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203B1 -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203B1
KR101720203B1 KR1020160092631A KR20160092631A KR101720203B1 KR 101720203 B1 KR101720203 B1 KR 101720203B1 KR 1020160092631 A KR1020160092631 A KR 1020160092631A KR 20160092631 A KR20160092631 A KR 20160092631A KR 101720203 B1 KR101720203 B1 KR 101720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information
companion animal
disease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제호
Original Assignee
박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제호 filed Critical 박제호
Priority to KR1020160092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203B1/ko
Priority to US16/318,404 priority patent/US20190289810A1/en
Priority to PCT/KR2016/013155 priority patent/WO2018016684A1/ko
Priority to JP2019600073U priority patent/JP3222249U/ja
Priority to CN201680087504.9A priority patent/CN10947510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arketing (AREA)
  • Microb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그리드 형태의 배변공이 형성되는 상판; 방수패드 및 상기 방수패드에 부착되며 상기 배변공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흡수하는 흡수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건강진단키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부의 상부에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됨으로써, 패드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통해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배변활동 시에 상판의 무게 변화에 따라 반려동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무게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무게에 따른 반려동물의 비만도를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A SMART CRAPS BOARD WITH DIAGNOSTIC KITS}
본 발명은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패드부의 상부에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됨으로써, 패드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통해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점차 인간과 반려동물의 관계가 단순한 주종 관계가 아닌, 친구, 벗, 동반자 같은 관계로 재정립되고 있다. 반려동물은 예전처럼 취미나 재미로 기르는 것이 아닌, 인생의 반려자 또는 가족으로 생각하고 함께 삶을 영위하고자 분양하는 사람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애완견의 경우에는 다른 동물보다 높은 지능과 적응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내에서 인간과 함께 거주하며 생활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반려동물과 관련한 산업이 발달함으로써, 건강한 반려동물과 오랫동안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반려동물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기존에는 반려동물의 건강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반려동물과 함께 동물 병원을 방문하거나, 자가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각 가정에서 자가 진단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반려동물과 함께 동물 병원을 방문하여 건강 검진을 받는 경우에는, 매번 동물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비싼 건강 검진 비용이 부담스럽게 다가오는 문제가 있었고, 자가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가정에서 자가 진단을 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자가 진단 키트가 혈액을 통해 건강을 진단하는 키트이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 제 10-1582732 호에는 반려동물 건강케어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반려동물 건강케어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의 반려동물 건강케어 기기를 설명하자면, 반려동물의 목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책거리에 따른 칼로리 소비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간편한 방법으로 반려동물의 몸무게를 측정하여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반려동물 건강케어 기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일단의 폭이 타단의 폭 보다 큰 제1손잡이부(1), 일단의 폭이 타단의 폭 보다 크고, 상기 제1손잡이부(1)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손잡이부(2), 상기 제1손잡이부(1)의 타단과 상기 제2손잡이부(2)의 타단을 탈부착시키는 탈부착부재, 상기 제1손잡이부(1)와 탈부착부재(3)와 제2손잡이부(2)로 이어지는 내부공간에 저장되고 양측 끝단은 상기 제1손잡이부(1)와 제2손잡이부(2)의 내부에 각각 고정되는 무게측정용벨트(4), 상기 제1손잡이부(1) 또는 상기 제2손잡이부(2)의 일단에 구비되어 반려동물용 목줄끈이 장착되는 목줄구멍(5), 상기 제1손잡이부(1)와 제2손잡이부(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무게측정용벨트(4)에 가해지는 인장응력을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 및 상기 제1손잡이부(1)와 제2손잡이부(2) 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패드(6)로 구성되어, 상기 목줄구멍(5)을 통해 목줄끈을 인출하여 산책하거나, 상기 제1손잡이부(1)와 제2손잡이부(2)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무게측정용벨트(4)로 반려동물을 감싸 올려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무게측정용벨트(4)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을 감싸 올릴 때 반려동물이 몸부림치는 경우에는 반려동물을 들어올리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설사 반려동물이 무게측정용벨트(4)로 들어올려진다 하더라도 반려동물이 움직이고 있는 상태에서는 정확한 무게를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단지 반려동물의 무게만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려동물의 종류, 예를 들어 애완견의 경우에는 견종에 따른 무게를 가늠하기 어려워 반려동물의 건강을 자가 진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582732 호(2015.12.29.) 