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940B1 -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940B1
KR101638940B1 KR1020150077724A KR20150077724A KR101638940B1 KR 101638940 B1 KR101638940 B1 KR 101638940B1 KR 1020150077724 A KR1020150077724 A KR 1020150077724A KR 20150077724 A KR20150077724 A KR 20150077724A KR 101638940 B1 KR101638940 B1 KR 101638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module
submodule
pin terminal
oper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에스 filed Critical (주)에스피에스
Priority to US14/938,10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286100A1/en
Priority to CN201620381541.8U priority patent/CN205792879U/zh
Priority to CN201610278105.2A priority patent/CN10623124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
    • H04N5/225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및 충전과 유무선 데이터통신, 저장장치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듈화하고 선택적으로 확장 결합이 용이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부와 패턴전극의 접촉으로 상기 카메라부를 동작시키는 제1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핀 단자부를 포함하는 메인모듈 및 상기 카메라부를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핀 단자부와 맞닿아 제1 동작신호 및 전원 신호를 발생시키는 패턴전극을 포함하는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COMPACT IMAGE INPUT DEVICE HAVING A DOUBLE BOND STRUCTURE}
본 발명은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및 충전과 유무선 데이터통신, 저장장치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듈화하고 선택적으로 확장 결합이 용이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주변 영상을 입력하는 영상입력장치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맞게 영상입력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자동차에서는 자동차의 이동경로 및 이동 중 발생하는 모든 영상을 촬영하는 블랙박스, 건물 및 도로에서는 주변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보안용 CCTV, 집에서는 애완견 및 아이의 안전을 위한 홈 카메라 또는 홈 CCTV등 다양한 분야에서 용도에 맞게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용도에 맞게 영상입력장치를 사용하면서 영상입력장치의 기능 및 크기가 다양해지고, 각 분야에 맞는 영상입력장치를 개별적으로 구입되어 사용하였다.
매일 실시간으로 부착되어 영상을 취득해야 하는 영상입력장치는 한곳에 고정되어 영상을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특정한 장소나 때에 따라 영상을 취득해야 하는 상황이 될 때, 부피가 큰 영상입력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예를 들어, 현대사회에서 건강, 환경오염, 및 교통비 절감 등의 이유로 자전거의 이용자들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자전거 이동 중에 일어나는 교통사고도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자전거 이용자의 교통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자동차에 비해 피해는 많지만 이를 입증할 수 있는 방법이 자동차에 부착된 블랙박스나 도로의 CCTV가 전부이며 사각지대의 경우 큰 피해를 입고도 증거자료를 구하기 쉽지 않아 억울한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항공, 선박에 이어 자동차 블랙박스가 일반적으로 진화한 현재 전차로 분류되는 자전거에도 블랙박스가 요구 되고 있다.
그러나, 자전거에는 차량과 같이 동력이 전달되는 것도 아니고, 일반적인 블랙박스를 장착하기도 용이하지 않다. 자전거에 비해 큰 블랙박스를 장착하기도 용이하지 않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자전거의 경우 고가의 블랙박스의 도난 위험도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자전거에 사용 유무에 따라 쉽게 탈부착 할 수 있으며, 자전거에 비해 부피가 작은 영상입력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처럼, 필요시에만 사용되거나, 매일 사용하지만 도난의 위험으로 보호하고자 할 때 탈부착이 용이하고, 크기가 소형화 되면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영상입력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2-127021호(공개일:2012.11.21., 명칭: 초소형 카메라 모듈)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74788호(등록일:2014.10.07., 명칭: 배터리팩을 구비한 자전거 시스템 일체형 블랙박스 거치장치) 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시 사용되는 영상입력장치로 활용하는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모듈의 기능 및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이고, 부가적인 기능을 할 수 있는 서브모듈로 메인모듈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고 서브모듈과 메인모듈의 결합 시에 메인모듈을 동작시키는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는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부와 패턴전극의 접촉으로 상기 카메라부를 동작시키는 제1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핀 단자부를 포함하는 메인모듈; 및 상기 카메라부를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핀 단자부와 맞닿아 제1 동작신호 및 전원 신호를 발생시키는 패턴전극을 포함하는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모듈은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 및 상기 카메라부가 취득한 영상정보를 제어하는 제1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 단자부는 충전단자, 데이터 통신단자, 및 신호단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모듈은 