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349B1 -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 - Google Patents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349B1
KR101366349B1 KR1020120052809A KR20120052809A KR101366349B1 KR 101366349 B1 KR101366349 B1 KR 101366349B1 KR 1020120052809 A KR1020120052809 A KR 1020120052809A KR 20120052809 A KR20120052809 A KR 20120052809A KR 101366349 B1 KR101366349 B1 KR 101366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image data
user
photographing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786A (ko
Inventor
한찬명
박용완
석수영
나호진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2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34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하여 주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초소형 카메라가 구비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촬영 모듈(100), 촬영 모듈(100)을 통해 제공된 영상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촬영 모듈(100)로부터 인가된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전송하는 송수신 모듈(400),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모듈(500)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된 촬영 모듈(100)로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가 송수신 모듈(400)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주위의 상황을 더욱 명확하게 인지하면서 즉각적이고 신속한 경호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모듈(600)을 더 포함함으로써 촬영 모듈(100)에 의한 영상데이터뿐 아니라 스마트 기기에 의한 영상데이터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경호업무에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도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GPS 모듈(700) 및 거리 정보 분석 모듈(800)을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주위의 피사체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와 피사체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여 보다 효율적인 경호업무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모리(900)를 더 포함함으로써,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여 경호업무 수행 중 의심스러운 영상데이터를 다시 확인하거나 경호업무 수행 후 영상데이터를 자료수집이나 경호업무 평가 등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GUARD EQUIPMENT WITH VIDEO SYSTEM}
본 발명은 경호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에 관한 것이다.
경호원은 다른 사람의 신변의 안전을 돌보는 일을 업무로 하는 사람으로서, 일반적으로 연예인, 정치인, 국빈 또는 그 밖의 저명인사와 같은 특정 인물을 대상으로 경호업무를 수행하지만, 최근에는 어린이, 청소년 또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증가하고 있어 일반인들도 경호원을 고용하는 경우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호원은 경호 대상자와 함께 이동하면서 신변에 위협을 줄 수 있는 모든 요소를 확인하고 제거함으로써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경호 대상자의 신변을 보호하며, 이를 위해 경호원은 다양한 경호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돌발 상황 발생 시 상대방을 제압할 수 있는 호신용 장비뿐만 아니라 집단 경호업무를 수행할 때 경호원 간의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통신 장비 등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경호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경호원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통신 장비는, 일반적으로 경호업무의 특성상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핸즈프리 무전기를 사용하는데, 이는 단순한 음성통신의 수준에 머무르는 것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호용 통신 장비로는 사용자가 현재의 상황을 명확히 인지하면서 즉각적이고 신속한 경호업무를 수행하게 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통신기술의 발달로 음성통신뿐만 아니라 영상/텍스트 통신까지 가능해 짐에 따라, 이러한 영상 시스템을 경호업무에 활용한 경호 장비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연구 또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개발된 제품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된 촬영 모듈(100)로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가 송수신 모듈(400)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주위의 상황을 더욱 명확하게 인지하면서 즉각적이고 신속한 경호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모듈(600)을 더 포함함으로써 촬영 모듈(100)에 의한 영상데이터뿐 아니라 스마트 기기에 의한 영상데이터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경호업무에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도 가능한,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GPS 모듈(700) 및 거리 정보 분석 모듈(800)을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주위의 피사체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와 피사체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여 보다 효율적인 경호업무 수행이 가능한,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메모리(900)를 더 포함함으로써,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여 경호업무 수행 중 의심스러운 영상데이터를 다시 확인하거나 경호업무 수행 후 영상데이터를 자료수집이나 경호업무 평가 등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는,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하여 주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초소형 카메라가 구비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촬영 모듈(100);
