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298A -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298A
KR20160106298A KR1020150028988A KR20150028988A KR20160106298A KR 20160106298 A KR20160106298 A KR 20160106298A KR 1020150028988 A KR1020150028988 A KR 1020150028988A KR 20150028988 A KR20150028988 A KR 20150028988A KR 20160106298 A KR20160106298 A KR 20160106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ody part
warning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권태
이수영
Original Assignee
김권태
이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권태, 이수영 filed Critical 김권태
Priority to KR1020150028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6298A/ko
Publication of KR20160106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100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몸체부(100)를 가진다. 상기 몸체부(100)에는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100)를 착용하였을 때 후방을 주시하도록 카메라(80)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카메라(80)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55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에는 상기 카메라(80)가 촬영을 시작하였을 때, 촬영이 이루어짐을 후방으로 경고하는 후방경고부(40)가 설치되고, 이들 카메라(80), 무선통신모듈(550) 그리고 후방경고부(40)와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Wearable rear watching and warning device}
본 발명은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적이 드문 길을 통행할 때 후방을 감시하여 보여주고 또한 후방으로 감시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경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적인 드문 길을 특히 밤중이나 어두울 때 거니는 경우 누구나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전방이나 측방은 사람들의 시야가 미쳐 상황을 보면서 대비를 할 수 있지만, 후방의 경우는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대비가 어렵고 그 두려움이 더욱 큰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인적이 드물고 밤중 등의 경우에 후방을 감시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면 바람직하다 할 것인데, 특별히, 이러한 경우 후방으로 감시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경고를 줄 수 있다면 만약에 있을지도 모르는 후방에서의 공격 등을 예비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후방을 감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감시를 하고 있음을 경고하는 장치가 제공된다면 매우 바람직하다 할 것인데, 본 발명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형으로 후방을 감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감시를 하고 있음을 경고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는 몸체부와;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를 착용하였을 때 후방을 주시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가 촬영을 시작하였을 때, 촬영이 이루어짐을 후방으로 경고하는 후방경고부와; 그리고, 상기 몸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 무선통신모듈 그리고 후방경고부와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는 목에 걸치는 목걸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사용자는 상기 몸체부를 상기 사용자의 목에 걸어 착용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목걸침부에 상기 후방을 주시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는 상기 몸체부에 설치된 위치를 수신하는 위치수신모듈과 긴급상황입력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상황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신호를 받으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관련기관의 서버컴퓨터에 신고를 하고 상기 위치수신모듈이 수신한 위치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는 상기 몸체부에 설치된 위치를 수신하는 위치수신모듈과 충격감지센서를 더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감지센서로부터 감지받은 신호로 긴급상황이라고 판단이 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관련기관의 서버컴퓨터에 신고전화를 하고 상기 위치수신모듈이 수신한 위치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는 상기 몸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후방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를 더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감지센서로부터 후방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후방경고부는 점멸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외부의 단말기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를 간편하게 목에 걸쳐 착용하고 자신의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로 후방을 감시하고, 후방으로는 후방이 촬영되고 있음이 경고된다.
이에 따라 후방으로부터의 위험을 통제할 수 있고 후방에서는 경고로 인하여 위해를 가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긴급상황 등의 경우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 경찰 등의 관련기관에 위치정보와 함께 신고를 할 수 있고, 또한 충격이 가해지면 자동으로 경찰 등의 관련기관에 위치정보와 함께 신고가 이루어진다.
한편 긴급상황시의 촬영영상은 별도로 사고저장부에 저장되어 블랙박스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며 스마트폰등을 통해 관련기관으로 위치정보와 함께 최종화면이 송신되어 사고발생후의 사고 원인 규명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의 외관의 일 예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의 작동순서를 보이는 순서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1000)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1000)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몸체부(100)를 가지는데,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100)는 밴드타입으로서, 목이 걸쳐지는 목걸침부(22)를 가지며 목걸침부(22)를 목에 걸어 착용하게 된다. (도 4 참조)
상기 몸체부(100)에서 상기 목걸침부의 후면에는 카메라(8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후방을 주시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카메라(80)는 적외선 카메라를 적용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에는 상기 카메라(80)가 촬영을 시작하였을 때, 후방이 촬영되고 있음을 후방으로 경고하는 후방경고부(40)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방경고부(40)는 세 개의 LED등이 연속으로 배치되어 순차적으로 점멸을 하여 후방의 사람에게 경고를 주게 된다.