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115028 호(2015.10.14.)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036801 호(2016.04.05.) 공개특허공보 제 10-2003-0032088 호(2003.04.2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패드부의 상부에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됨으로써, 패드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통해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판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반려동물의 무게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반려동물의 비만도를 점검할 수 있는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은, 중앙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그리드 형태의 배변공이 형성되는 상판; 방수패드 및 상기 방수패드에 부착되며 상기 배변공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흡수하는 흡수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건강진단키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수패드는,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방수패드의 상부에 부착되되, 상기 흡수패드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배변공을 통과한 유체를 상기 방수패드의 중앙으로 가이드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강진단키트에는, 유체를 흡수하는 흡수부, 상기 흡수부를 통해 흡수된 유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가이드된 유체의 항원 항체 반응을 통한 질병 여부를 진단하여 질병 정보를 생성하는 진단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강진단키트에는, 상기 진단부에서 진단된 질병 정보를 송신하는 진단결과표시부재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재가 포함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상판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반려동물의 무게 정보를 측정하는 로드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진단부에서 진단된 질병 정보 및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된 반려동물의 무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송신하는 모듈통신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듈통신부재로부터 질병 정보 및 무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중앙통신부재; 표준 반려동물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재 및 상기 중앙통신부재를 통해 질병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질병 정보와 상기 저장부재에 저장된 표준 반려동물 정보를 비교하여 처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통신부재를 통해 무게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무게 정보와 상기 저장부재에 저장된 표준 반려동물 정보를 비교하여 비만도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재를 포함하는 중앙서버가 더 포함되되, 상기 중앙통신부재는 상기 처리부재에서 생성된 처방 정보 및 비만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의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방수패드에는 상기 방수패드의 하면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걸림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드부에는 상기 건강진단키트를 고정시키는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에 의하면, 패드부의 상부에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됨으로써, 패드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통해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의 배변활동 시에 상판의 무게 변화에 따라 반려동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무게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무게에 따른 반려동물의 비만도를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강진단키트를 통해 진단되는 반려동물의 질병 정보, 처방 정보 및 비만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반려동물 건강케어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의 건강진단키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의 중앙서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의 걸림돌기 및 걸림홈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의 고정밴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패드부의 상부에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됨으로써, 패드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통해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a 및 도 2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은, 중앙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그리드 형태의 배변공(21)이 형성되는 상판(20), 상기 본체(10)와 상판(20)의 사이에 배치되는 방수패드(31)와 상기 방수패드(31)에 부착되며 상기 배변공(21)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흡수하는 