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784B1 - 자력식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자력식 인터페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4784B1 KR101404784B1 KR1020130039741A KR20130039741A KR101404784B1 KR 101404784 B1 KR101404784 B1 KR 101404784B1 KR 1020130039741 A KR1020130039741 A KR 1020130039741A KR 20130039741 A KR20130039741 A KR 20130039741A KR 101404784 B1 KR101404784 B1 KR 1014047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terminal
- magnetic force
- contact
- coupling member
- recepta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잭의 접촉면 중심부에 위치되는 제1접점단자; 상기 제1접점단자의 외측에 제1접점단자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면서 위치되는 자력결합부재; 상기 자력결합부재의 외측에 자력결합부재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면서 위치되거나 45도 내지 180도의 간격으로 자력결합부재를 감싸도록 배열되는 제2접점단자; 상기 제1접점단자와 자력결합부재 사이에 구성되는 제1절연재; 상기 자력결합부재와 제2접점단자 사이에 구성되는 제2절연재; 및 상기 제2접점단자의 외측에 제2접점단자를 포위하면서 양각 또는 음각 구조로 위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력식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리셉터클과 충전기기의 플러그잭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전원 공급을 위한 컨넥팅시 리셉터클과 플러그잭에 구성된 접점단자가 방향성을 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력을 통하여 접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상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자력식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에서 모바일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전자포트 등과 같은 전자기기가 필수적으로 사용되는데,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는 충전기기와의 전원 연결을 위한 컨넥팅시 전자기기의 리셉터클에 충전기기의 플러그잭이 강제 삽입되어 리셉터클과 플러그잭에 구성된 접점단자들이 전기적으로 접점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리셉터클과 플러그잭의 강제 삽입을 통한 컨넥팅은, 상호간 반복 접촉 및 분리에 따라 물리적 접점 상태가 헐거워져 접점단자의 접촉 상태가 불량해지거나 또는 강제 분리시 힘의 작용 방향에 의해 접점단자가 휘거나 구부러지는 등의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0736399호의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인터페이스' 등이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상기 등록특허 10-0736399호 등과 같은 종래의 자력식 인터페이스는, 일단에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되는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단부면에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에 형성된 접촉단자들과 면접촉을 통해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접촉단자들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 주위에 돌출 구비되어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의 삽입 홈부에 삽입되는 경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의 삽입 홈부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편과 상호 부착되는 자석돌출부로 구성되어, 전자기기와 충전기기 등의 연결시 컨넥터의 단부면에 형성된 접촉단자들과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에 형성된 접촉단자들이 자석돌출부와 삽입 홈부의 자력을 통한 면접촉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원의 공급을 위한 리셉터클과 플러그잭의 컨넥팅시, 접촉단자들의 경우 DC 전압의 공급을 위해서는 +/- 또는 Power/GND와 같은 방향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자력식 인터페이스는, 상기 삽입 홈부와 자석돌출부가 상호간 면접촉되는 방향성을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접촉단자들이 단순히 접속부에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하게 배열되기 때문에, 역방향으로 접촉단자들이 접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접촉단자들의 양측에 각각 단일의 삽입 홈부 또는 자석돌출부와 한 쌍의 삽입 홈부 또는 자석돌출부가 구성되거나, 상기 접촉단자들이 구성된 접속부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상태에서 '凹凸'의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설계 및 제조상 많은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접속부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도 접속부들끼리 상호간 대응 또는 대향되는 위치를 가지도록 한 후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컨넥팅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의 리셉터클과 충전기기의 플러그잭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전원 공급을 위한 컨넥팅시 리셉터클과 플러그잭에 구성된 접점단자가 방향성을 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력을 통하여 접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자력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잭의 접촉면 중심부에 위치되는 제1접점단자; 상기 제1접점단자의 외측에 제1접점단자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면서 위치되는 자력결합부재; 상기 자력결합부재의 외측에 자력결합부재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면서 위치되거나 45도 내지 180도의 간격으로 자력결합부재를 감싸도록 배열되는 제2접점단자; 상기 제1접점단자와 자력결합부재 사이에 구성되는 제1절연재; 상기 자력결합부재와 제2접점단자 사이에 구성되는 제2절연재; 및 상기 제2접점단자의 외측에 제2접점단자를 포위하면서 양각 또는 음각 구조로 