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755B1 -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755B1
KR102469755B1 KR1020220087102A KR20220087102A KR102469755B1 KR 102469755 B1 KR102469755 B1 KR 102469755B1 KR 1020220087102 A KR1020220087102 A KR 1020220087102A KR 20220087102 A KR20220087102 A KR 20220087102A KR 102469755 B1 KR102469755 B1 KR 102469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defecation
information
companion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 진 김
Original Assignee
블랙썬 주식회사
재 진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랙썬 주식회사, 재 진 김 filed Critical 블랙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7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2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rd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big data)등을 활용한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반려동물의 목이나 몸에 벨트(19)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 스마트밴드(10); 반려동물이 배변통에 배변을 하는 배변 행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배변모니터링기기(20); 반려동물이 특정구역에 접근하거나 보호지역을 벗어났다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0); 및 스마트밴드(10)와 배변모니터링기기(20) 및 감지센서(30)는 네트워크(40)를 통해 소유자 단말기(50)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정보를 주고 받으며, 그 자료는 인터넷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여 반려동물을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big data) 기술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배변횟수와 몸무게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위험지역 등 특정구역의 접근을 예방하고, 보호지역을 벗어났을 경우 탈출경보를 소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신속히 조치할 수 있도록 해주며, 반려동물과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 관리시스템{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big data)등을 활용한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배변횟수와 화장실 이용시간과 몸무게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위험지역 등 특정구역의 접근을 예방하고, 보호지역을 벗어났을 경우 탈출경보를 소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신속히 조치할 수 있도록 해주며, 반려동물이 숨어있을 때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하며, 반려동물과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반려동물(伴侶動物, companion animal 또는 애완동물 또는 동거동물)은 인간이 정서적으로 의지하고자 가까이 두고 기르는 동물을 말한다.
최근에 만들어진 팻테크(Pet-tech)는 반려동물(Pet)과 기술(Technology)이 합쳐진 신조어다.
한편, 사회가 발전하게 되면서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지는 반면, 사람들은 점차 자기중심적이고 애정이 매말라 가고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 외로움과 애정을 동물에게서 되찾으려 하며, 그 대상이 되는 동물을 반려동물이라고 한다.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이 전체가구의 약 30%, 1,500만이 넘는 현대 사회에서, 반려동물들의 건강관리에 특히 신경을 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반려동물은 단순히 애완동물이 아닌 가족의 구성원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어서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의 근원적인 걱정거리는 건강과 유실이다. 질병에 걸린 후에 동물병원에 가면 질병이 이미 진행된 문제도 있지만 병원비 문제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질병의 예방이 치료보다 중요하다. 말을 할 수 없는 애완동물의 경우 일반인이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배변활동과 체중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배변활동은 변비, 설사를 비롯하여 신장과 방광의 질병과 소화기관 질병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반려동물의 비만은 당뇨와 같은 내분비성 질환, 관절 질환 그리고 심장질환은 물론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된다. 참고로 미국의 경우 애완견의 56%, 애완묘의 60%가 과체중 또는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체중 또는 비만 강아지 보호자의 95% 그리고 고양이 보호자의 90%는 자신의 반려동물이 정상체중이라고 잘못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종 또한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생각하는 반려인들에게는 큰 두려움중의 하나이다. 미국통계자료의 경우 평균적으로 고양이 보호자의 14% 그리고 강아지 보호자의 15%가 5년에 한번 꼴로 반려동물을 잃어 버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잃어버린 강아지를 찾는 비율은 93%였지만 고양이의 경우 34%가 다시는 보호자와 재회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의 경우 주거행태가 집단주거 행태가 많아 미국에 비해 유실이 높고 재회율은 더 낮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래서,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술을 활용한 감지센서를 반려동물과 그 주변 환경에 부착하여, 반려동물의 배변 및 무게정보를 수집하여 건강상태를 예측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행태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반려동물이 보호지역에 접근하는 지 여부와 탈출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소유자와 직접적인 의사소통이어려운 반려동물의 건강상태와 보호를 위해서 반려동물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15028호((2015. 10. 14)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33978호((2015. 12. 01)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83763호((2017. 07. 19)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1-0101855호((2021. 08. 19)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1-0114750호((2021. 09. 