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467A -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467A
KR20230052467A KR1020210135567A KR20210135567A KR20230052467A KR 20230052467 A KR20230052467 A KR 20230052467A KR 1020210135567 A KR1020210135567 A KR 1020210135567A KR 20210135567 A KR20210135567 A KR 20210135567A KR 20230052467 A KR20230052467 A KR 20230052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magnet
smart devic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121B1 (ko
Inventor
김훈모
Original Assignee
김훈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모 filed Critical 김훈모
Priority to KR102021013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121B1/ko
Publication of KR20230052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5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2Magnetic drives, magne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VCC단자(이하 제1단자)와 GND단자(이하 제2 단자)와 D-단자(이하 제3 단자)와 D+단자(이하 제4단자)가 구비된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제1 유닛과, 이륜차의 차체에 탈착 가능한 거치용 본체와, 상기 거치용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3 단자와 상기 제4 단자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충방전 회로가 상기 거치용 본체에 접촉시 상기 스마트기기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는 VCC연결단자(이하 제1 연결단자)와 GND연결단자(이하 제2 연결단자)와 D-연결단자(이하 제3 연결단자)와 D+연결단자(이하 제4 연결단자)가 구비된 충전연결 회로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과 분리되어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내장된 배터리 전원과 연결가능하며, 상기 충전 회로측으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제3유닛과, 상기 제1유닛에 설치되는 제1자석과, 상기 제2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밀착형성되며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양단의 극성이 전환되는 제2자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1자석과의 밀착면의 극성이 상기 제1자석과 동일 극성으로 전환되어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유닛을 탈거시키는 탈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QUICK CHARGING HOLDER OF SMART DEVICE FOR TWO WHEELED VEHICLE USING MAGNET}
본 발명은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송업에 종사하는 이륜차 탑승자들이 사용하는 스마트기기의 거치대에 고속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부족 현상을 해결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더욱 안정적인 스마트기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한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기기를 이용해 장시간 업무를 수행하는 퀵서비스, 음식배달과 같은 운송업계는 통화와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배달대행앱 등의 사용에 필요한 스마트폰의 활용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배터리 용량의 한계가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954호의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등과 같은 기존의 거치대들은 단순히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의 거치용도로만 사용될 뿐 배터리 사용량이 많은 스마트기기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고려가 미흡하였다.
최근에는 스마트기기의 거치와 동시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시판되고 있는 거치대 제품도 있지만, 이러한 제품들 대부분은 고속충전이 불가능한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부가 외부에 존재하는 기존의 거치대들은 무더운 여름이나 추운 겨울에 충전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었다.
또한, 이륜차의 운행하며 스마트기기를 다뤄야 하는 상황에서 스마티기기의 결합력이 상당히 강한게 형성되는 바, 탈거시 어려움이 있다.
또한, 배달이나 여행 등과 같이 이륜차를 운행하다보면 스마트기기를 확인해야되는 경우가 많은데, 햇빛으로 인하여 스마트기기의 화면을 확인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 화면을 응시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이로 인해 사고의 위험도 함께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95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운송업에 종사하는 이륜차 탑승자들이 사용하는 스마트기기의 거치대에 고속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부족 현상을 해결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더욱 안정적인 스마트기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륜차에 장착을 위한 특성상 스마트기기의 고정 결합력이 상당히 높은 것에 대비하여, 탈거를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도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햇빛을 차광할 수 있는 수단을 더 구비하여 스마트기기의 화면을 확인하는데 용이하게 하는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VCC단자(이하 제1단자)와 GND단자(이하 제2 단자)와 D-단자(이하 제3 단자)와 D+단자(이하 제4단자)가 구비된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제1 유닛과, 이륜차의 차체에 탈착 가능한 거치용 본체와, 상기 거치용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3 단자와 상기 제4 단자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충방전 회로가 상기 거치용 본체에 접촉시 상기 스마트기기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는 