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452B1 -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452B1
KR101344452B1 KR1020130076998A KR20130076998A KR101344452B1 KR 101344452 B1 KR101344452 B1 KR 101344452B1 KR 1020130076998 A KR1020130076998 A KR 1020130076998A KR 20130076998 A KR20130076998 A KR 20130076998A KR 101344452 B1 KR101344452 B1 KR 101344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housing
led
b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덕
Original Assignee
덕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일산업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는, 도체로 구성되고, 표면에 흐르는 전류를 휴대단말기에 전달하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한쌍으로 구성되는 금속판; 비전도체로 구성되고, 금속판의 저면과 맞닿아 결합되며, 양극판과 음극판의 위치에 각각 천공된 제1 홀이 형성되고, 일측에 LED 하우징이 돌출되어 형성된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의 저면과 맞닿아 결합되고, 전원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기 설정된 범위로 변압하여 금속판에 공급하는 PCB 기판; 제1 하우징의 저면과 맞닿아 결합되고, 양극판 또는 음극판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양극판 또는 음극판에 전류가 흐를 경우, LED 하우징에 노출되도록 결합된 LED가 발광하도록 LED에 구동전류를 전송하는 마이콤; 도체로 구성되고, 제1 홀을 관통하여 PCB 기판에서 금속판에 전류가 전달되도록 PCB 기판과 금속판을 연결하는 연결수단; PCB 기판의 일부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의 끝단에 결합되고, PCB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의 전원수단에 연결되는 커넥터; 및 비전도체로 구성되고, 제1 하우징의 가장자리 및 PCB 기판의 저면과 맞닿아 결합되며, 일부에 PCB 기판의 일부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천공된 제2 홀이 형성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Devices Using A Charging Indicator}
본 발명은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기기 충전장치에 휴대기기가 충전중일 경우 하우징에 결합된 LED를 발광하도록 하여 휴대기기가 정상적으로 충전중임을 확인할 수 있는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기기를 충전하는 충전장치는 휴대기기가 충전중일 경우, 사용자가 휴대기기의 충전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고, 휴대기기의 배터리가 허용하는 범위 내의 전압으로 충전이 진행중인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들어, 휴대기기 충전장치가 오작동하여 충전중인 휴대기기의 배터리에 배터리가 허용하는 범위보다 적거나 많은 전압이 공급될 경우, 휴대기기의 수명이 저하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어서 사용자가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어야 하지만 이를 확인할 수단이 없어 휴대기기 충전장치의 오작동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3-0011619호에는 휴대단말용 충전장치 및 휴대단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휴대단말기의 정상충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휴대단말용 충전장치의 오작동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기기 충전장치에 휴대기기가 충전중일 경우 하우징에 결합된 LED를 발광하도록 하여 휴대기기가 정상적으로 충전중임을 확인할 수 있는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는, 도체로 구성되고, 표면에 흐르는 전류를 휴대단말기에 전달하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한쌍으로 구성되는 금속판; 비전도체로 구성되고, 금속판의 저면과 맞닿아 결합되며, 양극판과 음극판의 위치에 각각 천공된 제1 홀이 형성되고, 일측에 LED 하우징이 돌출되어 형성된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의 저면과 맞닿아 결합되고, 전원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기 설정된 범위로 변압하여 금속판에 공급하는 PCB 기판; 제1 하우징의 저면과 맞닿아 결합되고, 양극판 또는 음극판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양극판 또는 음극판에 전류가 흐를 경우, LED 하우징에 노출되도록 결합된 LED가 발광하도록 LED에 구동전류를 전송하는 마이콤; 도체로 구성되고, 제1 홀을 관통하여 PCB 기판에서 금속판에 전류가 전달되도록 PCB 기판과 금속판을 연결하는 연결수단; PCB 기판의 일부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의 끝단에 결합되고, PCB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의 전원수단에 연결되는 커넥터; 및 비전도체로 구성되고, 제1 하우징의 가장자리 및 PCB 기판의 저면과 맞닿아 결합되며, 일부에 PCB 기판의 일부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천공된 제2 홀이 형성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LED 하우징은 LED가 노출되어 결합되는 제3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마이콤은 양극판 또는 음극판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감지될 경우, LED에 구동전류를 미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극판은 제1 하우징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바; 및 제1 바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다수의 제1 연장바를 포함하고, 음극판은 제1 바와 평행하도록 제1 하우징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바; 및 제2 바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다수의 제2 연장바를 포함하며, 제2 연장바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제1 연장바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극판 및 음극판에 맞닿고,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부터 전류를 전송받는 다수의 접촉단자; 접촉단자에 순방향 다이오드와 역방향 다이오드의 일단이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되, 각 순방향 다이오드의 타단은 + 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역방향 다이오드의 타단은 - 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어댑터; 및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 노드와 - 노드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또는 배터리로 연결된 연결단자와 연결되어 전력어댑터로부터 전송받은 전류를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또는 배터리로 연결된 연결단자에 전송하는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고 휴대단말기의 일부 또는 전체와 결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바, 제1 연장바, 제2 바 및 제2 연장바는 케이스의 단부와 접촉단자와의 간격 중 가장 작은 간격보다 폭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바, 제1 연장바, 제2 바 및 제2 연장바는 접촉단자들간의 간격 중 가장 작은 간격보다 폭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기기 충전장치에 휴대기기가 충전중일 경우 하우징에 결합된 LED를 발광하도록 하여 휴대기기가 정상적으로 충전중임을 확인할 수 있는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에 휴대단말기와 케이스가 더 포함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케이스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케이스에 포함된 전력 어댑터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는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110), 제1 하우징(120), PCB 기판(130), 마이콤(150), 연결수단(160), 커넥터(170) 및 제2 하우징(180)을 포함한다.
