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701B1 -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701B1
KR102491701B1 KR1020200144630A KR20200144630A KR102491701B1 KR 102491701 B1 KR102491701 B1 KR 102491701B1 KR 1020200144630 A KR1020200144630 A KR 1020200144630A KR 20200144630 A KR20200144630 A KR 20200144630A KR 102491701 B1 KR102491701 B1 KR 102491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ing
hereinafter referred
smart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263A (ko
Inventor
김훈모
Original Assignee
김훈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모 filed Critical 김훈모
Priority to KR1020200144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7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2Magnetic drives, magne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VCC단자(이하 제1 단자)와 GND단자(이하 제2 단자)와 D-단자(이하 제3 단자)와 D+단자(이하 제4 단자)가 구비된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이륜차의 차체에 탈착 가능한 거치용 본체와, 상기 거치용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3 단자와 상기 제4 단자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충방전 회로가 상기 거치용 본체에 접촉시 상기 스마트기기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는 VCC연결단자(이하 제1 연결단자)와 GND연결단자(이하 제2 연결단자)와 D-연결단자(이하 제3 연결단자)와 D+연결단자(이하 제4 연결단자)가 구비된 충전연결 회로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과 분리되어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내장된 배터리 전원과 연결 가능하며, 상기 충전 회로측으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QUICK CHARGING HOLDER ASSEMBLY OF SMART DEVICE FOR TWO WHEELED VEHICLE USING MAGNET}
본 발명은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송업에 종사하는 이륜차 탑승자들이 사용하는 스마트기기의 거치대에 고속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부족 현상을 해결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더욱 안정적인 스마트기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기기를 이용해 장시간 업무를 수행하는 퀵서비스, 음식배달과 같은 운송업계는 통화와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배달대행앱 등의 사용에 필요한 스마트폰의 활용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배터리 용량의 한계가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954호의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등과 같은 기존의 거치대들은 단순히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의 거치 용도로만 사용될 뿐 배터리 사용량이 많은 스마트기기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고려가 미흡하였다.
최근에는 스마트기기의 거치와 동시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시판되고 있는 거치대 제품도 있지만, 이러한 제품들 대부분은 고속충전이 불가능한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부가 외부에 존재하는 기존의 거치대들은 무더운 여름이나 추운 겨울에 충전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95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운송업에 종사하는 이륜차 탑승자들이 사용하는 스마트기기의 거치대에 고속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부족 현상을 해결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더욱 안정적인 스마트기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VCC단자(이하 제1 단자)와 GND단자(이하 제2 단자)와 D-단자(이하 제3 단자)와 D+단자(이하 제4 단자)가 구비된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이륜차의 차체에 탈착 가능한 거치용 본체와, 상기 거치용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3 단자와 상기 제4 단자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충방전 회로가 상기 거치용 본체에 접촉시 상기 스마트기기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는 VCC연결단자(이하 제1 연결단자)와 GND연결단자(이하 제2 연결단자)와 D-연결단자(이하 제3 연결단자)와 D+연결단자(이하 제4 연결단자)가 구비된 충전연결 회로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과 분리되어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내장된 배터리 전원과 연결 가능하며, 상기 충전 회로측으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충전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기기의 뒷면에 탈착 가능한 제1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충전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기기의 뒷면과 마주보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이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기기의 뒷면 및 상하좌우 측면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기기를 감싸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충전연결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용 본체에 결합되는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감싸며 상기 거치용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패널과, 상기 커버 패널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자기력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네오디움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네오디움 자석이 각각 안착 고정되도록, 상기 커버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결합 단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 단턱에 결합된 상기 네오디움 자석의 표면은 상기 커버 패널의 표면과 같은 면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고정 가능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구 형상으로 형성된 볼 조인트와, 상기 거치용 본체의 뒷면에 형성되어 상기 볼 조인트의 외면을 수용하며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상기 거치용 본체를 