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510B1 -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510B1
KR101204510B1 KR1020120074679A KR20120074679A KR101204510B1 KR 101204510 B1 KR101204510 B1 KR 101204510B1 KR 1020120074679 A KR1020120074679 A KR 1020120074679A KR 20120074679 A KR20120074679 A KR 20120074679A KR 101204510 B1 KR101204510 B1 KR 101204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gnet
pin
pattern electrod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윤대영
김정교
정승주
김효남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에스 filed Critical (주)에스피에스
Priority to KR1020120074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510B1/ko
Priority to PCT/KR2012/008065 priority patent/WO2014010781A1/en
Priority to JP2014540931A priority patent/JP5845359B2/ja
Priority to US14/411,857 priority patent/US967364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510B1/ko
Priority to CN201210509431.1A priority patent/CN103545857B/zh
Priority to CN201610258369.1A priority patent/CN105932728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단말기의 충전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배면에 동심원 형상의 패턴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턴전극의 내측에 제1 마그네트가 내장되며, 상기 패턴전극의 주변에 상기 패턴전극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제2 마그네트가 내장된 단말기 케이스, 및 상기 패턴전극과 접촉되는 판스프링 형태의 핀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핀단자의 내측에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3 마그네트가 내장되며, 상기 단말기 케이스가 설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핀단자의 주변에 상기 핀단자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상기 제2 마그네트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4 마그네트가 내장되는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CHARGING DEVIC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단말기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충전기를 자기적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전기단자를 상호 매칭시킴에 따라 모바일단말기를 충전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룰러폰, 스마트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모바일단말기는 이동성이 좋고, 휴대가 간편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유선 충전기도 제조된 배터리의 형태나 규격에 맞추어 서로 다른 형태로 제조되고 있고,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모바일단말기의 기능 향상과 경량화를 추구하려는 경향으로 인하여 동일한 제조업체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단말기와 이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충전기가 제조되고 있다.
모바일단말기는 어댑터와 같은 전원공급기를 통해, 직류전원을 공급받거나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어댑터는 입력된 상용 교류전원을 설정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모바일단말기는 직류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 모바일단말기의 암커넥터에 어댑터의 수커넥터가 결합되어야 한다.
하지만, 수커넥터를 암커넥터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방식은 연결 과정에서 커넥터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기기에 설치된 암커넥터를 찾아서 수커넥터를 수직으로 삽입하거나 뽑아야 하는 등의 여러가지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마그네틱을 커넥터에 이용한 사례는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일본공개특허 제1988-274070호(공개일: 1988.11.11, 명칭: 커넥팅 장치)와 미국공개특허 제2010-0080563호(공개일: 2010.04.01, 명칭: MAGNETIC CONNECTOR WITH OPTICAL SIGNAL PATH) 및 미국공개특허 제2012-0021619호(공개일: 2012.01.26, 명칭: PROGRAMMABLE MAGNETIC CONNECTORS) 등에서 소개되었다.
이와 같이 마그네트를 이용한 충전 장치도 한국등록특허 제1116159호(등록일: 2012.02.07, 명칭: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에 소개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연결 장치도 제1 연결몸체가 제2 연결몸체에서 자유롭게 회전되지만, 제1 연결몸체를 원하는 각도로 고정할 수가 없으며, 제2 연결몸체에 다수의 패턴형성부가 형성되어 있어 사이즈가 커진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에 따라 새로운 충전기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충전기로는 기존의 충전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적 접촉없이 자기유도 방식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접점 충전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무접점 충전기는 그 설계가 복잡함과 아울러 제조 단가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충전 거치대를 자기적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전기단자를 상호 매칭시킴에 따라 모바일단말기를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그네트의 배치를 통하여 단말기를 충전 거치대에서 임의의 각도로 자유롭게 착탈 및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여 모바일단말기의 충전시에 편리성을 향상시킨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모바일단말기의 충전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배면에 동심원 형상의 패턴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턴전극의 내측에 제1 마그네트가 내장되며, 상기 패턴전극의 주변에 상기 패턴전극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제2 마그네트가 내장된 단말기 케이스; 및 상기 패턴전극과 접촉되는 판스프링 형태의 핀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핀단자의 내측에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3 마그네트가 내장되며, 상기 단말기 케이스가 설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핀단자의 