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913A -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913A
KR20210125913A KR1020210035831A KR20210035831A KR20210125913A KR 20210125913 A KR20210125913 A KR 20210125913A KR 1020210035831 A KR1020210035831 A KR 1020210035831A KR 20210035831 A KR20210035831 A KR 20210035831A KR 20210125913 A KR20210125913 A KR 20210125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ignal
section
wearable
nois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3364B1 (ko
Inventor
김민정
신상도
송영민
Original Assignee
젠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젠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5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36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03Detecting lung or respiration no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16Measuring devices for examining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using specific filters therefor, e.g. Kalman or adaptiv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흡감지센서와 청진센서를 통해 생체 신호를 취득하고, 호흡감지센서에서 취득된 센싱신호에 근거하여 청진센서에서 취득된 센싱신호를 특정함으로써, 피검체의 크기 및 종류에 상관없이 폐음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은 웨어러블 부재와, 상기 웨어러블 부재에 장착되며 호흡을 감지하는 호흡감지센서와, 생체 장기의 소리를 감지하는 청진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전송한 상기 호흡감지센서의 제1센싱신호와 상기 청진센서의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abnormal)를 판단하는 진단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WEARABLE BIOMEDICAL DIAGNOSIS}
본 발명은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흡감지센서와 청진센서를 통해 생체 신호를 취득하고, 호흡감지센서에서 취득된 센싱신호에 근거하여 청진센서에서 취득된 센싱신호를 특정함으로써, 피검체의 크기 및 종류에 상관없이 폐음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진기는 피검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생체음을 청취하여 피진찰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데 사용된다. 종래의 청진기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생체음을 모아주는 채집부와, 채집된 생체음을 청취할 수 있는 이어피스부와, 상기 채집부 및 이어피스부를 연결하여 생체음을 전달하는 연결튜브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존의 아날로그형 청진기는 의사가 피검체(환자 등)의 몸에 청진기를 대고 청진음을 듣는다. 이때 소리의 원천이 되는 심장소리나 호흡소리는 소리 자체가 20㎐~800㎐ 사이로 주파수 레벨이 워낙 낮고, 피검체를 둘러싸고 있는 지방과 근육 그리고 갈비뼈 아래 부분에 숨겨져 있어 잘 들리지 않는다. 더욱이, 청진기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는 심장음(심음)과 호흡소리(폐음)이 혼합되기 때문에 가청신호에서 심음과 폐음을 구분하기 어려워 고도의 숙달된 노하우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청기와 같은 측미음계를 장착한 청진기나 피검체가 옷을 벗지 않은 상태에서도 생체 내부의 생체음 측정을 가능케 하는 증폭기를 구비한 전자 청진기 등이 개발되어 있다. 상기 전자 청진기는 피검체에서 발생되는 생체음 신호를 수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외부 기기로 송신하거나 녹음된 후 필요한 경우에 재생할 수 있다.
종래의 전자 청진기로는, 콘덴서 마이크로폰과 같이 공기층을 통과하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하거나 패러데이 법칙을 이용한 다이나믹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청진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 청진기기에 있어서도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청진기와 마찬가지로 감지할 수 있는 생체음 신호의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다. 예컨대, 콘덴서 마이크로폰과 같이 공기층을 통과하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전자 청진기의 경우, 낮은 주파수 대역의 생리적 음향 신호 대부분을 제대로 검출하지 못하기 때문에 30Hz 미만의 생체음 신호를 측정하기에 부적합하다. 한편, 패러데이 법칙을 이용한 다이나믹 마이크로폰이 구비된 전자 청진기의 경우에도 낮은 주파수 범위의 생체음 신호에 대한 감도가 떨어지는 응답 특성 때문에 맥박성의 파형을 갖는 생체음 신호를 측정하는 데 부적합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9413호에 심폐음 신호 획득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환자의 심음 및/또는 폐음을 측정하기 위한 프로브의 측정 위치에 따라 심음 및/또는 폐음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측정 위치에 따른 심음 및/또는 폐음을 분석하여 상기 프로브의 타겟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의 타겟 측정 위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피검체의 크기가 작은 경우, 예를 들면 피검체가 반려동물(애완견, 애완 고양이 등을 포함) 등과 같이 몸체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심장, 폐 및 기타 생체 장기들의 밀집도가 높아짐에 따라 폐와 심장이 근접하여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피검체의 특성에 대해 심장의 위치 또는 폐의 위치를 특정하기 어렵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957110호에 무선 청진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중앙에 원형 구멍이 형성된 도우넛 모양의 판상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의 상기 원형 구멍의 일측 및 타측에 원둘레를 따라 소정의 길이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에 톱니기어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 청진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원형 구멍에 인체의 피부가 돌출되게 소정의 힘으로 압박하면서 인체에 부착하는 의료용 점착성 패드를 구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청진기 고정부에 삽입하여 눌러서 장착하되, 원통형의 몸체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 톱니기어가 상기 청진기 고정부의 톱니기어와의 치합에 의해 고정되면서 인체에 눌러서 고정되며, 상기 인체를 압박하면서 밀착된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설치된 피에조 센서를 통해 상기 인체에서 발생하는 심음, 폐음 또는 장음을 수신하여 증폭한 후 블루투스 통신으로 전송하는 무선 청진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점착성 패드를 피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청진기를 피부에 면접시키는 것으로서, 피검체의 털이 없는 인체에 적합할 수 있으나, 반려동물 등과 같이 피부에 털이 많은 동물에는 적용하기가 부적합하다.
