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908B1 -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908B1
KR102474908B1 KR1020210160249A KR20210160249A KR102474908B1 KR 102474908 B1 KR102474908 B1 KR 102474908B1 KR 1020210160249 A KR1020210160249 A KR 1020210160249A KR 20210160249 A KR20210160249 A KR 20210160249A KR 102474908 B1 KR102474908 B1 KR 102474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skin disease
skin
management app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관
이기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이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이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이로스
Priority to KR1020210160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보호자 단말기에 설치된 펫 관리 앱을 통해 펫의 피부 질환 이미지를 입력하면, 미리 구축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부터 피부 질환 이미지에 따라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를 진단함으로써, 펫의 피부 질환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진단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펫 관리 앱을 통해 펫의 피부 질환에 적합한 치료 방법, 제품 및 서비스를 추천함으로써, 진단에만 그치지 않고, 보호자가 펫의 상태에 적합한 식이 요법, 피부 관리, 약물 치료 등을 할 수 있으므로, 펫의 피부 질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Pet's skin disea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펫의 피부 이미지에 따라 피부 질환을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따라 최적의 치료 방법을 추천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펫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펫은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며 심리적으로 안정감과 친밀감을 주는 친구나 가족과 같은 존재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펫과 함께하는 펫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펫의 종류, 연령, 환경에 따라 다양한 피부 질환이 나타나기 때문에, 펫의 피부 질환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그에 따라 맞춤형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115028호
본 발명의 목적은, 펫의 피부 질환을 신속하게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적합한 치료 방법을 추천할 수 있는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펫의 피부 질환 관리 방법은, 펫의 피부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 방법을 안내하는 펫 관리 앱을 제공하는 서버가 동물병원에서 피부 질환을 진단받은 다수의 펫들의 종류, 나이 및 체중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기본 정보, 피부 이미지, 피부 질환명 및 피부 질환 상태를 포함한 빅데이터를 기계학습하여, 상기 기본 정보와 상기 피부 이미지에 따라 상기 피부 질환명과 상기 피부 질환 상태를 도출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구축하는 학습단계와; 상기 서버가 보호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펫의 종류, 나이 및 체중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기본 정보와, 상기 펫의 피부 질환 의심 부위를 촬영한 피부 이미지를 입력받는 입력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부터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기본 정보와 상기 피부 이미지에 따라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를 진단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는 진단단계와; 상기 서버가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진단단계에서 진단된 상기 피부 질환명과 상기 피부 질환 상태에 적합한 치료 방법를 도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여 추천하는 치료 방법 추천단계와; 상기 치료 방법은, 식이 요법, 피부 관리 방법, 약물 치료 방법 및 병원 진료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치료 방법에 따라 치료시 필요한 식품, 피부 관리 용품, 영양제, 위생용품을 포함한 제품의 종류, 구입처, 단가, 구입방법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여 추천하는 제품 추천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피부 질환 상태는, 상기 피부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구분하여 도출되고, 싱기 치료 방법은, 상기 피부 질환 상태의 단계에 따라 치료 기간, 치료 횟수가 다르게 도출된다.
