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419B1 -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419B1
KR102254419B1 KR1020200140463A KR20200140463A KR102254419B1 KR 102254419 B1 KR102254419 B1 KR 102254419B1 KR 1020200140463 A KR1020200140463 A KR 1020200140463A KR 20200140463 A KR20200140463 A KR 20200140463A KR 102254419 B1 KR102254419 B1 KR 102254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panion animal
health
health care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신지현
김현근
박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꼬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꼬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꼬리
Priority to KR102020014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로부터 반려동물의 행동 및 증상과 관련된 비정형 건강 정보를 마이닝하는 단계, 상기 비정형 건강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비정형 건강 정보를 정형 건강 정보로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구축된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반려동물 정보에 따른 반려동물에 대한 진단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진단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반려동물의 건강을 케어하는 관리 방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정보, 상기 관리 방안, 및 상기 SNS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상기 관리 방안에 따른 비용 정보가 포함된 헬스 케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CURATING COMPANION ANIMAL HEALTH CARE,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셜 네트워크에 공유된 반려동물 의 건강에 관한 정보를 마이닝하고, 마이닝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반려동물의 건강에 관한 정보와 이를 케어할 수 있는 최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 반려동물이 증가하면서 소셜 네트워크에 많은 정보들이 공유되어 있는데, 종래의 반려동물 앱은 정형화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소셜 네트워크의 데이터는 분석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반려동물의 종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고, 행동 및 질병 증상도 워낙 다양하므로 정형화된 데이터만으로는 반려동물 케어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용자들은 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하여 다양한 질병으로부터 반려동물을 보호하길 원하는 실정이다. 최근 반려동물에 대한 유행성 질병에 대한 정보는 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질환 정보 등을 빠르게 획득하려는 반려동물 보호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반려동물에 대한 최신 건강 정보와 케어 방법을 반영하고 풍부한 정보들을 신속하게 수집하며,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반려동물에 커스터마이징된 최적의 케어 방법을 추천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12498 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에게 풍부하고도 정확한 정보의 헬스 케어 정보를 큐레이션할 수 있는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신뢰도가 높은 헬스 케어 정보를 큐레이션함에 따라 사용자가 추천 받은 진단 정보를 마음 놓고 추천받은 진단 방법 또는 치료방법을 반려동물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헬스 케어에 대한 풍부한 정보들과 새로운 헬스 케어의 트렌드를 빠르게 수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반려동물 정보에 해당되는 헬스 케어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로부터 반려동물의 행동 및 증상과 관련된 비정형 건강 정보를 마이닝하는 단계, 상기 비정형 건강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비정형 건강 정보를 정형 건강 정보로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정형 건강 정보를 취합하여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구축된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반려동물 정보에 따른 반려동물에 대한 진단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진단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반려동물의 건강을 케어하는 관리 방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정보, 상기 관리 방안, 및 상기 SNS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상기 관리 방안에 따른 비용 정보가 포함된 헬스 케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려동물의 행동 및 증상과 관련된 비정형 건강 정보를 마이닝하는 단계는, 상기 SNS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SNS로부터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가 함께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 및 텍스트를 크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정형 건강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비정형 건강 정보를 정형 건강 정보로 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및 텍스트로 이루어진 상기 비정형 건강 정보에 대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과,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으로 분류하고, 상기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에 따른 이상 징후와 및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에 따른 이상 징후를 라벨링하는 단계, 및 상기 라벨링된 비정형 건강 정보의 속성을 기초로 이상 징후를 클러스터링하여 상기 이상 징후의 유사도를 기초로 상기 비정형 건강 정보가 카테고라이징된 정형화 건강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 및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축된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진단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 및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을 상기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이상 징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 및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에 매칭되는 이상 징후 중에서 매칭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기초로 