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원부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충전연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USB 케이블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USB 포트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USB 포트 및 상기 배터리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VCC단자(이하 제1 단자)와 GND단자(이하 제2 단자)와 D-단자(이하 제3 단자)와 D+단자(이하 제4 단자)가 구비된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이륜차의 차체에 탈착 가능한 거치용 본체와, 거치용 본체에 형성되며 제1 단자와 제2 단자와 제3 단자와 제4 단자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충방전 회로가 거치용 본체에 접촉시 스마트기기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는 VCC연결단자(이하 제1 연결단자)와 GND연결단자(이하 제2 연결단자)와 D-연결단자(이하 제3 연결단자)와 D+연결단자(이하 제4 연결단자)가 구비된 충전연결 회로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제2 유닛과 분리되어 이륜차의 차체에 내장된 배터리 전원과 연결 가능하며, 충전 회로측으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운송업에 종사하는 이륜차 탑승자들의 스마트기기 배터리 부족 현상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회로가 형성되며 스마트기기의 뒷면에 탈착 가능한 제1 기판과, 제1 기판이 형성되며 스마트기기의 뒷면 및 상하좌우 측면을 포함하여 스마트기기를 감싸는 케이스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1 기판을 미사용시에는 케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일반적인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로도 활용할 수 있는 등 사용상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충전연결 회로가 형성되며 거치용 본체에 결합되는 제2 기판과, 제2 기판을 감싸며 거치용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패널과, 커버 패널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스마트기기를 자기력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네오디움 자석을 더 구비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스마트기기의 거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네오디움 자석이 각각 안착 고정되도록, 커버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결합 단턱을 더 포함하며, 결합 단턱에 결합된 네오디움 자석의 표면은 커버 패널의 표면과 같은 면 위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기기를 충전하기 위하여 거치할 때 지장없이 즉각적이며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이륜차의 차체에 고정 가능한 지지대와, 지지대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구 형상으로 형성된 볼 조인트와, 거치용 본체의 뒷면에 형성되어 볼 조인트의 외면을 수용하며 지지대에 대하여 거치용 본체를 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 커플러를 더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최적의 시각적 범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는 제2 유닛과 분리되어 이륜차의 차체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므로, 컨버터가 거치대 자체에 구비되어 혹서기나 혹한기 등 날씨의 영향으로 인하여 충전이 불가능해지거나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에 직면하는 기존의 거치대와 달리, 기후 조건에 제약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배터리 충전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특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는, 이륜차의 차체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내장되어 충전연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USB 케이블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USB 포트와, 하우징에 내장되어 USB 포트 및 배터리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 컨버터를 포함함으로써, 고속충전에 필요한 전압 사용에 지장을 주지않는 범위 내에서 원활한 전력 공급을 통한 고속 충전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자파 적합등록에서 오토바이를 포함한 이륜차의 고속충전거치대로 인증 완료를 받았음은 물론, 일반 차량에도 인증 완료를 받았으므로, 택배업을 포함한 차량용 운송업 종사자들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으므로, 범용성의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유닛중 일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중 일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중 일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중 일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회로(110)를 포함하는 제1 유닛(100)과 충전연결 회로(210)를 포함하는 제2 유닛(200)과 전원부(310)를 포함하는 제3 유닛(3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유닛(100)은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50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VCC단자(이하 제1 단자(101))와 GND단자(이하 제2 단자(102))와 D-단자(이하 제3 단자(103))와 D+단자(이하 제4 단자(104))가 구비된 충전 회로(110)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2 유닛(200)은 이륜차의 차체(600, 이하 도 4 참조)에 탈착 가능한 거치용 본체(220)와, 거치용 본체(220)에 형성되며 제1 단자(101)와 제2 단자(102)와 제3 단자(103)와 제4 단자(104)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유닛(200)은 충방전 회로가 거치용 본체(220)에 접촉시 스마트기기(500)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는 VCC연결단자(이하 제1 연결단자(201))와 GND연결단자(이하 제2 연결단자(202))와 D-연결단자(이하 제3 연결단자(203))와 D+연결단자(이하 제4 연결단자(204))가 구비된 충전연결 회로(210)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3 유닛(300)은 제2 유닛(200)과 분리되어 이륜차의 차체(600)에 내장된 배터리 전원(400)과 연결 가능하며, 충전 회로(110)측으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10)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우선, 스마트기기(500)의 고속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VCC, GND, D-(Date-), D+(Date+) 4가지 단자가 필요하며, 다시말해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500)를 인식하기 위한 D-(Date-), D+(Date+) 두 단자가 필수적인 것이다.