흡수패드(32)를 포함하는 패드부(30) 및 상기 패드부(30)의 상부에 배치되는 건강진단키트(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판(20)은 상기 본체(10)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이며, 상기 패드부(30)는 상기 본체(10)와 상판(2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본체(10)의 중앙이 오목한 형태를 따라 중앙이 오목하게 눌린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판(20)의 배변공(21)을 복수의 원형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원형 홈은 다각 홈으로도 변형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배변판의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패드부(30)의 흡수패드(32)는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방수패드(31)의 상부에 부착되되, 상기 흡수패드(32)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배변공(21)을 통과한 유체를 상기 패드부(30)의 중앙 부분으로 가이드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수패드(32)는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방수패드(31)의 상부 일부에 부착되되, 상기 상판(20)의 배변공(21)을 통과한 유체가 상기 본체(10)의 중앙이 오목한 형태에 의해 중앙이 오목하게 눌려져 배치되는 패드부(30)의 중앙 부분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흡수패드(32)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이 가이드 형태로 서로 이어지도록 부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상판(20)에서 반려동물이 소변을 보는 경우, 상기 소변은 상기 상판(20)의 배변공(21)을 지나 상기 패드부(30)로 이동되고, 상기 패드부(30)로 이동된 소변의 일부는 상기 패드부(30)의 흡수패드(32)에 흡수되며, 상기 흡수패드(32)에 흡수되지 않은 소변의 다른 일부는 상기 패드부(30)의 방수패드(31)를 따라 상기 패드부(30)의 상부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건강진단키트(40)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패드부(30)의 방수패드(31)는 폴리에틸렌필름 등의 방수 특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패드부(30)의 흡수패드(32)는, 부직포 재질의 표면층과 펄프티슈, 천연펄프 및 고분자흡수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층으로 이루어져 부착되거나, 실리카겔 파우더, 종이 또는 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상판(20)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반려동물의 무게 정보를 측정하는 로드셀(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드셀(50)은 상기 상판(20)으로 올라서는 반려동물의 무게 정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판(20)의 무게 변화를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평균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평균 무게를 무게 정보로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로드셀(50)은, 상기 상판(20)으로 올라서는 반려동물이 대소변을 눈 이후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상판(20)에서 내려가는 경우, 상기 반려동물의 대소변이 상기 상판(20) 및 패드부(30)에 남겨짐에 따라, 상기 반려동물의 대소변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의 건강진단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건강진단키트(40)는 유체를 흡수하는 흡수부(41), 상기 흡수부(41)를 통해 흡수된 유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2) 및 상기 가이드부(42)를 통해 가이드된 유체의 항원 항체 반응을 통한 질병 여부를 진단하여 질병 정보를 생성하는 진단부(43)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진단키트(40)의 하우징은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dimethylsiloxane)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진단키트(40)는 상기 패드부(30)가 상기 본체(10)의 중앙이 오목한 형태에 의해 중앙이 오목하게 고정됨에 따라 상기 패드부(30)의 방수패드(31)를 타고 흐르는 유체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을 진단하는 것이며, 상기 건강진단키트(40)의 하부에 접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패드부(30)의 상부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수부(41)는 0.5mm 이하의 모세관 형태로 상기 건강진단키트(40)의 하부에 노출되어 상기 방수패드(31)를 타고 흐르는 유체를 흡수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건강진단키트(40)가 상기 패드부(3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패드부(30)의 방수패드(31)를 따라 흐르는 유체가 일정 시간 동안 고이게 되면 상기 흡수부(41)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수되는 것이다.
즉, 반려동물 소변의 일부는 상기 건강진단키트(40)의 흡수부(41)로 흡수되고, 상기 반려동물 소변의 다른 일부는 상기 패드부(30)의 흡수패드(32)로 흡수되는 것이다.
상기 진단부(43)는 상기 흡수부(41)를 통해 흡수되어 상기 가이드부(42)에 의해 가이드된 유체의 항원 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항체 결합 접합체 밴드(43a), 검사선 밴드(43b) 및 대조선 밴드(43c)의 양성 및 음성 반응 유무로 질병을 진단할 수 있고, 진단된 질병에 대한 질병 정보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진단부(43)에는 각각 다른 반응을 나타내는 복수의 밴드가 구비되기 때문에 각각 다른 질병 유무를 진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파르보바이러스, 췌장염 및 인플루엔자에 대한 질병 유무를 진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항체 결합 접합체 밴드(43a)는 골드나노입자와 항체가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골드나노입자는 금의 입자 크기가 나노 미터 크기인 것으로 1-9m 정도의 크기에 있는 입자를 이르는 것이며, 상기 항체 결합 접합체 밴드(43a)는 반려동물의 소변에 포함된 항원이 상기 골드나노입자 결합 항체와 반응하면 특정 색상을 띄는 것으로 질병 유무를 진단하는 것이다.