24)가 공개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에 스마트밴드, 배변모니터링기기, 감지센서, 네트워크 및 단말기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IOT 기기를 반려동물이나 배변통과 특정구역(예: 문, 창문, 위험지역 등)에 부착하여 반려동물의 배변현황과 위치상태를 탐지하고, 이를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질병예방과 안전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반려동물의 배변횟수와 몸무게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위험지역 등 특정구역의 접근을 예방하고, 보호지역을 벗어났을 경우 탈출경보를 소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신속히 조치할 수 있도록 해주며, 반려동물과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건강이상을 표현하기 어려운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어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이 착용을 거부하는 등의 거부반응을 일으킬 우려가 없고, 나아가 개, 고양이 등의 여러 품종의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각각 개별적으로 추론 및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 제5목적은 영상 및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반려동물의 운동량, 수면상태, 식생활 등의 행동을 인식하는 기술(반려동물 행동인식 시스템)을 제공하고, 제6목적은 동작감지센서가 반려동물의 심박수와 호흡수를 측정해 편안한 상태인지, 긴장해 있는지 등 자율신경의 균형상태 여부를 수치화해 단말기로 보여주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스마트밴드를 반려동물의 목에 부착해 반려동물의 활동량을 파악, 전문가의 분석에 따라 활동량이 적정한지 여부를 단말기로 알려주도록 한 것이고, 제8목적은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에 구비된 CCTV 및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현장을 볼 수 있어 업무나 갑작스런 볼일로 집에 갈 수 없게 됐을 때도 반려동물에게 영상 및 음성으로 안심시켜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9목적은 GPS 센서 및 위치센서 기능에 의해 반려동물의 정확한 위치 및 활동량을 24시간 추적하고, 반려동물이 미리 설정해 놓은 지역을 벗어나면 앱을 통해 알람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반려동물이 움직이는 총시간과 거리 등 활동량에 대한 기록을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제10목적은 반려동물이 숨어있을 때 LED 빛이나 소리로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찾을 수 있도록 하였고, 제11목적은 반려동물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향후 나타날 수 있는 질병을 미리 진단하고 예방할 수 있고, DNA 검사 키트에 포함된 면봉으로 반려견 입 안의 타액을 채취 후 100여 항목에 대해 유전적 질병 위험성을 정밀하게 분석한 결과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2목적은 이로 인해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반려동물의 목이나 몸에 벨트를 이용하여 부착하여 위치나 활동을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밴드; 반려동물이 배변통에 배변을 하는 배변 행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배변모니터링기기; 반려동물이 특정구역에 접근하거나 보호지역을 벗어났다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스마트밴드와 배변모니터링기기 및 감지센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소유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정보를 주고 받으며, 그 자료는 인터넷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반려동물을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big data) 기술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에 스마트밴드, 배변모니터링기기, 감지센서, 네트워크 및 단말기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IOT 기기를 반려동물이나 배변통과 특정구역(예: 문, 창문, 위험지역 등)에 부착하여 반려동물의 배변현황과 위치상태를 탐지하고, 이를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질병예방과 안전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배변횟수와 배변통 이용시간과 몸무게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위험지역 등 특정구역의 접근을 예방하고, 보호지역을 벗어났을 경우 탈출경보를 소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신속히 조치할 수 있도록 해주며, 반려동물이 숨어있거나 탈출한 경우 위치파악을 하며, 반려동물과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건강이상을 표현하기 어려운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어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이 착용을 거부하는 등의 거부반응을 일으킬 우려가 없고, 나아가 개, 고양이 등의 여러 품종의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각각 개별적으로 추론 및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및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반려동물의 운동량, 수면상태, 식생활 등의 행동을 인식하는 기술(반려동물 행동인식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생체신호센서가 반려동물의 심박수와 호흡수 등을 측정해 편안한 상태인지, 긴장해 있는지 등 자율신경의 균형상태 여부를 수치화해 단말기로 보여주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목에 부착된 스마트밴드이 동작센서를 통해 반려동물의 활동량과 칼로리 소모량을 파악, 전문가의 분석에 따라 활동량이 적정한지 여부를 단말기로 알려주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에 구비된 CCTV 및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현장을 볼 수 있어 업무나 갑작스런 볼일로 집에 갈 수 없게 됐을 때도 반려동물에게 영상 및 음성으로 안심시켜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GPS 센서 및 위치센서 기능에 의해 반려동물의 정확한 위치 및 활동량을 24시간 추적하고, 반려동물이 미리 설정해 놓은 지역을 벗어나면 앱을 통해 알람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반려동물이 움직이는 총시간과 거리 등 활동량에 대한 기록을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하여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향후 나타날 수 있는 질병을 미리 진단하고 예방할 수 있고, DNA 검사 키트에 포함된 면봉으로 반려견 입 안의 타액을 채취 후 100여 항목에 대해 유전적 질병 위험성을 정밀하게 분석한 결과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의 요부를 보인 블럭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마트밴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배변모니터링기기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감지센서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의 전체를 보인 시스템 구성
도.