외부로부터 상기 카메라부를 동작시키는 제2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결합인식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모듈은 상기 결합인식수단과 결합하여 제2 동작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식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처리부는 핀 단자부와 패턴전극의 접촉에 의해 발생된 제1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결합인식수단 및 인식수단의 결합에 의해 발생된 제2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처리부는 제1 동작신호 및 제2 동작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취득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핀 단자부를 통해 전원이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핀 단자부와 패턴전극이 결합될 때 발생되는 제1 동작 신호 및 상기 결합인식수단과 인식수단이 결합될 때 발생되는 제2 동작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달받아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모듈 및 서브모듈은 자력을 발생하는 각각마그네트를 더 포함하되, 서로 대응되는 극성을 구비하고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인식수단 및 인식수단은 접촉신호단자, 마그네틱 센서, 근접 센서, 및 무선인식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턴전극은 제1 동작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핀 단자와 대응되는 도전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턴전극은 동심원 형태로 패터닝되거나, 상기 핀 단자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핀(PIN) 형태로 패터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모듈은 위치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는 위치 추적부, 상기 위치정보 및 메인모듈의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외부 통신 수단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하는 유·무선통신수단 및 상기 메인모듈에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한 제2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모듈은 상기 메인모듈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하여 장착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모듈은 장착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거치수단을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모듈은 외부의 보조장치와 연결하여 기능을 확장하도록 형성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모듈은 상기 패턴전극이 형성된 타면에 핀 단자부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모듈이 서브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서브모듈의 커넥터를 통해 보조 장치인 표시수단과 연결되면, 상기 메인모듈의 영상정보가 표시수단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은 스마트폰, 컴퓨터, 및 영상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하고 충전이 용이하여 어디에서 장착하여 필요 영상을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자전거와 같이 이동되는 이동수단에도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블랙박스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모듈에 기본적인 카메라 기능을 부여하고 확장 기능을 포함한 서브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카메라를 소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모듈에 홀이나 개구부가 구비되지 않고 패턴전극을 이용함으로써 방수 및 방진효과가 있어 야외에 사용하는 자전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의 메인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의 서브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의 패턴전극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모듈 및 서브모듈의 마그네트 배치 모습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젠더타입의 서브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가 보조장치인 표시수단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를 자전거에 거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타입의 거치수단을 구비한 서브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중 배터리 타입의 서브모듈이 보조장치인 전원공급수단과 메인모듈을 동시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및 이를 활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그 설명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는 도 1과 같이 메인모듈(100) 및 서브모듈(200)을 포함한다.
메인모듈(1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카메라부(110), 핀 단자부(120), 결합인식수단(130), 제1처리부(140), 마그네트(15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서브모듈(200)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패턴전극(210), 인식수단(220), 제2 처리부(230), 커넥터(250), 마그네트(240), 장착부(260), 거치수단(270), 및 핀 단자부(28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메인모듈(100)의 카메라부(110)는 외부의 비디오 영상을 취득한다. 카메라 부(110)의 동작은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부(110)는 사진 위주의 촬영이 아니고, 동영상 위주의 촬영이 이루어지므로 메인모듈(100)은 별도의 셔터를 따로 구비하지 않는다.
핀 단자부(120)는 카메라부(110)를 동작시키는 제1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며, 이는 서브모듈(200)의 패턴전극(210)과 결합 시 발생된다.