또한, 대조선 밴드(43c)는 상기 반려동물의 소변과 함께 골드나노입자 결합 항체가 상기 검사선 밴드(43b)를 확실히 통과했는지 체크할 수 있도록 특정 색상을 띄는 것으로, 질병 진단이 올바르게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단부(43)는 상기 로드셀(50)에서 측정되는 반려동물의 대소변 양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건강진단키트(40)에는 제어부(44)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44)에는 상기 진단부(43)에서 진단된 질병 정보를 송신하는 진단결과표시부재(44a),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재(44b) 및 상기 진단부(43)에서 진단된 질병 정보와 상기 로드셀(50)에서 측정된 반려동물의 무게 정보와 반려동물의 대소변 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송신하는 모듈통신부재(44c)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진단결과표시부재(44a)는 사용자가 상기 패드부(30)의 교체를 위해 상기 상판(20)을 상기 본체(10)에서 분리시켰을 경우에 반려동물의 질병 유무가 확인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진단결과표시부재(44a)는 문자 또는 LED를 통해 반려동물의 질병 유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듈통신부재(44c)는 예를 들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휴대폰 단말기(미도시)로 반려동물의 질병 정보, 반려동물의 무게 정보 및 반려동물의 대소변 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송신하는 구성으로서, 블루투스 또는 Wifi 등의 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d에 따르면, 도 5a는 반려동물이 본 발명의 상판(20)에 소변을 눈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5b는 상기 상판(20)의 소변이 상기 상판(20)의 배변공(21)을 통과하여 패드부(30)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5c는 상기 패드부(30)로 이동된 소변 중 일부는 상기 패드부(30)의 흡수패드(32)로 흡수되고 이동된 소변 중 다른 일부는 상기 패드부(30)의 방수패드(31)에서 흡수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5d는 상기 방수패드(31)에서 흡수되지 않은 소변이 상기 본체(10)의 중앙이 오목한 형태에 의해 중앙이 오목하게 고정되는 패드부(30)의 방수패드(31)를 따라 상기 패드부(30)의 중앙으로 이동되어 상기 건강진단키트(40)와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5a 내지 도 5d의 과정을 거쳐 상기 건강진단키트(40)로 이동된 반려동물의 소변은 상기 건강진단키트(40)의 진단부(43)에 의해 진단될 수 있고, 상기 진단부(43)는 상기 소변의 진단 결과를 이용하여 질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의 중앙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에는 중앙통신부재(61), 저장부재(62) 및 처리부재(63)가 포함되는 중앙서버(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앙통신부재(61)는 상기 제어부(44)의 모듈통신부재(44c)로부터 질병 정보, 무게 정보, 대소변 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재(62)는 표준 반려동물 정보와 사용자에 따른 반려동물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재(63)는, 상기 중앙통신부재(61)를 통해 질병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질병 정보와 상기 저장부재(62)에 저장된 표준 반려동물 정보를 비교하여 처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통신부재(61)를 통해 무게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무게 정보와 상기 저장부재(62)에 저장된 표준 반려동물 정보를 비교하여 비만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통신부재(61)는 상기 처리부재(63)에서 생성된 처방 정보, 비만도 정보 및 대소변 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송신하게 되는데, 상기 중앙통신부재(61)에서 송신되는 처방 정보, 비만도 정보 및 대소변 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휴대폰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서버(60)는 사용자 별로 등록된 반려동물의 질병 정보, 무게 정보 및 대소변 양 정보를 관리하여, 상기 질병 정보, 무게 정보 및 대소변 양 정보에 따른 처방 정보 및 비만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병원에 방문하지 않아도 반려동물의 질병 정보, 무게 정보, 대소변 양 정보, 상기 질병 정보에 따른 처방 정보 및 상기 무게 정보에 따른 비만도 정보를 체크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의 걸림돌기 및 걸림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본체(10)에는 상기 본체(10)의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1)가 형성되고, 본 발명의 패드부(30)에는 상기 패드부(30)의 하면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11)에 걸림되는 걸림홈(3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배변판은 상기 패드부(30)의 걸림홈(33)에 상기 본체(10)의 걸림돌기(11)가 삽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패드부(30)가 상기 본체(10)에서 흔들리거나, 위치가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도 7에 도시된 걸림돌기(11) 및 걸림홈(33)의 구성은 빠른 이해를 위해 일반적인 돌기와 홈의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상기 걸림돌기(11) 및 걸림홈(33)은 상기 본체(10)와 패드부(30)의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동일한 목적을 위해 형상을 변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의 고정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8에 