주변에 상기 핀단자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상기 제2 마그네트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4 마그네트가 내장되는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제2 마그네트는 상기 패턴전극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상에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거치대의 제4 마그네트는 제2 마그네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케이스가 거치대 상에서 90°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적어도 4개 이상 구성되어 상기 서로 인접된 마그네트 간에 동일한 거리로 배치되고, 상기 제4 마그네트는 제2 마그네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외부의 입력 커넥터와 상기 핀단자부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핀단자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지연시키고, 상기 핀단자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감시하여 전원레벨이 일정레벨 이하일 경우 핀단자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지연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제1 마그네트와 제2 마그네트는 서로 다른 자극으로 배치되고, 상기 거치대의 제3 마그네트와 제4 마그네트는 서로 다른 자극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제1 마그네트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고, 상기 제4 마그네트는 상기 제3 마그네트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마그네트와 제4 마그네트는 동일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단자는 상기 패턴전극에 1:1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패턴전극의 중심전극에 대응되는 중심단자으로부터 좌/우측 번갈아가며 서로 다른 거리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충전 장치는, 모바일단말기의 충전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배면의 표면에 동심원 형상의 패턴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턴전극의 내측에 제1 마그네트가 내장된 단말기 케이스; 및 상기 패턴전극과 각기 접촉되는 판스프링 형태의 핀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핀단자의 내측에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3 마그네트가 내장된 충전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터미널의 일측에 직류전원을 공급받는 USB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충전 거치대를 자기적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전기단자를 상호 매칭시킴에 따라 모바일단말기의 충전시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바일단말기의 충전시에 기구적인 결합이 아니라 자기적인 결합을 이용함으로써, 커넥터의 결합을 위해 별도의 노력이 불필요하고, 잦은 착탈로 인한 커넥터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마그네트의 적절한 배치를 통하여 단말기를 거치대에서 임의의 각도로 자유롭게 착탈 및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여 모바일단말기의 충전시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고, 마그네트를 이용한 자기 결합에 의한 단순한 구조의 충전 방식을 통해 모바일단말기를 기존의 유선 충전기와 같이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자기유도 방식의 무접점 충전기와 같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 상에서 단말기 케이스의 회전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지연회로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및 제4 마그네트의 다른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를 나타낸 외관도로서, 충전장치는 단말기 케이스(100)와 거치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단말기 케이스(100)는 탄성이 있는 폴리머 기재(substrate)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부에 모바일단말기(10)의 충전단자(15)와 접속되는 커넥터(103)가 구비되며, 배면의 표면에 동심원 형상의 패턴전극부(110)가 형성되어 커넥터(1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패턴전극부(110)의 내측에 제1 마그네트(130)가 내장되며, 패턴전극부(110)의 주변에 패턴전극부(110)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제2 마그네트(150)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마그네트(130)는 패턴전극(111~114)으로 인해 패턴전극부(110)에 내장되어야 하나 제2 마그네트(150)는 케이스에 내장 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패턴전극부(110)는 원형 기판(117) 상에 전극이 동심원 형태로 패터닝되어 있으며, 패턴전극(111~114)은 전원단자(113(V+), 114(GND))와 데이터단자(111(D+), 112(D-))가 각각 동심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거치대(200)는 패턴전극부(110)에 대응되는 핀단자부(210)를 구비하는 데, 핀단자부(210)에는 패턴전극(111~114)과 각기 접촉되는 판스프링 형태의 핀단자(211(D+), 212(D-), 213(V+), 214(GND))가 형성되어 있다. 핀단자부(210)의 내측에는 제1 마그네트(130)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3 마그네트(230)가 내장되며, 핀단자부(210)의 주변에 핀단자부(210)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제2 마그네트(150)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4 마그네트(250)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3 마그네트(230)는 핀단자(211~214)로 인해 핀단자부(210)에 내장되어야 하나 제4 마그네트(250)는 거치대에 내장 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거치대(200)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어댑터가 연결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00)의 패턴전극부(110)의 주변에 내장되는 제2 마그네트(150)는 패턴전극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평축과 수직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거치대(200)의 제4 마그네트(250)는 제2 마그네트(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단말기 케이스(100)의 제1 마그네트(130)와 제2 마그네트(150)는 서로 다른 자극으로 배치될 수 있고, 거치대(200)의 제3 마그네트(230)와 제4 마그네트(250)도 서로 다른 자극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130)가 N극이면 제2 마그네트(150)는 S극일 수 있고, 제3 마그네트(230)가 S극이면 제4 마그네트(250)는 N극일 수 있다.