즉, 종래의 심음 및 폐음을 검출하는 장치(또는 시스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종래 청진기(전자 청진기 포함)는 인체의 특징에 제한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반려동물 등에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2. 인체의 경우 심장 및 폐의 위치가 구분되어 검출 위치를 특정하여 분리 검출할 수 있는 것인 반면, 반려동물인 경우 심장과 폐의 위치가 근접하여 배치됨에 따라 심장소리(심음)와 폐소리(폐음)가 혼재되어 검출되기 때문에, 심음과 폐음을 구분하기가 어렵다.
3. 인체, 즉 피검체가 사람인 경우에는 심음 및 폐음을 검출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이 원할하여 피검체가 의식적으로 검출하는 시간동안 신체를 제어할 수 있으나, 반려동물의 경우 의식적인 검출환경을 제공할 수 없다.
4. 반려동물 중 일부는 특유의 소리를 발생하여 특유의 소리와 심음 및 폐음과 구분하기 어렵다.
5. 반려동물에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시키기가 어렵고, 착용시킨다 하더라도 지속적인 착용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9413호 등록특허공보 제10-1957110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체 기관들이 조밀하게 모여 있는 반려동물에서 심음 및 폐음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심음 및 폐음을 구분하기 위한 복잡한 알고리즘 없이도 심음 및 폐음을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반려동물 뿐만 아니라 인체(사람)에도 적용하여 심음 및 폐음을 검출할 수 있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에 따른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에 따른 제모 등의 조치 없이도 쉽게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검출된 생체 정보에 근거하여 생체의 위험상황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은 웨어러블 부재와, 상기 웨어러블 부재에 장착되며 호흡을 감지하는 호흡감지센서와, 생체 장기의 소리를 감지하는 청진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전송한 상기 호흡감지센서의 제1센싱신호와 상기 청진센서의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abnormal)를 판단하는 진단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제1센싱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센싱신호에서 잡음(noise)을 제거하는 필터링 모듈과,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abnormal)를 판단하는 분석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단 장치의 필터링 모듈은 상기 제1센싱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구간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잡음으로 간주하여 상기 제2센싱신호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단 장치의 필터링 모듈은 상기 제1센싱신호의 폐 이완 시작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제1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제1구간과, 상기 제1센싱신호의 폐 수축 시작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제2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제2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잡음으로 간주하여 제2센싱신호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센싱신호는 폐음(lung sound)에 관한 신호이고, 상기 진단 장치의 분석 모듈은, 상기 제1센싱신호 및 상기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피검체의 폐질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분석 모듈에 의해 폐의 호흡주기(호흡수)가 20%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상 상태를 통지하는 알람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센싱신호는 심음(heart sound)에 관한 신호이고, 상기 진단 장치의 분석 모듈은, 상기 제1센싱신호 및 상기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피검체의 심혈관질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는 웨어러블 부재; 상기 웨어러블 부재에 장착되며 호흡을 감지하는 호흡감지센서; 상기 웨어러블 부재에 장착되며 생체 장기의 소리를 감지하는 청진센서; 및 상기 호흡감지센서의 제1센싱신호와 상기 청진센서의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abnormal)를 판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제1센싱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센싱신호에서 잡음(noise)을 제거하는 필터링 모듈과,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abnormal)를 판단하는 분석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진단 방법은 호흡을 을 감지하는 호흡감지센서의 제1센싱신호와, 생체 장기의 소리를 감지하는 청진센서의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abnormal)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센싱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센싱신호에서 잡음(noise)을 제거하는 필터링 단계; 및 상기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abnormal)를 판단하는 분석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링 단계는 상기 제1센싱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구간을 특정하는 구간 특정 단계; 및 상기 특정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잡음으로 간주하여 상기 제2센싱신호에서 제거하는 잡음제거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간 특정 단계는 상기 제1센싱신호의 폐 이완 시작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제1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제1구간을 특정하는 제1구간 특정 단계; 및 상기 제1센싱신호의 폐 수축 시작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제2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제2구간을 특정하는 제2구간 특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잡음제거 단계는 상기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잡음으로 간주하여 제2센싱신호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센싱신호는 폐음(lung sound)에 관한 신호이고, 상기 분석 단계는, 상기 제1센싱신호와 상기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피검체의 폐질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단계의 분석 결과, 폐의 호흡주기(호흡수)가 20%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이동단말기로 통지하는 알람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센싱신호는 심음(heart sound)에 관한 신호이고, 상기 분석 단계는, 상기 제1센싱신호 및 상기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피검체의 심혈관질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체 기관이 조밀하게 모여 있는 반려동물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적용 가능하고, 들숨과 날숨에 의한 폐의 이완 및 축소에 근거하여 심음 및 폐음을 정확하게 검출함으로써, 피검체에 대한 정밀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반려동물 뿐만 아니라 인체(사람)에도 적용 가능하여, 피검체의 종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착용에 따른 거부감을 감소시켜 지속적으로 심음 및 폐음을 검출함으로써, 피검체의 생체정보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밀진단과 지속검출이 가능함에 따라 중증의 피검체 또는 수술 전후의 피검체에 대한 생체정보를 검출하여 위급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검체의 외모를 훼손하지 않고도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할 수 있고, 기 입력된 피검체의 생체정보 또는 피검체의 평균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피검체에 대한 이상여부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에 적용된 호흡감지센서로 검출된 제1센싱신호의 출력 파형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에 적용된 청진센서로 검출된 제2센싱신호의 출력 파형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에 적용된 호흡감지센서로 검출된 제1센싱신호에서 선택된 구간에 대응하는 제2센싱신호의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특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청진센서를 통해 검출된 필터링 전의 제2센싱신호와, 호흡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제1센싱신호와, 필터링 후의 제2센싱신호의 그래프이다.