따르면, 본 발명의 패드부(30)에는, 상기 건강진단키트(40)를 고정시키는 고정밴드(3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31a)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밴드(31a)의 중앙부분을 상기 패드부(30)에서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건강진단키트(40)를 상기 고정밴드(31a)로 삽입하여 상기 건강진단키트(40)가 상기 패드부(3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밴드(31a)는 예를 들어 상기 흡수패드(32)가 부착되지 않는 부분에만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밴드 형태가 아닌 포켓 형태로도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부의 상부에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됨으로써, 패드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통해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배변활동 시에 상판의 무게 변화에 따라 반려동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무게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무게에 따른 반려동물의 비만도를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본체 11 : 걸림돌기
20 : 상판 21 : 배변공
30 : 패드부 31 : 방수패드
31a : 고정밴드 32 : 흡수패드
33 : 걸림홈
40 : 건강진단키트 41 : 흡수부
42 : 가이드부 43 : 진단부
43a : 항체 결합 접합체 밴드 43b : 검사선 밴드
43c : 대조선 밴드
44 : 제어부 44a : 진단결과표시부재
44b : 전원공급부재 44c : 모듈통신부재
50 : 로드셀
60 : 중앙서버 61 : 중앙통신부재
62 : 저장부재 63 : 처리부재

Claims (9)

  1. 중앙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그리드 형태의 배변공(21)이 형성되는 상판(20);
    방수패드(31) 및 상기 방수패드(31)에 부착되며 상기 배변공(21)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흡수하는 흡수패드(32)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와 상판(20)의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부(30); 및
    상기 패드부(30)의 상부에 배치되는 건강진단키트(40);
    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패드(32)는,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방수패드(31)의 상부에 부착되되, 상기 흡수패드(32)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이 서로 이어지게 부착되어 상기 배변공(21)을 통과한 유체가 상기 패드부(30)의 중앙으로 가이드되도록 하고,
    상기 건강진단키트(40)에는, 직경이 0.5mm 이하의 모세관 형태로 상기 건강진단키트(40)의 하부에 노출되어 유체를 흡수하는 흡수부(41), 상기 흡수부(41)를 통해 흡수된 유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2) 및 상기 가이드부(42)를 통해 가이드된 유체의 항원 항체 반응을 통해 질병 여부를 진단하여 질병 정보를 생성하는 진단부(43)가 포함되며,
    상기 진단부(43)는, 골드나노입자와 항체가 결합된 항체 결합 접합체 밴드(43a), 검사선 밴드(43b) 및 대조선 밴드(43c)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상기 항체 결합 접합체 밴드(43a), 검사선 밴드(43b) 및 대조선 밴드(43c)의 양성 및 음성 반응 유무로 질병 여부를 진단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본체(10)의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1)가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30)에는 상기 패드부(30)의 하면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11)에 걸림되는 걸림홈(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강진단키트(40)에는,
    상기 진단부(43)에서 진단된 질병 정보를 송신하는 진단결과표시부재(44a)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재(44b)가 포함되는 제어부(44)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상판(20)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반려동물의 무게 정보를 측정하는 로드셀(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4)에는 상기 진단부(43)에서 진단된 질병 정보 및 상기 로드셀(50)에서 측정된 반려동물의 무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송신하는 모듈통신부재(44c)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모듈통신부재(44c)로부터 질병 정보 및 무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중앙통신부재(61);
    표준 반려동물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재(62); 및
    상기 중앙통신부재(61)를 통해 질병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질병 정보와 상기 저장부재(62)에 저장된 표준 반려동물 정보를 비교하여 처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통신부재(61)를 통해 무게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무게 정보와 상기 저장부재(62)에 저장된 표준 반려동물 정보를 비교하여 비만도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재(63);
    를 포함하는 중앙서버(6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중앙통신부재(61)는,
    상기 처리부재(63)에서 생성된 처방 정보 및 비만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30)에는,
    상기 건강진단키트(40)를 고정시키는 고정밴드(31a)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