그리고, 거치대(200)의 핀단자부(210)는 내장된 판스프링의 일부(핀단자임)가 스폿 형태로 홀(218)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각 핀단자(211~214)는 동심원 형태의 패턴전극(111~114)에 1:1로 대응되도록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핀단자(211~214)는 패턴전극(111~114)에 1:1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패턴전극(111~114)의 중심전극(111)에 대응되는 중심단자(211)으로부터 좌/우측 번갈아가며 서로 다른 거리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접지단자(214; GND)의 경우에는 전원의 안전상 복수개의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단말기 케이스(100)가 거치대(200) 상에서 설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도 2와 같이 제2 마그네트(150)가 적어도 4개 이상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마그네트(151~154) 간의 거리(d1, d2, d3, d4)도 서로 동일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때, 각 마그네트(151~154)는 중심전극(111)으로부터의 거리도 동일하게 배치되어 한다. 물론, 거치대의 제4 마그네트(250)는 제2 마그네트(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단말기 케이스(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와 배면 커버(105)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01)의 내측과 배면 커버(105)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본체(101) 내측에는 제1 마그네트(130)가 지지부(140)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제1 마그네트(130) 주변에 제1 마그네트(130)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제2 마그네트(150)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면 커버(105)의 중심에 관통홀(107)이 형성되어 있고, 원형 기판(117)에 형성된 동심원 형태의 패턴전극부(110)는 관통홀(107)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며 소정의 스페이서(120)를 통해 지지부(140)에 결합된다. 지지부(140)는 본체(101) 내측에 접착제나 초음파 접착 등으로 접합되며, 지지부(140)에 스페이서(120)가 접합될 수 있다. 패턴전극부(110)의 도선(119)은 패턴전극부(110)의 하단면에서 납땜되어 전면의 커넥터(1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2 마그네트(150)의 경우 본체(101) 내측이 아니라 배면 커버(105) 측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제2 마그네트(150)는 제1 마그네트(130)보다 자기력을 약화시키기 위하여 작은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제2 마그네트(150)의 자기력이 제1 마그네트(130)보다 강할 경우에는 단말기 케이스(100)가 거치대(200)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다. 즉, 제1 마그네트(130)는 단말기케이스의 회전시 회전축이 되는 것이므로, 강한 자기력을 갖는 것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을 수 있다. 하지만, 제2 마그네트(150)의 경우에는 회전축이 아니라 회전되는 부분이므로 제1 마그네트(130)보다 약한 자기력을 갖는 것이 자유로운 회전에 있어 유리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거치대(200)의 제4 마그네트(250)도 제3 마그네트(230)보다 작은 사이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1)와 전면 커버(205)로 이루어져 있다. 전면 커버(205)와 본체(201)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본체(201)에는 소정의 고정부재(220)에 의해 제3 마그네트(230)가 고정 설치되며, 핀단자부(210)는 고정부재(220)에 결합되어 본체(201)에 고정 설치된다. 전면 커버(205)의 배면에는 제3 마그네트(230) 주변에 제3 마그네트(230)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제4 마그네트(250)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 커버(205)의 중심에 관통홀(207)이 형성되어 있고, 원판형의 핀단자부(210)는 전면 커버(205)의 관통홀(207)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된다. 핀단자(211~214)의 도선(219)은 각 단자의 일측에 납땜되어 본체(201)에 형성된 커넥터(20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203)에는 어댑터가 연결될 수 있다. 핀단자(211~214)는 패턴전극(111~114)과 마찬가지로 전원단자(213(V+), 214(GND))와 데이터단자(211(D+), 212(D-))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케이스(100)의 패턴전극부(110)와 거치대(200)의 핀단자부(210) 간의 정확한 매칭을 위하여 제1 마그네트(130)와 제3 마그네트(230) 및 제2 마그네트(150)와 제4 마그네트(250)의 정확한 배치가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1)에 형성된 커넥터(203)와 핀단자부(210) 사이에 전원지연회로부(270)가 설치되어 있는 데, 이는 패턴전극부(110)와 핀단자부(210)가 자기력에 의해 접촉되기 때문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전극이 정확하게 매칭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미스매칭되어 쇼트(short)가 발생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전기적으로 쇼트가 발생되면 전원공급원인 어댑터 등의 내부 회로가 손상될 수 있다.
즉, 전원지연회로부(270)는 핀단자부(2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지연시킴과 아울러 핀단자부(210)로 공급되는 전원을 감시하여 전원레벨이 일정레벨 이하일 경우 핀단자부(2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 전원지연회로부(270)는 제1 스위칭소자(Q1), 제2 스위칭소자(Q2), 전원프로텍터(U1) 및 연산증폭부(U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제1 스위칭소자(Q1)는 본체(201)에 형성된 입력 커넥터(203)와 핀단자부(210)의 전원단자(V+) 사이의 전원라인(PL1)에 전류통로가 연결되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스위칭소자(Q2)는 제1 스위칭소자(Q1)의 게이트와 접지전압(GND)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원프로텍터(U1)는 전원라인(PL1)의 전원레벨이 일정레벨 이상일 경우 제2 스위칭소자(Q2)와 제1 스위칭소자(Q1)를 순차적으로 턴온시켜 외부 전압에 따라 제1 스위칭소자(Q1)를 제어하게 된다.
연산증폭부(U2)는 제1 스위칭소자(Q1)의 양단 전압을 감지하고 양단 전압이 다를 경우 전원프로텍터(U1)를 통해 제1 스위칭소자(Q1)가 턴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원지연회로부(270)는 어댑터나 컴퓨터로부터 커넥터(203)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프로텍터(U1)의 VDD단자로 전원이 인가되고, Vout단자를 동작시켜 제2 스위칭소자(Q2)와 제1 스위칭소자(Q1)를 순차적으로 턴온시켜 핀단자부(210)의 전원단자(V+)로 공급된다. 이때 전원프로텍터(U1)의 VDD단자에 일정전압 이상이 인가되면 설정된 시간 이후에 Vout이 제1 스위칭소자(Q1)를 턴온시키게 된다.