이상 징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징후를 기초로 상기 반려동물에 적용되는 예상 질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진단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반려동물의 건강을 케어하는 관리 방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상 질병을 치료하는 지역별 예상 진료비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예상 질병이 예방 접종에 의해 치료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 예방 접종의 종류에 따른 지역별 예상 접종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반려동물의 상기 예상 질병을 치료한 후의 추천 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된 진단 정보를 상기 반려동물에게 추천하는 헬스 케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 및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에 매칭되는 이상 징후 중에서 매칭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기준으로, 매칭되는 데이터 크기가 가장 큰 이상 징후에 해당되는 예상 질병을 가능성이 높은 예상 질병으로 표시하고, 상기 가능성이 높은 예상 질병보다 매칭되는 이상 징후의 데이터 크기가 작은 예상 질병을 가능성이 낮은 예상 질병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칭된 진단 정보를 상기 반려동물에게 추천하는 헬스 케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헬스 케어 정보의 신뢰도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헬스 케어 정보의 신뢰도를 검증하는 단계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헬스 케어 정보에서 제공한 병원의 평가 정보, 상기 헬스 케어 정보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이 회복된 리뷰의 평가 정보 및 상기 헬스 케어 정보에서 제공한 가격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평가 정보에 따라 상기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반려동물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희망 신뢰도 정보와 상기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헬스 케어 정보의 신뢰도가 상기 희망 신뢰도에 비해 높은 경우에만 상기 헬스 케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된 진단 정보를 상기 반려동물에게 추천하는 헬스 케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반려동물의 케어에 대한 추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반려동물의 케어에 대한 추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보험 서버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이 가입할 수 있는 보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반려동물의 케어를 받을 수 있는 제휴 병원의 진료 쿠폰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반려동물의 상기 이상 징후의 증상을 개선하는 사료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시스템은 SNS로부터 반려동물의 헬스 케어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마이닝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풍부하고도 정확한 정보의 헬스 케어 정보를 큐레이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은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은 신뢰도가 높은 헬스 케어 정보를 큐레이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추천 받은 헬스 케어 정보를 마음 놓고 반려동물에게 적용시킬 수 있고, 이에 더해 신뢰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려동물의 보호자들의 본 서비스에 대한 꾸준한 유입과 사용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은 SNS로부터 실시간으로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기 때문에 헬스 케어에 대한 풍부한 정보들과 새로운 헬스 케어의 트렌드를 빠르게 수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반려동물 정보에 해당되는 헬스 케어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단계 S100 내지 S3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단계 S500 및 S6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반려동물 정보에 따라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에서 진단 정보를 매칭시키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 정보를 이용하여 헬스 케어 정보를 큐레이션하는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2에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추가 서비스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시스템은 헬스 케어 큐레이션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헬스 케어 큐레이션 서버(100)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로부터 헬스 케어에 대한 비정형 건강 정보를 마이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때, 헬스 케어 큐레이션 서버(100)는 SNS로부터 획득한 비정형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정형화 건강 정보로 가공한 뒤 정형화 건강 정보를 카테고라이징 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헬스 케어 큐레이션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헬스 케어를 큐레이션 할 수 있다. 헬스 케어 큐레이션 서버(100)는 헬스 케어 정보를 추천하는 헬스 케어 큐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3)로 헬스 케어 정보를 큐레이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반려동물은 강아지 또는 고양이를 의미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헬스 케어 정보는 반려동물의 건강을 관리하는 진료 방법, 치료 방법, 진료 비용, 치료 비용, 예방 접종, 물리 치료 방법, 추천 사료 또는 건강 보조 식품 등을 의미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반려동물의 건강을 케어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3)은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서버(100)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로서,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능 실행 장치는 상기 열거한 예로써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3)은 헬스 케어 큐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반려동물 정보를 입력하여 헬스 케어 큐레이션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200-1 내지 200-3)은 반려동물 정보의 입력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시스템은 SNS로부터 반려동물의 헬스 케어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마이닝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풍부하고도 정확한 정보의 헬스 케어 정보를 큐레이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을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팅 장치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헬스 케어 정보 서버일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몇몇 동작의 수행 주체에 대한 기재가 생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행 주체는 상기 컴퓨팅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100에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로부터 비정형 건강 정보가 마이닝될 수 있다. 