VCC연결단자(이하 제1 연결단자)와 GND연결단자(이하 제2 연결단자)와 D-연결단자(이하 제3 연결단자)와 D+연결단자(이하 제4 연결단자)가 구비된 충전연결 회로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과 분리되어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내장된 배터리 전원과 연결가능하며, 상기 충전 회로측으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제3유닛과, 상기 제1유닛에 설치되는 제1자석과, 상기 제2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밀착형성되며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양단의 극성이 전환되는 제2자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1자석과의 밀착면의 극성이 상기 제1자석과 동일 극성으로 전환되어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유닛을 탈거시키는 탈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기기의 뒷면에 탈착 가능한 제1 기판을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충전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기기의 뒷면과 마주보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이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기기의 뒷면 및 상하좌우 측면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기기를 감싸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충전연결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용 본체에 결합되는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감싸며 상기 거치용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패널과, 상기 커버 패널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자기력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네오디움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네오디움 자석이 각각 안착 고정되도록, 상기 커버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결합 단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 단턱에 결합된 상기 네오디움 자석의 표면은 상기 커버 패널의 표면과 같은 면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고정 가능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구 형상으로 형성된 볼 조인트와, 상기 거치용 본체의 뒷면에 형성되어 상기 볼 조인트의 외면을 수용하며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상기 거치용 본체를 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충전연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USB 케이블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USB 포트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USB 포트 및 상기 배터리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자석은, 상기 제2유닛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전원버튼이 동시에 눌러짐에 따라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유닛의 후방에 상단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양측단과 상단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기기를 상부와 양측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차광시키는 차광편을 포함하는 차광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VCC단자(이하 제1 단자)와 GND단자(이하 제2 단자)와 D-단자(이하 제3단자)와 D+단자(이하 제4 단자)가 구비된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이륜차의 차체에 탈착 가능한 거치용 본체와, 거치용 본체에 형성되며 제1 단자와 제2 단자와 제3 단자와 제4 단자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충방전 회로가 거치용 본체에 접촉시 스마트기기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는 VCC연결단자(이하 제1 연결단자)와 GND연결단자(이하 제2 연결단자)와 D-연결단자(이하 제3 연결단자)와 D+연결단자(이하 제4 연결단자)가 구비된 충전연결 회로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제2 유닛과 분리되어 이륜차의 차체에 내장된 배터리 전원과 연결 가능하며, 충전 회로측으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운송업에 종사하는 이륜차 탑승자들의 스마트기기 배터리 부족 현상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회로가 형성되며 스마트기기의 뒷면에 탈착 가능한 제1 기판과, 제1 기판이 형성되며 스마트기기의 뒷면 및 상하좌우 측면을 포함하여 스마트기기를 감싸는 케이스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1 기판을 미사용시에는 케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일반적인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로도 활용할 수 있는 등 사용상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충전연결 회로가 형성되며 거치용 본체에 결합되는 제2 기판과, 제2 기판을 감싸며 거치용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패널과, 커버 패널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스마트기기를 자기력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네오디움 자석을 더 구비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스마트기기의 거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네오디움 자석이 각각 안착 고정되도록, 커버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결합 단턱을 더 포함하며, 결합 단턱에 결합된 네오디움 자석의 표면은 커버 패널의 표면과 같은 면 위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기기를 충전하기 위하여 거치할 때 지장없이 즉각적이며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이륜차의 차체에 고정 가능한 지지대와, 지지대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구 형상으로 형성된 볼 조인트와, 거치용 본체의 뒷면에 형성되어 볼 조인트의 외면을 수용하며 지지대에 대하여 거치용 본체를 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 