KR1020160092631A 2016-07-21 2016-07-21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 KR101720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631A KR101720203B1 (ko) 2016-07-21 2016-07-21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
US16/318,404 US20190289810A1 (en) 2016-07-21 2016-11-15 Smart defecation plate including companion animal medical examination kit
PCT/KR2016/013155 WO2018016684A1 (ko) 2016-07-21 2016-11-15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
JP2019600073U JP3222249U (ja) 2016-07-21 2016-11-15 伴侶動物健康診断キットを備えたスマート排便板
CN201680087504.9A CN109475101A (zh) 2016-07-21 2016-11-15 具备伴侣动物健康诊断试剂盒的智能排便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631A KR101720203B1 (ko) 2016-07-21 2016-07-21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203B1 true KR101720203B1 (ko) 2017-03-27

Family

ID=5849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631A KR101720203B1 (ko) 2016-07-21 2016-07-21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289810A1 (ko)
JP (1) JP3222249U (ko)
KR (1) KR101720203B1 (ko)
CN (1) CN109475101A (ko)
WO (1) WO2018016684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290Y1 (ko) * 2018-07-02 2018-08-3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리치피그 분뇨 배출이 가능한 돈사 및 그 돈사에 설치된 분뇨 배출판
WO2020040073A1 (ja) * 2018-08-24 2020-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動物収容ユニットおよび動物管理システム
KR102280358B1 (ko) * 2020-12-02 2021-07-22 주식회사 코아비즈 반려동물용 스마트 배뇨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WO2022025323A1 (ko) * 2020-07-30 2022-02-03 주식회사 스티커스코퍼레이션 진단마커를 포함한 일회용 반려동물 배변패드
KR20220051631A (ko) 2020-10-19 2022-04-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용 응급처치 시스템
KR20220070782A (ko) * 2020-11-23 2022-05-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성지원이 가능한 반려동물의 배변 처리 패드
US11436758B2 (en) 2019-11-22 2022-09-06 Fitpet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biochemical information using color space conversion
KR102472377B1 (ko) * 2022-05-19 2022-11-30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스마트 배변판
KR102598328B1 (ko) * 2023-06-08 2023-11-07 주식회사 펫케어랩 애완동물용 배변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89176B2 (ja) * 2019-09-06 2024-05-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尿検査用容器及び尿検査キット
KR102361555B1 (ko) * 2019-11-18 2022-02-10 유승오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KR102440803B1 (ko) * 2020-05-06 2022-09-06 김정엽 반려동물용 탈취 및 공기청정 장치
US20230054322A1 (en) * 2021-08-23 2023-02-23 Leslie P. Taylor Urine indication pad with inbuilt diagnostics for training and indication of potential diseas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8818A (en) * 1973-11-05 1976-09-07 Heldenbrand Ladd L Litter packages
JPH10257832A (ja) * 1997-03-18 1998-09-29 Nea Corp:Kk 健康チェック用発色型トイレ材及び健康チェック用複合トイレ材
KR20030032088A (ko) 2001-10-09 2003-04-26 임승범 인터넷을 이용한 애완동물의 건강 및 체력관리 시스템
KR200377774Y1 (ko) * 2004-12-23 2005-03-16 이광훈 애완동물 배변기
KR101312559B1 (ko) * 2011-08-09 2013-09-30 장황진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KR20150115028A (ko) 2014-04-02 2015-10-14 (주)블루노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82732B1 (ko) 2014-02-05 2016-01-06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반려동물 건강케어 기기
KR20160036801A (ko) 2014-09-26 2016-04-05 박상진 반려동물 건강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7687A (ja) * 2003-07-07 2005-02-03 Hideko Nakamura 尿パッド
KR200446370Y1 (ko) * 2009-04-06 2009-10-22 이상욱 야광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배변장치
CN203801451U (zh) * 2014-04-27 2014-09-03 江苏中恒宠物用品股份有限公司 多功能宠物尿垫
CN204466536U (zh) * 2015-01-14 2015-07-15 江苏中恒宠物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宠物尿垫
CN205143131U (zh) * 2015-11-25 2016-04-13 郝艳林 用于显示宠物健康状况的宠物尿垫和宠物尿垫包装盒