또한, 제1 유닛(100)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충전 회로(110)가 형성되며 스마트기기(500)의 뒷면에 탈착 가능한 제1 기판(111)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제1 기판(111)과 함께, 제1 기판(111)이 형성되며 스마트기기(500)의 뒷면 및 상하좌우 측면을 포함하여 스마트기기(500)를 감싸는 케이스(1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유닛(100)은, 케이스(120)의 뒷면에 함몰 형성되어 제1 기판(111)의 탈착 결합을 허용하는 기판 결합홈(121)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기판 결합홈(121)의 일단부 가장자리는 케이스(120)의 뒷면 가장자리와 공유하며, 제1 기판(111)은 기판 결합홈(121)을 따라 슬라이딩 탈착 결합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충전연결 회로(210)가 형성되며 거치용 본체(220)에 결합되는 제2 기판(211)과, 제2 기판(211)을 감싸며 거치용 본체(220)에 결합되는 커버 패널(230)과, 커버 패널(23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스마트기기(500)를 자기력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네오디움 자석(2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유닛(100)에는, 제1 기판(111)의 제3 단자(103) 및 제4 단자(104)에 각각 결합되어 네오디움 자석(240)과 자기력으로 부착되는 피자성체(1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2 유닛(200)은, 네오디움 자석(240)이 각각 안착 고정되도록, 커버 패널(230)의 양측 가장자리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결합 단턱(23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결합 단턱(231)에 결합된 네오디움 자석(240)의 표면은 커버 패널(230)의 표면과 같은 면 위에 배치되므로, 스마트기기(500)를 거치할 때 걸리거나 미끄러지는 등의 지장을 받지않고 원활하고 확실하게 안정적으로 거치용 본체(220)에 스마트기기(500)를 안착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네오디움 자석(240)이 제3 연결단자(203) 및 제4 연결단자(204)에만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개시됨과 동시에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거치대보다 스마트기기(500)를 더욱 더 확실하게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3, 4 연결단자(203, 204)는 물론, 제1, 2 연결단자(201, 202)에도 네오디움 자석을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거치대보다 스마트기기(500)를 더욱 더 확실하게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피자성체(130) 대신에 전술한 네오디움 자석을 제3, 4 단자(103, 104)에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거치대보다 스마트기기(500)를 더욱 더 확실하게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피자성체(130) 대신에 전술한 네오디움 자석을 제3, 4 단자(103, 104)는 물론, 제1, 2 단자(101, 102)에도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회로기판(110, 210)들은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고속충전이 가능한 마이크로 B타입과 C타입 등 적용 가능한 다양한 회로기판들도 널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한편, 전원부(310)는 제2 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륜차의 차체(600)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전원부(310)가 제2 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륜차의 차체(600) 내부에 수납됨으로써, 계절이나 기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배터리 충전용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전원부(310)는, 이륜차의 차체(600)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311)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전원부(310)는 하우징(311)에 내장되어 충전연결 회로(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USB 케이블(320)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USB 포트(312)와, 하우징(311)에 내장되어 USB 포트(312) 및 배터리 전원(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 컨버터(313)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승압 컨버터(313)는 QC2.0모듈은 물론, QC3.0, QC4.0+ 이상의 모듈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12V 전원을 사용하는 배터리 전원(400)에 대응하여 충전회로(110) 및 충전연결 회로(210)가 상호 연결되었을 때 9V까지 승압하여 D-(Date-), D+(Date+) 두 단자, 즉 제3, 4 단자(103, 104) 및 제3, 4 연결단자(203, 204)의 상호 연결에 따른 고속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전원부(310)는 차체(600) 내부에 USB 포트(312) 및 승압 컨버터(313)가 내장된 하우징(311)을 수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 USB 케이블(320)을 USB 포트(312)로부터 분리하면, 자전거나 킥보드 등과 같이 전력공급이 없는 이륜차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4와 같이 이륜차의 차체(600)에 고정 가능한 지지대(250)를 더 구비하여 거치용 본체(220)의 원활한 사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2 유닛(200)은 지지대(250)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구 형상으로 형성된 볼 조인트(251)와, 거치용 본체(220)의 뒷면에 형성되어 볼 조인트(251)의 외면을 수용하며 지지대(250)에 대하여 거치용 본체(220)를 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 커플러(221)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에 의하면 충전속도는 스마트기기(500)의 종류나 배터리용량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기존의 거치대와 비교할 때 2배 가까운 충전속도의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50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VCC단자(이하 