이는, 단말기 케이스(100)의 패턴전극부(110)가 거치대(200)의 핀단자부(210)에 접촉될 때 전기적으로 단락(Short)되어 핀단자부(210)의 전원라인(PL1)의 전압 레벨이 일정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제6 저항(R6)을 거처 전원프로텍터(U1)의 VDD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또한 일정레벨 이하로 인식되며, 이에 따라 Vout단자를 통해 제1 스위칭소자(Q1)가 턴오프되어 핀단자부(210)의 전원단자(V+)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이는 단말기 케이스(100)와 거치대(200)가 결합될 때 오동작하여 전원에 과부하가 걸려 전원공급원에 부하를 주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을 보호하기 위한 회로로 동작한다. 따라서, 단말기 케이스(100)와 거치대(200)의 연결시 전기적인 단락으로 인한 어댑터의 내부 회로나 컴퓨터의 USB 회로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연산증폭부(U2)는 제1 스위칭소자(Q1)의 양단 전원의 레벨을 감지하여 OUT단자를 통해 전원프로텍터(U1)의 VDD단자의 레벨을 일정 이하로 강하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전원프로텍터(U1)의 Vout단자를 통해 제1 스위칭소자(Q1)를 턴오프시켜 어댑터나 컴퓨터의 USB포트를 보호하게 된다. 이는 핀단자부(210)의 전원단자(V+)로 전원이 인가되어 어댑터나 컴퓨터의 USB포트로 전원이 역방향으로 흘러 파손되는 것을 보호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마그네트(150)와 제4 마그네트(250)를 도 2와 다르게 배치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0)의 패턴전극부(110)의 주변에 형성된 제2 마그네트(150)는 패턴전극부(110)를 중심으로 수직축과 수평축 방향으로 설치된 것이 도 2와 다르다. 여기서, 제2 마그네트들(151~154)은 패턴전극부(110)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인접된 마그네트 간의 거리(d1, d2, d3, d4)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거치대(200)의 제4 마그네트들(251~254)도 제2 마그네트들(151~154)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패턴전극(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형성된 원주(ⓐ)상에 4개의 제2 마그네트(151~154)를 배치하되, 각 마그네트(151~154) 간의 거리(d1, d2, d3, d4)가 동일하게 배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 마그네트(150)를 배치할 경우 단말기 케이스(100)를 거치대(200) 상에서 90°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충전장치는 단말기 케이스(100) 및 충전 터미널(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8은 단말기 케이스(100)와 충전 터미널(300)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단말기 케이스(100)의 패턴전극부(110)에 충전 터미널(300)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단말기 케이스(100)는 배면에 동심원 형상의 패턴전극(111~114)이 형성되고, 상기 패턴전극부(110)의 내측에 제1 마그네트(130)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단말기 케이스는 도 4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제2 마그네트는 불필요하다.
충전 터미널(300)은 하우징(301) 내에 패턴전극(111~114)과 각기 접촉되는 판스프링 형태의 핀단자부(310)를 구비하며, 상기 핀단자부(310)의 내측에 상기 제1 마그네트(130)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3 마그네트(미 도시됨)가 내장되어 있다. 충전 터미널(300)의 일측에는 케이블(370)을 통해 직류전원을 공급받는 USB커넥터(39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충전 터미널(300)의 핀단자부(310)는 내장된 판스프링의 일부가 스폿 형태로 홀(318)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핀단자부(310)는 동심원 형태의 패턴전극부(110)에 1:1 대응되도록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핀단자(311~314)는 패턴전극(111~114)에 1:1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패턴전극(111~114)의 중심전극(111)에 대응되는 중심단자(311)으로부터 좌/우측 번갈아가며 서로 다른 거리상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터미널(300)의 내부 구조는 기본적으로 도 5의 핀단자부(2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충전 터미널(300)의 경우에는 케이블의 일단에 설치된 USB커넥터(390)를 컴퓨터의 USB단자에 꽂은 후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으로 모바일단말기를 충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충전 거치대를 자기적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전기단자를 상호 매칭시킴에 따라 모바일단말기의 충전시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모바일단말기의 충전시에 기구적인 결합이 아니라 자기적인 결합을 이용함으로써, 커넥터의 결합을 위해 별도의 노력이 불필요하고, 잦은 착탈로 인한 커넥터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의 적절한 배치를 통하여 단말기를 거치대에서 임의의 각도로 자유롭게 착탈 및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여 모바일단말기의 충전시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자기적인 결합을 통해 모바일단말기를 충전함으로써, 기존의 무접점 충전기와 같이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모바일단말기 15: 충전단자
100: 단말기 케이스 103: 커넥터
110: 패턴전극부 111~114: 패턴전극
130: 제1 마그네트 150: 제2 마그네트
200: 거치대 210: 핀단자부
211~214: 핀단자 230: 제3 마그네트
250: 제4 마그네트 270: 전원지연회로부
300: 충전 터미널

Claims (14)

  1. 모바일단말기의 충전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배면에 동심원 형상의 패턴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턴전극의 내측에 제1 마그네트가 내장되며, 상기 패턴전극의 주변에 상기 패턴전극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복수의 제2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단말기 케이스; 및