커플러를 더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최적의 시각적 범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는 제2 유닛과 분리되어 이륜차의 차체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므로, 컨버터가 거치대 자체에 구비되어 혹서기나 혹한기 등 날씨의 영향으로 인하여 충전이 불가능해지거나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에 직면하는 기존의 거치대와 달리, 기후 조건에 제약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배터리 충전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특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는, 이륜차의 차체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내장되어 충전연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USB 케이블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USB 포트와, 하우징에 내장되어 USB 포트 및 배터리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 컨버터를 포함함으로써, 고속충전에 필요한 전압 사용에 지장을 주지않는 범위 내에서 원활한 전력 공급을 통한 고속 충전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자파 적합등록에서 오토바이를 포함한 이륜차의 고속충전거치대로 인증 완료를 받았음은 물론, 일반 차량에도 인증 완료를 받았으므로, 택배업을 포함한 차량용 운송업 종사자들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으므로, 범용성의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이륜차에 장착을 위한 특성상 스마트기기의 고정 결합력이 상당히 높은 것에 대비하여, 탈거를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햇빛을 차광할 수 있는 수단을 더 구비하여 스마트기기의 화면을 확인하는데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의 주요부인 제1 유닛중 일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의 주요부인 제2 유닛중 일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의 주요부인 제2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의 탈거수단의 장착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탈거수단이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중 일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중 일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의 탈거수단의 장착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탈거수단이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회로(110)를 포함하는 제1 유닛(100)과 충전연결 회로(210)를 포함하는 제2 유닛(200)과 전원부(310)를 포함하는 제3 유닛(300) 및 탈거수단(7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유닛(100)은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50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VCC단자(이하 제1 단자(101))와 GND단자(이하 제2 단자(102))와 D-단자(이하 제3 단자(103))와 D+단자(이하 제4 단자(104))가 구비된 충전 회로(110)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2 유닛(200)은 이륜차의 차체(600, 이하 도 4 참조)에 탈착 가능한 거치용 본체(220)와, 거치용 본체(220)에 형성되며 제1 단자(101)와 제2 단자(102)와 제3 단자(103)와 제4 단자(104)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유닛(200)은 충방전 회로가 거치용 본체(220)에 접촉시 스마트기기(500)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는 VCC연결단자(이하 제1 연결단자(201))와 GND연결단자(이하 제2 연결단자(202))와 D-연결단자(이하 제3 연결단자(203))와 D+연결단자(이하 제4 연결단자(204))가 구비된 충전연결 회로(210)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3 유닛(300)은 제2 유닛(200)과 분리되어 이륜차의 차체(600)에 내장된 배터리 전원(400)과 연결 가능하며, 충전 회로(110)측으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1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탈거수단(700)은 상기 제1유닛에 설치되는 제1자석(710)과, 상기 제2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710)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밀착형성되며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양단의 극성이 전환되는 제2자석(7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자석(7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1자석(710)과의 밀착면의 극성이 상기 제1자석(710)과 동일 극성으로 전환되어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유닛이 탈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자석(710)은 영구자석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2자석(720)은 전자석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2자석(7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1자석(710)과의 접착 단면이 동일 극성으로 전환되어 상호 간에 척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제1자석(710)과 제2자석(720)간의 척력은 이하에서 설명될 네오디움 자석을 통한 제1유닛과 제2유닛의 자착되는 힘보다 크게 발생되어 제1유닛이 제2유닛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유닛의 양측면에 전원버튼(260)이 형성되어 양측의 전원버튼(260)이 모두 눌러짐에 따라 상기 제2자석(720)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손에 파지된 상태로 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탈거를 진행하게 되므로 스마트기기가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우선, 스마트기기(500)의 고속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VCC, GND, D-(Date-), D+(Date+) 4가지 단자가 필요하며, 다시말해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500)를 인식하기 위한 D-(Date-), D+(Date+) 두 단자가 필수적인 것이다.