상기 서버는,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펫 하우스에 설치된 저울이 측정한 펫의 체중과, 상기 펫 하우스에 설치된 온도 센서가 측정한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알림을 표시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온도에 따라 확인이 필요한 펫의 증상, 예상 피부 질환, 펫의 체온 측정 방법, 응급 처치 방법을 포함한 안내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여,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펫 하우스에서 측정된 상기 체중과 상기 온도에 따라 필요한 식품과 영양제를 포함한 제품의 종류, 구입처 및 구입방법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여 추천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펫의 병력과 보유 증상을 입력받고, 상기 펫의 기본 정보, 상기 병력 및 상기 보유 증상에 따라 필요한 식이 요법, 식품과 영양제를 포함한 제품의 종류, 구입처 및 구입방법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여 추천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입력된 펫의 기본 정보와 상기 진단단계에서 진단받은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필요한 동물병원, 케어 센터, 보험, 유치원, 상조를 포함한 펫 휴머나이제이션 서비스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여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은, 동물병원에서 피부 질환을 진단받은 다수의 펫들의 종류, 나이 및 체중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기본 정보, 피부 이미지, 피부 질환명 및 피부 질환 상태를 포함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 정보와 상기 피부 이미지에 따라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를 도출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하고,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펫의 피부 질환을 진단하고, 상기 피부 질환에 따른 치료 방법을 추천하기 위한 펫 관리 앱을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무선 통신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이 설치되어, 상기 펫 관리 앱을 이용하여 펫의 종류, 나이 및 체중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기본 정보와, 상기 펫의 피부 질환 의심 부위를 촬영한 이미지를 입력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 및 치료 방법을 출력하기 위한 보호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와 상기 보호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통신하고, 저울과 온도센서가 구비되어 펫의 체중와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서버와 상기 보호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펫 하우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보호자 단말기에 설치된 펫 관리 앱을 통해 펫의 피부 질환 이미지를 입력하면, 미리 구축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부터 피부 질환 이미지에 따라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를 진단함으로써, 펫의 피부 질환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진단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펫 관리 앱을 통해 펫의 피부 질환에 적합한 치료 방법, 제품 및 서비스를 추천함으로써, 진단에만 그치지 않고, 보호자가 펫의 상태에 적합한 식이 요법, 피부 관리, 약물 치료 등을 할 수 있으므로, 펫의 피부 질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의 피부 질환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질환 진단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앱에서 펫의 피부 이미지를 입력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앱에서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앱에서 제품을 추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앱에서 서비스를 추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앱에서 펫 하우스로부터 수신한 펫의 체중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앱에서 펫 하우스로부터 수신한 온도와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앱에서 펫의 병력과 보유 증상을 입력받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앱(App)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라고도 하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 앱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받아서 설치된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의 피부 질환 관리 방법은, 펫 관리 앱을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펫(pet)은, 개와 고양이 등을 포함하는 반려 동물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은, 서버(10), 보호자 단말기(20) 및 펫 하우스(3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10)는,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펫 관리 앱을 제공한다. 상기 서버(10)는, 통신모듈, 데이터베이스 및 처리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10)의 통신모듈은, 양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기(20)와 통신한다.
상기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동물병원들로부터 피부 질환을 이미 진단받은 펫들의 기본 정보, 피부 이미지, 피부 질환명 및 피부 질환 상태를 포함한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피부 질환에 따른 치료 방법, 식품, 피부 관리 용품, 영양제 및 위생용품을 포함한 제품 정보, 펫의 관리를 위한 안내 정보, 펫 휴머나이제이션 서비스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서버(10)의 처리모듈은, 상기 빅데이터를 기계학습하여 상기 기본 정보와 상기 피부 이미지에 따라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구축하고, 피부 질환에 따라 치료 방법을 도출하여 추천한다.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펫 관리 앱의 실행을 제어한다.