도 8은 다양한 종류의 호흡기 증상에 따른 폐음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진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호흡감지센서와 청진센서를 통해 생체 신호를 취득하고, 호흡감지센서에서 취득된 센싱신호에 근거하여 청진센서에서 취득된 센싱신호를 특정함으로써, 피검체의 크기 및 종류에 상관없이 폐음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장치에서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진단장치로 송신하면, 진단장치는 수신된 생체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10)은 웨어러블 장치(100) 및 진단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웨어러블 부재(110), 호흡감지센서(120), 청진센서(130) 및 통신 모듈(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웨어러블 부재(110)는 피검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밴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밴드의 양 끝단에는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착용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로는 벨크로, 버클 또는 스냅 단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는 신축성을 가지거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피검체의 체형에 따라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부재(110)로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의 밴드가 채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서 벨트 형상의 일자형 밴드, X자형 밴드, 이중 밴드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웨어러블 부재(110)는 티셔츠 및 속옷과 같은 의복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결국, 웨어러블 부재(110)는 피검체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신축성 부재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더라도 문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웨어러블 부재는 동일한 컨셉으로 이해될 수 있다.
웨어러블 부재(110)에는 호흡감지센서(120) 및 청진센서(130)가 장착된다.
호흡감지센서(120)는 이완과 수축에 따른 기계적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소자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호흡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기판 및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판이 이완 또는 수축하는 정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전압 신호가 출력되는데, 센서(120)의 종류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호흡감지센서(120)로 스트레치센서(stretch sensor)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uage)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스트레치센서는 신축성밴드 또는 직물 등의 이완 및 수축 정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팽창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신호를 생성한다.
스트레인게이지는 압력(또는 스트레스)이 가해지면 내부 분극에 의해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압전체 등을 이용하여 외부 힘이 가해져 변형이 되면 전기저항이 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호흡은 흡기와 호기로 구분될 수 있다.
흡기(Inspiration) 과정에서는 늑간근(Intercostal muscle)이 수축하여 늑골(Rib)이 들리고, 횡격막(Diaphragm) 역시 수축함에 따라 내려가 흉강(Thoracic cage)의 부피가 늘어난다. 반대로, 호기(Expiration) 과정에서는 늑간근이 이완하여 늑골이 내려가고, 횡격막도 이완하여 올라가 흉강의 부피가 줄어든다.
본 발명에서 호흡은 흡기와 호기를 검출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좁은 의미로 흉곽의 팽창과 수축을 의미할 수 있으며, 더 좁은 의미로 폐의 팽창과 수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호흡이라는 정의는 흡기와 호기를 포괄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흉곽 또는 폐의 팽창과 수축을 아우르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서 호흡감지센서(120)는 피검체, 예를 들면, 인체 또는 반려동물 등의 검사 대상체의 호흡에 의해 발생되는 폐 또는 흉곽의 팽창과 수축을 검출한다.
호흡감지센서(120)는 웨어러블 부재(110)에 별도로 부착되거나 웨어러블 부재(11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호흡감지센서(120)가 원활하게 동작하기 위해 웨어러블 장치(100)는 피검체의 폐 부위(흉부)를 감싸도록 착용될 것이 권장된다. 또한, 피검체가 호흡함에 따라 폐를 심하게 압박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텐션을 가진 상태로 착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반드시 장착 위치를 폐 부위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폐의 이완과 수축을 검출할 수 있다면 신체의 어느 부위라도 장착 가능하다. 특히 반려동물의 경우 신체 자체가 인간에 비해 작은 편이므로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몸통의 거의 모든 부위에서 폐의 이완과 수축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몸통 부위 내라면 웨어러블 장치(100)를 굳이 폐부가 아닌 다른 위치에 착용해도 상관 없다.