또한, 제1 유닛(100)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충전 회로(110)가 형성되며 스마트기기(500)의 뒷면에 탈착 가능한 제1 기판(111)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제1 기판(111)과 함께, 제1 기판(111)이 형성되며 스마트기기(500)의 뒷면 및 상하좌우 측면을 포함하여 스마트기기(500)를 감싸는 케이스(1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유닛(100)은, 케이스(120)의 뒷면에 함몰 형성되어 제기판(111)의 탈착 결합을 허용하는 기판 결합홈(121)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기판 결합홈(121)의 일단부 가장자리는 케이스(120)의 뒷면 가장자리와 공유하며, 제1 기판(111)은 기판 결합홈(121)을 따라 슬라이딩 탈착 결합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충전연결회로(210)가 형성되며 거치용 본체(220)에 결합되는 제2 기판(211)과, 제2 기판(211)을 감싸며 거치용 본체(220)에 결합되는 커버 패널(230)과, 커버 패널(23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스마트기기(500)를 자기력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네오디움 자석(2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유닛(100)에는, 제1 기판(111)의 제3 단자(103) 및 제4단자(104)에 각각 결합되어 네오디움 자석(240)과 자기력으로 부착되는 피자성체(1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2 유닛(200)은, 네오디움 자석(240)이 각각 안착 고정되도록, 커버 패널(230)의 양측 가장자리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결합 단턱(23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결합 단턱(231)에 결합된 네오디움 자석(240)의 표면은 커버 패널(230)의 표면과 같은 면 위에 배치되므로, 스마트기기(500)를 거치할 때 걸리거나 미끄러지는 등의 지장을 받지않고 원활하고 확실하게 안정적으로 거치용 본체(220)에 스마트기기(500)를 안착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네오디움 자석(240)이 제3 연결단자(203) 및 제4 연결단자(204)에만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개시됨과 동시에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거치대보다 스마트기기(500)를 더욱 더 확실하게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3, 4 연결단자(203, 204)는 물론, 제1,2 연결단자(201, 202)에도 네오디움 자석을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거치대보다 스마트기기(500)를 더욱 더 확실하게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피자성체(130) 대신에 전술한 네오디움 자석을 제3, 4 단자(103, 104)에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거치대보다 스마트기기(500)를 더욱 더 확실하게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피자성체(130) 대신에 전술한 네오디움 자석을 제3, 4 단자(103, 104)는 물론, 제1, 2 단자(101, 102)에도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회로기판(110, 210)들은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고속충전이 가능한 마이크로 B타입과 C타입 등 적용 가능한 다양한 회로기판들도 널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한편, 전원부(310)는 제2 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륜차의 차체(600)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전원부(310)가 제2 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륜차의 차체(600)내부에 수납됨으로써, 계절이나 기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배터리 충전용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전원부(310)는, 이륜차의 차체(600)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311)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전원부(310)는 하우징(311)에 내장되어 충전연결 회로(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USB 케이블(320)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USB 포트(312)와, 하우징(311)에 내장되어 USB 포트(312) 및 배터리 전원(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 컨버터(313)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승압 컨버터(313)는 QC2.0모듈은 물론, QC3.0, QC4.0+ 이상의 모듈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12V 전원을 사용하는 배터리 전원(400)에 대응하여 충전회로(110) 및 충전연결 회로(210)가 상호 연결되었을 때 9V까지 승압하여 D-(Date-),D+(Date+) 두 단자, 즉 제3, 4 단자(103, 104) 및 제3, 4 연결단자(203, 204)의 상호 연결에 따른 고속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전원부(310)는 차체(600) 내부에 USB 포트(312) 및 승압 컨버터(313)가 내장된 하우징(311)을 수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 USB케이블(320)을 USB 포트(312)로부터 분리하면, 자전거나 킥보드 등과 같이 전력공급이 없는 이륜차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4와 같이 이륜차의 차체(600)에 고정 가능한 지지대(250)를 더 구비하여 거치용 본체(220)의 원활한 사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2 유닛(200)은 지지대(250)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구 형상으로 형성된 볼 조인트(251)와, 거치용 본체(220)의 뒷면에 형성되어 볼 조인트(251)의 외면을 수용하며 지지대(250)에 대하여 거치용 본체(220)를 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 커플러(221)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에 의하면 충전속도는 스마트기기(500)의 종류나 배터리용량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기존의 거치대와 비교할 때 2배 가까운 충전속도의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유닛의 