제1 단자(101))와 GND단자(이하 제2 단자(102))와 D-단자(이하 제3 단자(103))와 D+단자(이하 제4 단자(104))가 구비된 충전 회로(110)를 포함하는 제1 유닛(100); 이륜차의 차체에 탈착 가능한 거치용 본체(220)와, 거치용 본체(220)에 형성되며 제1 단자(101)와 제2 단자(102)와 제3 단자(103)와 제4 단자(104)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충방전 회로가 거치용 본체(220)에 접촉시 스마트기기(500)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는 VCC연결단자(이하 제1 연결단자(201))와 GND연결단자(이하 제2 연결단자(202))와 D-연결단자(이하 제3 연결단자(203))와 D+연결단자(이하 제4 연결단자(204))가 구비된 충전연결 회로(210)를 포함하는 제2 유닛(200); 및 이륜차의 차체에 내장된 배터리 전원(400)과 연결 가능하며, 충전 회로(110)측으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10)를 포함하는 제3 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운송업에 종사하는 이륜차 탑승자들의 스마트기기 배터리 부족 현상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회로(110)가 형성되며 스마트기기(500)의 뒷면에 탈착 가능한 제1 기판(111)과, 제1 기판(111)이 형성되며 스마트기기(500)의 뒷면 및 상하좌우 측면을 포함하여 스마트기기(500)를 감싸는 케이스(120)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1 기판(111)을 미사용시에는 케이스(120)로부터 분리하여 일반적인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로도 활용할 수 있는 등 사용상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충전연결 회로(210)가 형성되며 거치용 본체(220)에 결합되는 제2 기판(211)과, 제2 기판(211)을 감싸며 거치용 본체(220)에 결합되는 커버 패널(230)과, 커버 패널(23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스마트기기(500)를 자기력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네오디움 자석(240)을 더 구비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스마트기기(500)의 거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네오디움 자석(240)이 각각 안착 고정되도록, 커버 패널(230)의 양측 가장자리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결합 단턱(231)을 더 포함하며, 결합 단턱(231)에 결합된 네오디움 자석(240)의 표면은 커버 패널(230)의 표면과 같은 면 위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기기(500)를 충전하기 위하여 거치할 때 지장없이 즉각적이며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이륜차의 차체(600)에 고정 가능한 지지대(250)와, 지지대(250)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구 형상으로 형성된 볼 조인트(251)와, 거치용 본체(220)의 뒷면에 형성되어 볼 조인트(251)의 외면을 수용하며 지지대(250)에 대하여 거치용 본체(220)를 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 커플러(221)를 더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최적의 시각적 범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310)는 이륜차의 차체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므로, 혹서기나 혹한기 등 날씨의 영향으로 인하여 충전이 불가능해지거나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에 직면하는 기존의 거치대와 달리, 기후 조건에 제약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배터리 충전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특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310)는, 이륜차의 차체(600)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311)과, 하우징(311)에 내장되어 충전연결 회로(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USB 케이블(320)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USB 포트(312)와, 하우징(311)에 내장되어 USB 포트(312) 및 배터리 전원(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 컨버터(313)를 포함함으로써, 고속충전에 필요한 전압 사용에 지장을 주지않는 범위 내에서 원활한 전력 공급을 통한 고속 충전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운송업에 종사하는 이륜차 탑승자들이 사용하는 스마트기기의 거치대에 고속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부족 현상을 해결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더욱 안정적인 스마트기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스마트기기(500)를 활용한 운송업 시장의 급속한 증대에 따라 음식배달을 포함한 배달대행업이나 퀵서비스 등의 업무에 종사하는 이륜차 탑승자들에게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됨은 물론, 택배업을 포함한 차량용 운송업에 종사하는 사용자의 일반 차량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1...제1 단자
102...제2 단자
103...제3 단자
104...제4 단자
110...충전 회로
111...제1 기판
120...케이스
121...기판 결합홈
130...피자성체
200...제2 유닛
201...제1 연결단자
202...제2 연결단자
203...제3 연결단자
204...제4 연결단자
210...충전연결 회로
211...제2 기판
220...거치용 본체
221...조인트 커플러
230...커버 패널
231...결합 단턱
240...네오디움 자석
250...지지대
251...볼 조인트
300...제3 유닛
310...전원부
311...하우징
312...USB 포트
313...승압 컨버터
320...USB 케이블
400...배터리 전원
500...스마트기기
600...차체

Claims (8)

  1.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VCC단자(이하 제1 단자)와 GND단자(이하 제2 단자)와 D-단자(이하 제3 단자)와 D+단자(이하 제4 단자)가 구비된 충전 회로와, 상기 충전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기기의 뒷면과 마주보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이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기기의 뒷면 및 상하좌우 측면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기기를 감싸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뒷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 기판의 탈착 결합을 허용하는 기판 결합홈을 포함하는 제1 유닛;