위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잭의 접촉면 중심부에 위치되는 제1접점단자; 상기 제1접점단자의 외측에 제1접점단자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면서 위치되는 제2접점단자; 상기 제1접점단자와 제2접점단자 사이에 구성되는 제1절연재; 및 상기 제2접점단자의 외측에 제2접점단자를 포위하면서 양각 또는 음각 구조로 위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잭의 접촉면 중심부에 위치되는 제1접점단자; 상기 제1접점단자의 외측에 제1접점단자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면서 위치되는 자력결합부재; 상기 자력결합부재의 외주연에 45도 내지 180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설치홈에 구성되는 제2접점단자; 상기 제1접점단자와 자력결합부재 사이에 구성되는 제1절연재; 상기 자력결합부재의 설치홈과 제2접점단자 사이에 구성되는 제2절연재; 및 상기 제2접점단자의 외측 또는 자력결합부재의 외측을 포위하면서 양각 또는 음각 구조로 위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심부에 제1접점단자가 구성되고 제1접점단자의 외측에 제2접점단자가 원형 또는 트랙 형상으로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가 전자기기의 리셉터클과 충전기기의 플러그잭에 구성됨으로써, 전원 공급을 위한 컨넥팅시 리셉터클과 플러그잭에 구성된 접점단자가 방향성을 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력을 통하여 접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컨넥팅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력식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전자기기의 리셉터클과 충전기기의 플러그잭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자기기의 리셉터클과 충전기기의 플러그잭을 나타낸 측단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자력식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전자기기의 리셉터클과 충전기기의 플러그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기기의 리셉터클과 충전기기의 플러그잭을 나타낸 측단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자력식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전자기기의 리셉터클과 충전기기의 플러그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력식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전자기기의 리셉터클과 충전기기의 플러그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기기의 리셉터클과 충전기기의 플러그잭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력식 인터페이스는, 전자기기(E)의 리셉터클(R) 또는 충전기기(C)의 플러그잭(P)에 각각 암수 구조로 구성되어 상호간 자력을 이용한 무방향 및 비삽입 접점을 통한 동작 전원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리셉터클(R)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100)는, 리셉터클(R)의 접촉면(RT) 중심부에 위치되는 제1접점단자(110), 상기 제1접점단자(110)의 외측에 제1접점단자(110)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면서 위치되는 자력결합부재(120), 상기 자력결합부재(120)의 외측에 자력결합부재(120)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면서 위치되는 제2접점단자(130), 상기 제1접점단자(110)와 자력결합부재(120) 사이에 구성되는 제1절연재(140), 상기 자력결합부재(120)와 제2접점단자(130) 사이에 구성되는 제2절연재(150) 및 상기 제2접점단자(130)의 외측에 제2접점단자(130)를 포위하면서 양각 또는 음각 구조로 위치되는 가이드(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잭(P)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200)는, 상기 리셉터클(R)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200)에 대응 또는 대향되는 구성을 가지며, 플러그잭(P)의 접촉면(PT) 중심부에 위치되는 제1접점단자(210), 상기 제1접점단자(210)의 외측에 제1접점단자(210)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면서 위치되는 자력결합부재(220), 상기 자력결합부재(220)의 외측에 자력결합부재(220)를 45도 내지 180도의 간격으로 감싸도록 위치되는 제2접점단자(230), 상기 제1접점단자(210)와 자력결합부재(220) 사이에 구성되는 제1절연재(240), 상기 자력결합부재(220)와 제2접점단자(230) 사이에 구성되는 제2절연재(250) 및 상기 제2접점단자(230)의 외측에 제2접점단자(230)를 포위하면서 양각 또는 음각 구조로 위치되는 가이드(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기기(E)의 리셉터클(R)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100)는 충전기기(C)의 플러그잭(P)에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충전기기(C)의 플러그잭(P)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200)는 전자기기(E)의 리셉터클(R)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력식 인터페이스(100,200)는 상호간 대향 또는 대응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이들이 적용되는 대상 기기는 한정되지 않으며, 이는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사실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자기기(E)의 리셉터클(R)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100)와 충전기기(C)의 플러그잭(P)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200)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단자(110,210)들과 제2접점단자(130,230)들은, 상기 접촉면(RT,PT)들이 상호간 면접촉하는 각각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로 접촉된 상태를 가지게 되며, 그 단부가 평면 또는 요홈을 가지는 평면단자 타입과 그 단부가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가지면서 인쇄회로기판측으로 반동 삽입되거나 또는 단부만이 탄력을 가지면서 인쇄회로기판측으로 휘어지는 탄력단자 타입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접점단자(110,210)들과 제2접점단자(130,230)들은, 리셉터클(R)의 접점단자(110,130)들이 평면단자 타입으로 구성되는 경우 플러그잭(P)의 접점단자(210,230)들은 탄력단자 타입으로 