또한, 핀 단자부(120)는 충전단자, 데이터통신단자, 및 신호단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결합인식수단(130)은 서브모듈(200)의 인식수단(220)과 결합하여 카메라부(110)를 동작시키는 제2 동작신호를 발생시킨다. 결합인식수단(130)은 접촉신호단자, 마그네틱 센서, 근접센서, 및 무선인식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처리부(130)는 카메라부(110)의 전원 및 카메라부(110)가 취득한 영상정보를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부(131), 제어부(132) 및 충전부(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부(131)는 카메라부(110)가 취득한 영상정보를 저장하며, 충전부(133)는 핀 단자부(120)를 통해 카메라부(110)를 구동할 수 있는 전원이 충전되며, 제어부(132)는 핀 단자부(120)와 서브모듈(200)의 패턴전극(210)이 결합될 때 발생되는 제1 동작신호 및 결합인식수단(130)과 서브모듈(200)의 인식수단(220)이 결합될 때 발생되는 제2 동작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달받아 카메라부(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1 처리부(130)는 메인모듈(100)이 결합인식수단(130)을 구비하지 않고 핀 단자부(12)만을 구비한 경우, 제1 동작신호를 통해 카메라부(110)를 제어하고, 메인모듈(100)이 결합인식수단(130)을 구비한 경우, 제2 동작신호를 통해 카메라부(110)를 제어하거나, 제1 동작신호 및 제2 동작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카메라부(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처럼, 구성에 따라 수신되는 동작신호는 달라질 수 있으나, 제1 처리부(130)가 카메라부(110)를 제어함에 있어 메인모듈(100)에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핀 단자부(120)와 패턴전극(210)의 결합 및 결합인식수단(130)과 인식수단(220)의 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스위치를 대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없이, 메인모듈(100) 단독으로는 동작을 하지 않는다.
메인모듈(100)은 제1 처리부(130)에 의해 카메라부(110)가 동작되는 경우 카메라부(110)의 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150)는 핀 단자부(120)의 내측에 내장되어,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배치되어, 핀 단자부(120)가 서브모듈(200)의 패턴전극(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 및 가이드 역할을 한다. 서브모듈(200)의 마그네트(240) 설명시 다시 언급하도록 한다.
서브모듈(200)의 패턴전극(210)은 도 4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패턴전극(210)은 (a)와 같이 도전판 형태, (b)와 같이, 동심원 형태, 및 (c)와 같이 메인모듈(100)의 핀 단자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핀(Pin)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패터닝되어 형성하며, 메인모듈(100)의 핀 단자부(120)와 접촉하여 제1 동작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패턴전극(210)의 형태에 따라 메인모듈(100)의 카메라부(110)는 동작될 수 있으나, 메인모듈(100)의 일부 기능은 제한 될 수 있다.
인식수단(220)은 패턴전극(210)이 형성된 측과 동일 측에 구비함이 바람직하고, 메인모듈(100)과 접촉 시에 메인모듈(100)의 핀 단자부(120)가 형성된 면과 동일면에 형성된 결합인식수단(130)과 결합하여 제2 동작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인식수단(220)은 결합인식수단(130)과 대응되는 접촉신호단자, 마그네틱 센서, 근접센서, 및 무선인식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처리부(230)는 위치추적부(231), 메모리부(232), 유·무선통신수단(233), 및 충전부(234)를 포함한다.
위치추적부(231)는 서브모듈(200)의 위치 정보를 전달 받아, 즉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전달 받아 활용할 수 있다.
위치추적부(231)는 서브모듈(200)이 메인모듈(100)과 결합하였을 때 추적을 시작하고, 서브모듈(200)과 메인모듈(100)이 분리되면 추적을 멈출 수 있다.
메모리부(232)는 위치추적부(231)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 및 메인모듈(100)의 영상정보를 백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부(232)는 영상정보와 위치를 매칭하여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부(232)는 서브모듈(200)과 메인모듈(100)의 결합여부와 상관 없이 인위적으로 삭제 하지 않은 한 계속 저장하거나, 오래된 정보가 자동적으로 삭제되면서 새로운 정보를 저장할 수 도 있다.
유·무선통신수단(233)은 별도의 보조장치의 통신수단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즉, 유·무선통신수단(233)은 메모리부(232)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를 통해 영상정보를 백업할 수 있다.