    이륜차의 차체에 탈착 가능한 거치용 본체와, 상기 거치용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3 단자와 상기 제4 단자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충전 회로가 상기 거치용 본체에 접촉시 상기 스마트기기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는 VCC연결단자(이하 제1 연결단자)와 GND연결단자(이하 제2 연결단자)와 D-연결단자(이하 제3 연결단자)와 D+연결단자(이하 제4 연결단자)가 구비된 충전연결 회로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과 분리되어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내장된 배터리 전원과 연결 가능하며, 상기 충전 회로측으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 결합홈의 일단부 가장자리는 상기 케이스의 뒷면 가장자리와 공유하며,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기판 결합홈을 따라 슬라이딩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충전연결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용 본체에 결합되는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감싸며 상기 거치용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패널과,
    상기 커버 패널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기기를 자기력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네오디움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네오디움 자석이 각각 안착 고정되도록, 상기 커버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결합 단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 단턱에 결합된 상기 네오디움 자석의 표면은 상기 커버 패널의 표면과 같은 면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고정 가능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구 형상으로 형성된 볼 조인트와,
    상기 거치용 본체의 뒷면에 형성되어 상기 볼 조인트의 외면을 수용하며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상기 거치용 본체를 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구비된 수납함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충전연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USB 케이블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USB 포트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USB 포트 및 상기 배터리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
KR1020200144630A 2020-11-02 2020-11-02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 KR102491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630A KR102491701B1 (ko) 2020-11-02 2020-11-02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630A KR102491701B1 (ko) 2020-11-02 2020-11-02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263A KR20220059263A (ko) 2022-05-10
KR102491701B1 true KR102491701B1 (ko) 2023-01-20

Family

ID=8159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630A KR102491701B1 (ko) 2020-11-02 2020-11-02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7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185A (ko) 2022-05-30 2023-12-07 백운학 바이크용 휴대폰 유무선충전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89Y1 (ko) * 2016-03-28 2016-12-14 윤재원 휴대단말기 충전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954U (ko) 2011-11-09 2013-05-20 (주)나라테크놀로지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KR102141929B1 (ko) * 2018-12-03 2020-08-06 더가우스 주식회사 오토 슬라이딩 홀더를 구비한 무선 충전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89Y1 (ko) * 2016-03-28 2016-12-14 윤재원 휴대단말기 충전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263A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1701B1 (ko)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어셈블리
KR20110135710A (ko) 휴대 단말기의 충전 장치
WO2018199763A2 (en) Frame for bicycle, connector and bicycle
US7289831B2 (en) Endless powered anywhere cellphone system
CN105595582A (zh) 一种具有干电池充电功能的便携式手机套
CN202334638U (zh) 一种车载手机底座
CN204156565U (zh) 一种可与手机固定的便携充电装置
KR20230052467A (ko) 차광 및 탈거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이륜차용 스마트기기 고속충전 거치대
CN207442966U (zh) 一种集无线充电接收功能及磁吸功能的手机保护壳
CN206098523U (zh) 电池
CN115312949A (zh) 一种水平布置的无线充电电池箱
CN205017059U (zh) 灵敏型无线充电器
CN204425264U (zh) 可通过太阳能充电的手机保护壳型移动电源结构
CN110155346B (zh) 一种用于无人机的太阳能电池加持装置
US11130417B2 (en)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N201194376Y (zh) 对数码设备进行充电的太阳能套夹
US20230352967A1 (en) Solar-Powered Protective Cell Phone Case and Method of Use
CN206900885U (zh) 无人机收纳盒
CN205265293U (zh) 车载usb充电盒
CN208046735U (zh) 具有gps定位功能的运动相机
CN210490008U (zh) 两芯充电座
CN219918477U (zh) 一种多功能便携式户外电源
CN210793514U (zh) 一种快艇的多功能驾控台
CN212111800U (zh) 充电插口式的定位器外置天线
CN202759488U (zh) 太阳能充电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