비정형 건강 정보는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영상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비정형 건강 정보는 반려동물의 명칭, 품종에 대한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영상이 포함된 컨텐츠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정형 건강 정보는 반려동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반려동물의 건강, 질병, 치료 방법, 수술 등 다양한 건강 관련 내용이 포함된 컨텐츠일 수 있다. 이때, SNS에 정기적 또는 비 정기적으로 접속하여 반려동물의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비정형 건강 정보가 마이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에서 비 정기적으로 마이닝 명령이 발생되고, 마이닝 명령에 따라 SNS에 접속하여 비정형 건강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 비정형 건강 정보가 정형 건강 정보로 전처리될 수 있다. 비정형 건강 정보는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기 위하여 정형화된 정보로 가공될 수 있다. 가공된 정형화 건강 정보는 헬스 케어 정보의 종류, 헬스 케어 정보의 비용, 헬스 케어 정보의 대상 등에 대한 다양한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로 가공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정형 건강 정보가 취합되어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될 수 있다.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는 기존에 저장하고 관리하였던 정보들과 마이닝을 통해 수집된 정보들을 취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는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에 따라 반려 동물의 부위별 행동, 부위별 행동에 따른 이상 징후, 부위 별 증상, 부위별 증상에 따른 이상 징후, 진단 정보, 질병 정보, 진료 방법, 치료 방법, 진료 비용, 치료 비용, 예방 접종, 예방 접종 비용, 물리 치료 방법, 추천 사료 또는 건강 보조 식품 등 반려동물을 케어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는 헬스 케어 정보와 반려동물과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함께 관리할 수 있다. 즉,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반려동물에 적합한 진단 정보를 선택하는 기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헬스 케어 정보를 큐레이션 받을 반려동물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반려동물 정보는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 및 부위에 대한 증상으로 나뉘어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은 "귀를 긁음"과 같은 행동 묘사로 입력될 수 있으며, 부위에 대한 증상은 "귀 속이 붉게 부어오름"과 같은 상태 묘사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의 화면(10)과 같이 반려동물 정보가 입력되고, 화면(11)과 같이 세부적인 부위 별 행동 및 부위에 대한 증상이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이때, 도 4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화면(15)에 반려동물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다음 화면(16)에서 행동이 발생된 부위, 또는 증상이 발생된 부위가 선택될 수 있다. 이후, 화면(17)에서 자가 진단 결과 제공을 위한 알고리즘에 따른 질문 항목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귀가 부어올랐나요?", "머리를 자주 흔드는 행동이 나타나나요?", "최근 귀지 양이 많아졌나요?"와 같은 질문항목이 노출되고, 사용자로부터 답변이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반려동물 정보 또는 반려 동물의 부위 별 행동 및 부위에 대한 증상은 사용자 단말의 촬영 또는 미디어 컨텐츠 입력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즉, 반려동물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촬영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이미지 프로세싱 작업을 통해 거쳐 반려동물의 행동과 부위 별 증상이 식별되고, 이에 대한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상에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이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되면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의 행동 또는 증상의 다양한 정보들이 자동으로 추정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단계 S5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반려동물 정보에 적합한 헬스 케어 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이때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헬스 케어 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반려동물 정보와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매칭시켜 가장 많이 매칭되는 진단 정보를 상기 반려동물에게 최적화된 헬스 케어 정보로 결정될 수 있다. 진단 정보는 이상 징후와 이상 징후에 대한 예상 질병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상기 반려동물의 행동과 증상만으로는 예상 질병을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예상 질병을 판단하기 전에 이상 징후가 어떤 것인지 확정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즉, 반려동물의 행동과 증상을 통해 반려동물의 이상 징후가 어떤 것인지 확정하고, 확정된 이상 징후를 통해 예상 질병이 결정될 수 있다.
이후, 단계 S600에서 헬스 케어 정보를 생성하여 반려동물에게 가장 최적화된 건강 개선에 대한 헬스 케어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헬스 케어 정보는 진단 방법, 물리 치료 방법, 수술 방법, 진단 비용, 예방 접종 비용, 사후 관리 방안 등에 대한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이루어진 정보일 수 있다. 도 3과 같이 화면(12)에서 예상되는 질병 정보 및 지역별 예상 진료비 정보가 제공되고, 화면(13)에서 예방 접종 종류가 선택되며, 다음 화면(14)에서 검진 정보 및 지역별 예상 접종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들의 가중치를 기초로 이상 징후가 확정된후 도 4의 화면(18)에서는 예상 질병이 판단될 수 있다.