상기 보호자 단말기(20)는, 펫을 보호하고 있는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기이다. 상기 보호자 단말기(2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상기 서버(1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이 설치될 수 있는 단말기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상기 펫 하우스(30)는, 펫이 머무르면서 쉬거나 잘 수 있도록 형성된 집을 의미한다. 상기 펫 하우스(30)에는 펫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저울(미도시)과, 상기 펫 하우스(3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펫 하우스(30)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20)와 상기 서버(1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펫 하우스(30)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20)와 지그비 통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펫 하우스(30)의 저울(미도시)에서 측정된 펫의 체중과, 상기 온도 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온도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20)로 전송되어, 상기 보호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상기 펫 관리 앱에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피부 질환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의 피부 질환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10)는 펫의 기본 정보와 피부 이미지에 따라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를 도출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하는 학습단계를 수행한다.(S1)
상기 학습단계에서는, 상기 서버(10)는 상기 동물병원으로부터 수집된 빅데이터를 기계학습하여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한다. 상기 빅데이터는, 상기 동물병원에서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다수의 펫들의 종류, 나이 및 무게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펫의 기본 정보와, 펫의 피부 질환 부위를 촬영한 피부 이미지, 동물병원에서 진단받은 피부 질환명 및 피부 질환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피부 질환 상태는 상기 피부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구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질환 진단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학습단계에서는, 상기 펫의 기본 정보와 피부 이미지를 입력 변수로 하고, 펫의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를 출력 변수로 하여, 기계학습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기계학습을 수행하면, 상기 펫의 기본 정보와 상기 피부 이미지에 따라 상기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를 도출할 수 있는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구축된다. 상기 학습단계는, 주기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10)가 펫의 피부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20)에 설치된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펫의 기본 정보와 펫의 피부 질환 의심 부위를 촬영한 피부 이미지를 입력받는다.(S2)
피부 질환 진단 대상의 펫을 보호하는 보호자는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보호자 단말기(20)에 상기 펫 관리 앱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펫의 기본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펫의 기본 정보는, 펫의 종류, 나이 및 체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외에 펫의 피부 질환 진단에 필요한 항목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펫의 기본 정보가 상기 펫 관리 앱에 입력되면, 상기 서버(10)는 상기 펫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펫에 대한 고유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앱에서 펫의 피부 이미지를 입력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피부 이미지는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촬영하는 거소 가능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20)에 기저장된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피부 이미지는 3장 이상이고, 미리 설정된 설정 화소 이상의 이미지를 입력받는다. 상기 설정 화소는 600만 화소 이상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입력단계(S2)에서 상기 피부 이미지가 입력되면,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상기 서버(10)로 전송된다.
상기 서버(10)는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부터 상기 입력단계(S2)에서 입력된 상기 기본 정보와 상기 피부 이미지에 따라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한다.(S3)
예를 들어, 상기 피부 질환명은, 세균성 질환, 곰팡이성 질환, 기생충 질환, 바이러스 질환, 리케티아 질환, 원충성 질환, 과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면역매개성 질환, 선천성 탈모증, 후천성 탈모증, 선천성 피부병, 색소 이상증, 각질이상증, 지루성피부염, 개 기타 질병, 고양이 기타 질병, 발톱염, 항문낭염, 치질염, 종양성 질병, 비종양성 질병, 식이성 알러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앱에서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펫 관리 앱에서는 진단명에 피부 질환명을 출력하고, 피부 질환의 대표 증상 및 이미지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질환 상태를 미리 설정된 중증도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질환명이 식이성 알러지인 경우, 피부 질환 상태를 심각한 순서대로 A,B,C,D,E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극소 상태를 의미하고, B는 소, C는 중, D는 심각, E는 중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D와 E의 경우 병원 방문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질환 상태에 따라 후술하는 치료 방법과 제품이 다르게 추천된다.