후방에 절첩 방식을 통한 신축가능한 차광부재(800)를 통하여 스마트기기의 차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광부재(800)는 메인몸체(810)와 상기 메인몸체(810)의 상부면, 측면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차광편(82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메인몸체(810)는 상기 제2유닛의 후방에 상단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유닛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회전되기 전에는 상기 제2유닛과 동일한 몸체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차광편(820)은 상기 메인몸체(810)의 양측단과 상단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기기를 상부와 양측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차광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차광편(820)은 상기 메인몸체(810)에 힌지결합되고 외측으로 회전되어 절첩이 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절첩되는 상부차광편(821)의 경우 절첩된 상태에서 최대로 펼쳐지기까지 최대 270°가 최대 회전가동 범위로 됨에 따라 상부차광편(821)이 스마트기기의 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부차광편(821)이 270°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단부에 간섭구(830)를 돌출 형성시켜 상부차광편(821)이 회전하는 도중 상기 간섭구(830)가 상기 제2유닛에 접촉을 통한 간섭이 발생하여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메인몸체(810)의 양측면에 절첩되는 측면차광편(822)의 경우 회전을 하며 상기 상부차광편(821)의 양측단에 간섭이 발생되어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고, 간섭지점에는 상부차광편(821)과 측면차광편(822)이 상호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840)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정구(840)는 측면차광편(822)의 상단에 고무자석을 부착시켜 상기 상부차광편(821)에 자착됨에 따라 고정을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50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VCC단자(이하 제1 단자(101))와 GND단자(이하 제2 단자(102))와 D-단자(이하 제3 단자(103))와 D+단자(이하 제4 단자(104))가 구비된 충전 회로(110)를 포함하는 제1 유닛(100); 이륜차의 차체에 탈착 가능한 거치용 본체(220)와, 거치용 본체(220)에 형성되며 제1 단자(101)와 제2 단자(102)와 제3 단자(103)와 제4단자(104)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충방전 회로가 거치용 본체(220)에 접촉시 스마트기기(500)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는 VCC연결단자(이하 제1 연결단자(201))와 GND연결단자(이하 제2 연결단자(202))와 D-연결단자(이하 제3 연결단자(203))와 D+연결단자(이하 제4 연결단자(204))가 구비된 충전연결 회로(210)를 포함하는 제2 유닛(200); 및 이륜차의 차체에 내장된 배터리 전원(400)과 연결 가능하며, 충전 회로(110)측으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10)를 포함하는 제3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운송업에 종사하는 이륜차 탑승자들의 스마트기기 배터리 부족 현상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회로(110)가 형성되며 스마트기기(500)의 뒷면에 탈착 가능한 제1 기판(111)과, 제1 기판(111)이 형성되며 스마트기기(500)의 뒷면 및 상하좌우 측면을 포함하여 스마트기기(500)를 감싸는 케이스(120)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1 기판(111)을 미사용시에는 케이스(120)로부터 분리하여 일반적인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로도 활용할 수 있는 등 사용상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충전연결 회로(210)가 형성되며 거치용 본체(220)에 결합되는 제2 기판(211)과, 제2 기판(211)을 감싸며 거치용 본체(220)에 결합되는 커버 패널(230)과, 커버 패널(23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스마트기기(500)를 자기력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네오디움 자석(240)을 더 구비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스마트기기(500)의 거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네오디움 자석(240)이 각각 안착 고정되도록, 커버 패널(230)의 양측 가장자리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결합 단턱(231)을 더 포함하며, 결합 단턱(231)에 결합된 네오디움 자석(240)의 표면은 커버 패널(230)의 표면과 같은 면 위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기기(500)를 충전하기 위하여 거치할 때 지장없이 즉각적이며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이륜차의 차체(600)에 고정 가능한 지지대(250)와, 지지대(250)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구 형상으로 형성된 볼 조인트(251)와, 거치용 본체(220)의 뒷면에 형성되어 볼 조인트(251)의 외면을 수용하며 지지대(250)에 대하여 거치용 본체(220)를 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 커플러(221)를 더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최적의 시각적 범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310)는 이륜차의 차체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므로, 혹서기나 혹한기 등 날씨의 영향으로 인하여 충전이 불가능해지거나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에 직면하는 기존의 거치대와 달리, 기후 조건에 제약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배터리 충전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되는 특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310)는, 이륜차의 차체(600)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311)과, 하우징(311)에 내장되어 충전연결 