청진센서(130)는 상기 웨어러블 부재(110)에 장착되고, 피검체의 생체 장기 소리를 감지한다. 여기서, 생체 장기 소리에는 심음과 폐음이 포함되며, 그 외에 다른 장기의 소리나 주변의 잡음이 포함될 수 있다.
청진센서(130)는 튜브와, 상기 튜브를 통해서 모아진 음향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주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서 변환된 전기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증폭기와, 상기 신호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100)는 호흡감지센서(120)을 이용하여 피검체의 호흡에 의한 폐의 이완 및 수축에 대한 제1센싱신호를 검출하고, 청진센서(130)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생체 장기 소리에 대한 제2센싱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웨어러블 장치(100)는 상기 제1센싱신호와 상기 제2센싱신호를 통신 모듈(140)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진단장치(200)에 송신한다. 제1센싱신호와 상기 제2센싱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송신될 경우, 상기 통신 모듈(140)은 블루투스(Bluetooth),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SN(Wireless Sensor Network), WLAN (Wireless LAN or Wifi) 및 UWB(Ultra Wideban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블루투스(Bluetooth) 계열의 BLE 비콘(beacon) 프로토콜 지원으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의 정보 전송을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모듈(140)은 2G, 3G, 4G, 5G와 같은 이동 통신 프로토콜이나,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도 있다.
제1센싱신호와 상기 제2센싱신호가 아날로그 신호로 송신될 경우, 통신 모듈(140)은 AM이나 FM방식의 RF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40)은 유선방식으로 RS-232C나 USB와 같은 유선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도 있다.
진단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링 모듈(210), 분석 모듈(220) 및 알람 모듈(230)을 포함한다.
필터링 모듈(210)은 호흡감지센서(120)에서 검출된 제1센싱신호를 이용하여 청진센서(130)에서 검출된 제2센싱신호의 잡음(noise)을 제거한다.
본 명세서에서 '잡음(noise)'라 함은 검출하고자 하는 타겟 음향 신호 외의 다른 음향에 관한 신호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타겟 음향 신호가 폐음이라면 폐를 제외한 다른 장기 즉, 심장 또는 위장의 소리나 그 외에 외부 환경에서 유입되는 잡소리는 모두 '잡음'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에 적용된 호흡감지센서로 검출된 제1센싱신호의 출력 파형이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호흡감지센서(120)에서 검출되는 제1센싱신호의 파형은 피검체의 호흡에 따라 폐의 이완 및 수축에 대응하여 나타난다.
호흡에 따른 제1센싱신호를 살펴보면, 최저점에서 폐 이완 시작(들숨의 시작)되어 최고점까지 숨을 들이키는 들숨구간(inhalation)과, 들숨구간 경과 후 폐 수축 시작(날숨의 시작)되어 최저점까지 숨을 내뱉는 날숨구간(exhalation)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들숨과 날숨은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들숨과 날숨은 연속적으로 반복되긴 하지만 피검체의 몸 상태에 따라 고른 형태의 파형이 반복될 수도 있고, 도 4에서 보듯, 다소 고르지 못한 파형이 반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에 적용된 청진센서로 검출된 제2센싱신호의 출력 파형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5를 참조하면, 제2센싱신호에는 다양한 소리의 신호 파형이 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제2센싱신호에는 심장 소리(심음), 폐의 소리(폐음), 소장과 대장의 소리(장음), 호흡음 및 음성 등의 다양한 생체 장기 소리가 함께 포함됨으로 인해 한 주기의 출력 파형에서 적어도 6개 이상의 피크(peak) 파형이 검출된다.
따라서 타겟팅하는 특정 장기의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소리가 포함된 제2센싱신호로부터 상기 특정 장기의 소리와 그 외의 소리를 분리해 낼 필요가 있다.
이에, 필터링 모듈(210)은 호흡감지센서의 제1센싱신호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특정하고, 특정된 제1센싱신호의 구간에 대응하는 청진센서의 제2센싱신호의 구간을 특정한다. 그리고 제2센싱신호에서 상기 특정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잡음으로 간주하며, 상기 제2센싱신호에서 잡음으로 간주된 구간의 신호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제2센싱신호를 필터링한다.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필터링 모듈의 필터링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에 적용된 호흡감지센서로 검출된 제1센싱신호에서 선택된 구간에 대응하는 제2센싱신호의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특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제1구간은 상기 제1센싱신호의 폐 이완 시작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제1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이고, 제2구간은 상기 제1센싱신호의 폐 수축 시작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제2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이다.
즉, 제1구간은 들숨구간에서 들숨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들숨이 완전히 종료되기 전(미리 설정된 제1시점) 구간에 대응하는 제2센싱신호이고, 제2구간은 날숨구간에서 날숨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날숨이 완전히 종료되기 전(미리 설정된 제2시점) 구간에 대응하는 제2센싱신호이다.