금속판(110)은 도체로 구성되고, 표면에 흐르는 전류를 휴대단말기(200)에 전달하는 것으로, 양극판(111)과 음극판(11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양극판(111) 및 음극판(112)은 한쌍으로 구성된다.
양극판(111)은 제1 하우징(12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바(111a); 및 제1 바(111a)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다수의 제1 연장바(111b)를 포함한다.
음극판(112)은 제1 바(111a)와 평행하도록 제1 하우징(12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바(112a); 및 제2 바(112a)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다수의 제2 연장바(112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연장바(112b)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제1 연장바(111b) 사이에 위치한다.
제1 하우징(120)은 비전도체로 구성되고, 금속판(110)의 저면과 맞닿아 결합되며, 양극판(111)과 음극판(112)의 위치에 각각 천공된 제1 홀(121)이 형성되고, 일측에 LED 하우징(12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LED 하우징(122)은 LED가 노출되어 결합되는 제3 홀(124)을 더 포함한다.
PCB 기판(130)은 제1 하우징(120)의 저면과 맞닿아 결합되고, 전원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기 설정된 범위로 변압하여 금속판(110)에 공급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휴대단말기(200)가 충전중일때의 전압값을 의미한다.
마이콤(150)은 제1 하우징(120)의 저면과 맞닿아 결합되고, 양극판(111) 또는 음극판(112)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양극판(111) 또는 음극판(112)에 전류가 흐를 경우, LED 하우징(122)에 노출되도록 결합된 LED(123)가 발광하도록 LED(123)에 구동전류를 전송한다.
여기서, 마이콤(150)이 양극판(111) 또는 음극판(112)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하는 것은, 휴대단말기(200)가 양극판(111)과 음극판(112)에 모두 맞닿아 있어야 휴대단말기(200)가 충전되기 때문이다.
또한, 마이콤(150)은 양극판(111) 또는 음극판(112)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감지될 경우, LED(123)에 구동전류를 미전송한다.
연결수단(160)은 도체로 구성되고, 제1 홀(121)을 관통하여 PCB 기판(130)에서 금속판(110)에 전류가 전달되도록 PCB 기판(130)과 금속판(110)을 연결한다.
커넥터(170)는 PCB 기판(130)의 일부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의 끝단에 결합되고, PCB 기판(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의 전원수단에 연결된다.
제2 하우징(180)은 비전도체로 구성되고, 제1 하우징(120)의 가장자리 및 PCB 기판(130)의 저면과 맞닿아 결합되며, 일부에 PCB 기판(130)의 일부로부터 연장된 케이블(17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천공된 제2 홀(18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는 케이스(190)에 둘러싸인 휴대단말기(200)가 금속판(110)에 올려져 금속판(110)의 양극판(111)과 음극판(112)에 모두 맞닿아 있어야 휴대단말기(200)가 충전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200)가 충전될 경우에만 제1 하우징(120)에 결합된 LED(123)가 발광하여 휴대단말기(200)가 정상적으로 충전중임을 사용자가 확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200)가 충전장치에 잘못 놓여질 경우에는 LED(123)가 발광되지 않기 때문에 휴대단말기(200)를 잘못 위치시켜 충전되지 않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휴대기기 충전장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9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케이스(190)는 휴대단말기의 일부 또는 전체와 결합하여 휴대기기 충전장치의 금속판(110) 표면에 흐르는 전류를 휴대단말기(200)에 전달하는 것으로, 접촉단자(191), 전력 어댑터(193) 및 접속 커넥터(192)를 포함한다.