회로(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USB 케이블(320)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USB 포트(312)와, 하우징(311)에 내장되어 USB 포트(312) 및 배터리 전원(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 컨버터(313)를 포함함으로써, 고속충전에 필요한 전압 사용에 지장을 주지않는 범위 내에서 원활한 전력 공급을 통한 고속 충전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운송업에 종사하는 이륜차 탑승자들이 사용하는 스마트기기의 거치대에 고속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부족 현상을 해결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더욱 안정적인 스마트기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스마트기기(500)를 활용한 운송업 시장의 급속한 증대에 따라 음식배달을 포함한 배달대행업이나 퀵서비스 등의 업무에 종사하는 이륜차 탑승자들에게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됨은 물론, 택배업을 포함한 차량용 운송업에 종사하는 사용자의 일반 차량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1...제1 단자
102...제2 단자
103...제3 단자
104...제4 단자
110...충전 회로
111...제1 기판
120...케이스
121...기판 결합홈
130...피자성체
200...제2 유닛
201...제1 연결단자
202...제2 연결단자
203...제3 연결단자
204...제4 연결단자
210...충전연결 회로
211...제2 기판
220...거치용 본체
221...조인트 커플러
230...커버 패널
231...결합 단턱
240...네오디움 자석
250...지지대
251...볼 조인트
260...전원버튼
300...제3 유닛
310...전원부
311...하우징
312...USB 포트
313...승압 컨버터
320...USB 케이블
400...배터리 전원
500...스마트기기
600...차체
700...탈거수단
710...제1자석
720...제2자석
800...차광부재
810...메인몸체
820...차광편
821...상부차광편
822...측면차광편
830...간섭구
840...고정구

Claims (10)

  1.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VCC단자(이하 제1단자)와 GND단자(이하 제2 단자)와 D-단자(이하 제3 단자)와 D+단자(이하 제4단자)가 구비된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이륜차의 차체에 탈착 가능한 거치용 본체와, 상기 거치용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3 단자와 상기 제4 단자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충방전 회로가 상기 거치용 본체에 접촉시 상기 스마트기기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는 VCC연결단자(이하 제1 연결단자)와 GND연결단자(이하 제2 연결단자)와 D-연결단자(이하 제3 연결단자)와 D+연결단자(이하 제4 연결단자)가 구비된 충전연결 회로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과 분리되어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내장된 배터리 전원과 연결
    가능하며, 상기 충전 회로측으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제3유닛;
    상기 제1유닛에 설치되는 제1자석과, 상기 제2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석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밀착형성되며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양단의 극성이 전환되는 제2자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자석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1자석과의 밀착면의 극성이 상기 제1자석과 동일 극성으로 전환되어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유닛을 탈거시키는 탈거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기기의 뒷면에 탈착 가능한 제1 기판을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충전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기기의 뒷면과 마주보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이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기기의 뒷면 및 상하좌우 측면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기기를 감싸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충전연결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용 본체에 결합되는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감싸며 상기 거치용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패널과, 상기 커버 패널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자기력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네오디움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네오디움 자석이 각각 안착 고정되도록, 상기 커버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결합 단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 단턱에 결합된 상기 네오디움 자석의 표면은 상기 커버 패널의 표면과 같은 면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고정 가능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구 형상으로 형성된 볼 조인트와,
    상기 거치용 본체의 뒷면에 형성되어 상기 볼 조인트의 외면을 수용하며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상기 거치용 본체를 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충전연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USB 케이블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USB 포트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USB 포트 및 상기 배터리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석은,