화면(19)에서는 질병 정보 및 예상 진료비, 맞춤 사료가 추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이상 징후에 따른 예상 질병은 급성외이도염으로 결정되고, 이러한 급성외이도염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부수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단계 S100 내지 S3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단계 S100에서 비정형 건강 정보가 마이닝될 때 단계 S110 및 S120이 수행되고, 단계 S200에서 정형 건강 정보로 전처리될 때 S210 및 S220이 수행되며, 반려동물 정보가 입력될 때 단계 S400에서 단계 S410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110에서 SNS에 접속될 수 있다. SNS는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과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의미할 수도 있고, 카카오톡, 라인, 스냅챗과 같은 대화형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의미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비정형 건강 정보가 마이닝될 수 있는 다양한 플랫몸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SNS로부터 반려동물의 건강에 관련된 정보들이 함께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 및 텍스트가 크롤링될 수 있다. 즉, 컨텐츠 내에 반려동물의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영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반려동물과 함께 반려동물의 건강, 치료, 또는 회복에 관한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영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정형 건강 정보로 결정하여 크롤링될 수 있다.
이미지 또는 영상에 반려동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 반려동물의 각 부위의 비 정상적인 행동, 반려동물의 각 부위의 비 정상적인 증상이 존재하는 경우 반려동물의 건강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의 경우 반려동물의 단어에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인접한 위치에 건강, 치료 또는 회복에 관련된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에 비정형 건강 정보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비정형 건강 정보에 대하여 특징이 라벨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컨텐츠 및 텍스트로 이루어진 상기 비정형 건강 정보에 대하여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과,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으로 분류하고, 상기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에 따른 이상 징후와 및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에 따른 이상 징후가 라벨링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라벨링된 비정형 건강 정보의 속성을 기초로 이상 징후가 클러스터링될 수 있다. 이후, 이상 징후의 유사도를 기초로 상기 비정형 건강 정보가 카테고라이징된 정형화 건강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라벨링된 특징에 대하여 비슷한 정보는 비슷한 정보끼리 연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관리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정형화된 건강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될 수 있으며, 단계 S400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의 필수 정보와 선택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단계 S500 및 S6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반려동물 정보에 따라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에서 진단 정보를 매칭시키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500에서 반려동물에 대한 헬스 케어 정보가 매칭될 때 단계 S510 내지 S530이 수행될 수 있고, 단계 S600에서 헬스 케어 정보가 제공될 때 단계 S610 내지 S630이 수행되며, 단계 S700에서 단계 S710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510에서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 및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을 상기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이상 징후와 비교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 및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에 매칭되는 이상 징후 중에서 매칭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기초로 이상 징후를. 비교 과정을 거친 후 단계 S530에서 이상 징후를 기초로 상기 반려동물에 적용되는 예상 질병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이상 징후를 통해 예상 질병이 결정되는 프로세스는 도 7의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반려동물 질병 분류 정보(20)와 주요 질병별 행동/증상 정보(21)와 동물병원 정보(22)를 참조하여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는 발생 빈도별 질병정보에 따라 A등급은 외이염, 슬개골탈구로 분류되고, B등급은 결막염, 백내장으로 분류되고, C등급은 위염, 녹내장, 홍역으로 분류되며, D등급은 골절, 종양, 변비로 분류될 수 있다. 품종별 유적적 질환 질벙 정보는 소형 반려동물 말티즈는 슬개골탈구, 저혈당, 안검내반증으로 저장되고, 중형 슈나우저는 에디슨병, 백내장, 결막염, 피부종양으로 저장될 수 있다.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 행동과 증상에 따른 정보에 대하여, 머리에 대해 머리를 흔들거나 기울이는 행동, 눈에 대해 눈꺼풀에 고름이 생기고, 각막이 흐릿해지는 증상, 코에 대해 끈적끈적한 콧물이 나오고, 코콜이를 하는 증상, 입에 대해 입 안에서 피가나고 입에서 냄새가 나는 증상, 귀에 대해 귀를 긁고 귀가 부어오르는 증상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는 동물병원 서버와 연동되어 혈구/혈청 검사, 엑스레이, 초음파 검사, 조제약/주사 치료, 수술/수액 치료로 분류되며, 지역에 자주 걸리는 질병에 대한 평균 진료비 데이터가 구축될 수 있으며, 동물병원으로부터 치료 후 관리방안을 제시받을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예상 질병을 치료하는 지역별 예상 진료비가 제공될 수 있고, 단계 S620에서 예상 질병이 예방 접종에 의해 치료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예방 접종 종류에 따른 지역별 예상 접종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후, 단계 S630에서 반려동물의 상기 예상 질병을 치료한 후의 추천 사료가 제공될 수 있다.