본 발명에 적용된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big data)등을 활용한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반려동물 관리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도1)
즉,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목이나 몸에 벨트(19)를 이용 부착하여 위치나 활동을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밴드(1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배변통에 배변을 하는 배변 행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배변모니터링기기(2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특정구역(예: 문, 창문, 위험지역 등)에 접근하거나 보호지역을 벗어났다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밴드(10)와 배변모니터링기기(20) 및 감지센서(30)는 네트워크(40)를 통해 소유자 단말기(50)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정보를 주고 받으며, 그 자료는 인터넷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여 반려동물을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big data) 기술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스마트밴드(10)와 배변모니터링기기(20) 및 감지센서(30)에는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반려동물 관리시스템(100)에는 CCTV(110) 영상 및 동작감지센서(120) 디바이스로부터 반려동물의 전체적인 모든 생활상을 감지 및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스마트밴드(10)에는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도2)
즉,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개체 식별과 동작 및 위치정보를 발신할 수 있는 송신기(11)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50)로부터 소리와 빛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12)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정한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스피커(13)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한 색깔을 조절하고 LED 조명을 점멸할 수 있는 LED램프(14)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밴드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충전 및 교환할 수 있는 배터리(1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밴드(10)에는 반려동물의 운동량, 수면상태, 식생활 등의 행동을 인식하는 반려동물 동작감지센서(16)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마트밴드(10)에는 반려동물의 위치 및 활동량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한 GPS(17)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8)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배변모니터링기기(20)의 몸체에는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도3)
즉, 본 발명은 배변통에 부착되고, 반려동물에게 부착된 스마트밴드(10)의 송신기(1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21)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무게를 잴 수 있는 무게센서(22)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게센서(22)의 기준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23)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배변현황과 무게 정보를 실시간 수집 관리하는 컨트롤보드(23)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배변과 무게 정보의 실시간 히스토리(history)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기(25)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변모니터링기기(2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26)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배변모니터링기기(20)에는 인공지능(AI) 기술로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검사하는 진단키트(27)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진단키트(27)는 분광기(27a)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분광기는 반려동물의 소변이나 대변의 유해성분(예: 메탄올, 톨루엔, 비스페놀 등)을 600~2500nml의 근적외선 스펙트럼으로 분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광기(27a)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모발검사 및 혈액을 검사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진단키트(27)는 시약막대(27b)로도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시약막대에 반려동물의 소변을 뭍힌 후 스마트폰의 앱을 실행하면 자동 매칭 및 분석하여 결과를 알려주게 된다.