상기 촬영 모듈(100)을 통해 제공된 영상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상기 촬영 모듈(100)로부터 인가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전송하는 송수신 모듈(400);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모듈(500)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스마트 기기로부터 무선으로 영상데이터를 인가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위성과의 통신을 실행하는 GPS 모듈(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사용자와 상기 촬영 모듈(100)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정보 분석 모듈(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 모듈(100)에 구비된 카메라는,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안경형 또는 안경부착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 모듈(100)이 적어도 두 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하나의 상기 촬영 모듈(100)로부터 제공된 영상데이터를 다른 촬영 모듈(1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로 전환하는 영상데이터 전환 모듈(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데이터 전환 모듈(210)에 의한 영상데이터 전환은,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실행하거나 상기 촬영 모듈(100)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된 촬영 모듈(100)로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가 송수신 모듈(400)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주위의 상황을 더욱 명확하게 인지하면서 즉각적이고 신속한 경호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모듈(600)을 더 포함함으로써 촬영 모듈(100)에 의한 영상데이터뿐 아니라 스마트 기기에 의한 영상데이터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경호업무에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도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GPS 모듈(700) 및 거리 정보 분석 모듈(800)을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주위의 피사체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와 피사체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여 보다 효율적인 경호업무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모리(900)를 더 포함함으로써,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여 경호업무 수행 중 의심스러운 영상데이터를 다시 확인하거나 경호업무 수행 후 영상데이터를 자료수집이나 경호업무 평가 등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10)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10)에서, 사용자에게 촬영 모듈(100)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10)에서,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한 촬영 모듈(100)에 의해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10)에서, 영상데이터 전환 모듈(210)에 의하여 영상데이터가 전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10)에서, 거리 정보 분석 모듈(800)에 의하여 획득된 거리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10)는 촬영 모듈(100), 디스플레이 모듈(200), 하우징(300), 송수신 모듈(400), 전원공급 모듈(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블루투스 모듈(600), GPS 모듈(700), 거리 정보 분석 모듈(800), 및 메모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10)는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된 촬영 모듈(100)로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가 송수신 모듈(400)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주위의 상황을 더욱 명확하게 인지하면서 즉각적이고 신속한 경호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600)을 더 포함함으로써 촬영 모듈(100)에 의한 영상데이터뿐 아니라 스마트 기기에 의한 영상데이터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경호업무에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도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GPS 모듈(700) 및 거리 정보 분석 모듈(800)을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주위의 피사체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와 피사체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여 보다 효율적인 경호업무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모리(900)를 더 포함함으로써,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여 경호업무 수행 중 의심스러운 영상데이터를 다시 확인하거나 경호업무 수행 후 영상데이터를 자료수집이나 경호업무 평가 등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이 간편한 일회용 개량 밴드(1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촬영 모듈(1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10)를 사용하는 사용자 주위에 배치된 피사체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10)에서, 사용자에게 촬영 모듈(100)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모듈(100)은 초소형 카메라를 구비하며, 이를 패치와 같은 부착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무게가 가볍고 크기도 작아서 경호업무를 수행하는데 어떠한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주위에 배치된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패치는 촬영 모듈(100)이 다른 사람의 육안으로 식별될 수 없도록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의 색상과 유사한 색상으로 교체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촬영 모듈(100)은 사용자가 주시하고자 하는 방향에 배치된 피사체에 대한 영상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주시하기 어려운 후방, 측방 등의 사각지대에 배치된 피사체에 대한 영상데이터도 얻을 수 있도록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 모듈(100)에 구비되는 카메라는 회전(Pan), 틸트(Tilt) 및 카메라 렌즈의 줌인(Zoom-In) 및 줌아웃(Zoom-Out) 기능을 가짐으로써 피사체의 추적이나 확대가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에 따라서는 피사체에 대한 보다 입체적인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야간에도 피사체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카메라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을 조사하여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조도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피사체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모듈(100)에 의해 획득된 영상데이터는 케이블을 통하여 유선으로 하우징(300)에 내장된 송수신 모듈(300)로 인가될 수 있으며, 이때 케이블도 다른 사람의 육안으로 식별될 수 없도록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의 색상과 유사한 색상으로 교체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촬영 