또한, 상기 서버(10)는 상기 진단단계(S2)에서 진단된 상기 피부 질환명과 상기 피부 질환 상태에 적합한 치료 방법을 도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여 보호자에게 추천하는 치료방법 추천단계를 수행한다.(S4)
상기 서버(10)는, 상기 피부 질환명과 상기 피부 질환 상태에 따른 치료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피부 질환명과 상기 피부 질환 상태에 따른 치료 방법도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도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치료 방법은, 식이 요법, 피부 관리 방법, 약물 치료 방법 및 병원 진료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10)는, 상기 치료 방법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도출하고, 도출된 치료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식이 요법은, 사료의 종류, 식사량, 식사횟수, 간식의 종류, 간식량, 간식횟수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피부 관리 방법은, 샴푸의 종류, 사용량, 사용 횟수, 린스의 종류, 사용량, 사용 횟수, 보습제 사용 방법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병원 진료 방법은, 병원 방문 안내, 관련 진료를 하는 병원 추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는 병원에 방문하기 전에 펫의 피부 질환 이미지를 촬영하여 입력함으로써, 펫의 피부 질환 상태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받을 수 있다. 보호자가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펫의 피부 질환 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경미한 질환으로 병원에 방문하느라 시간과 비용을 소모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자의 무지로 인하여 펫의 피부 질환이 오래 방치되어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는 상기에서 도출된 치료방법에 따라 치료시 필요한 식품, 피부 관리 용품, 영양제, 위생용품을 포함한 제품의 종류, 구입처, 구입방법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여 추천하는 제품 추천단계를 수행한다.(S5)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앱에서 제품을 추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피부 질환명이 식이성 알러지이고, 피부 질환 상태가 A인 경우, 상기 치료 방법으로 식이 요법을 추천하고, 상기 제품은 식이 요법시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 닭고기 알러지를 제외한 식품과, 상기 식품과 관련된 제품의 종류, 구입처, 구입 단가 및 구입 방법 등을 추천할 수 있다. 상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앱에서 서비스를 추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10)는, 상기 펫의 기본 정보와 상기 진단단계(S3)에서 진단한 진단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펫에 필요한 동물병원, 케어 센터, 보험, 유치원, 상조를 포함한 펫 휴머나이제이션 서비스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여 추천하는 서비스 추천단계를 수행한다.(S6)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앱에서 펫 하우스로부터 수신한 펫의 체중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10)는, 상기 펫 하우스(30)로부터 측정된 펫의 체중이나 펫의 온도를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는, 상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은, 소리나 푸쉬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20)에 설치된 펫 관리 앱에 상기 알림이 표시되면, 보호자는 상기 알림을 확인하고 펫의 이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는, 상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상기 펫 하우스(30)에 알림을 표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즉, 상기 펫 하우스의 온도 변화는 상기 펫 하우스에 머무는 펫의 체온과 관련이 높기 때문에, 상기 펫 하우스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펫의 체온 변화가 과도하게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이를 보호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앱에서 펫 하우스로부터 수신한 온도와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10)는, 상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온도 변화에 따라 확인이 필요한 펫의 증상, 예상 피부 질환, 펫의 체온 측정 방법, 응급 처치 방법을 포함한 안내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여,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펫 관리 앱에는 상기 펫 하우스의 현재 온도 뿐만 아니라, 최근 한달 또는 설정 기간동안 펫 하우스의 평균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는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표시되는 안내 정보를 확인하고, 안내 정보에 포함된 지시 사항에 따라 펫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 관리 앱에서 펫의 병력과 보유 증상을 입력받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10)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펫의 병력과 보유 증상을 입력받고, 상기 펫의 기본 정보, 상기 병력 및 상기 보유 증상에 따라 필요한 식이 용법이나 식품과 영양제를 포함한 제품의 종류, 구입처 및 구입방법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여 추천할 수 있다.