상기 후방경고부(40)는 여러 형태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현재 후방은 촬영되어 송신되고 있습니다."와 같은 경고문구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의 형태도 다양한 형태가 채용될 수 있고 이외 다양한 형태의 경고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에는 마이크(90)가 설치되어 주변의 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긴급상황입력버튼(5)이 설치되어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를 누르면 경찰 등 관련기관의 서버컴퓨터로 신고를 하고 위치정보를 알려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80)가 촬영한 영상을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단말기(2000)로 송신하여 외부단말기(2000)를 통하여 촬영되는 후방영상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에는 USB포트와 같은 연결부(60)가 설치되어 케이블을 통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단말기(2000)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80)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단말기(2000)로 전송하여 외부단말기(2000)를 통하여 촬영된 후방영상을 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1000)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선도(block diagram)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주체로 하는 중앙처리부와 ROM 및 RAM을 포함하는 메모리부를 가지며, 메모리부는 중앙처리부의 동작순서를 결정하는 프로그램 및 중앙처리부에 의하여 처리되어야 할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러한 제어부(500)에 전술한 카메라(80)와 마이크(90)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100)에는 후방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70)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50)가 설치되고 이들은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GPS 수신모듈과 같은 위치수신모듈(510)이 상기 몸체부(100)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60)와 긴급상황입력버튼(5)과 그리고 상기 후방경고부(40)도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제어부(500)의 제어를 따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무선통신을 행하는 무선통신모듈(550)이 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외부와 무선으로 통신을 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100)에는 주저장부(581)와 사고저장부(582)가 설치되고 이들은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를 받는데, 주저장부(581)는 평상시 상기 카메라(80)가 촬영한 영상과 마이크(90)를 통하여 입력된 소리를 저장하고, 사고저장부(582)는 제어부가 사고(긴급상황)로 판단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80)가 촬영한 영상과 마이크(90)를 통하여 입력되는 소리를 저장하는 곳으로서 이들 저장부(581)(582)에 저장된 자료들은 블랙박스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나아가서 조작부(520)가 몸체부(100)에 설치되어 기기의 ON/OFF 또는 설정 등의 조작을 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1000)의 작동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우선 상기 제어부(500)는 모션센서(70)로부터 후방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단계 S301) 상기 카메라(80)를 작동시키고 또한 상기 후방경고부(40)를 작동시킨다. (단계 S302)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1000)를 목에 착용하고 거닐다가 후방에서 모션이 감지되면 카메라(80)가 작동하고 또한 후방경고부(40)가 작동되어 후방으로 경고를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이러한 동작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카메라 작동을 ON하는 경우 카메라가 작동되고 후방경고부(40)가 작동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카메라(80)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무선통신모듈(550)을 통하여 외부의 단말기(2000)로 전송한다. (단계 S303)
상기 외부 단말기(2000)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1000)를 착용한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인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사용자는 후방의 상황을 스마트폰을 통하여 보면서 감시를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외부의 단말기(2000)는 이외 보호자 등 타인의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귀가하는 딸의 어머니가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딸의 후방 촬영영상을 통하여 귀가하는 딸의 후방상황을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외부의 단말기(2000)는 복수개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후방상황을 감시하고 또한 동시에 보호자 등의 단말기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후방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카메라(500)가 촬영한 영상과 더불어 마이크(90)로 입력된 소리를 무선통신모듈(550)을 통하여 외부의 단말기(200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또는 보호자 등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후방영상과 함께 소리를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후방을 감시하며 후방으로 경고를 발신하는 상황에서, 만일,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10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위험을 감지하는 경우 긴급상황입력버튼(5)을 ON 할 수 있다. (단계 S304)
그러면 상기 제어부(500)는 긴급상황으로 판단하고, 경찰청 등의 관련기관의 서버컴퓨터에 신고를 하고 또한 위치수신모듈(510)로부터 수신 받은 위치정보를 상기 관련기관의 서버컴퓨터로 전송을 한다. (단계 S305)
또한 만일 충격센서(50)로부터 충격이 감지되면 (단계 S306), 상기 제어부(500)는 긴급상황으로 인식을 하여 경찰청 등의 관련기관의 서버컴퓨터에 신고를 하고 또한 위치수신모듈(510)로부터 수신 받은 위치정보를 상기 관련기관의 서버컴퓨터로 전송을 한다. (단계 S307)
한편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1000)의 연결부(60)에 케이블을 장착하고 이를 사용자가 휴대하는 외부의 단말기(2000)와 연결하여 카메라(80)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의 단말기(2000)에서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1000)의 사용상태의 일예를 보인다.