모듈(100)로부터 획득되어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안경 프레임 중 오른쪽 또는 왼쪽 렌즈 부위에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촬영 모듈(100)로부터 획득되어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안경형 또는 안경부착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착용하고 있는 안경의 오른쪽 또는 왼쪽 렌즈 부위에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장착하며(‘안경부착형’),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오른쪽 또는 왼쪽 렌즈 부위에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장착한 안경(‘안경형’)을 구현하여 사용자가 구현된 안경을 착용함으로써 촬영 모듈(100)로부터 획득되어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촬영 모듈(1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뿐만 아니라 후술할 블루투스 모듈(600), GPS 모듈(700) 및 거리 정보 분석 모듈(80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접혀질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접혀지면서 렌즈 부위에서는 이탈되지만 여전히 안경 프레임에는 장착되어 있는바,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안경 프레임에서 제거하지 않아도 사용자의 시선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오른쪽 또는 왼쪽 렌즈를 모두 덮거나 반만 가릴 수 있는 다양한 크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하나의 영상데이터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 모듈(100)이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사용자의 의복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촬영 모듈(1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를 다른 촬영 모듈(1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로 전환하면서 사용자에게 해당 영상데이터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영상데이터 전환 모듈(21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10)에서, 영상데이터 전환 모듈(210)에 의하여 영상데이터가 전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촬영 모듈(100)이 제공하는 영상데이터 중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어느 하나의 영상데이터만을 출력하여 제공하고 있는 상태에서, 영상데이터 전환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에서 제공하는 영상데이터를 다른 영상데이터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전환은 수동 및/또는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별도의 입력수단을 통해 수동으로 영상데이터 전환 모듈(210)로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영상데이터가 전환되거나 영상데이터 전환 모듈(210)이 자동 전환 기능을 포함하여 영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자동 전환하거나 복수 개의 영상데이터 중 움직임이 포착된 영상데이터를 우선으로 자동 전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300)은 그 내부에 후술할 송수신 모듈(400), 전원공급 모듈(500), 블루투스 모듈(600), GPS 모듈(700), 거리 정보 분석 모듈(800), 및 메모리(900)가 배치됨으로써 이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송수신 모듈(400)은 촬영 모듈(100)로부터 인가된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송수신 모듈(400)은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촬영 모듈(10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를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송수신 모듈(400)은 촬영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후술할 메모리(900)로 송신하는 역할도 한다.
전원공급 모듈(500)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우징(300)에 내장되거나 하우징(300)과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 모듈(5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10)의 휴대성을 고려할 때 건전지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전원공급 모듈(5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다른 모듈들이 구동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600)은 스마트 기기로부터 무선으로 영상데이터를 인가받아 이를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전송하는 구성이다. 즉, 블루투스 모듈(600)은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스마트 기기의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모듈(200)로 전달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촬영 모듈(100)에 의한 영상데이터뿐만 아니라 스마트 기기에 의해 획득된 영상데이터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란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제품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휴대가 용이한 형태의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사체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 및 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블루투스 모듈(600)에 해당 영상데이터를 전송할 수만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의 역할을 얼마든지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마트 기기에는, 경호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경호지휘와 관련된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경호통제본부에서 전달된 요주의 인물의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700)은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GPS 모듈(700)은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GPS위성으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 속도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모듈(200)로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 또는 피사체의 현재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거리 정보 분석 모듈(800)은 사용자와 피사체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10)에서, 거리 정보 분석 모듈(800)에 의하여 획득된 거리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거리 정보 분석 모듈(800)은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촬영 모듈(100)에 의해 획득된 피사체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와 해당 피사체 간의 거리를 계산한 후 획득된 거리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통해서 피사체에 대한 영상뿐만 아니라 해당 피사체와의 거리도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900)는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촬영 모듈(100) 및 스마트 기기로부터 인가받은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메모리(90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는, 경호업무 수행 중 재생되어 의심스러운 영상데이터를 다시 확인하는데 이용되거나 경호업무 수행 후엔 자료수집이나 경호업무 평가 등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