접촉단자(191)는 다수개로 형성되고, 양극판(111) 및 음극판(112)에 맞닿으며, 양극판(111) 및 음극판(112)으로부터 전류를 전송받는다.
전력 어댑터(19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단자(191)에 순방향 다이오드(193-1)와 역방향 다이오드(193-2)의 일단이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되, 각 순방향 다이오드(193-1)의 타단은 + 노드(194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역방향 다이오드(193-2)의 타단은 - 노드(194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속 커넥터(192)는 케이스(190)의 내부에 위치하고, + 노드(194a)와 - 노드(194b)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 또는 배터리로 연결된 연결단자(210)와 연결되어 전력 어댑터(193)로부터 전송받은 전류를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 또는 배터리로 연결된 연결단자(210)에 전송한다.
여기서, + 노드(194a)와 - 노드(194b)는 콘덴서로 연결되어 있어 + 노드(194a)와 - 노드(194b)에서 전송되는 전류의 맥류를 제거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제1 바(111a), 제1 연장바(111b), 제2 바(112a) 및 제2 연장바(112b)의 폭은 케이스(190)의 단부와 접촉단자(191)와의 간격 중 가장 작은 간격보다 작다.
또한, 앞서 설명한 제1 바(111a), 제1 연장바(111b), 제2 바(112a) 및 제2 연장바(112b)의 폭은 접촉단자(191)들간의 간격 중 가장 작은 간격보다 작다.
이는, 접촉단자(191)가 양극판(111) 및 음극판(112)에 각각 하나 이상 접촉되어야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케이스(190)가 금속판(110)에 올려지는 방향이나 올려지는 면적에 상관없이 접촉단자(191)가 양극판(111) 및 음극판(112)에 각각 하나 이상 접촉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는 충전대상인 휴대단말기(200)는 케이스(190)를 사용하여 금속판(110) 위에 올려놓으면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 충전이 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케이스(190)가 금속판(110)에 올려지는 방향이나 올려지는 면적에 상관없이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케이스(190)의 접촉단자(191)에 양극판(111)과 음극판(112)이 맞닿아 양극판(111)고 음극판(112)으로부터 전송받는 전류가 휴대단말기(200)에 전송되는 과정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90)의 접촉단자(191)가 제1 접촉단자(191a), 제2 접촉단자(191b), 제3 접촉단자(191c) 및 제4 접촉단자(191d)로 4개이고, 이 중 제1 접촉단자(191a), 제2 접촉단자(191b) 및 제3 접촉단자(191c)가 양극판(111)에 맞닿아 접촉되고 제4 접촉단자(191d)가 음극판(112)에 맞닿아 접촉될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접촉단자(191a), 제2 접촉단자(191b) 및 제3 접촉단자(191c)를 통해 전송되는 전류는 + 전류이기 때문에 순방향 다이오드(193-1)가 도통되고, 제4 접촉단자(191d)를 통해 전송되는 전류는 - 전류이기 때문에 역방향 다이오드(193-2)가 도통된다.