    상기 패턴전극과 접촉되는 판스프링 형태의 핀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핀단자의 내측에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3 마그네트가 내장되며, 상기 단말기 케이스가 설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핀단자의 주변에 상기 핀단자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상기 복수의 제2 마그네트와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제4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제4 마그네트는 상기 핀단자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상에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제2 마그네트는 제4 마그네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케이스가 거치대 상에서 90°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적어도 4개 이상 배치되며, 상기 제4 마그네트는 제2 마그네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외부의 입력 커넥터와 상기 핀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핀단자로 인가되는 전원을 지연시키고, 상기 핀단자로 공급되는 전원을 감시하여 전원레벨이 일정레벨 이하일 경우 상기 핀단자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지연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제1 마그네트와 제2 마그네트는 서로 다른 자극으로 배치되고, 상기 거치대의 제3 마그네트와 제4 마그네트는 서로 다른 자극으로 배치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제1 마그네트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고,
    상기 제4 마그네트는 상기 제3 마그네트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마그네트와 제4 마그네트는 동일 사이즈로 형성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단자는 상기 거치대에 내장된 판스프링의 일부가 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형태인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단자는 중심단자로부터의 거리가 각기 다르게 배치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단자는 상기 패턴전극에 1:1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패턴전극의 중심전극에 대응되는 중심단자로부터 좌/우측 번갈아가며 서로 다른 거리상에 배치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어댑터가 연결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11. 모바일단말기의 충전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배면에 동심원 형상의 패턴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턴전극의 내측에 제1 마그네트가 내장되는 단말기 케이스; 및
    상기 패턴전극과 각기 접촉되는 판스프링 형태의 핀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핀단자의 내측에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3 마그네트가 내장되는 충전 터미널;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충전 터미널의 일측에 직류전원을 공급받는 USB커넥터가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핀단자는 상기 충전 터미널에 내장된 판스프링의 일부가 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형태인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핀단자는 상기 패턴전극에 1:1로 대응되도록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패턴전극의 중심전극에 대응되는 중심단자로부터 좌/우측 번갈아가며 서로 다른 거리상에 배치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1020120074679A 2012-07-09 2012-07-09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101204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679A KR101204510B1 (ko) 2012-07-09 2012-07-09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PCT/KR2012/008065 WO2014010781A1 (en) 2012-07-09 2012-10-05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JP2014540931A JP5845359B2 (ja) 2012-07-09 2012-10-05 モバイルデバイスの充電装置
US14/411,857 US9673647B2 (en) 2012-07-09 2012-10-05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CN201210509431.1A CN103545857B (zh) 2012-07-09 2012-12-03 用于移动装置的充电设备
CN201610258369.1A CN105932728A (zh) 2012-07-09 2012-12-03 用于移动装置的充电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679A KR101204510B1 (ko) 2012-07-09 2012-07-09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510B1 true KR101204510B1 (ko) 2012-11-26

Family

ID=47565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679A KR101204510B1 (ko) 2012-07-09 2012-07-09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73647B2 (ko)
JP (1) JP5845359B2 (ko)
KR (1) KR101204510B1 (ko)
CN (2) CN105932728A (ko)
WO (1) WO2014010781A1 (ko)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0881A (ja) * 1984-09-28 1986-04-24 Toshiba Corp 半導体レ−ザ装置
KR101265730B1 (ko) 2013-02-20 2013-05-21 (주)에스피에스 전력공급차단회로를 구비한 마그네틱 커넥터 모듈
KR101343103B1 (ko) 2013-07-02 2013-12-20 (주)에스피에스 전력공급지연회로를 갖는 충전시스템
KR101344452B1 (ko) 2013-02-22 2013-12-26 덕일산업 주식회사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
KR101344451B1 (ko) 2013-02-22 2013-12-26 덕일산업 주식회사 휴대기기 충전장치