필터링 모듈(210)은 상기 제2센싱신호의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잡음으로 간주하여 제거한다.
상기에서 제1구간 및 제2구간은 시간(time line)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나, 검출된 센싱 신호의 최고점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정상적인 호흡은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특정할 수 있으나, 비정상적인 호흡인 경우에는 호흡수가 증가되기 때문에 시간 기준보다는 제1센싱신호의 최고점과 최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설정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구간은 상기 제1센싱신호의 들숨이 시작되는 폐 이완 시작 시점에서 들숨이 최고점 도달 시간보다 이전시간으로 설정하고, 제2구간은 상기 제1센싱신호의 날숨이 시작되는 폐 수축 시작 시점에서 날숨이 최저점 도달 시간보다 이전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구간은 호흡(들숨)에 의한 폐의 이완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구간이고, 제2구간은 호흡(날숨)에 의한 폐의 수축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제2센싱신호의 상기 제1구간 및 제2구간은 폐음(lung sound)에 관한 신호로 정의해도 무리가 없다.
또한, 제2센싱신호에서 상기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제외한 구간은 폐의 이완과 수축이 잠시 멈추거나 약하게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에는 폐음보다는 그 외에 다른 장기, 예를 들면 심음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으므로 따라서, 제2센싱신호의 상기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제외한 구간은 심음(heart sound)에 관한 신호로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제1센싱신호 또는 제2센싱신호에서 제1구간과 제2구간을 다양한 기준에 의해 설정함으로써, 제2센싱신호에서 필터링된 잔여 구간의 신호는 심장, 위, 장 등 신체의 특정 장기에 관한 소리 신호로 정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필터링 모듈의 동작 원리를 필터링 전과 후의 청진 신호를 참고하여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청진센서를 통해 검출된 필터링 전의 제2센싱신호와, 호흡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제1센싱신호와, 필터링 후의 제2센싱신호의 그래프를 동시에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7의 (a)는 청진센서(130)에서 검출된 제2센싱신호이고, (b)는 호흡감지센서(12)로 검출된 제1센싱신호이며, (c)는 필터링 모듈(210)을 통해 상기 제1센싱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센싱신호에서 잡음이 제거된 상태의 신호이다.
첨부된 도 7의 (a)에 보인 바와 같이, 청진센서(130)에서 검출된 제2센싱신호에는 폐음, 심음 및 기타 잡음이 혼재되어 복잡한 파형을 보이고 있다.
도 7의 (b)에서 보듯, 호흡감지센서(12)로 검출된 제1센싱신호는 비교적 규칙적으로 들숨과 날숨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필터링 모듈(210)은 상기 제1센싱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구간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잡음으로 간주하여 상기 제2센싱신호에서 제거함으로써 폐음을 특정한다.
따라서 첨부된 도 7의 (c)를 참조하면, 도 7의 (b)에서 호흡감지센서(120)의 이완 및 수축에 구간을 특정하고, 특정된 구간에 근거하여 청진센서(130)의 제2센싱신호에서 특정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잡음으로 간주하여 제외된 파형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c)의 파형에서 하나의 주기는 2개의 피크 파형을 포함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첫 번째 피크 파형은 들숨의 폐음을 가리키고 두 번째 피크 파형은 날숨의 폐음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분석 모듈(220)은 상기 제1센싱신호 및 상기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피검체의 폐에 이상 상태가 발생했는지 여부 및/또는 구체적인 폐질환 종류를 판별한다.
본 발명에서 폐의 '이상 상태'라 함은 다양한 기준에 의해 사전에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폐에 체액이 차서 발생하는 폐부종의 경우, 폐에 소정 기준 이상의 체액이 차면 더 이상 돌이킬 수 없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하므로 그 이전에 전조 증상을 미리 감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분석 모듈(220)은 필터링된 제2센싱신호로부터 검출된 호흡주기(호흡수)가 정상상태의 20%를 초과하는 것으로 계산되면, 돌이키기 어려운 심각 상태의 전조 단계로 간주하여 '이상 상태'로 판단하거나 심각한 '폐부종'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호흡주기(호흡수)에 대한 비교판단 대상으로 피검체에 대한 미리 저장된 정보(정상 상태의 호흡주기 또는 호흡수)가 이용될 수 있다.
즉, 피검체가 반려동물일 경우, 반려동물의 종, 암/수, 나이 및 몸무게 등에 따라 정상적인 호흡주기에 대한 구축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고, 피검체가 사람(인체)인 경우는 남/녀, 나이 및 몸무게 등에 따라 정상적인 호흡주기에 대한 구축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만약 피검체에 대한 미리 저장된 호흡주기가 없는 경우에는 피검체에 대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평균 호흡주기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분석 모듈(220)은 필터링된 제2센싱신호를 미리 정의된 다양한 폐질환 파형과 비교함으로써 구체적인 폐질환 이름을 판별해 낼 수도 있다.