구성되거나, 리셉터클(R)의 접점단자(110,130)들이 탄력단자 타입으로 구성되는 경우 플러그잭(P)의 접점단자(210,230)들은 평면단자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2접점단자(130,230)들의 경우, 상기 평면단자 타입으로 구성되는 경우 트랙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탄력단자 타입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개가 45도 내지 180도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기기(E)의 리셉터클(R)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100)와 충전기기(C)의 플러그잭(P)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200)에 있어서, 상기 자력결합부재(120,220)들의 경우 리셉터클(R)과 플러그잭(P) 모두에 자성부재로 구성되거나, 둘 중 어느 하나에 자성부재가 구성되는 경우 다른 하나에는 피자성부재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력결합부재(120,220)들은, 상기 접촉면(RT,PT)의 면접촉시 상호간 자력을 통해 면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결합부재로, 트랙의 중심부에 제1접점단자(110,210)가 위치되고 외주연에 제2접점단자(130,230)가 위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자력결합부재(120,220)들은, 자성부재인 경우에는 단극 또는 다극이 착자된 자석 또는 영구자석 및 전자석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피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상기 자성부재에 자력 결합이 가능한 금속이나 강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자력결합부재(120,220)가 자석인 경우에는 자석을 물리적으로 나누지 않고 착자요크라는 설비를 통해 상하단극, 2극 및 4극착자로 제조하여 다양한 개수의 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또한, 금속체가 해당 자석의 배면부 또는 좌우측부 또는 상하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어 자력의 직진성 확보를 통한 자력 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기기(E)의 리셉터클(R)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100)와 충전기기(C)의 플러그잭(P)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200)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재(140,240)들과 제2절연재(150,250)들은, 각각 접점단자들 사이에 구성되는 자력결합부재(120) 또는 자력결합부재(220)가 모두 자성부재이거나 또는 접촉면(RT,PT)의 접촉에 따라 자력결합부재(120)와 자력결합부재(220)가 자력을 통해 결합된 경우, 자성부재의 자기장과 접점단자들에 흐르는 전류의 전기장이 상호간 작용하여 전류의 흐름 방향이 바뀌어 충전 효율이 저하되거나 또는 자력의 방향이 바뀌어 자력 결속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자기기(E)의 리셉터클(R)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100)와 충전기기(C)의 플러그잭(P)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20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60,260)들은, 리셉터클(R)과 플러그잭(P) 둘 중 어느 하나에 음각으로 구성되는 경우 다른 하나에는 양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160,260)들이 양각으로 구성되는 경우, 그 내주면과 외주면은 모따기가 이루어져 가이드 기능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력식 인터페이스(100,200)가 각각 적용된 전자기기(E)의 리셉터클(R)과 충전기기(C)의 플러그잭(P)의 무방향성 접점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기기(E)의 리셉터클(R) 또는 충전기기(C)의 플러그잭(P)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자력식 인터페이스(100,200)들이 각각 구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자력식 인터페이스(100,200)들은, 종래의 삽입식 컨넥팅을 위한 개방형 리셉터클과 돌출형 플러그잭에 비해, 각각의 접촉면(RT,PT)들에 밀폐감을 가지면서 구성됨으로써, 이물질의 삽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삽입식 컨넥팅을 위한 구조보다 향상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자기기(E)의 충전을 위하여 충전기기(C)와 전자기기(E)의 연결시, 리셉터클(R)의 접촉면(RT)과 플러그잭(P)의 접촉면(PT)이 상호간 면접촉을 위하여 근접거리를 가지게 되면, 각각의 접촉면(RT,PT)에 구성된 자력식 인터페이스(100,200)들의 자력결합부재(120,220)들이 상호간 자력 결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접점단자(110,210) 및 제2접점단자(130,230)들끼리 상호간 전기적으로 접점되며, 이때, 상기 자력식 인터페이스(100,200)들 각각에 구성된 가이드(160,260)들끼리 상호간 음각 및 양각의 구조를 통해 가이드되는 동작에 따라, 안정적인 컨넥팅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기기(E)의 리셉터클(R) 또는 충전기기(C)의 플러그잭(P)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자력식 인터페이스(100,200)에 있어서, 접촉면(RT,PT)의 중심부에 제1접점단자(110,2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접점단자(110,210)의 외측에 제1접점단자(110,210)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면서 위치되는 자력결합부재(120,220)가 구성되며 상기 자력결합부재(120,220)의 외측에 자력결합부재(120,220)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거나 45도 내지 180도의 간격으로 감싸도록 제2접점단자(130,230)들이 구성됨으로써, 충전을 위한 전자기기(E)의 리셉터클(R) 또는 충전기기(C)의 플러그잭(P)의 컨넥팅시 접점단자들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플러그잭(P)이 리셉터클(R)에 접점되도록 할 수 있어 컨넥팅 작업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방향성 유지를 위한 돌출부나 홈부 등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간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자력식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전자기기의 리셉터클과 충전기기의 플러그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R)과 