상기 펫의 병력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주요 질환들을 표시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보호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유 증상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주요 증상들을 예시로 표시하여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는,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입력된 정보들, 즉 상기 진단단계에서 진단한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 뿐만 아니라,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입력된 펫의 기본 정보, 병력, 보유 증상, 상기 펫 하우스에서 측정된 체중, 온도에 대한 모든 정보에 따라 최적의 치료 방법, 제품,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서버 20: 보호자 단말기
30: 펫 하우스

Claims (10)

  1. 펫의 피부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 방법을 안내하는 펫 관리 앱을 제공하는 서버가 동물병원에서 피부 질환을 진단받은 다수의 펫들의 종류, 나이 및 체중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기본 정보, 피부 이미지, 피부 질환명 및 피부 질환 상태를 포함한 빅데이터를 기계학습하여, 상기 기본 정보와 상기 피부 이미지에 따라 상기 피부 질환명과 상기 피부 질환 상태를 도출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구축하는 학습단계와;
    상기 서버가 보호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펫의 종류, 나이 및 체중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기본 정보와, 상기 펫의 피부 질환 의심 부위를 촬영한 피부 이미지를 입력받는 입력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부터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기본 정보와 상기 피부 이미지에 따라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를 진단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상기 피부 질환명, 상기 피부 질환명의 대표 증상과 이미지 및 상기 피부 질환 상태를 출력하는 진단단계와;
    상기 서버가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진단단계에서 진단된 상기 피부 질환명과 상기 피부 질환 상태에 적합한 치료 방법를 도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여 추천하는 치료 방법 추천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치료 방법에 따라 치료시 필요한 식품, 피부 관리 용품, 영양제, 위생용품을 포함한 제품의 종류, 구입처, 단가, 구입방법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여 추천하는 제품 추천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동물병원, 케어 센터, 보험, 유치원, 상조를 포함한 펫 휴머나이제이션 서비스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상기 펫 휴머나이제이션 서비스를 출력하여 추천하는 서비스 추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단계에서는,
    상기 동물 병원들로부터 수집한 상기 펫의 기본 정보와 상기 피부 이미지를 입력 변수로 하고,
    상기 동물 병원들로부터 수집한 상기 펫의 피부 질환명과, 상기 피부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구분된 피부 질환 상태를 출력 변수로 하여,
    주기적으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상기 펫의 기본 정보와 상기 피부 이미지에 따라 상기 피부 질환명과 상기 피부 질환 상태를 도출할 수 있는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구축하고,
    상기 입력단계에서는,
    상기 펫 관리 앱에서 펫의 보호자가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상기 피부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상기 보호자 단말기에 기저장된 피부 이미지를 상기 펫 관리 앱에 업로드하도록 화면을 표시하여 상기 피부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진단단계에서는,
    상기 펫 관리 앱에서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에서 진단받은 상기 피부 질환명, 대표 증상 및 상기 피부 질환명에 대한 피부 질환 상태를 출력하되,
    상기 대표 증상은 이미지로 출력하고,
    상기 피부 질환 상태를 중증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구분하여, 상기 단계를 함께 출력하고,
    상기 치료 방법 추천단계에서는,
    상기 치료 방법은, 식이 요법, 피부 관리 방법, 약물 치료 방법 및 병원 진료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 질환명과 상기 피부 질환 상태의 단계에 따라 다르게 도출하고,
    상기 식이 요법은, 사료의 종류, 식사량, 식사횟수, 간식의 종류, 간식량 및 간식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관리 방법은, 샴푸의 종류, 사용량, 사용 횟수, 린스의 종류, 사용량 및 사용 횟수, 보습제 사용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 추천 단계에서는,
    상기 제품은, 상기 피부 질환명과 상기 피부 질환 상태의 단계에 따라 다르게 도출하고,
    상기 서비스 추천 단계에서는,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입력된 펫의 기본 정보, 상기 진단단계에서 진단받은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입력된 펫의 병력과 보유 증상, 펫 하우스에서 측정된 펫의 체중과 상기 펫 하우스의 내부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펫 휴머나이제이션 서비스를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상기 펫 하우스에 설치된 저울이 측정한 펫의 체중과, 상기 펫 하우스에 설치된 온도 센서가 측정한 상기 펫 하우스의 내부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펫 하우스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알림을 표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상기 펫 하우스의 현재 온도와 설정 기간동안 상기 펫 하우스의 평균 온도를 표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상기 펫 하우스의 온도 변화에 따라 확인이 필요한 펫의 증상, 예상 피부 질환, 펫의 체온 측정 방법, 응급 처치 방법을 포함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펫 하우스에서 측정된 상기 체중과 상기 온도에 따라 필요한 식품과 영양제를 포함한 제품의 종류, 구입처 및 구입방법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여 추천하고,