도 8은 다양한 종류의 호흡기 증상에 따른 폐음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기관음(Tracheal Sound), 폐음(Normal Lung Sound), 기관지음(Bronchial Breathing), 협착음(Stridor), 천명음(Wheeze) 및 나음(Rhonchus) 등의 파형은 다르게 도출된다.
따라서, 분석 모듈(220)은 필터링된 제2센싱신호에 근거하여 도 8의 호흡기 증상별 파형과 유사도를 비교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유사도 이상의 파형이 존재하면 해당 호흡기 증상의 폐질환 종류를 구체적으로 판별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링 모듈(210)은 제1센싱신호 또는 제2센싱신호의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적절히 재정의 함으로써 폐음이 아닌 다른 장기의 소리 예를 들어, 심음(heart sound)에 관한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고, 또한 분석 모듈(220)은 심장의 이상 상태 및/또는 구체적인 심혈관질환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알람 모듈(230)은 분석 모듈(200)에 의해 폐의 호흡주기(호흡수)가 20%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고 소리 알람, 경고 문구를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 발광소자의 점멸, 사용자 이동단말기로 메시지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이상 상태를 통지한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장치에서 생체신호의 감지와 감지된 생체신호를 기초로 피검체의 이상 여부 판단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9에서 웨어러블 부재는 벨트 형으로 구성된 생체 진단 장치를 나타낸 것이나, 웨어러블 부재는 비단 벨트형 뿐만 아니라 의복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20)는 웨어러블 부재(310), 호흡감지센서(320), 청진센서(330) 및 진단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웨어러블 부재(310), 호흡감지센서(320) 및 청진센서(330)는 실시예 1의 웨어러블 부재(110), 호흡감지센서(120) 및 청진센서(13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단지 실시예 2의 생체 진단 장치(20)는 실시예 1의 통신 모듈(140) 대신 웨어러블 부재(310), 호흡감지센서(320), 청진센서(330) 및 진단부(340)가 기판 회로 또는 버스(bus)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 및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점이 상이하다.
진단부(340)는 필터링 모듈(341), 분석 모듈(342) 및 알람 모듈(343)을 포함하고, 필터링 모듈(341), 분석 모듈(342) 및 알람 모듈(343)은 각각 실시예 1의 필터링 모듈(210), 분석 모듈(220) 및 알람 모듈(23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하드웨어적인 진단 장치나 소프트웨어적인 진단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는 생체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진단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진단 방법은 필터링 단계(S10), 분석단계(S20) 및 알람단계(S30)를 포함한다.
1. 필터링 단계(S10)
필터링 단계(S10)는 제1센싱신호를 이용하여 제2센싱신호에서 잡음(noise)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필터링 단계(S10)에서 상기 제1센싱신호는 폐의 수축과 이완을 감지하는 호흡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되고, 상기 제2센싱신호는 생체 장기의 소리를 감지하는 청진센서를 통해 검출된다.
상기 호흡감지센서는 웨어러블 장치에의 밴드에 부착되거나 밴드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피검체가 착용한 신축 가능한 의류(속옷 등)에 부착될 수 있으며, 피검체의 호흡에 의해 폐의 이완 및 수축에 따른 신장정도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청진센서는 웨어러블 장치에 부착되어거나 피검체의 신체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또는 피검체의 폐 부근에 부착되거나 의류(속옷 등)에 부착될 수 있으며, 피검체의 호흡에 의해 폐의 소리(폐음)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필터링 단계(S10)는 구간 특정 단계(S11) 및 잡음제거 단계(S12)를 포함한다.
1-1. 구간 특정 단계(S11)
구간 특정 단계(S11)는 상기 제1센싱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구간을 특정하는 단계이다.
청진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제2센싱신호에는 많은 잡은 포함되어 있다. 잡음이 포함된 제2센싱신호만으로는 폐의 이상을 검출하기 어려우며, 자칫 오진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호흡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제1센싱신호와 청진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제2센싱신호를 동일한 시간 도메인에 정렬하고, 상기 제1센싱신호를 통해 제2센싱신호의 구간을 특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간 특정 단계(S11)는 상기 제1센싱신호의 폐 이완 시작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제1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제1구간을 특정하는 제1구간 특정 단계 및 상기 제1센싱신호의 폐 수축 시작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제2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제2구간을 특정하는 제2구간 특정 단계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구간 특정단계는 폐 이완 시작 시점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제1시점까지의 구간으로서, 피검체의 들숨에 대한 폐의 이완에 의해 발생된 폐음을특정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제2구간 특정단계는 폐 수축 시작 시점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제2시점까지의 구간으로서, 피검체의 날숨에 대한 폐의 수축에 의해 발생된 폐음을 특정하는 단계이다.
1-2. 잡음제거 단계(S12)
잡음제거 단계(S12)는 상기 구간 특정 단계(S11)에서 상기 특정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잡음으로 간주하고, 잡음으로 간주된 구간을 상기 제2센싱신호에서 제거하는 단계이다.