사용자는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1000)를 목에 걸어 착용하고 자신의 단말기(2000)로 촬영된 영상을 볼 수 있고, 후방으로는 경고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는 긴급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버튼(5)을 눌러 경찰 등에 위치정보를 알리면서 신고를 할 수 있고, 한편,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경찰 등에 신고가 위치정보와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긴급상황버튼(5)이 눌려지거나 또는 충격감지 등의 경우, 촬영된 영상은 사고저장부(582)에 저장되어 블랙박스로서의 기능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1000)는 다른 기능과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헤드셋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휴대한 단말기(2000)와 일정 거리 이상이 멀어지면 경보음을 내게 하여 단말기(2000)의 분실을 예방하도록 하거나, 또는, 심박센서를 내장하여 심박이 이상할 때 이를 외부의 관련기관컴퓨터로 신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착용하고 후방을 감시하고 후방에 경고를 보내어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위급 시에는 위치정보와 함께 신고가 이루어지고 사고영상이 녹화되어 블랙박스로서 기능도 가능한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를 제공한다.
100: 몸체부
500: 제어부
550: 무선통신모듈
80: 카메라
90: 마이크
70: 모션센서
50: 충격센서
510: 위치수신모듈
581: 주저장부
582: 사고저장부
60: 연결단자
5: 긴급상황입력버튼
520: 조작부
40: 후방경고부

Claims (8)

  1. (a)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는 몸체부와;
    (b)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를 착용하였을 때 후방을 주시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c)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과;
    (d)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가 촬영을 시작하였을 때, 촬영이 이루어짐을 후방으로 경고하는 후방경고부와; 그리고,
    (e) 상기 몸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 무선통신모듈 그리고 후방경고부와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목에 걸치는 목걸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사용자는 상기 몸체부를 상기 사용자의 목에 걸어 착용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목걸침부에 상기 후방을 주시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된 위치를 수신하는 위치수신모듈과 긴급상황입력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상황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신호를 받으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관련기관의 서버컴퓨터에 신고를 하고 상기 위치수신모듈이 수신한 위치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된 위치를 수신하는 위치수신모듈과 충격감지센서를 더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감지센서로부터 감지받은 신호로 긴급상황이라고 판단이 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관련기관의 서버컴퓨터에 신고전화를 하고 상기 위치수신모듈이 수신한 위치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후방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를 더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감지센서로부터 후방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경고부는 점멸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외부의 단말기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KR1020150028988A 2015-03-02 2015-03-02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KR20160106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988A KR20160106298A (ko) 2015-03-02 2015-03-02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988A KR20160106298A (ko) 2015-03-02 2015-03-02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298A true KR20160106298A (ko) 2016-09-12

Family

ID=5695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988A KR20160106298A (ko) 2015-03-02 2015-03-02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62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547A (ko) * 2016-09-29 2018-04-06 임준영 웨어러블 기반의 개인용 자동 기록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220082501A (ko) * 2020-12-10 2022-06-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모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547A (ko) * 2016-09-29 2018-04-06 임준영 웨어러블 기반의 개인용 자동 기록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220082501A (ko) * 2020-12-10 2022-06-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8394B2 (ja) 着用式通信アセンブリおよび通信アセンブリ
ITTV20130130A1 (it) Indumento con un dispositivo di emergenza e metodo di emergenza associato
JP2010081480A (ja) 携帯型不審者検出装置、不審者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29175B1 (ko) 다기능 헬멧
KR101821496B1 (ko) 안전운전 보조 시스템 동작방법
US10088911B2 (en) Programmable electronic helmet
KR101481051B1 (ko)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4332037B (zh) 告警检测的方法及装置
JP2011240846A (ja) 監視システムの監視装置
US9715805B1 (en) 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US20160196736A1 (en) Personal Protection Device
CN109104689B (zh) 一种安全警示方法及终端
JP2010185155A (ja) 指標投射手段付きヘルメット
JP2023036872A (ja)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60106298A (ko)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KR101616469B1 (ko) 긴급구조용 휴대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구조 방법
US111643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rtual reality image
TWI668596B (zh) 監視系統及具有該監視系統的可穿戴裝置
KR101366349B1 (ko)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
KR101914685B1 (ko) 생체인증 형 실종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종방지 방법
WO2008113846A1 (en) Flash protection
KR101057149B1 (ko) 순찰용 안전모자 및 그러한 안전모자를 이용한 순찰자 관리장치
CA3019016C (en) Method and device for incident situation prediction
CN202472870U (zh) 新型气体报警仪
KR200480319Y1 (ko) 휴대용 영상 및 음성 기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