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983A - 치매환자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치매환자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983A
KR20180053983A KR1020160151224A KR20160151224A KR20180053983A KR 20180053983 A KR20180053983 A KR 20180053983A KR 1020160151224 A KR1020160151224 A KR 1020160151224A KR 20160151224 A KR20160151224 A KR 20160151224A KR 20180053983 A KR20180053983 A KR 20180053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dementia
terminal
demented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형
Original Assignee
(주)아이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쿱 filed Critical (주)아이쿱
Priority to KR1020160151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3983A/ko
Publication of KR20180053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환자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치매환자의 단계에 맞도록 다양한 교육 및 훈련과 치료 컨텐츠를 환자관리서버를 통해 제공하고 이에 대한 반응을 단말기를 통해 기록 및 저장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를 치매환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하여 치매환자의 건강 또는 감정 상태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의료진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치매환자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치매환자 관리방법 {Method for Dementia Patients}
본 발명은 치매환자 관리방법에 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매환자의 단계에 맞도록 다양한 교육 및 훈련과 치료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반응을 단말기를 통해 기록 및 저장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를 치매환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하여 치매환자의 건강 또는 감정 상태를 분석하여 의료진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치매환자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사회는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고 있다. 그로 인하여 치매환자 또한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대처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가정에서 환자관리기관에서 이들만을 위한 치매환자 전용 케어 및 보호/관리를 위한 치매케어 시스템 기술 및 치매환자 증가를 겨냥한 환자보호나 관리 시스템 기술은 개발되고 있다.
그 일 실시예로 종래의 치매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은 한국공개특허 제0-2016-0005924호에 개시되어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사람의 치매징후 및 증상을 예측 및 인지하여 치매환자의 발생을 예방하고 또한 치매환자의 일상관리를 도와줄 수 있는 치매환자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치매 징후 감지 장치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치매환자를 센싱하여 치매 관련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치매 징후 감지 장치가 생성한 상기 감지 데이터를 치매 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치매 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이 수신한 상기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매 징후 및 증상을 예측하여 치매 예방 서비스와 치매 증상에 상응하는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사용자 또는 치매환자가 상기 치매환자의 가족력 정보, 전문기관의 치매관련 검진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치매관련 정보의 주기적인 입력이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주기적인 치매관련 정보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치매환자의 일상적인 생활과 연관된 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하고 이를 분석하여 정상적인 생활패턴과 비교하여 차이점이 있는 경우에 이에 대한 정보를 치매 관련 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하게 된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6-0005924호 (공개일 2016년01월18일자)