더하여 상기 배변모니터링기기(20)에는 DNA 검사키트(28)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DNA 검사키트에 포함된 면봉으로 반려견 입 안의 타액을 채취 후 유전자 분석을 통해 향후 나타날 수 있는 질병을 미리 진단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감지센서(30)에는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도4)
즉,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송신기(11) 신호가 접근하는 것을 수신하는 수신기(31)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특정구역에 접근시 특정한 소리를 발생시켜 반려동물의 접근을 예방하는 스피커(32)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정한 소리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저장장치(33)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위치정보 또는 반려동물이 보호지역을 벗어났을 경우 탈출경보를 소유자의 단말기(50)로 전송하는 송신기(34)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감지센서(30)를 컨트롤하는 제어보드(35)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센서(3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3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30)에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집주인)의 얼굴을 반려동물에게 보여줄 수 있는 모니터(38)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발명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밴드(10)와 배변모티터링기기(20)와 감지센서(30)로부터 수집된 반려동물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인공지능(AI)으로 분석을 하는 데이터베이스(6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반려동물 관련 빅데이터(big data)를 저장하고 제어할 수 있고 앱(application)으로 장치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 단말기(5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물인터넷(IOT) 및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하여 반려동물 각각에 대한 배변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분석하여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행태 및 위치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분석하여 보호지역에 접근하였는지와 탈출하였는지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행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행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big data)등을 활용한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배변횟수, 배변통 이용시간과 몸무게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위험지역 등 특정구역의 접근을 예방하고, 보호지역을 벗어났을 경우 탈출경보를 소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신속히 조치할 수 있도록 해주며, 반려동물과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반려동물 관리시스템(100)의 요부를 보인 블럭 구성도로, 반려동물에게 부착한 스마트밴드(10), 체중계가 내장된 배변모티터링기기(20), 반려동물이 특정구역(예; 문, 창문, 위험지역 등)에 접근하거나, 보호지역을 벗어났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30), 각 장치들을 각종 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하는 네트워크(40), 각 장치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관리할 수 있는 단말기(50) 및 관련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6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도 2 는 반려동물의 목이나 몸에 벨트(18)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 스마트밴드(10)의 사시도로, 상기 스마트밴드(10)는 고유의 정보를 발신할 수 있는 송신기(11)를 포함하여, 다수의 반려동물 중 각각을 특정지을 수 있는 장치로, 소유자가 단말기(50)로 스마트밴드(10)와 송신기(11)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밴드(10)에는 반려동물이 어두운 곳에 숨어 있는 경우 쉽게 발견하기 위하여 특정한 색깔의 LED 조명을 점멸할 수 있는 LED 램프(14)를 포함하며, 소유자가 단말기(50)로 LED 램프(14)의 점멸 및 조명색깔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밴드(10)에는 숨어있는 반려동물을 쉽게 찾기 위해 특정한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스피커(13)를 포함하며, 소유자가 단말기(50)로 스피커(13)의 소리발생 및 소리 크기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밴드(10)에는 송신기(11)와 LED 램프(14)와 스피커(13)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전지(15)를 포함하며, 소유자가 상기 전지(15)를 충전하거나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밴드(10)에는 반려동물의 목이나 몸에 부착할 수 있는 벨트(19)를 포함하며, 소유자가 벨트(19)의 길이를 조절하여 반려동물의 목이나 몸에 스마트밴드(10)를 부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스마트밴드(10)에는 반려동물 동작감지센서(16)가 구비되어 반려동물의 운동량, 칼로리, 수면상태, 식생활 등의 행동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스마트밴드(10)에는 GPS(17)가 구비되어 탈출시 반려동물의 위치 및 반려동물의 활동량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 은 반려동물이 배변통에 소변이나 배변을 볼 수 있도록 한 배변모니터링기기(20)의 구성도로, 무게센선(22)가 내장되어 반려동물들의 몸무게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배변 모티터링 기기(20)에는 반려동물에게 부착된 스마트밴드(10) 