    상기 펫의 기본 정보, 상기 병력 및 상기 보유 증상에 따라 필요한 식이 요법, 식품과 영양제를 포함한 제품의 종류, 구입처 및 구입방법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여 추천하는,
    펫의 피부 질환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동물병원에서 피부 질환을 진단받은 다수의 펫들의 종류, 나이 및 체중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기본 정보, 피부 이미지, 피부 질환명 및 피부 질환 상태를 포함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 정보와 상기 피부 이미지에 따라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를 도출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하고,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펫의 피부 질환을 진단하고, 상기 피부 질환에 따른 치료 방법을 추천하기 위한 펫 관리 앱을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무선 통신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이 설치되어, 상기 펫 관리 앱을 이용하여 펫의 종류, 나이 및 체중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기본 정보와, 상기 펫의 피부 질환 의심 부위를 촬영한 이미지를 입력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 및 치료 방법을 출력하기 위한 보호자 단말기와;
    상기 서버와 상기 보호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통신하고, 저울과 온도센서가 구비되어 펫의 체중와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서버와 상기 보호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펫 하우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동물 병원들로부터 수집한 상기 펫의 기본 정보와 상기 피부 이미지를 입력 변수로 하고, 상기 동물 병원들로부터 수집한 상기 펫의 피부 질환명과, 상기 피부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구분된 피부 질환 상태를 출력 변수로 하여, 주기적으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상기 펫의 기본 정보와 상기 피부 이미지에 따라 상기 피부 질환명과 상기 피부 질환 상태를 도출할 수 있는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구축하고,
    상기 펫 관리 앱에서 펫의 보호자가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상기 피부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상기 보호자 단말기에 기저장된 피부 이미지를 상기 펫 관리 앱에 업로드하도록 화면을 표시하여 상기 피부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펫 관리 앱에서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에서 진단받은 상기 피부 질환명, 대표 증상 및 상기 피부 질환명에 대한 피부 질환 상태를 출력하되, 상기 대표 증상은 이미지로 출력하고, 상기 피부 질환 상태를 중증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구분하여, 상기 단계를 함께 출력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입력된 펫의 기본 정보, 상기 진단단계에서 진단받은 피부 질환명과 피부 질환 상태,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입력된 펫의 병력과 보유 증상, 펫 하우스에서 측정된 펫의 체중과 상기 펫 하우스의 내부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동물병원, 케어 센터, 보험, 유치원, 상조를 포함한 펫 휴머나이제이션 서비스를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치료 방법은, 식이 요법, 피부 관리 방법, 약물 치료 방법 및 병원 진료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 질환명과 상기 피부 질환 상태의 단계에 따라 다르게 도출하고,
    상기 식이 요법은, 사료의 종류, 식사량, 식사횟수, 간식의 종류, 간식량 및 간식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관리 방법은, 샴푸의 종류, 사용량, 사용 횟수, 린스의 종류, 사용량 및 사용 횟수, 보습제 사용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은, 상기 피부 질환명과 상기 피부 질환 상태의 단계에 따라 다르게 도출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상기 펫 하우스에 설치된 저울이 측정한 펫의 체중과, 상기 펫 하우스에 설치된 온도 센서가 측정한 상기 펫 하우스의 내부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펫 하우스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알림을 표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상기 펫 하우스의 현재 온도와 설정 기간동안 상기 펫 하우스의 평균 온도를 표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상기 펫 하우스의 온도 변화에 따라 확인이 필요한 펫의 증상, 예상 피부 질환, 펫의 체온 측정 방법, 응급 처치 방법을 포함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펫 하우스에서 측정된 상기 체중과 상기 온도에 따라 필요한 식품과 영양제를 포함한 제품의 종류, 구입처 및 구입방법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여 추천하고,
    상기 펫의 기본 정보, 상기 병력 및 상기 보유 증상에 따라 필요한 식이 요법, 식품과 영양제를 포함한 제품의 종류, 구입처 및 구입방법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펫 관리 앱을 통해 출력하여 추천하는,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10. 삭제