즉, 호흡감지센서의 이완 및 수축은 폐의 호흡과 연관성이 높고, 호흡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제1센싱신호에서 이완시 발생된 신호와 청진센서를 통해 검출된 제2셍싱신호를 비교하고, 제1센싱신호에서 수축시 발생된 신호와 청진센서를 통해 검출된 제2셍싱신호를 비교하면, 폐의 이완 및 수축에 대응되는 제2센싱신호의 구간을 특정할 수 있고, 특정된 구간을 제외하면 상기 특정된 구간의 제2센싱신호는 폐음 신호로 간주할 수 있다.
2. 분석단계(S20)
분석단계(S20)는 상기 필터링 단계(S10)에서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abnormal)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구간 특정 단계(S11)에서 상기 특정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잡음으로 간주하고, 잡음으로 간주된 구간을 상기 제2센싱신호에서 제거하면, 폐음에 관한 신호로 간주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특정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잡음으로 간주된 구간)은 심음(heart sound)에 관한 신호로 간주될 수 있다.
즉, 호흡감지센서에서 검출된 제1센싱신호의 특정된 구간에 대응되는 제2센싱신호는 폐음으로 판단하고, 상기 특정된 구간의 나머지 구간은 심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석단계(S20)는 폐음과 심음을 각각 구분하여 검출된 폐음에 관한 신호와 심음에 관한 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피검체의 폐질환 종류를 판별하거나 피검체의 심혈관질환 종류를 판별하게 된다.
3. 알람단계(S30)
알람단계(S30)는 상기 분석 단계(S20)의 분석 결과, 폐의 호흡주기(호흡수)가 20%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이동단말기로 통지하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자 이동단말기는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및 e-북(e-Book)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의 전체 또는 부분적 기능들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외에도,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20: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100: 웨어러블 장치 110, 310: 웨어러블 부재
120, 320: 호흡감지센서 130, 330: 청진센서
140: 통신 모듈
200: 진단장치 210, 341: 필터링 모듈
220, 342: 분석 모듈 230, 343: 알람 모듈
340: 진단부 S: 사용자 이동단말기

Claims (26)

  1. 웨어러블 부재와, 상기 웨어러블 부재에 장착되며 폐의 이완과 수축을 감지하는 호흡감지센서와, 생체 장기의 소리를 감지하는 청진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전송한 상기 호흡감지센서의 제1센싱신호와 상기 청진센서의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abnormal)를 판단하는 진단 장치;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제1센싱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센싱신호에서 잡음(noise)을 제거하는 필터링 모듈과,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abnormal)를 판단하는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의 필터링 모듈은,
    상기 제1센싱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구간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잡음으로 간주하여 상기 제2센싱신호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의 필터링 모듈은,
    상기 제1센싱신호의 폐 이완 시작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제1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제1구간과, 상기 제1센싱신호의 폐 수축 시작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제2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제2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잡음으로 간주하여 제2센싱신호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싱신호는 폐음(lung sound)에 관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의 분석 모듈은, 상기 제1센싱신호 및 상기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피검체의 폐질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분석 모듈에 의해 폐의 호흡주기(호흡수)가 미리 저장된 호흡주기의 20%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상 상태를 통지하는 알람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싱신호는 심음(heart sound)에 관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의 분석 모듈은, 상기 제1센싱신호 및 상기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피검체의 심혈관질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10. 웨어러블 부재;
    상기 웨어러블 부재에 장착되며 폐의 이완과 수축을 감지하는 호흡감지센서;
    상기 웨어러블 부재에 장착되며 생체 장기의 소리를 감지하는 청진센서; 및
    상기 호흡감지센서의 제1센싱신호와 상기 청진센서의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abnormal)를 판단하는 진단부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제1센싱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센싱신호에서 잡음(noise)을 제거하는 필터링 모듈과,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abnormal)를 판단하는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모듈은,
    상기 제1센싱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구간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잡음으로 간주하여 상기 제2센싱신호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모듈은,
    상기 제1센싱신호의 폐 이완 시작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제1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제1구간과, 상기 제1센싱신호의 폐 수축 시작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제2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제2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잡음으로 간주하여 제2센싱신호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싱신호는 폐음(lung sound)에 관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의 분석 모듈은, 상기 제1센싱신호와 상기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피검체의 폐질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분석 모듈에 의해 폐의 호흡주기(호흡수)가 미리 저장된 호흡주기의 20%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으로 연결된 사용자 이동단말기로 통지하는 알람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싱신호는 심음(heart sound)에 관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의 분석 모듈은, 상기 제1센싱신호와 상기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피검체의 심혈관질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19. 폐의 이완과 수축을 감지하는 호흡감지센서의 제1센싱신호와, 생체 장기의 소리를 감지하는 청진센서의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abnormal)를 판단하는 진단장치의 생체 진단 방법에 있어서,
    필터링모듈이 상기 제1센싱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센싱신호에서 잡음(noise)을 제거하는 필터링 단계; 및
    분석모듈이 상기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abnormal)를 판단하는 분석 단계;
    를 포함하는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생체 진단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단계는,
    상기 제1센싱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구간을 특정하는 구간 특정 단계; 및
    상기 특정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잡음으로 간주하여 상기 제2센싱신호에서 제거하는 잡음제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생체 진단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특정 단계는,
    상기 제1센싱신호의 폐 이완 시작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제1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제1구간을 특정하는 제1구간 특정 단계; 및
    상기 제1센싱신호의 폐 수축 시작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제2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센싱신호의 제2구간을 특정하는 제2구간 특정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잡음제거 단계는,
    상기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잡음으로 간주하여 제2센싱신호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생체 진단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싱신호는 폐음(lung sound)에 관한 신호인 특징으로 하는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생체 진단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단계는, 상기 제1센싱신호와 상기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피검체의 폐질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생체 진단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단계의 분석 결과, 폐의 호흡주기(호흡수)가 미리 저장된 호흡주기의 20%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이동단말기로 통지하는 알람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생체 진단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싱신호는 심음(heart sound)에 관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생체 진단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단계는, 상기 제1센싱신호 및 상기 잡음이 제거된 제2센싱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피검체의 심혈관질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생체 진단 방법.