이후, 단계 S710에서는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 및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에 매칭되는 이상 징후 중에서 매칭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기준으로, 매칭되는 데이터 크기가 가장 큰 이상 징후에 해당되는 예상 질병을 가능성이 높은 예상 질병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가능성이 높은 예상 질병보다 매칭되는 이상 징후의 데이터 크기가 작은 예상 질병을 가능성이 낮은 예상 질병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상 중에서 가장 많은 데이터의 크기로 매칭되는 이상 징후부터 크기가 작아지는 순서의 이상 징후가 내림차순 정렬될 수 있고, 가장 매칭이 많이 되는 이상 징후에 대한 예상 질병에 대한 헬스 케어 정보가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 정보를 이용하여 헬스 케어 정보를 큐레이션하는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첫번째 시퀀스(30)에서 귀를 긁는 증상의 이상 징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러한 증상이 "귀를 지속적으로 긁는 행동"과 "귀 속이 붉게 부어오르는 증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매칭되고, 1차 큐레이션 정보로서, 예상 질병이 "외이염"으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표시되고, "이개혈종"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예상 질병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병원 내원 알람이 표시될 수 있다.
두번째 시퀀스(31)에서 병원 내원의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먼저, 질병 원인이 효모균성으로 판단되어 외이염 진단이 결정될 수 있고, 처방 및 치료에 대해 하루 3번 3일동안 약 복용하는 조제약 처방과 하루 1번 5일동안 귀약/연고가 적용되는 외용약 치료가 결정될 수 있다.
세번째 시퀀스(32)에서 귀가 후 관리 방법에 대한 귀청소 방법과 음식의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도2에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단계 S700이 수행된 뒤에 단계 S800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에서 헬스 케어 정보의 신뢰도를 검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810에서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평가 정보가 수집되고,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평가정보에 따라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산정될 수 있다.
헬스 케어 정보에서 제공한 병원의 평가 정보, 상기 헬스 케어 정보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이 회복된 리뷰의 평가 정보 및 상기 헬스 케어 정보에서 제공한 가격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평가 정보에 따라 상기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산정될 수 있다.
즉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른 사용자 단말이 이전에 추천받은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평가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평가 정보는 별점, 평점 등으로 입력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다른 사용자 한 두명으로부터 입력 받은 평가 정보를 기초로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산정되는 경우 신뢰도 산정에 정확도가 낮을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평가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평가 정보의 분산도와 평균을 기초로 적정 신뢰도가 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희망 신뢰도가 입력될 수 있다. 희망 신뢰도는 헬스 케어 정보를 큐레이션 받을 때 소정 기준 이상의 신뢰도가 부여된 헬스 케어 정보만을 제공받겠다는 사용자의 설정값일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헬스 케어 정보의 신뢰도가 희망 신뢰도 정보에 비해 높은지 판단할 수 있고, 헬스 케어 정보의 신뢰도가 상기 희망 신뢰도에 비해 높은 경우에만 단계 S830에서 헬스 케어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은 신뢰도가 높은 헬스 케어 정보를 큐레이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마음 놓고 추천받은 진단 방법 또는 치료방법을 반려동물에게 적용할 수 있고, 이에 더해 신뢰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려동물의 보호자들의 본 서비스에 대한 꾸준한 유입과 사용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0은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추가 서비스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과 같이 반려동물의 케어에 대한 추가 서비스를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보험 서버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이 가입할 수 있는 보험 정보를 제공되고, 반려동물의 케어를 받을 수 있는 제휴 병원의 진료 쿠폰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이상 징후의 증상을 개선하는 반려동물의 건강 정보의 마케팅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은 SNS로부터 실시간으로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기 때문에 헬스 케어에 대한 풍부한 정보들과 새로운 헬스 케어의 트렌드를 빠르게 수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반려동물 정보에 해당되는 헬스 케어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육류 구매 및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였다.