따라서, 순방향 다이오드(193-1)와 역방향 다이오드(193-2)가 모두 도통 상태이기 때문에 + 노드(194a)와 - 노드(194b) 사이에 휴대단말기(200)의 배터리 또는 배터리로 연결된 연결단자(210)가 연결되면 + 노드(194a)에서 - 노드(194b)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휴대단말(200)의 배터리가 충전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금속판 111 : 양극판
111a : 제1 바 111b : 제1 연장바
112 : 음극판 112a : 제2 바
112b : 제2 연장바 120 : 제1 하우징
121 : 제 1홀 122 : LED 하우징
123 : LED 124 : 제3홀
130 : PCB 기판 150 : 마이콤
160 : 연결수단 170 : 커넥터
171 : 케이블 180 : 제2 하우징
181 : 제2 홀 190 : 케이스
191 : 접촉단자 191a : 제1 접촉단자
191b : 제2 접촉단자 191c : 제3 접촉단자
191d : 제4 접촉단자 192 : 접속 커넥터
193 : 전력 어댑터 193-1 : 순방향 다이오드
193-2 : 역방향 다이오드 194a : + 노드
194b : - 노드 200 : 휴대단말기
210 : 연결단자

Claims (7)

  1. 도체로 구성되고, 표면에 흐르는 전류를 휴대단말기에 전달하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한쌍으로 구성되는 금속판;
    비전도체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판의 저면과 맞닿아 결합되며, 상기 양극판과 상기 음극판의 위치에 각각 천공된 제1 홀이 형성되고, 일측에 LED 하우징이 돌출되어 형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저면과 맞닿아 결합되고, 전원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기 설정된 범위로 변압하여 상기 금속판에 공급하는 PCB 기판;
    상기 제1 하우징의 저면과 맞닿아 결합되고, 상기 양극판 또는 상기 음극판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양극판 또는 상기 음극판에 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LED 하우징에 노출되도록 결합된 LED가 발광하도록 상기 LED에 구동전류를 전송하는 마이콤;
    도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홀을 관통하여 상기 PCB 기판에서 상기 금속판에 전류가 전달되도록 상기 PCB 기판과 상기 금속판을 연결하는 연결수단;
    상기 PCB 기판의 일부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PCB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의 전원수단에 연결되는 커넥터; 및
    비전도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가장자리 및 상기 PCB 기판의 저면과 맞닿아 결합되며, 일부에 상기 PCB 기판의 일부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천공된 제2 홀이 형성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LED 하우징은,
    상기 LED가 노출되어 결합되는 제3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양극판 또는 상기 음극판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감지될 경우, 상기 LED에 구동전류를 미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바; 및 상기 제1 바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다수의 제1 연장바를 포함하고,
    상기 음극판은,
    상기 제1 바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바; 및 상기 제2 바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다수의 제2 연장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바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제1 연장바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 및 상기 음극판에 맞닿고, 상기 양극판 및 상기 음극판으로부터 전류를 전송받는 다수의 접촉단자; 상기 접촉단자에 순방향 다이오드와 역방향 다이오드의 일단이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되, 각 순방향 다이오드의 타단은 + 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역방향 다이오드의 타단은 - 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어댑터; 및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 노드와 상기 - 노드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또는 배터리로 연결된 연결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전력 어댑터로부터 전송받은 전류를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또는 배터리로 연결된 연결단자에 전송하는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부 또는 전체와 결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 상기 제1 연장바, 상기 제2 바 및 상기 제2 연장바는,
    상기 케이스의 단부와 상기 접촉단자와의 간격 중 가장 작은 간격보다 폭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 상기 제1 연장바, 상기 제2 바 및 상기 제2 연장바는,
    상기 접촉단자들간의 간격 중 가장 작은 간격보다 폭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
KR1020130076998A 2013-02-22 2013-07-02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 KR101344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220 2013-02-22
KR20130019220 2013-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452B1 true KR101344452B1 (ko) 2013-12-26

Family

ID=4998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998A KR101344452B1 (ko) 2013-02-22 2013-07-02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4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510B1 (ko) 2012-07-09 2012-11-26 (주)에스피에스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510B1 (ko) 2012-07-09 2012-11-26 (주)에스피에스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7147B2 (en) Plug connector and adapter with thermal protection circuit to discontinue current supply when overheating occurs
US9887499B2 (en)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and communication cable with connector
EP2328205B1 (en) Battery pack
CN107078246B (zh) 蓄电模块
EP2426809A2 (en)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BRPI1106556A2 (pt) dispositivo, método e sistema de alimentação de energia
KR101642341B1 (ko) 전력저장장치용 배터리 온도 및 전압 검출 인터페이스 보드
US8633980B2 (en) Monitoring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display and a power failure protection
KR101407664B1 (ko) 프레스핏 핀을 이용한 전류센서
CN113169487A (zh) 用于车辆的配备有温度传感器的连接装置
KR101344452B1 (ko) 충전표시 led가 구비된 휴대기기 충전장치
US20220252231A1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lighting
KR20160139807A (ko) 배터리 팩
CN205452710U (zh) 智能开关模块
EP2398299A3 (en) Light emitting diode interconnection system
US2012009283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uninterrupted power supply during battery replacement
CN103441390B (zh) 可快速更换插脚的电源插头及具有该电源插头的电子设备
KR101928878B1 (ko) 엑스선 검출 장치
KR101344451B1 (ko) 휴대기기 충전장치
KR101301048B1 (ko) 배터리 방전 방지용 휴대기기 충전장치
CN115332889A (zh) 插座组件和电子装置
US20210176852A1 (en) Plasma generator
FI20125481A (fi) Yhdellä tai useammalla pistoyksiköllä varustettu laitteisto
KR20160005523A (ko) 차량용 배터리 센서 모듈
JP4269240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