본 발명의 목적은 치매환자의 단계에 맞도록 다양한 교육 및 훈련과 치료 컨텐츠를 환자관리서버를 통해 제공하고 이에 대한 반응을 단말기를 통해 기록 및 저장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를 치매환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하여 치매환자의 건강 또는 감정 상태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의료진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치매환자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환자관리서버에서 치매환자단말기로 치매환자의 상태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치매환자의 상태 데이터를 피드백 받아 저장 관리하는 치매환자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자관리서버는 상기 치매환자단말기로 치매환자의 상태에 따른 교육,훈련 및 치료 컨텐츠를 상기 치매환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과정; 상기 치매환자단말기를 통해 상기 컨텐츠의 수행 결과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는 제2과정; 및 상기 치매환자단말기를 통해 저장된 수행결과 데이터를 상기 환자관리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거나, 의료진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과정에 부가하여 치매환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과정은 치매환자단말기를 통해 치매환자의 문제행동 또는 신체증상에 대한 특이사항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관리방법은 치매환자의 단계에 맞도록 다양한 교육 및 훈련과 치료 컨텐츠를 환자관리서버를 통해 제공하고 이에 대한 반응을 단말기를 통해 기록 및 저장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를 치매환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하여 치매환자의 건강 또는 감정 상태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의료진에게 제공하므로, 치매환자와 조호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정량화하여 담당 의료진이 진료시 활용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맞는 교육, 훈련 및 치료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상태호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치매환자 관리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치매환자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관리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상태데이터 입력 및 처리과장의 데이터 흐름도이고,
도 5는 치매환자의 특이사항을 입력하는 환자단말기의 화면 표시도이고,
도 6은 환자의 문제행동을 기록하기 위한 환자단말기의 화면표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치매환자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치매환자 또는 환자의 조호자에 의해 의료진으로부터의 컨텐츠 확인 및 환자상태 입력 가능한 환자단말기(100)와, 상기 환자단말기(100)로 환자상태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함과 아울러 환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환자상태 데이터, 의료진의 진료데이터를 분석 및 저장하는 환자관리서버(110) 및 환자관리 데이터베이스(111)와, 상기 환자관리서버(110)로부터 전송된 환자상태 데이터를 화면출력을 통해 확인하고, 환자의 진료정보를 입력하고, 환자의 교육, 훈련 및 치료를 위한 컨테츠를 치매환자의 상태에 따라 제공하는 의료진단말기(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환자단말기(100)는 스마트폰 또는 워치타입의 스마트워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관리과정의 흐름도로서, 먼저 치매환자가 발생되면 치매환자를 의료진의 진료 및 검사를 통해 치매 진행 단계(초기,중기,말기등)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복용약, 훈련/치료 컨텐츠 등의 처방을 내리게 된다.
여기서 치매 진행 단계는 1급,2급,? 등의 급수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검사 및 분석결과와 의료진의 진료 및 진단 결과에 의해 결정한다.
이와 같이 환자의 치매 진행단계가 결정되면, 의료진은 의료진단말기(120)로 상기 환자관리서버(110)에 접속하여 진료 및 진단결과와 치매 진행단계를 환자관리DB(111)에 저장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또한, 의료진은 치매환자의 치료를 위해 다양한 교육/훈련 및 치료 컨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컨텐츠 제공은 환자의 의료진 내방시 제공하거나, 수시로 또는 매일 정기적/비정기적으로 상기 환자단말기(110)로 전송하여 제공한다.
상기 컨텐츠의 일 실시예로 특정 장소 및 상점 말하기, 산책하기, 산수풀기, 음악듣기, 구구단 외우기, 가족사진/동영상 보기, 좋아하는 영화/음악/그림보기, 간단한 문제 풀어보기, 들은 말 따라해보기, MMSE 수행하기, 그림 그려보기 등 다양한 환자의 상태에 맞게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상태데이터 입력 및 처리과장의 데이터 흐름도이고, 도 5는 치매환자의 특이사항을 입력하는 환자단말기의 화면 표시도이다.
상기 치매환자 또는 조호자는 상기 컨텐츠를 수행한 결과 데이터를 상기 환자단말기(110)을 통해 입력 및 저장할 뿐만 아니라, 치매환자의 문제행동 또는 신체증상에 대한 특이사항을 입력하며, 환자의 다양한 생체신호를 입력 저장한다.
도 6은 환자의 문제행동을 기록하기 위한 환자단말기의 화면표시도의 일실시예로서, 문제행동은 망상(의심), 환각(헛것), 수면장애, 우울기분, 서성거리며 안절부절 못함, 길을 잃음, 공격적/파괴적 행동, 밖으로 나가려함 등을 포함한 12가지 행동에 대한 관찰기록이 가능한다.
또한, 상기 신체증상은 메스꺼움, 구토, 넘어짐, 대소변 실수를 포함한 5가지 증상을 포함한다.
상기 생체신호는 심전도센서, 움직임센서, GPS센서, 맥박센서 등으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매환자의 활동량(스텝수, 이동거리, 칼로리 등), 수면량(수면시간), 맥박, 맥박변이도 또는 스트레스 등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환자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된 컨텐츠 수행결과 데이터, 치매환자의 문제행동, 신체증상 및 생체신호 데이터를 상기 환자관리서버(110)로 전송한다.