KR1020210160249A 2021-11-19 2021-11-19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74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49A KR102474908B1 (ko) 2021-11-19 2021-11-19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49A KR102474908B1 (ko) 2021-11-19 2021-11-19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908B1 true KR102474908B1 (ko) 2022-12-07

Family

ID=8444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249A KR102474908B1 (ko) 2021-11-19 2021-11-19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9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975B1 (ko) * 2023-05-12 2023-09-06 주식회사 디디케어스 Ai기반 반려견에 대한 건강검진대상 판별 방법 및 그 서버
KR102604305B1 (ko) * 2023-08-30 2023-11-24 주식회사 지에스앤에스 Led 광치료기를 이용한 모바일 기반 애완동물 광치료 플랫폼 시스템
KR102612023B1 (ko) * 2023-03-10 2023-12-08 (주)휴벳 반려동물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664434B1 (ko) * 2023-09-18 2024-05-14 정재헌 반려 동물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028A (ko) 2014-04-02 2015-10-14 (주)블루노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6455A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글로툴바이오테크 사물인터넷 기반의 애완동물 케어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254419B1 (ko) * 2020-10-27 2021-05-21 주식회사 꼬리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210108686A (ko) * 2020-02-26 2021-09-03 송민구 영상 인공지능 기반 반려동물 질병 예후 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028A (ko) 2014-04-02 2015-10-14 (주)블루노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6455A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글로툴바이오테크 사물인터넷 기반의 애완동물 케어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210108686A (ko) * 2020-02-26 2021-09-03 송민구 영상 인공지능 기반 반려동물 질병 예후 진단 방법
KR102254419B1 (ko) * 2020-10-27 2021-05-21 주식회사 꼬리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023B1 (ko) * 2023-03-10 2023-12-08 (주)휴벳 반려동물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74975B1 (ko) * 2023-05-12 2023-09-06 주식회사 디디케어스 Ai기반 반려견에 대한 건강검진대상 판별 방법 및 그 서버
KR102604305B1 (ko) * 2023-08-30 2023-11-24 주식회사 지에스앤에스 Led 광치료기를 이용한 모바일 기반 애완동물 광치료 플랫폼 시스템
KR102664434B1 (ko) * 2023-09-18 2024-05-14 정재헌 반려 동물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908B1 (ko)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957451B2 (en) Patient healthcare interaction device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the same
TWI444921B (zh) 用於促進提供健康及保健幫助的線上系統、方法及電腦可讀取媒體
KR102202865B1 (ko)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문진을 통한 질병 예측 정보 제공 장치
KR101673682B1 (ko) 동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1199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반려동물 건강관리 서비스방법
WO2021014588A1 (ja) 動物の行動情報を取得するサービスを提供するサーバ
US20210375464A1 (en) Assistance system, assistance method, and assistance program
CN112970070A (zh) 用于健康护理提供者辅助系统的方法和系统
Burnett-Zieman et al. Community-based postnatal care services for women and newborns in Kenya: an opportunity to improve quality and access?
Osamor et al. Tuberculosis–Diagnostic Expert System: An architecture for translating patients information from the web for use in tuberculosis diagnosis
US201901396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re Plan Generation
US20200380581A1 (en) Medical institution selection support apparatus
WO2021140731A1 (ja) 情報伝達装置および情報伝達方法
US11848096B2 (en) Home visit assessment and decision support system
WO2021199129A1 (ja) 評価方法
JP2023162074A (ja) ペット診療相談支援システム、ペット診療相談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262588A1 (en) Child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child health management method
KR20180053983A (ko) 치매환자 관리방법
KR20220072050A (ko) 인공지능 주치의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220071331A (ko) 건강 관리 인공지능 주치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52417A (ko) 인공지능 및 전문가 큐레이션을 이용한 양방향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플랫폼 및 양방향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방법
WO2021171596A1 (ja) 推論システム、学習依頼装置、および学習依頼方法
US9727699B2 (en) Software tool for veterinarians
KR102561602B1 (ko) 컨시어지 서비스의 중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