측정 장치
WO2023003078A1 (ko) * 2021-07-22 2023-01-26 현대에이아이티 케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케어 시스템
KR102394439B1 (ko) * 2021-07-22 2022-05-06 (주)현대에이아이티 동물 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474908B1 (ko) 2021-11-19 2022-12-07 주식회사 카이로스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81681A (ko) * 2021-11-30 2023-06-07 (주)씨앤아이 토탈솔루션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돌출행동 차단 장치
WO2023163425A1 (ko) * 2022-02-25 2023-08-31 주식회사 펌킨컴퍼니 애완동물의 상태 측정용 스마트 목줄 및 상태 측정 시스템
KR102469755B1 (ko) 2022-07-14 2022-11-23 블랙썬 주식회사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CN116313094A (zh) * 2023-03-21 2023-06-23 江苏二郎神塑业有限公司 一种远程宠物治疗检测系统及方法
CN116313094B (zh) * 2023-03-21 2023-11-07 江苏二郎神塑业有限公司 一种远程宠物治疗检测系统及方法
KR102593868B1 (ko) 2023-07-04 2023-10-25 김민수 손톱 및 발톱 케어 정보 제공 및 전문가 매칭 플랫폼서비스 구동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54160B1 (ko) * 2023-08-29 2024-04-03 주식회사 라라컴퍼니 반려동물 단말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활동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5028A (ko)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898136B2 (en) Monitoring device for animals
JP5529872B2 (ja) 転倒検知システム及び/又は転倒防止システム
US20180206455A1 (en) Biometric and location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EP3474248A3 (en) Interconnecting detector
US20160310067A1 (en) A baby monitoring device
US20080058670A1 (en) Animal Condition Monitor
GB201213159D0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dicative of a stress situation in a human
RU2017125950A (ru) Стандарт медицинского браслета
RU2015145376A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падений и детектор падения
US8823511B2 (en) Device and method for biological monitoring
CN104224182B (zh) 一种监测人体跌倒的方法及装置
FI126095B (fi) Järjestely sairauskohtausten ennustamiseksi tai havaitsemiseksi
NL2020786B1 (en) Wearable device
JP2011510363A (ja) 被検者の危機的な状況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TW201717881A (zh) 拐杖助行器
JP2019528106A5 (ko)
CN110300543A (zh) 无线生命体征监测
US20170228508A1 (en) Proximity-based medical data retrieval
US20140340218A1 (en) Personal Safety Device
EP3794569B1 (en) Wrist-worn medical alert device for conveying an emergency message to a caregiver
KR20180072145A (ko) 넥밴드형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알림 시스템
WO2017024362A1 (en) Horse heart rate monitoring system
CN111724569B (zh) 报警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20150032410A (ko) 임피던스가 향상된 전극을 이용한 생체 상황 인지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