송신기(11)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21)를 포함하여, 반려동물이 배변하는 횟수와 배변통 이용시간을 계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변 모티터링 기기(20)에는 반려동물의 몸무게와 배변 모티터링 기기의 무게를 정밀하게 잴 수 있는 무게센서(22)를 포함하며, 소유자가 배변 모티터링 기기(20)의 스위치(23)를 조절하여 무게센서(22)와 컨트롤보드(24)의 기준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변 모티터링 기기(20)에는 스마트밴드(10)의 송신기(11)가 보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21)와 배변 횟수 데이터, 배변통 이용시간 데이터와 무게센서(22)가 측정한 무게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기(25)를 포함하며, 소유자가 단말기(50)로 무게센서(22)와 컨트롤보드(24)와 송신기(205)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변 모티터링 기기(20)에는 무게센서(22)와 스위치(23)와 무게데이터를 컨트롤할 수 있는 컨트롤보드(24)를 포함하며, 소유자가 단말기(50)로 컨트롤보드(24)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변 모티터링 기기(20)에는 무게센서(22)와 스위치(23)와 수신기(21)와 송신기(25)와 컨트롤보드(24)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전지(26)를 포함하며, 소유자가 상기 전지(26)를 충전하거나 교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배변모니터링기기(20)에는 진단키트(27)가 구비되어 인공지능(AI) 기술로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단키트(27)는 분광기(27a)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분광기는 반려동물의 소변이나 대변의 유해성분(예: 메탄올, 톨루엔, 비스페놀 등)을 600~2500nml의 근적외선 스펙트럼으로 분석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분광기(27a)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모발검사 및 혈액을 검사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진단키트(27)는 시약막대(27b)로도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시약막대에 반려동물의 소변을 뭍힌 후 스마트폰의 앱을 실행하면 자동 매칭 및 분석하여 결과를 알려주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 상기 배변모니터링기기(20)에는 DNA 검사키트(28)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DNA 검사키트에 포함된 면봉으로 반려견 입 안의 타액을 채취 후 유전자 분석을 통해 향후 나타날 수 있는 질병을 미리 진단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감지센서(30)의 구성도로, 반려동물이 특정구역(예:문, 창문, 위험지역 등)에 접근하거나, 보호지역을 벗어났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상기 감지센서(30)에는 반려동물의 송신기(11) 신호가 접근하는 것을 수신하는 수신기(31)와, 반려동물이 특정구역에 접근시 특정한 소리를 발생시켜 반려동물의 접근을 예방하는 스피커(32)를 포함하며, 반려동물이 특정구역(예: 문, 창문, 위험지역 등)에 접근시 특정한 소리를 발생시켜 반려동물의 접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30)에는 특정한 소리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저장장치(33)와, 반려동물의 보호지역을 벗어났을 경우 탈출경보를 소유자의 단말기(50)로 전송하는 송신기(3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30)에는 상기 장치들을 조절하는 제어보드(32)와,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3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30)에는 모니터(35)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집주인)의 얼굴을 반려동물에게 보여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반려동물 관리시스템(100)의 전체를 보인 시스템 구성도로, 스마트밴드(10)와 배변 모티터링 기기(20)와 감지센서(30)와 소유자의 단말기(50)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세스 블록도이다.
상기 각종 장치간에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각종 무선통신망으로 구성된 네트워크(40)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소유자는 단말기(50)의 앱(application)으로 상기 각종 장치들과 데이터베이스(60)를 관리할 수 잇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스마트밴드(10)와 배변모니터링기기(20) 및 감지센서(30)는 네트워크(40)를 통해 소유자 단말기(50)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정보를 주고 받으며, 그 자료는 인터넷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여 반려동물을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big data) 기술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정에서 사물인터넷(IOT) 및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하여 반려동물 각각에 대한 배변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분석하여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행태 및 위치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분석하여 보호지역에 접근하였는지와 탈출하였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IOT 기기를 반려동물이나 배변통과 특정구역(예: 문, 창문, 위험지역 등)에 부착하여 반려동물의 배변현황과 위치상태를 탐지하고, 이를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질병예방과 안전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반려동물의 배변횟수와 몸무게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위험지역 등 특정구역의 접근을 예방하고, 보호지역을 벗어났을 경우 탈출경보를 소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신속히 조치할 수 있도록 해주며, 반려동물과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건강이상을 표현하기 어려운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어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이 착용을 거부하는 등의 거부반응을 일으킬 우려가 없고, 나아가 개, 고양이 등의 여러 품종의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각각 개별적으로 추론 및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 영상 및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반려동물의 운동량, 수면상태, 식생활 등의 행동을 인식하는 기술(반려동물 행동인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big data)등을 활용한 반려동물 관리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마트밴드