KR101391547B1 (ko) * 2013-08-29 2014-05-27 임영철 차량용 휴대폰 충전거치대
KR101404784B1 (ko) 2013-04-11 2014-06-12 (주)대한특수금속 자력식 인터페이스
KR200474737Y1 (ko) 2012-11-16 2014-10-10 (주)에스피에스 모바일 단말기용 충전 거치대
KR101459991B1 (ko) * 2014-07-25 2014-11-07 임영철 회전식 접점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크래들
WO2015009578A1 (en) * 2013-07-15 2015-01-22 Toshiba Global Commerce Solutions Holdings Corporation A display assembly having graduated magnetic fastening characteristics
WO2015075724A1 (en) * 2013-11-24 2015-05-28 HAMAMA, Yaniv Slim-form charger for a mobile phone
CN105322324A (zh) * 2015-05-29 2016-02-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称吸附式连接器及其连接方法
KR101602101B1 (ko) * 2015-03-23 2016-03-10 (주)대한특수금속 휴대용 충전장치 및 이를 가지는 패션용품
WO2016064025A1 (ko) * 2014-10-23 2016-04-28 임영철 회전식 접점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크래들 시스템
KR20160001886U (ko) 2014-11-25 2016-06-02 (주)에스피에스 박막형 마그네틱 커넥터 모듈
KR101627460B1 (ko) * 2015-04-02 2016-06-07 임영철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KR200482089Y1 (ko) * 2016-03-28 2016-12-14 윤재원 휴대단말기 충전거치대
KR20170037697A (ko) 2015-09-25 2017-04-05 주식회사 블랙야크 스마트 의류용 커넥터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의류 제어장치
WO2017057894A1 (ko) * 2015-09-30 2017-04-06 (주)에스피에스 충전 거치대 및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WO2018182246A1 (ko) * 2017-03-28 2018-10-04 (주)오상헬스케어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US10159159B2 (en) 2016-05-27 2018-12-18 Mobile Synergy 26 International Limited Multifunctional connection systems for various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2400959B1 (ko) * 2020-12-18 2022-05-25 장춘만 개인이동수단용 거치 및 충전 장치
KR20220076220A (ko) 2020-11-30 2022-06-08 (주) 블랙야크 아이앤씨 내구성 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발열의류
KR20230052467A (ko) * 2021-10-13 2023-04-20 김훈모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5304B2 (en) 2013-09-05 2018-11-20 Lg Innotek Co., Ltd. Supporter
KR101558051B1 (ko) * 2013-11-04 2015-10-06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JP6283253B2 (ja) * 2014-04-18 2018-02-21 株式会社アスタリスク 機能拡張装置、及び機能拡張装置の充電システム
US9531118B2 (en) 2014-07-10 2016-12-27 Norman R. Byrne Electrical power coupling with magnetic connections
WO2016031122A1 (ja) * 2014-08-26 2016-03-03 ソニー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ポータブルデバイス
CN104201510B (zh) * 2014-09-10 2016-04-06 南京物联传感技术有限公司 产品与支架的连接结构
KR101638940B1 (ko) * 2015-03-27 2016-07-13 (주)에스피에스 이중 결합구조를 갖는 초소형 영상입력장치
CN107736005B (zh) 2015-06-29 2021-04-13 通利台有限公司 便携式终端类用旋转端子装置及台灯
FR3041170B1 (fr) 2015-09-14 2018-12-07 Electricite De France Systeme et procede pour recharger des appareils electroniques nomades, et adaptateur pour un tel systeme
US10547141B2 (en) 2015-11-19 2020-01-28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Flat-port connectors
CN105514681A (zh) * 2016-01-18 2016-04-20 普联技术有限公司 磁吸式连接器及其移动电子设备
US10177507B2 (en) 2016-02-12 2019-01-08 Norman R. Byrne Electrical power load switch with connection sensor
CN105559776B (zh) * 2016-03-04 2018-08-17 武汉明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心电采集装置
US10027059B2 (en) 2016-05-02 2018-07-17 Norman R. Byrne Twist-lock electrical connector
CN106331930B (zh) * 2016-09-30 2023-06-20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耳机的充电盒和适配该充电盒的无线耳机
US10541557B2 (en) 2016-10-07 2020-01-21 Norman R. Byrne Electrical power cord with intelligent switching
KR101874204B1 (ko) * 2016-12-13 2018-07-0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드론 착륙 시스템
WO2018144766A1 (en) * 2017-02-03 2018-08-09 Sps Inc. Rack for electrically connecting mobile electronic device
CN109390994B (zh) * 2017-08-11 2023-08-11 手持产品公司 基于pogo连接器的软功率启动解决方案
CN109462268A (zh) * 2017-08-23 2019-03-12 中国探针股份有限公司 360度多向性磁吸式插座
TWI638257B (zh) * 2017-11-20 2018-10-11 李淯任 Transfer charging group
US20190372377A1 (en) * 2018-06-01 2019-12-05 Flag Acquisit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s
US10742048B2 (en) * 2018-08-02 2020-08-11 Fossil Group,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caseback having multiple, arc-shaped, ferrous, metal contacts
US11424561B2 (en) 2019-07-03 2022-08-23 Norman R. Byrne Outlet-level electrical energy management system