CN205233089U (zh) * 2015-12-08 2016-05-18 傅思莹 一种防侧漏宠物垫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8818A (en) * 1973-11-05 1976-09-07 Heldenbrand Ladd L Litter packages
JPH10257832A (ja) * 1997-03-18 1998-09-29 Nea Corp:Kk 健康チェック用発色型トイレ材及び健康チェック用複合トイレ材
KR20030032088A (ko) 2001-10-09 2003-04-26 임승범 인터넷을 이용한 애완동물의 건강 및 체력관리 시스템
KR200377774Y1 (ko) * 2004-12-23 2005-03-16 이광훈 애완동물 배변기
KR101312559B1 (ko) * 2011-08-09 2013-09-30 장황진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KR101582732B1 (ko) 2014-02-05 2016-01-06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반려동물 건강케어 기기
KR20150115028A (ko) 2014-04-02 2015-10-14 (주)블루노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6801A (ko) 2014-09-26 2016-04-05 박상진 반려동물 건강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290Y1 (ko) * 2018-07-02 2018-08-3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리치피그 분뇨 배출이 가능한 돈사 및 그 돈사에 설치된 분뇨 배출판
WO2020040073A1 (ja) * 2018-08-24 2020-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動物収容ユニットおよび動物管理システム
US11436758B2 (en) 2019-11-22 2022-09-06 Fitpet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biochemical information using color space conversion
WO2022025323A1 (ko) * 2020-07-30 2022-02-03 주식회사 스티커스코퍼레이션 진단마커를 포함한 일회용 반려동물 배변패드
KR20220051631A (ko) 2020-10-19 2022-04-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용 응급처치 시스템
KR20220070782A (ko) * 2020-11-23 2022-05-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성지원이 가능한 반려동물의 배변 처리 패드
KR102503336B1 (ko) 2020-11-23 2023-02-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성지원이 가능한 반려동물의 배변 처리 패드
KR102280358B1 (ko) * 2020-12-02 2021-07-22 주식회사 코아비즈 반려동물용 스마트 배뇨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472377B1 (ko) * 2022-05-19 2022-11-30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스마트 배변판
KR102598328B1 (ko) * 2023-06-08 2023-11-07 주식회사 펫케어랩 애완동물용 배변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6684A1 (ko) 2018-01-25
JP3222249U (ja) 2019-07-25
US20190289810A1 (en) 2019-09-26
CN109475101A (zh)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203B1 (ko) 반려동물 건강진단키트가 구비되는 스마트 배변판
US8688184B2 (en) Noninvasive photoplethysmographic sensor platform for mobile animals
US20240148248A1 (en) Wireless automated animal monitoring system
US20140123912A1 (en) Pet Animal Collar for Health & Vital Signs Monitoring, Alert and Diagnosis
US20120161960A1 (en) Body fluid absorption object wetting alarm method and apparatus
US20130211372A1 (en) Body Cavity Physiological Measurement Device
US20210392846A1 (en) Health monitoring cat litter
CN105592794A (zh) 数字asic传感器平台
US20070185679A1 (en) Indicating status of a diagnostic test system
WO2016174840A1 (ja) 状態検出機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状態検出システム
US10342713B2 (en) Wetness notification system for detecting and notifying wetness in clothing article
TWM611151U (zh) 可配置濕度提示裝置的尿片
CA2998020C (en) Health monitoring excreta pad
KR20190002216A (ko) 센싱 장치
KR102280358B1 (ko) 반려동물용 스마트 배뇨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083174B1 (ko) 스마트 소변 검사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소변 검사 시스템
US11058347B2 (en) Device for the detection and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and methods of use
Kim et al. A skin-interfaced, miniaturized platform for triggered induction, capture and colorimetric multicomponent analysis of microliter volumes of sweat
KR20230086503A (ko) 반려동물용 소변 검사 기저귀
Haverkämper Developing a Smart Dog Collar for Enhanced Canine Welfare
KR102472377B1 (ko) 스마트 배변판
JP2024039950A (ja) ペット用の吸収性シート及びペット用のシステムトイレに関する。
Wu Microfluidic Materials and Device Engineering: From Wearable Sweat Microfluidics to Implantable Optofluidic Neuromodulation
Ruhil et al. Data sensing and computation technologies for amimal welfare
Wang et al. Wireless Sensor Microsystem Design: A Practical Perspec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