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954U -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954U
KR20130002954U KR2020110009941U KR20110009941U KR20130002954U KR 20130002954 U KR20130002954 U KR 20130002954U KR 2020110009941 U KR2020110009941 U KR 2020110009941U KR 20110009941 U KR20110009941 U KR 20110009941U KR 20130002954 U KR20130002954 U KR 201300029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ixing member
wheeled vehicl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원
김영규
Original Assignee
(주)나라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라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나라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110009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954U/ko
Publication of KR201300029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9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륜차 운행 중에도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륜차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가 삽입 고정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단에 폴더힌지를 통해 결합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을 보호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타단에 형성된 돌출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부케이스의 타단에 대응하는 상부케이스의 타단에 고정된 인장스프링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에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를 이륜차의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프레임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Mobile holders for a two-wheeled vehicle}
본 고안은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륜차 운행 중에도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륜차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단순히 통신기능만 수행하였지만,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통신기능에 더하여 MP3, DMB, 카메라, 캠코더, 녹음기, 내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늘어나면서 일상생활에 한시도 없어서는 안 될 휴대품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나아가 일상생활을 보다 풍요롭고 편리하게 바꿀 수 있는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언제 어디서나 이동통신단말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를 결착시켜 보관하는 다양한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가 안출되었다. 특히, 자동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가 개발되어 자동차 운행 중에도 블루투스 헤드폰을 이용해 전화를 받거나 DMB 시청을 할 수도 있고 자동차 운행에 필요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60316호에서 공개된 것처럼 차량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체결수단으로 매직테이프, 자석 또는 압착수단 등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이를 이륜차에 적용할 경우에 이륜차의 진동이 심하고 이동통신단말기가 거치대에서 이탈되면 외부 노면에 바로 충돌하게 되어 이동통신단말기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거치대에 강하게 결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가 안출되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04973호 “2륜차용 휴대폰 거치대”에서는 휴대폰 전면을 가로질러 압박하는 투명밴드를 일구성으로 하는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가 공개되었다. 이는 휴대폰의 체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휴대폰의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부를 관망하는 데는 적합하지만,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은 터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16386호 “자전거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부를 압박하는 측부압박구와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부를 거치하는 하부거치대를 일구성으로 하는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가 공개되었다. 이는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은 터치할 수 있지만, 상술한 2륜차용 휴대폰 거치대와 비교하여 압박강도가 적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가 거치대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크고, 탑승자의 신장, 이륜차의 형태, 사용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등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과 각도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는 이륜차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륜차의 운행진동이나 외부 충격에도 이동통신단말기의 체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고, 탑승자가 원하는 방향과 각도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자동차와 달리 외부로 노출되어 도난위험이 높은 이륜차의 특성을 고려하여 탈부착이 용이한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과제 해결 수단과 관련하여,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가 삽입 고정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단에 폴더힌지를 통해 결합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을 보호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타단에 형성된 돌출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부케이스의 타단에 대응하는 상부케이스의 타단에 고정된 인장스프링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에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를 이륜차의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프레임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부케이스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부케이스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 카메라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프레임고정부재는 이륜차의 핸들로 이어지는 좌우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 및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가 일면에 고정되고 반대쪽 면에 받침대가 결합되는 제2 결합홈이 구비된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는 일단이 폴더힌지로 연결되고 타단이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져 타단을 통해 이륜차의 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반원형 상·하 죔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받침대는 프레임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설치된 제1 힌지장치, 상기 제1 힌지장치를 통해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폴더 및 상기 폴더의 베이스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쪽 면에 설치되어 폴더와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를 연결하고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가 폴더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안내하는 제2 힌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이륜차의 운행진동이나 외부 충격에도 이동통신단말기의 체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터치스크린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프리스탑힌지를 사용하여 폴더기능과 회전기능을 구현하여 탑승자가 원하는 방향과 각도로 이동통신단말기의 각도를 조정하고 최적의 시야각을 확보함으로서 임의의 앵글로 카메라 촬영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탑승자의 신장, 이륜차의 형태 등 환경요인의 변화에 바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륜차 운행 중에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고, 특히 속도계, 칼로리 소모량 측량기 등 자전거용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활성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륜차에 탈부착이 용이하여 자전거를 운행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보관하거나 그 자체로 탁상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X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하부케이스의 외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상부케이스의 외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핀에서 분리된 상태의 인장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제1 힌지장치의 작동 전후를 차례로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제2 힌지장치의 작동 전후를 차례로 도시한 순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X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하부케이스의 외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상부케이스의 외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핀에서 분리된 상태의 인장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10)는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100), 받침대(200) 및 프레임고정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100)는 일단이 폴더힌지를 통해 상호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어 대응하는 하부케이스의 타단에 형성된 돌출홈에 탈부착 되는 인장스프링(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에 밀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과 그 후면에 인접한 측면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만곡 성형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고, 일단에는 상부케이스에 연결되는 폴더힌지가 결합하게 된다. 