CN211018349U (zh) * 2019-12-25 2020-07-14 展讯通信(深圳)有限公司 充电器、待充电设备及充电系统
US20210295728A1 (en) * 2020-03-19 2021-09-23 Elnaz Sarrafzadeh Artificial Intelligent (AI) Apparatus and System to Educate Children in Remote and Homeschool Setting
DE102020134363B4 (de) 2020-12-21 2024-02-15 Bury Sp. Z. O. O. Ladeeinrichtung
USD951863S1 (en) * 2021-04-14 2022-05-17 Cyspo Technology (Shen Zhen) Co., Ltd. Wireless charger
USD974296S1 (en) * 2021-07-14 2023-01-03 Fumin Zhang Wireless charger
USD1024945S1 (en) * 2021-10-08 2024-04-30 Shenzhen Yifeng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Wireless charger
DE102021128858B3 (de) 2021-11-05 2023-02-02 Bury Sp.Z.O.O Induktives Ladegerät und Set aus induktivem Ladegerät und Kunststoffeinlegeteil
USD1000382S1 (en) * 2022-01-18 2023-10-03 Rfa Brands, Llc Wireless charging stand
USD1024949S1 (en) * 2022-01-21 2024-04-30 Dongguan Weizhichuang Technology Co., Ltd. Wireless charger
USD1022896S1 (en) * 2022-06-09 2024-04-16 Shenzhen Yifeng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Wireless charger
USD1019549S1 (en) * 2022-08-12 2024-03-26 Junjie Lin Wireless charger
USD995424S1 (en) * 2023-04-28 2023-08-15 Shenzhen Guanyuan Tianye Technology Co., Ltd. Wireless charg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552B1 (ko) 2005-06-30 201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용 충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4114B2 (ja) 1987-04-30 1996-03-29 ソニー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2001352597A (ja) * 2000-06-09 2001-12-21 Nec Saitama Ltd 背面端子を有する電気音響変換装置
EP1444764B1 (en) 2001-11-15 2007-01-10 Min Kyiu Sin Charger for mobile telephone
KR20050089360A (ko) 2004-03-04 2005-09-08 주식회사 아트랑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JP4639215B2 (ja) 2007-05-25 2011-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卓上式充電器
US7841776B2 (en) 2008-09-30 2010-11-30 Apple Inc. Magnetic connector with optical signal path
US8148946B2 (en) * 2008-10-10 2012-04-03 Mitsumi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having protection circuit for secondary battery
US20110192857A1 (en) 2008-12-18 2011-08-11 Wayne Philip Rothbaum Magnetically Attached Accessories (For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s Device
KR101047448B1 (ko) 2009-07-30 2011-07-07 (주)대성이엔티 스피커 기능이 구비된 멀티 충전거치장치
CN201584823U (zh) * 2009-09-25 2010-09-15 北京华旗资讯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供电装置
US8121618B2 (en) * 2009-10-28 2012-02-21 Digimarc Corporation Intuitive computing methods and systems
KR101116159B1 (ko) 2010-04-29 2012-03-06 아이볼타(주)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
US9590352B2 (en) 2010-07-21 2017-03-07 Apple Inc. Magnetically-implemented security devices
KR101246878B1 (ko) * 2011-02-11 2013-03-25 (주)에스피에스 마그네트를 이용한 충전 장치
KR20120129488A (ko) * 2011-05-20 2012-11-28 (주)에스피에스 마그네틱 커넥팅 장치
US8553408B2 (en) * 2011-09-06 2013-10-08 Dana Innovations Charging dock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552B1 (ko) 2005-06-30 201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용 충전 시스템

Cited B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0881A (ja) * 1984-09-28 1986-04-24 Toshiba Corp 半導体レ−ザ装置
KR200474737Y1 (ko) 2012-11-16 2014-10-10 (주)에스피에스 모바일 단말기용 충전 거치대
US9088097B2 (en) 2013-02-20 2015-07-21 Sps, Inc. Magnetic connector module having power supply blocking circuit
EP2770586A3 (en) * 2013-02-20 2014-10-15 Sps, Inc. Magnetic connector module having power supply blocking circuit
KR101265730B1 (ko) 2013-02-20 2013-05-21 (주)에스피에스 전력공급차단회로를 구비한 마그네틱 커넥터 모듈
JP2015111590A (ja) * 2013-02-20 2015-06-18 エスピーエ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力供給遮断回路を備えたマグネチックコネクタモジュール
JP2014160637A (ja) * 2013-02-20 2014-09-04 Sps Inc 電力供給遮断回路を備えたマグネチックコネクタモジュール
EP2770586A2 (en) 2013-02-20 2014-08-27 Sps, Inc. Magnetic connector module having power supply blocking circuit
KR101344451B1 (ko) 2013-02-22 2013-12-26 덕일산업 주식회사 휴대기기 충전장치
KR101344452B1 (ko) 2013-02-22 2013-12-26 덕일산업 주식회사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
KR101404784B1 (ko) 2013-04-11 2014-06-12 (주)대한특수금속 자력식 인터페이스