    상기 제2유닛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전원버튼이 동시에 눌러짐에 따라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유닛의 후방에 상단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양측단과 상단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기기를 상부와 양측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차광시키는 차광편을 포함하는 차광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KR1020210135567A 2021-10-13 2021-10-13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KR102650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567A KR102650121B1 (ko) 2021-10-13 2021-10-13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567A KR102650121B1 (ko) 2021-10-13 2021-10-13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467A true KR20230052467A (ko) 2023-04-20
KR102650121B1 KR102650121B1 (ko) 2024-03-20

Family

ID=8614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567A KR102650121B1 (ko) 2021-10-13 2021-10-13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12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292A (ja) * 1999-12-15 2001-06-26 Shiroki Corp 自転車用施錠装置
KR20110056721A (ko) * 2009-11-23 2011-05-31 권혁숙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구비된 자전거의 핸들 거치형 보관장치
KR20120119591A (ko) * 2011-04-22 2012-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도어홀더
KR101204510B1 (ko) * 2012-07-09 2012-11-26 (주)에스피에스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20130002954U (ko) 2011-11-09 2013-05-20 (주)나라테크놀로지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KR101506540B1 (ko) * 2013-11-05 2015-03-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성체 커넥터
US9397719B1 (en) * 2015-06-17 2016-07-19 Airo Collective, Inc. Mobile device holder
KR200482089Y1 (ko) * 2016-03-28 2016-12-14 윤재원 휴대단말기 충전거치대
US20170116805A1 (en) * 2011-02-07 2017-04-27 Energybus E.V. Modular vehicle system, electric vehicle, and module for connection to an electric vehicle
CN213199962U (zh) * 2020-07-21 2021-05-14 佛山市胡杨科技有限公司 防雨手机支架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292A (ja) * 1999-12-15 2001-06-26 Shiroki Corp 自転車用施錠装置
KR20110056721A (ko) * 2009-11-23 2011-05-31 권혁숙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구비된 자전거의 핸들 거치형 보관장치
US20170116805A1 (en) * 2011-02-07 2017-04-27 Energybus E.V. Modular vehicle system, electric vehicle, and module for connection to an electric vehicle
KR20120119591A (ko) * 2011-04-22 2012-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도어홀더
KR20130002954U (ko) 2011-11-09 2013-05-20 (주)나라테크놀로지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KR101204510B1 (ko) * 2012-07-09 2012-11-26 (주)에스피에스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101506540B1 (ko) * 2013-11-05 2015-03-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성체 커넥터
US9397719B1 (en) * 2015-06-17 2016-07-19 Airo Collective, Inc. Mobile device holder
KR200482089Y1 (ko) * 2016-03-28 2016-12-14 윤재원 휴대단말기 충전거치대
CN213199962U (zh) * 2020-07-21 2021-05-14 佛山市胡杨科技有限公司 防雨手机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121B1 (ko)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1633B2 (en) Charging connector and charging apparatus
US20090237031A1 (en) Portable media player wireless charger
US20110227527A1 (en) Wireless charging k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20306431A1 (en) Protective cover with battery for electronic device
CN204956923U (zh) 一种智能移动终端的飞行衣及其智能飞行系统
CN106331930A (zh) 一种无线耳机的充电盒和适配该充电盒的无线耳机
US20110310539A1 (en) Video display and car using the same
KR102291192B1 (ko) 디지털 디바이스 거치대
US20090256520A1 (en) Portable Notebook Computer with Selectively Exposed Solar Charging Cells
KR102491701B1 (ko)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
KR20230052467A (ko)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CN204441911U (zh) 一种无线充电保护壳
CN201196983Y (zh) 多功能便携式数据连接应急装置
US2008006173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 solar energy charging function
CN204156565U (zh) 一种可与手机固定的便携充电装置
CN207152148U (zh) 一种无线充电手机保护套
CN207442966U (zh) 一种集无线充电接收功能及磁吸功能的手机保护壳
CN204425264U (zh) 可通过太阳能充电的手机保护壳型移动电源结构
CN206254751U (zh) 无线充电遮阳板
CN109889713A (zh) 一种摄像头组件及移动终端
CN212012223U (zh) 一种便携式支架充电宝
CN204425263U (zh) 一种可通过太阳能充电的手机保护壳型移动电源
TWM482894U (zh) 充電器結構
CN209571839U (zh) 一种可作为鼠标垫使用的可折叠的无线充电器
CN203933716U (zh) 多功能手机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