이동통신단말기가 접촉하는 하부케이스(110)의 내면에는 외부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달되는 운행진동이나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완충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케이스(110)의 외면 중앙에는 받침대(200)가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홈(112)이 형성되고, 하부케이스(110)의 외면 타단에는 상부케이스의 타단에 고정 설치된 인장스프링(130)이 탈부착 되는 돌출홈(114)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케이스(11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 카메라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케이스(120)는 하부케이스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에 밀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을 보호하고 그 전면에 인접한 측면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만곡 성형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고, 일단에는 하부케이스에 연결해주는 폴더힌지가 결합하게 된다. 이동통신단말기가 접촉하는 상부케이스(120)의 내면에는 외부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달되는 운행진동이나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완충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케이스(120)의 타단에는 인장스프링(130)이 핀(140)을 통해 결합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2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부케이스(120)는 전면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에서 전면 가장자리로부터 디스플레이부 쪽으로 일정 거리까지의 영역을 사방으로 지지하고 지지영역을 제외한 디스플레이부를 상부케이스(120)의 외부로 개방함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터치 조작을 위한 터치영역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이동통신단말기가 외부 충격에도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1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지지영역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고 약 5mm ~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스프링(130)은 인장력에 대해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부(132)와 스프링부의 양단에 형성된 고리부(134)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리부(134)는 핀(140)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 핀(140)은 상부케이스(120)의 타단에 형성된 고정홈(122)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 받침대(200)는 프레임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베이스(210),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설치된 제1 힌지장치(220), 상기 제1 힌지장치를 통해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폴더(230) 및 상기 폴더의 베이스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쪽 면에 설치되어 폴더와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를 연결하고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가 폴더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안내하는 제2 힌지장치(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힌지장치(220)는 폴더(230)가 베이스(210)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지게 하는 폴더힌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힌지장치(220)는 폴더(230)를 베이스(210)에 대해 원하는 각도로 세워서 정지시킬 수 있는 프리스탑힌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더힌지 또는 프리스탑힌지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 힌지장치(2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부케이스(110)의 외면 중앙에 형성된 제1 결합홈(112)에 결합되어 폴더(230)와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10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제2 힌지장치(240)는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100)가 폴더(230)에 대해 동일 평면에서 회전하게 하는 스윙힌지로 구성된다. 또한, 제2 힌지장치(240)는 제1 힌지장치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100)를 폴더(230)에 대해 원하는 각도로 회전하여 정지시킬 수 있는 프리스탑힌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윙힌지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10)는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100)와 받침대(200)만을 이륜차에서 분리하여 탁상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고정부재(300)는 이륜차의 프레임, 특히 핸들로 이어지는 파이프 형상의 좌우 프레임에 각각 고정될 수 있는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 및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가 일면에 고정되고 반대쪽 면에 받침대가 결합되는 제2 결합홈(332)이 구비된 브래킷(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클램프(310)는 이륜차의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밀착하여 상호간에 결합되는 상·하 죔쇠로 분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클램프(320)도 제1 클램프와 마찬가지로 상·하 죔쇠로 분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 죔쇠는 일단이 폴더힌지로 연결되고 타단이 분해 가능한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330)은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에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10)는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를 사용하지 않고 브래킷(330)을 이륜차의 프레임에 직접 고정하여 부품 개수를 줄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브래킷(330)은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 사이를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2 결합홈(332)이 형성된 부분으로 축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제1 힌지장치의 작동 전후를 차례로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제2 힌지장치의 작동 전후를 차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륜차 운행자는 이륜차를 운행하기에 앞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하부케이스(110)의 내면에 올려놓고 상부케이스(120)를 닫은 후에 상부케이스에 고정된 인장스프링(130)을 잡아당겨 하부케이스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홈(114)에 부착시킨다. 이 때, 인장스프링(130)은 운행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 사이가 벌어지거나 인장스프링(130)이 돌출홈(114)에서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높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륜차를 운행하는 중에 DMB를 시청하거나 내비게이션을 사용하는 등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100)를 잡고 움직이면 제1 힌지장치(220)의 폴더기능과 제2 힌지장치(240)의 스윙기능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원하는 방향과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힌지장치(320)와 제2 힌지장치(340)는 프리스탑힌지로 구성되었는바,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100)를 다시 움직이지 않는 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원하는 방향과 각도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이륜차 운행자는 상부케이스(120)의 개방된 곳을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할 수 있고,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 카메라가 하부케이스(110)의 개방된 곳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이륜차 운행 중에도 사진촬영이 가능하다.