충전부(234)는 메인모듈(100)에서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메인모듈(100)의 충전부(143)를 충전시킬 수 있다.
마그네트(240)는 메인모듈(100)에 구비된 마그네트(15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메인모듈(100)과 서브모듈(200)의 접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모듈(100) 및 서브모듈(200)의 마그네트(150,2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 내지 네 개의 마그네트(150,240)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성 및 단가적인 측면에서 4개 이하로 사용하여 형성하였으나, 그 이상 사용하여도 기능적으로 불편함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히, 도 5(a) 및 도 5(d) 같이 동일한 극을 갖는 마그네트(140, 240)를 구비하여 부착되는 메인모듈(100)과 서브모듈(200)에 서로 대응되는 마그네트(140, 240)를 구비하여 서로 접촉 시 방향성을 무시하면서 메인모듈(100)의 핀 단자부(120)와 서브모듈(200)의 패턴전극(210)과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d)에는 메인모듈(100)에 N극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이고, 서브모듈(200)과 서로 대응되는 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 및 도 5(c)와 같이, 두 개의 극성을 갖는 마그네트(150,2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도 5(a) 및 도 5(d) 와 같이 방향성을 무시하는 구성은 아니지만 일정한 각도 내에서는 자력에 의해 스스로 접착될 수 있으면서 접착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커넥터(250)는 메인모듈(100)과 외부의 보조 장치를 케이블(c)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서브모듈(200)의 기능이 확장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보조 장치는 통신수단, 위치정보수단, 저장수단, 전원공급수단(20), 및 표시수단(1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 중 표시수단(10)은 스마트폰, 컴퓨터, 및 영상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보조 장치는 본 발명을 확장하여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구성이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는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커넥터(250)와 보조 장치인 저장수단과 연결되는 경우, 메인모듈(100)의 카메라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외부의 저장수단에 저장할 수 있고, 커넥터(250)로 보조 장치인 전원공급수단(20)과 연결하는 경우, 메인모듈(100)의 충전부(143)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250)와 보조 장치인 표시수단(10)이 연결되는 경우, 메인모듈(100)의 메모리부(141) 또는 서브모듈(200)의 메모리부(232)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표시수단(1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는 도 6내지 도 8 설명 시 다시 언급하기로 한다.
커넥터(250)는 도 1과 같이 암 형태로 형성하거나, 도 6와 같이 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중 상황에 따라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가 보조 장치인 표시수단(10)과 결합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보조 장치인 표시수단(10)에 서브모듈(200)을 장착하여 메인모듈(100)로 촬영된 영상을 표시수단(1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서브모듈(200)은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으로 메인모듈(100)로 촬영된 영상을 표시수단(10)에 전달할 수 있다.
표시수단(10) 중 스마트폰과 결합하는 방법 중 하나는 도 7과 같이, 서브모듈(200)의 커넥터(250)를 스마트폰과 결합하고, 서브모듈(200)과 메인모듈(100)을 결합하여 메인모듈(100)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출력한다.
이때, 메인모듈(100)이 결합된 서브모듈(200)이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OTG 메모리 역할을 하여 메인모듈(100)의 메모리부(141) 또는 서브모듈(200)의 메모리부(232)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출력되게 된다.
다른 하나는 도 8과 같이, 패턴전극(210)이 형성된 스마트폰의 백커버 형식의 서브모듈(200)과 스마트폰(10)이 결합하여, 서브모듈(200)에 형성된 패턴전극(210)에 메인모듈(100)을 결합하여 영상정보를 스마트폰(10)으로 출력한다.
이때, 백커버 형태의 서브모듈(200)이 스마트폰의 단자와 접촉되어 있어 백커버에 형성된 패턴전극(210)과 맞닿는 메인모듈(100)의 핀 단자부(120)를 통해 메인모듈의 영상정보를 스마트폰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수단 중 TV와 결합하는 방법은 도 9와 같이, 케이블(C)을 이용하여 서브모듈(200)과 TV를 연결하고 서브모듈(200)과 메인모듈(100)을 결합하여 영상정보를 TV로 출력한다.