상기 환자관리서버(110)는 이를 수집하여 분석과정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정량화하여 의료진의 진료시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환자관리DB(111)에 저장하여 치매환자를 지속적으로 파악 및 관리하고, 치매환자의 상태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환자단말기 110 : 환자관리서버
111 : 환자관리DB 120 : 의료진단말기

Claims (7)

  1. 환자관리서버에서 치매환자단말기로 치매환자의 상태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치매환자의 상태 데이터를 피드백 받아 저장 관리하는 치매환자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자관리서버는 상기 치매환자단말기로 치매환자의 상태에 따른 교육,훈련 및 치료 컨텐츠를 상기 치매환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과정;
    상기 치매환자단말기를 통해 상기 컨텐츠의 수행 결과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는 제2과정; 및
    상기 치매환자단말기를 통해 저장된 수행결과 데이터를 상기 환자관리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거나, 의료진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 부가하여 치매환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치매환자가 평소에 가정에서 컨텐츠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치매환자단말기를 통해 치매환자의 문제행동 또는 신체증상에 대한 특이사항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행동은 망상, 환각, 수면장애, 우울기분을 포함한 12가지 행동에 대한 관찰기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관리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증상은 메스꺼움, 구토, 넘어짐, 대소변 실수를 포함한 5가지 증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관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단말기는 스마트폰 또는 손목시계 형태의 스마트워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관리방법.
KR1020160151224A 2016-11-14 2016-11-14 치매환자 관리방법 KR20180053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224A KR20180053983A (ko) 2016-11-14 2016-11-14 치매환자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224A KR20180053983A (ko) 2016-11-14 2016-11-14 치매환자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983A true KR20180053983A (ko) 2018-05-24

Family

ID=6229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224A KR20180053983A (ko) 2016-11-14 2016-11-14 치매환자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39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182B1 (ko) * 2019-07-19 2020-02-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
KR102472418B1 (ko) * 2022-08-05 2022-11-30 주식회사 햇빛가득찬 실버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182B1 (ko) * 2019-07-19 2020-02-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
KR102472418B1 (ko) * 2022-08-05 2022-11-30 주식회사 햇빛가득찬 실버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cobson et al. Digital biomarkers of social anxiety severity: digital phenotyping using passive smartphone sensors
US11553870B2 (en) Methods for modeling neurological development and diagnosing a neurological impairment of a patient
Areán et al. Mobile technology for mental health assessment
Gravenhorst et al. Mobile phones as medical devices in mental disorder treatment: an overview
Taylor et al. Outcome measures based on digital health technology sensor data: data-and patient-centric approaches
CA30158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rain health status
CA31937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learning-assisted cognitive evaluation and treatment
Kaczor et al. Objective measurement of physician stres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using a wearable sensor
Perez-Pozuelo et al. Wearables, smartphon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digital phenotyping and health
US20170061823A1 (en) System for tracking and monitoring personal medical data and encouraging to follow personalized condition-based profile and method thereof
Roski et al. How artificial intelligence is changing health and healthcare
Abbas et al. Digital measurement of mental health: challenges, promises, and future directions
Sparks et al. Telehealth monitoring of patients in the community
Calatrava-Nicolás et al. Robotic-based well-being monitoring and coaching system for the elderly in their daily activities
Li et al. The state of wearable health technologies: a transdisciplinary literature review
Carretero et al.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for monitoring risk of suicide behavior
CN116584939A (zh) 一种谵妄风险监测装置及系统
Ianculescu et al. Address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boosting wellness for the elderly through personalized remote monitoring
KR20180053983A (ko) 치매환자 관리방법
Potter et al. Integrating intensive longitudinal data (ILD)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dynamic theories of behavior change and intervention design: A case study of scientific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Martinez et al. A predictive model for automatic detection of social isolation in older adults
US202302155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diagnosis
US20210193276A1 (en) Integrated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De Anda-Duran et al. Matching science to reality: how to deploy a participant-driven digital brain health platform
Arora et al. Deep‐SQA: A deep learning model using motor activity data for objective sleep quality assessment assisting digital wellness in healthcare 5.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