도 11은 컴퓨팅 장치(500)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0), 버스(550), 통신 인터페이스(570), 프로세서(5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530)와, 컴퓨터 프로그램(591)를 저장하는 스토리지(5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과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 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컴퓨팅 장치(5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5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10)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530)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5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591)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메모리(530)의 예시는 RAM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550)는 컴퓨팅 장치(5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55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컴퓨팅 장치(5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59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59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591)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591)이 메모리(530)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5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서버 풀에 속한 물리 서버, 데스크탑 피씨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DVD-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들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로부터 반려동물의 행동 및 증상과 관련된 비정형 건강 정보를 마이닝하는 단계;
    상기 비정형 건강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비정형 건강 정보를 정형 건강 정보로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정형 건강 정보를 취합하여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구축된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반려동물 정보에 따른 반려동물에 대한 진단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진단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반려동물의 건강을 케어하는 관리 방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정보, 상기 관리 방안, 및 상기 SNS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상기 관리 방안에 따른 비용 정보가 포함된 헬스 케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려동물의 행동 및 증상과 관련된 비정형 건강 정보를 마이닝하는 단계는,
    상기 SNS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SNS로부터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가 함께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 및 텍스트를 크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정형 건강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비정형 건강 정보를 정형 건강 정보로 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 및 텍스트로 이루어진 상기 비정형 건강 정보에 대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과,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으로 분류하고, 상기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에 따른 이상 징후와 및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에 따른 이상 징후를 라벨링하는 단계; 및
    상기 라벨링된 비정형 건강 정보의 속성을 기초로 이상 징후를 클러스터링하여 상기 이상 징후의 유사도를 기초로 상기 비정형 건강 정보가 카테고라이징된 정형화 건강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 및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축된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진단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 및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을 상기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이상 징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 및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에 매칭되는 이상 징후 중에서 매칭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기초로 이상 징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징후를 기초로 상기 반려동물에 적용되는 예상 질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진단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반려동물의 건강을 케어하는 관리 방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상 질병을 치료하는 지역별 예상 진료비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예상 질병이 예방 접종에 의해 치료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예방 접종의 종류에 따른 지역별 예상 접종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반려동물의 상기 예상 질병을 치료한 후의 추천 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된 진단 정보를 상기 반려동물에게 추천하는 헬스 케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반려동물의 부위 별 행동 및 상기 부위에 대한 증상에 매칭되는 이상 징후 중에서 매칭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기준으로, 매칭되는 데이터 크기가 가장 큰 이상 징후에 해당되는 예상 질병을 가능성이 높은 예상 질병으로 표시하고, 상기 가능성이 높은 예상 질병보다 매칭되는 이상 징후의 데이터 크기가 작은 예상 질병을 가능성이 낮은 예상 질병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된 진단 정보를 상기 반려동물에게 추천하는 헬스 케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헬스 케어 정보의 신뢰도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헬스 케어 정보의 신뢰도를 검증하는 단계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헬스 케어 정보에서 제공한 병원의 평가 정보, 상기 헬스 케어 정보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이 회복된 리뷰의 평가 정보 및 상기 헬스 케어 정보에서 제공한 가격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평가 정보에 따라 상기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산정하는 단계;