최근, 일반적인 TV는 USB 케이블 단자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통해 서브모듈(200)과 TV를 USB 케이블(C)로 연결하여 용이하게 통신하여 영상정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장착부(260)는 서브모듈(200)의 외주연으로 형성되어 메인모듈(100)이 끼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성으로, 장착부(260)는 메인모듈(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모듈(1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메인모듈(100)이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거치수단(270)은 서브모듈(200)이 장착하고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그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거치수단(270)은 서브모듈(200)을 이루는 하우징의 어느 일 측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거치수단(270)자체를 서브모듈(200)에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양측 끝단에 나사홀을 각각 구비한 U자 형상의 탄성부재로, 고정될 부위를 탄성부재 사이에 끼운 후, 고정 나사부를 각각의 나사홀을 통과시켜 너트부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과 같이 형성된 거치수단(270)은 도 10와 같이 자전거에 부착될 수 있으며, 자전거에 부착 시 서브모듈(200)과 자전거의 라이트(L)를 케이블(C)로 연결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서브모듈(200)과 자전거의 라이트(L)를 케이블(C)로 연결함으로써, 자전거의 발전량 또는 배터리로 서브모듈(200)을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전거를 도시하였으나, 자전거로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이동수단에 활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자전거는 실내로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외부에 두어야 하나, 외부 환경으로부터 영상입력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초소형 영상입력장치를 탈착하여 가지고 이동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자전거에 부착되는 블랙박스의 경우 자전거로부터 탈 부착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나, 본 발명의 초소형 영상입력장치는 서브모듈(200)은 그대로 거치하여두고 메인모듈(100)만을 서브모듈로부터 분리하여 소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서브모듈(200)은 홀이나 개구부를 구비하지 않고 패턴전극을 이용함으로써 방수 및 방진에 효과가 있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치수단(270)은 도 11과 같이 서브모듈(200)에 탈부착되어 원하는 위치에 클립타입으로 걸어 고정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거치수단(270)은 서브모듈(200)과 탈부착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사용처에 따라 거치수단(270)을 탈부착 할 수 있다.
서브모듈(200)의 핀 단자부(280)는 도 12와 같이 패턴전극(210)이 형성된 타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서브모듈(200)에 핀 단자부(280)을 더 형성함으로써, 메인모듈(100)의 카메라부(110)를 동작함과 동시에 타측으로는 보조 장치인 전원공급수단(20)과 연결하여 서브모듈(200) 또는 메인모듈(100)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모듈(200)에 핀 단자부(280)를 형성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전원공급수단(20) 역시 핀 단자부 또는 패턴전극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원공급수단(20)의 예시일 뿐 전원공급수단(20)이 핀 단자부 또는 패턴전극을 형성하지 않고, 케이블 단자를 갖는 경우 서브모듈(200)의 커넥터(250)를 통해서도 충전이 가능하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활용이 가능하며, 사용분야에 따라 그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하고 충전이 용이하여 어디서나 장착하여 필요한 영상을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자전거와 같이 이동되는 이동수단에 장착하여 블랙박스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모듈에 기본적인 카메라 기능을 부여하고 확장 기능을 서브모듈에 부여함으로써, 메인모듈을 소형화하는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브모듈에 홀이나 개구부가 구비되지 않고 패턴전극을 이용함으로써 방수 및 방진효과가 있어 야외에 사용하는 자전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메인모듈을 사용처에 따라 서브모듈을 달리하여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메인모듈 110 : 카메라부
120, 280 : 핀 단자부 140 : 제1 처리부
141, 231 : 메모리부 142 : 충전부
143 : 제어부 150, 240 : 마그네트
130 : 결합인식수단 200 : 서브모듈
210 : 패턴전극 220 : 인식수단
230 : 제2 처리부 232 : 위치추적부
233 : 유·무선 통신수단 234 : 충전부
250 : 커넥터 220 : 인식수단
260 : 장착부 270 : 거치수단
10 : 표시수단 20 : 전원공급수단

Claims (17)

  1. 메인모듈과 서브모듈로 이루어진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은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부와 패턴전극의 접촉으로 상기 카메라부를 동작시키는 제1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핀 단자부;
    상기 카메라의 전원 및 상기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정보를 제어하는 제1 처리부; 및
    외부로부터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제2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결합인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모듈은 상기 결합인식수단과 결합하여 제2 동작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식수단; 및