100: 촬영 모듈 200: 디스플레이 모듈
210: 영상데이터 전환 모듈 300: 하우징
400: 송수신 모듈 500: 전원공급 모듈
600: 블루투스 모듈 700: GPS 모듈
800: 거리 정보 분석 모듈 900: 메모리

Claims (9)

  1.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하여 주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초소형 카메라가 구비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촬영 모듈(100);
    상기 촬영 모듈(100)을 통해 제공된 영상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상기 촬영 모듈(100)로부터 인가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전송하는 송수신 모듈(400);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모듈(500);
    상기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스마트 기기로부터 무선으로 영상데이터를 인가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600);
    상기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위성과의 통신을 실행하는 GPS 모듈(700);
    상기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사용자와 상기 촬영 모듈(100)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정보 분석 모듈(800); 및
    상기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900)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 모듈(100)에 구비된 카메라는,
    스테레오 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안경형 또는 안경부착형으로 구성하되, 상기 촬영 모듈(100)이 적어도 두 개인 경우, 하나의 상기 촬영 모듈(100)로부터 제공된 영상데이터를 다른 촬영 모듈(1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로 전환하는 영상데이터 전환 모듈(2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데이터 전환 모듈(210)에 의한 영상데이터 전환은,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실행하거나 상기 촬영 모듈(100)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20052809A 2012-05-18 2012-05-18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 KR101366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809A KR101366349B1 (ko) 2012-05-18 2012-05-18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809A KR101366349B1 (ko) 2012-05-18 2012-05-18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786A KR20130128786A (ko) 2013-11-27
KR101366349B1 true KR101366349B1 (ko) 2014-02-25

Family

ID=4985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809A KR101366349B1 (ko) 2012-05-18 2012-05-18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451A (ko) 2018-04-18 2019-10-28 고은옥 경호 거리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90121458A (ko) 2018-04-18 2019-10-28 고은옥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경호 거리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90121449A (ko) 2018-04-18 2019-10-28 고은옥 경호 거리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90121453A (ko) 2018-04-18 2019-10-28 고은옥 경호 거리 알림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416A (ja) * 2004-11-16 2006-06-29 Asahi Denshi Kenkyusho:Kk 小型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416A (ja) * 2004-11-16 2006-06-29 Asahi Denshi Kenkyusho:Kk 小型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786A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0324B2 (en) Tactical vision system
JP2010081480A (ja) 携帯型不審者検出装置、不審者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100097B2 (en) Glasses-type communications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10838205B2 (en) Head mounte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US11178344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KR101906551B1 (ko)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KR101366349B1 (ko) 영상 시스템이 구비된 경호 장비
CN103513421A (zh) 影像处理装置、影像处理方法及影像处理系统
CA300918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a scene
CN106488181B (zh) 显示控制装置、显示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US20140009606A1 (en) Head Mounted Rearview Camera System
KR101670033B1 (ko) 스마트 블랙박스 헬멧을 이용한 스마트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US20150332094A1 (en) Smart glasses with rear camera
US11915376B2 (en) Wearable assisted perception module for navigation and communication in hazardous environments
KR101844382B1 (ko) 웨어러블 통신 장치
CN108830964A (zh) 用于冶金厂房的多功能ar巡检设备
KR20170040057A (ko) 동, 서, 남, 북 전방위 블랙박스 안전모
KR102054175B1 (ko)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
CN216315844U (zh) 头盔式侦察显示装置
CN208141469U (zh) 用于冶金厂房的多功能ar巡检设备
KR20150104809A (ko) 양방향 통신형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웨어러블 장치
JP2020154569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CN107147871B (zh) 一种基于无线电的消防信息实时传输装置
BG2263U1 (bg) Каска за мотоциклетисти и хора, занимаващи се с екстремни видове дейности
KR102134419B1 (ko) 열화상 감지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