이륜차 운행을 마친 후에는 프레임고정부재(300)의 제2 결합홈(332)에서 받침대(200)를 분리하거나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의 상·하 죔쇠의 나사결합을 풀어서 이륜차의 프레임에서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1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받침대(200)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그 자체로 탁상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로 활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100 :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
110 : 하부케이스
120 : 상부케이스
130 : 인장스프링
140 : 핀
200 : 받침대
210 : 베이스
220 : 제1 힌지장치
230 : 폴더
240 : 제2 힌지장치
300 : 프레임고정부재
310 : 제1 클램프
320 : 제2 클램프
330 : 브래킷

Claims (8)

  1. 이동통신단말기가 삽입 고정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단에 폴더힌지를 통해 결합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을 보호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타단에 형성된 돌출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부케이스의 타단에 대응하는 상부케이스의 타단에 고정된 인장스프링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에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를 이륜차의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프레임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 가장자리로부터 디스플레이부 쪽으로 5mm ~ 10mm까지의 영역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방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 카메라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고정부재는,
    상기 이륜차의 핸들로 이어지는 좌우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 및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가 일면에 고정되고 반대쪽 면에 받침대가 결합되는 제2 결합홈이 구비된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는 브래킷과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는 일단이 폴더힌지로 연결되고 타단이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져 타단을 통해 이륜차의 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반원형 상·하 죔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프레임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설치된 제1 힌지장치;
    상기 제1 힌지장치를 통해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폴더; 및
    상기 폴더의 베이스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쪽 면에 설치되어 폴더와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를 연결하고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가 폴더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안내하는 제2 힌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KR2020110009941U 2011-11-09 2011-11-09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KR201300029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941U KR20130002954U (ko) 2011-11-09 2011-11-09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941U KR20130002954U (ko) 2011-11-09 2011-11-09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954U true KR20130002954U (ko) 2013-05-20

Family

ID=5242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941U KR20130002954U (ko) 2011-11-09 2011-11-09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95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790B1 (ko) * 2013-12-31 2015-04-16 최순일 자전거용 스마트폰 충전 거치장치
KR101630170B1 (ko) * 2015-01-19 2016-06-14 김춘규 이륜차용 휴대형 충전장치
KR20220059263A (ko) 2020-11-02 2022-05-10 김훈모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
KR20230052467A (ko) 2021-10-13 2023-04-20 김훈모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790B1 (ko) * 2013-12-31 2015-04-16 최순일 자전거용 스마트폰 충전 거치장치
KR101630170B1 (ko) * 2015-01-19 2016-06-14 김춘규 이륜차용 휴대형 충전장치
KR20220059263A (ko) 2020-11-02 2022-05-10 김훈모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
KR20230052467A (ko) 2021-10-13 2023-04-20 김훈모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2016B1 (en) Electronic device mount
KR200437885Y1 (ko)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TWM448931U (zh) 用於手攜式電子設備之多功能束帶系統
KR20130002954U (ko)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CN104369696A (zh) 车载支架及车载支架音响
CN205320131U (zh) 一种车载手机支架
CN204187219U (zh) 行动装置支架的快拆组件
CN206820815U (zh) 一种便于携带的多功能手机架
KR20160000276U (ko)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
CN205292457U (zh) 方向盘手机支架
JP3181524U (ja) 立てられ、保持可能、コード巻取可能な携帯電話ケース
CN205836698U (zh) 简易磁吸出风口支架
JP3117574U (ja) 眼鏡ケース付き携帯ストラップ
KR20140002951U (ko) 거치대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CN206644748U (zh) 一种多角度调节的车载支架
CN205311507U (zh) 一种用于夹持手机的车载手机支架
CN205232288U (zh) 头戴式懒人手机支架
CN207790531U (zh) 一种多角度可横竖双向固定手机支架结构
CN216673067U (zh) 一种手机支架
CN207099135U (zh) 磁吸背夹式车载手机支架
JP3213759U (ja) 眼鏡ケース付携帯電話端末、眼鏡ケース付携帯電話端末用カバーおよび眼鏡ケース
CN208986997U (zh) 一种智能车载手机支架
CN201134799Y (zh) 手机座
KR20120066402A (ko) 스마트패드용 거치대
CN217435906U (zh) 多功能可翻盖车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