    상기 반려동물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희망 신뢰도 정보와 상기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헬스 케어 정보의 신뢰도가 상기 희망 신뢰도에 비해 높은 경우에만 상기 헬스 케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된 진단 정보를 상기 반려동물에게 추천하는 헬스 케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반려동물의 케어에 대한 추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반려동물의 케어에 대한 추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보험 서버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이 가입할 수 있는 보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반려동물의 케어를 받을 수 있는 제휴 병원의 진료 쿠폰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반려동물의 상기 이상 징후의 증상을 개선하는 사료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
KR1020200140463A 2020-10-27 2020-10-27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254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463A KR102254419B1 (ko) 2020-10-27 2020-10-27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463A KR102254419B1 (ko) 2020-10-27 2020-10-27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419B1 true KR102254419B1 (ko) 2021-05-21

Family

ID=7615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463A KR102254419B1 (ko) 2020-10-27 2020-10-27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4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908B1 (ko) * 2021-11-19 2022-12-07 주식회사 카이로스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4623A (ko) 2021-07-21 2023-01-30 유정무 반려동물 건강상태 확인 모래, 반려동물 건강상태 확인 모래 팩, 반려동물 건강상태 확인 모래 제조방법
KR20230077592A (ko) 2021-11-25 2023-06-01 한태희 반려동물 건강상태 확인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2438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십일리터 반려동물 맞춤형 영양제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498A (ko) 2017-01-13 2017-02-02 박태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반려동물 정보제공 및 관리서비스 방법
KR20180078458A (ko) * 2016-12-30 2018-07-10 이경문 동물 개체별 맞춤형 식료품 제공 방법
KR101995755B1 (ko) * 2019-03-12 2019-10-01 누리꿈소프트(주) 가축 질병 예측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458A (ko) * 2016-12-30 2018-07-10 이경문 동물 개체별 맞춤형 식료품 제공 방법
KR20170012498A (ko) 2017-01-13 2017-02-02 박태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반려동물 정보제공 및 관리서비스 방법
KR101995755B1 (ko) * 2019-03-12 2019-10-01 누리꿈소프트(주) 가축 질병 예측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삼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7권 제6호 페이지 29-34 (2016.12.31.)*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623A (ko) 2021-07-21 2023-01-30 유정무 반려동물 건강상태 확인 모래, 반려동물 건강상태 확인 모래 팩, 반려동물 건강상태 확인 모래 제조방법
KR102474908B1 (ko) * 2021-11-19 2022-12-07 주식회사 카이로스 펫의 피부 질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77592A (ko) 2021-11-25 2023-06-01 한태희 반려동물 건강상태 확인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2438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십일리터 반려동물 맞춤형 영양제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419B1 (ko) 반려동물 헬스 케어 큐레이션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US11735294B2 (en) Client management tool system and method
JP6915282B2 (ja) オープンデータ及び臨床医の入力を用いて患者の治療リスクを評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6780520B2 (ja) オープンデータ及び臨床医の入力を用いて患者のリスクを評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9298766B2 (en) Empathy injection for question-answering systems
US119230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digital therapeutics directed to patient care specific to a disease
US20170161450A1 (en) Real-time veterinarian communication linkage for animal assessment and diagnosis
US10943697B2 (en) Determining information based on an analysis of images and video
CN111144658B (zh) 医疗风险预测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与电子设备
CN111383754B (zh) 医疗决策方法、医疗决策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50227714A1 (en) Medical information analysis apparatus and medical information analysis method
CN114078597A (zh) 从文本获得支持的决策树用于医疗健康应用
CN112447270A (zh) 一种用药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3170114A1 (en) Client management tool system and method
Hom et al. Facilitating clinical research through automation: Combin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wit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20150019239A1 (en) Identifying target patients for new drugs by mining real-world evidence
Barakat et al. A machine learning approach on chest X-rays for pediatric pneumonia detection
US201503396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health care costs
CN113990514A (zh) 医师诊疗行为的异常检测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AU20212006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managing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s
US20210142882A1 (en) Techniques for image-based examination of dialysis access sites
KR20200104817A (ko) 한방병원 추천 장치 및 한방병원 추천 방법
US11908577B2 (en) Telemedicine platform including virtual assistance
US20230354782A1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egrated platforms for generating a unique identifier for a user-to-pet relationship
US202300172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medical records analytics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