20: 배변모니터링기기
30: 감지센서
40: 네트워크
50: 단말기
100: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Claims (5)

  1. 반려동물 관리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
    반려동물의 생체 및 이동 정보를 발신할 수 있는 송신기(11); 사용자 단말기(50)로부터 소리와 빛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12); 특정한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스피커(13); 특정한 색깔을 조절하고 LED 조명을 점멸할 수 있는 LED램프(14); 및 스마트밴드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충전 및 교환할 수 있는 배터리(15);가 포함되어 반려동물의 목이나 몸에 벨트(19)를 이용 부착하여 위치나 활동을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밴드(10);
    배변통에 부착되고, 반려동물에게 부착된 스마트밴드(10)의 송신기(1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21); 반려동물의 무게를 잴 수 있는 무게센서(22); 무게센서(22)의 기준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23); 반려동물의 배변현황과 무게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는 컨트롤보드(24); 반려동물의 배변과 무게 정보의 실시간 히스토리(history)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기(25); 및 배변모니터링기기(2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26);가 포함되어 반려동물이 배변통에 배변을 하는 배변 행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배변모니터링기기(20);가 포함됨과 아울러 상기 배변모니터링기기(20)에는 인공지능(AI) 기술로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검사하는 진단키트(27)가 구비되되, 상기 진단키트(27)는 반려동물의 소변이나 대변의 유해성분을 600~2500nml의 근적외선 스펙트럼으로 분석하는 분광기(27a)가 구비되고, 또한 반려동물의 소변을 뭍힌 후 스마트폰의 앱을 실행하면 자동 매칭 및 분석하여 결과를 알려주는 시약막대(27b)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배변모니터링기기(20)에는 면봉으로 반려견 입 안의 타액을 채취 후 유전자 분석을 통해 향후 나타날 수 있는 질병을 미리 진단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한 DNA 검사키트(28)가 구비되고,
    반려동물이 특정구역에 접근하거나 보호지역을 벗어났다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0); 및
    스마트밴드(10)와 배변모니터링기기(20) 및 감지센서(30)는 네트워크(40)를 통해 소유자 단말기(50)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정보를 주고 받으며, 그 자료는 인터넷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여 반려동물을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big data) 기술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10)에는 반려동물의 운동량, 수면상태, 식생활의 행동을 인식하는 반려동물 동작감지센서(16)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10)에는 반려동물의 위치 및 활동량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한 GPS(17)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30)에는,
    반려동물의 송신기(11) 신호가 접근하는 것을 수신하는 수신기(31);
    반려동물이 특정구역에 접근시 특정한 소리를 발생시켜 반려동물의 접근을 예방하는 스피커(32);
    특정한 소리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저장장치(33);
    반려동물의 행태 및 위치정보 또는 반려동물이 보호지역을 벗어났을 경우 탈출경보를 소유자의 단말기(50)로 전송하는 송신기(34);
    감지센서를 조절하는 제어보드(35); 및
    감지센서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36);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10)와 배변모티터링기기(20)와 감지센서(30)로부터 수집된 반려동물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인공지능(AI)으로 분석을 하는 데이터베이스(60);
    반려동물 관련 빅데이터(big data)를 저장하고 제어할 수 있고 앱(application)으로 장치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 단말기(50); 및
    사물인터넷(IOT) 및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하여 반려동물 각각에 대한 배변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분석하여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행태 및 위치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분석하여 보호지역에 접근하였는지와 탈출하였는지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KR1020220087102A 2022-07-14 2022-07-14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KR102469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102A KR102469755B1 (ko) 2022-07-14 2022-07-14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102A KR102469755B1 (ko) 2022-07-14 2022-07-14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755B1 true KR102469755B1 (ko) 2022-11-23