    상기 카메라부를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핀 단자부와 맞닿아 제1 동작신호 및 전원 신호를 발생시키는 패턴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모듈 및 서브모듈은 각각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서로 대응되는 극성을 배치하여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패턴전극은 동심원 형태로 패터닝되거나 상기 핀 단자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핀(PIN) 형태로 패터닝되며,
    상기 핀 단자부와 패턴전극, 및 상기 결합인식수단과 인식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결합을 통해 스위치를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모듈은 상기 패턴전극이 형성된 타면에 핀 단자부를 더 형성하고, 핀 단자부는 충전단자, 데이터 통신단자, 및 신호단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부는 핀 단자부와 패턴전극의 접촉에 의해 발생된 제1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결합인식수단 및 인식수단의 결합에 의해 발생된 제2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가 취득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핀 단자부를 통해 전원이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핀 단자부와 패턴전극이 결합될 때 발생되는 제1 동작 신호 및 상기 결합인식수단과 인식수단이 결합될 때 발생되는 제2 동작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달받아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인식수단 및 인식수단은 접촉신호단자, 마그네틱 센서, 근접 센서, 및 무선인식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전극은 제1 동작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핀 단자와 대응되는 도전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모듈은 위치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는 위치 추적부, 상기 위치정보 및 메인모듈의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외부 통신 수단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하는 유·무선통신수단 및 상기 메인모듈에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한 제2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모듈은 홀이나 개구부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메인모듈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하여 장착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모듈은 장착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거치수단을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모듈은 외부의 보조장치와 연결하여 기능을 확장하도록 형성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15. 삭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이 서브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서브모듈의 커넥터를 통해 보조장치인 표시수단과 연결되면, 상기 메인모듈의 영상정보가 표시수단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스마트폰, 컴퓨터, 및 영상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KR1020150077724A 2015-03-27 2015-06-02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KR101638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38,104 US20160286100A1 (en) 2015-03-27 2015-11-11 Subminiature image input device having double coupling structure
CN201620381541.8U CN205792879U (zh) 2015-06-02 2016-04-29 具有双重结合构造的微型影像输入装置
CN201610278105.2A CN106231241A (zh) 2015-03-27 2016-04-29 具有双重结合构造的微型影像输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43440 2015-03-27
KR1020150043440 2015-03-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940B1 true KR101638940B1 (ko) 2016-07-13

Family

ID=5650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724A KR101638940B1 (ko) 2015-03-27 2015-06-02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286100A1 (ko)
KR (1) KR101638940B1 (ko)
CN (1) CN1062312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086B1 (ko) * 2016-11-07 2017-10-19 (주) 한국안전위험관리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자전거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50032A1 (en) * 2015-11-24 2017-05-25 Ieon C. Chenn Camera having adaptive functionality based on connection with host device
US10567627B2 (en) * 2015-12-30 2020-02-18 Sony Corporation Point of view camera and imaging device
US20170310362A1 (en) * 2016-04-21 2017-10-26 Lior Ben David Data Backup and Charging Device for Communication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254Y1 (ko) * 2005-06-30 2005-09-2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 부착형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4438B1 (ko) * 2004-09-09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