KR1020210035831A 2020-04-09 2021-03-19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333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831A KR102333364B1 (ko) 2020-04-09 2021-03-19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627 2020-04-09
KR1020210035831A KR102333364B1 (ko) 2020-04-09 2021-03-19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627 Division 2020-04-09 2020-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913A true KR20210125913A (ko) 2021-10-19
KR102333364B1 KR102333364B1 (ko) 2021-12-02

Family

ID=7822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831A KR102333364B1 (ko) 2020-04-09 2021-03-19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3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1917A (zh) * 2021-12-03 2022-01-21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瑞金医院 一种远程听诊检测装置、方法及电子设备
WO2022225082A1 (ko) * 2021-04-22 2022-10-27 젠트리 주식회사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230081681A (ko) * 2021-11-30 2023-06-07 (주)씨앤아이 토탈솔루션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돌출행동 차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028A (ko) * 2014-04-02 2015-10-14 (주)블루노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7286A (ko) * 2014-05-15 2017-01-18 더 리전트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멀티 센서 생리적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957110B1 (ko) 2018-10-25 2019-03-11 김종수 무선 청진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KR20200019413A (ko) 2018-08-14 2020-02-24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심폐음 신호 획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028A (ko) * 2014-04-02 2015-10-14 (주)블루노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7286A (ko) * 2014-05-15 2017-01-18 더 리전트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멀티 센서 생리적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19413A (ko) 2018-08-14 2020-02-24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심폐음 신호 획득 방법 및 장치
KR101957110B1 (ko) 2018-10-25 2019-03-11 김종수 무선 청진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082A1 (ko) * 2021-04-22 2022-10-27 젠트리 주식회사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230081681A (ko) * 2021-11-30 2023-06-07 (주)씨앤아이 토탈솔루션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돌출행동 차단 장치
CN113951917A (zh) * 2021-12-03 2022-01-21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瑞金医院 一种远程听诊检测装置、方法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364B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364B1 (ko)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N111867475B (zh) 次声生物传感器系统和方法
JP6358768B2 (ja) 睡眠状態測定装置、δ波推定方法、位相コヒーレンス算出装置及びストレス状態測定装置
JP6770527B2 (ja) 対象の疾患を検出するデバイス、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ooney et al. The in-the-ear recording concept: User-centered and wearable brain monitoring
da Costa et al. Breathing monitoring and pattern recognition with wearable sensors
CN101883518B (zh) 用于检测晕厥的装置
CN113347916A (zh) 用于多变量卒中检测的系统和方法
US200701122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measurement and monitoring of bioelectric signal patterns
US20220133222A1 (en) A sleep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140288447A1 (en) Ear-related devices implementing sensors to acquir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JP2017536905A (ja) 音響的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及び監視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90031330A (ko) 연신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물질을 포함하는 센서
JP2020513892A (ja) 血液の流れ及び呼吸の流れを監視するための装置
JP7287612B2 (ja) 生体情報取得装置
CN103491878A (zh) 移动的辅助监测、分析及治疗仪
Mohammadi-Koushki et al. A wearable device for continuous cardiorespiratory System Monitoring
US201901920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scultation
JP2024516573A (ja) 生理学パラメータ検知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420171B1 (ko) 동물 진단용 웨어러블 센싱 장치, 동물용 웨어러블 진단 장치 및 동물용 생체 진단 시스템
WO2022225082A1 (ko)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TWI616184B (zh) 睡眠監測裝置、睡眠監測方法及睡眠監測系統
KR102596603B1 (ko) 웨어러블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진단 시스템
KR102642248B1 (ko)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심음 측정 장치
US20240099592A1 (en) Monitoring of breathing and heart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