Family

ID=8423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102A KR102469755B1 (ko) 2022-07-14 2022-07-14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75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653A (ko) * 2013-02-21 2014-08-29 홍충식 반려 동물 관리 시스템
KR20150115028A (ko) 2014-04-02 2015-10-14 (주)블루노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3978A (ko) 2014-05-21 2015-12-01 (주)디자인크라프트 전자차트와 연동하는 반려동물 체중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체중 관리 서비스 방법
KR20170083763A (ko) 2016-01-11 2017-07-19 주식회사 엠씨소프트 반려동물 상태알림 목걸이형 알림 장치
KR20210101855A (ko) 2020-02-11 2021-08-19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14750A (ko) 2020-03-11 2021-09-24 주식회사 가든 Iot 기반의 반려동물 스마트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220038698A (ko) * 2019-07-31 2022-03-29 디그 랩스 코퍼레이션 동물 건강 평가
KR20220055519A (ko) * 2020-10-26 2022-05-04 주식회사 헬스앤메디슨 사물 인터넷을 통한 실내 반려동물의 심리 및 행동분석에 기초한 지능형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0911A (ko) * 2020-12-08 2022-06-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을 위한 대사체 전환능 기반 유산균 조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653A (ko) * 2013-02-21 2014-08-29 홍충식 반려 동물 관리 시스템
KR20150115028A (ko) 2014-04-02 2015-10-14 (주)블루노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3978A (ko) 2014-05-21 2015-12-01 (주)디자인크라프트 전자차트와 연동하는 반려동물 체중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체중 관리 서비스 방법
KR20170083763A (ko) 2016-01-11 2017-07-19 주식회사 엠씨소프트 반려동물 상태알림 목걸이형 알림 장치
KR20220038698A (ko) * 2019-07-31 2022-03-29 디그 랩스 코퍼레이션 동물 건강 평가
KR20210101855A (ko) 2020-02-11 2021-08-19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14750A (ko) 2020-03-11 2021-09-24 주식회사 가든 Iot 기반의 반려동물 스마트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220055519A (ko) * 2020-10-26 2022-05-04 주식회사 헬스앤메디슨 사물 인터넷을 통한 실내 반려동물의 심리 및 행동분석에 기초한 지능형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0911A (ko) * 2020-12-08 2022-06-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을 위한 대사체 전환능 기반 유산균 조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8136B2 (en) Monitoring device for animals
KR101761698B1 (ko) 동물의 건강 및 안전을 모니터하는 다수의 센서들
US8866605B2 (en) Animal monitoring system
US9807982B2 (en) Pet health monitoring and analysis
US829723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health monitoring of anonymous animals in livestock groups
KR101815496B1 (ko) 동물 배변 훈련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배변 훈련 시스템
WO2019044899A1 (ja) 猫用トイレ使用状況管理システム及び猫用トイレ
US20150282457A1 (en) Cattle monitoring for illness
KR101962308B1 (ko)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과 스마트폰을 사용한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확인 시스템
KR102108829B1 (ko)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
EP2394231A1 (en) Vitality meter for health monitoring of anonymous animals in livestock groups
Scheibe et al. ETHOSYS (R)—new system for recording and analysis of behaviour of free-ranging domestic animals and wildlife
JP6884368B2 (ja) 家畜の放牧管理システム
US20220248641A1 (e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381906B1 (ko) 센서 기반 반려동물 관리용 펫링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토탈케어 시스템
US20200045929A1 (en) Hog health monitor
CN112704021A (zh) 一种可穿戴的多参数的动物健康指标采集装置
CN116234440A (zh) 用于监测动物的运动的系统和方法
Hillmann et al. Vocalisation of domestic pigs (Sus scrofa domestica) as an indicator for their adaptation towards ambient temperatures
KR20180066561A (ko) 애완동물 관리 및 구조 시스템
KR102469755B1 (ko)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CN112335558A (zh) 一种牲畜疾控自动监测防控装置
KR20210114750A (ko) Iot 기반의 반려동물 스마트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190124573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동물의 질병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214801609U (zh) 一种可穿戴的多参数的动物健康指标采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