KR20120005787U (ko) * 2011-02-08 2012-08-17 남동일 스마트폰 거치대의 차량 및 자전거 탈착을 위한 볼조인트식 볼트부를 구비한 u자 모양 집게식 보조장치
KR20150007584A (ko) * 2013-07-11 2015-01-21 (주)필스 밴드 터치센서를 갖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3675B2 (ja) * 1999-02-02 2002-03-04 三洋電機株式会社 共通コネクターを具えた電子機器
JP2002359761A (ja) * 2001-05-31 2002-12-13 Asahi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メラ用クレードル
US20030117499A1 (en) * 2001-12-21 2003-06-26 Bianchi Mark J. Docking station that enables wireless remote control of a digital image capture device docked therein
CN101238619A (zh) * 2005-02-28 2008-08-06 伊利诺斯大学理事会 半导体双极发光和激光装置及方法
WO2006134933A1 (ja) * 2005-06-15 2006-12-21 Nikon Corporation 電子カメラシステム、電子カメラ、クレードル、画像蓄積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192601B (zh) * 2006-11-30 2010-10-13 东芝照明技术株式会社 具有半导体发光元件的照明装置
KR101204510B1 (ko) * 2012-07-09 2012-11-26 (주)에스피에스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101469838B1 (ko) * 2013-03-05 2014-12-09 (주) 픽셀플러스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US9503625B2 (en) * 2013-04-09 2016-11-22 Rui Pedro Oliveira Attachable smartphone camera
US20140347440A1 (en) * 2013-05-23 2014-11-27 Sylvester Hatcher Omnidirectional Vehicle Camera System
JP5541429B1 (ja) * 2013-08-19 2014-07-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US20150205187A1 (en) * 2014-01-20 2015-07-23 Jorge Alberto Preciat Cervera Holder for Camera and Accessories Therefor
CN205792879U (zh) * 2015-06-02 2016-12-07 世派电子(苏州)有限公司 具有双重结合构造的微型影像输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438B1 (ko) * 2004-09-09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
KR200396254Y1 (ko) * 2005-06-30 2005-09-2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 부착형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20005787U (ko) * 2011-02-08 2012-08-17 남동일 스마트폰 거치대의 차량 및 자전거 탈착을 위한 볼조인트식 볼트부를 구비한 u자 모양 집게식 보조장치
KR20150007584A (ko) * 2013-07-11 2015-01-21 (주)필스 밴드 터치센서를 갖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086B1 (ko) * 2016-11-07 2017-10-19 (주) 한국안전위험관리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자전거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
WO2018084385A1 (ko) * 2016-11-07 2018-05-11 (주) 한국안전위험관리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자전거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31241A (zh) 2016-12-14
US20160286100A1 (en)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0583B2 (en) System for mobile device with detachable camera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638940B1 (ko)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JP5034466B2 (ja) デバイス機器、ホスト機器および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US10812645B2 (en) Handlebar systems and method
CN205080619U (zh) 一种行车记录仪
US20210197913A1 (en) Handlebar systems and method
US20210039737A1 (en) Handlebar Systems and Method
US20150346773A1 (en) Extendable auxiliary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a portable terminal-supporting function
TW201446564A (zh) 汽車、應用於汽車上之車載輔助系統及車載輔助裝置
US20190294029A1 (en) Camera system using interchangeable fixed lenses
CN103220499A (zh) 一种多功能的单警执法视音频记录仪
WO2020146038A1 (en) Handlebar systems and method
CN204576007U (zh) 一种智能穿戴眼镜
US20180338027A1 (en) Battery Case with Built-in Data Path
JP5866548B1 (ja) ウェアラブルカメラ
CN202733459U (zh) 一种多功能手电筒
KR101635107B1 (ko) 분리형 무선 카메라 시스템
KR20190079925A (ko) 차량번호 인식용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탑재한 차량
RU189642U1 (ru) Автоно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пло- и/или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KR101073236B1 (ko) 차량용 영상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되고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유리 부착형 카메라 장치 및 방법
CN205792879U (zh) 具有双重结合构造的微型影像输入装置
KR20130063662A (ko) 사용자 착용식 단말기를 이용한 텔레매틱스 시스템
CN215729919U (zh) 一种行车记录仪及行车记录系统
CN211042235U (zh) 便于携带的激光定位装置
KR102193568B1 (ko) 실시간 스마트 초인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