WO2014168337A1 (ko) * 2013-04-11 2014-10-16 (주)대한특수금속 자력식 인터페이스
KR101343103B1 (ko) 2013-07-02 2013-12-20 (주)에스피에스 전력공급지연회로를 갖는 충전시스템
CN104167622A (zh) * 2013-07-02 2014-11-26 世派电子株式会社 具有供电延时电路的充电系统
DE102014109278A1 (de) 2013-07-02 2015-01-08 Sps Inc. Ladesystem mit einer Schaltung zum Verzögern der Leistungszufuhr
US9537334B2 (en) 2013-07-02 2017-01-03 Sps Inc. Charging system having circuit for delaying power supply
WO2015009578A1 (en) * 2013-07-15 2015-01-22 Toshiba Global Commerce Solutions Holdings Corporation A display assembly having graduated magnetic fastening characteristics
KR101391547B1 (ko) * 2013-08-29 2014-05-27 임영철 차량용 휴대폰 충전거치대
US10468894B2 (en) 2013-11-24 2019-11-05 Soloqi Corp. Charger for a mobile device and magnetic sticker usable therewith
WO2015075724A1 (en) * 2013-11-24 2015-05-28 HAMAMA, Yaniv Slim-form charger for a mobile phone
KR101459991B1 (ko) * 2014-07-25 2014-11-07 임영철 회전식 접점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크래들
WO2016064025A1 (ko) * 2014-10-23 2016-04-28 임영철 회전식 접점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크래들 시스템
KR20160001886U (ko) 2014-11-25 2016-06-02 (주)에스피에스 박막형 마그네틱 커넥터 모듈
KR101602101B1 (ko) * 2015-03-23 2016-03-10 (주)대한특수금속 휴대용 충전장치 및 이를 가지는 패션용품
KR101627460B1 (ko) * 2015-04-02 2016-06-07 임영철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CN105322324A (zh) * 2015-05-29 2016-02-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称吸附式连接器及其连接方法
KR20170037697A (ko) 2015-09-25 2017-04-05 주식회사 블랙야크 스마트 의류용 커넥터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의류 제어장치
WO2017057894A1 (ko) * 2015-09-30 2017-04-06 (주)에스피에스 충전 거치대 및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20170038358A (ko) 2015-09-30 2017-04-07 (주)에스피에스 충전 거치대 및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101734399B1 (ko) * 2015-09-30 2017-05-12 (주)에스피에스 충전 거치대 및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200482089Y1 (ko) * 2016-03-28 2016-12-14 윤재원 휴대단말기 충전거치대
US10159159B2 (en) 2016-05-27 2018-12-18 Mobile Synergy 26 International Limited Multifunctional connection systems for various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8182246A1 (ko) * 2017-03-28 2018-10-04 (주)오상헬스케어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220076220A (ko) 2020-11-30 2022-06-08 (주) 블랙야크 아이앤씨 내구성 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발열의류
KR102400959B1 (ko) * 2020-12-18 2022-05-25 장춘만 개인이동수단용 거치 및 충전 장치
KR20230052467A (ko) * 2021-10-13 2023-04-20 김훈모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KR102650121B1 (ko) * 2021-10-13 2024-03-20 김훈모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71649A1 (en) 2015-06-18
CN103545857A (zh) 2014-01-29
JP2015502128A (ja) 2015-01-19
WO2014010781A1 (en) 2014-01-16
JP5845359B2 (ja) 2016-01-20
CN105932728A (zh) 2016-09-07
CN103545857B (zh) 2016-12-07
US9673647B2 (en) 2017-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510B1 (ko)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200467719Y1 (ko) 모바일 단말기의 백커버
US8248025B2 (en) Charging system capable of charging electronic device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KR101265730B1 (ko) 전력공급차단회로를 구비한 마그네틱 커넥터 모듈
US20110227527A1 (en) Wireless charging k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822855B1 (ko) 휴대용 충전 케이스 모듈
US8237401B2 (en) Recharg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CN108292849B (zh) 用于再充电漫游设备的系统和方法,以及用于这种系统的适配器
US9035602B2 (en) Wireless battery charger for mobile devices and method thereof
US20120113645A1 (en) Charging device and associated electrical appliances
KR200484059Y1 (ko) 휴대용기기용 결합팁을 이용하는 보호케이스
KR20120057039A (ko) 삽입 감지용 유에스비 커넥터
US20200313451A1 (en) Multi-purpose electrical charging structure
US8981713B2 (en) Charging apparatus using pad type electrode contact point
KR101251316B1 (ko) 충전용 전원장치
CN105762874A (zh) 一种多usb输出接口的充电器
JP3190493U (ja) 直流マグネチックコネクタ
KR20170027347A (ko) 스마트폰용 무선충전장치
CN203014115U (zh) 移动设备转接器
KR200474737Y1 (ko) 모바일 단말기용 충전 거치대
KR101620450B1 (ko) 유무선 충전 장치
CN203193347U (zh) 无线充电装置和移动终端
TWI636630B (zh) 360 degree multi-directional magnetic socket
CN220172894U (zh) 一种组合式充电装置
CN214255781U (zh) 一种便携式无线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