플러그잭(P)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100,200)의 경우, 접촉면(RT,PT)의 중심부에 제1접점단자(110,2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접점단자(110,210)의 외측에 제1접점단자(110,210)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면서 위치되는 자력결합부재(120,220)가 구성되며 상기 자력결합부재(120,220)의 외측에 자력결합부재(120,220)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거나 45도 내지 180도의 간격으로 감싸도록 제2접점단자(130,230)들이 구성되고 상기 접점단자들의 사이에 절연재가 구성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변형예는 보다 간단한 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R)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10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잭(P)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200)의 자력결합부재(220)가 자성부재인 경우, 접촉면(RT)의 중심부에 제1접점단자(1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접점단자(110)의 외측에 제1접점단자(110)를 트랙 형상을 통해 포위하면서 제2접점단자(130)가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2접점단자(130)가 피자성부재 기능을 동시에 가지도록 하여, 자력결합부재(120)와 제2절연재(150)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이때, 제1절연재(140)는, 상기 제1접점단자(110)와 제2접점단자(130) 사이에 그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잭(P)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200)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R)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100)의 제2접점단자(130)가 자력결합부재(120)의 기능을 가지는 경우, 접촉면(PT)의 중심부에 제1접점단자(2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접점단자(210)의 외측에 상기 리셉터클(R)에 구성된 제2접점단자(13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자력결합부재(220)가 제1접점단자(210)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면서 구성되며, 상기 자력결합부재(220)의 외주연에 45도 내지 180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설치홈에 제2접점단자(230)가 제1접점단자(210)를 감싸도록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플러그잭(P)의 자력결합부재(220)가 리셉터클(R)의 제2접점단자(130)에 자력 결합시 플러그잭(P)의 제2접점단자(230)가 리셉터클(R)의 제2접점단자(130)에 접점되도록 한다. 이때, 제1절연재(240)와 제2절연재(250)는, 각각 상기 제1접점단자(210)와 자력결합부재(220) 및 자력결합부재(220)와 제2접점단자(130) 사이에 그대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자기기(E)의 리셉터클(R)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100)는 충전기기(C)의 플러그잭(P)에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충전기기(C)의 플러그잭(P)에 구성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200)는 전자기기(E)의 리셉터클(R)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력식 인터페이스(100,200)는 상호간 대향 또는 대응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이들이 적용되는 대상 기기는 한정되지 않으며, 이는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사실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하면, 리셉터클(R)과 플러그잭(P)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되는 자력결합부재가 자성부재인 경우, 다른 하나에 구성되는 제2접점단자가 피자성부재의 기능을 가지도록 하여, 보다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전자기기(E)의 리셉터클(R) 또는 충전기기(C)의 플러그잭(P)에 적용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100,2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공급을 위한 컨넥팅시 리셉터클과 플러그잭에 구성된 접점단자가 방향성을 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력을 통하여 접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잭의 접촉면 중심부에 위치되는 제1접점단자;
상기 제1접점단자의 외측에 제1접점단자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면서 위치되는 자력결합부재;
상기 자력결합부재의 외측에 자력결합부재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면서 위치되거나 45도 내지 180도의 간격으로 자력결합부재를 감싸도록 배열되는 제2접점단자;
상기 제1접점단자와 자력결합부재 사이에 구성되는 제1절연재;
상기 자력결합부재와 제2접점단자 사이에 구성되는 제2절연재; 및
상기 제2접점단자의 외측에 제2접점단자를 포위하면서 양각 또는 음각 구조로 위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 -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잭의 접촉면 중심부에 위치되는 제1접점단자;
상기 제1접점단자의 외측에 제1접점단자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면서 위치되는 제2접점단자;
상기 제1접점단자와 제2접점단자 사이에 구성되는 제1절연재; 및
상기 제2접점단자의 외측에 제2접점단자를 포위하면서 양각 또는 음각 구조로 위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 -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잭의 접촉면 중심부에 위치되는 제1접점단자;
상기 제1접점단자의 외측에 제1접점단자를 트랙 형상으로 포위하면서 위치되는 자력결합부재;
상기 자력결합부재의 외주연에 45도 내지 180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설치홈에 구성되는 제2접점단자;
상기 제1접점단자와 자력결합부재 사이에 구성되는 제1절연재;
상기 자력결합부재의 설치홈과 제2접점단자 사이에 구성되는 제2절연재; 및
상기 제2접점단자의 외측 또는 자력결합부재의 외측을 포위하면서 양각 또는 음각 구조로 위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단자와 제2접점단자는,
상기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잭 중 어느 하나에 평면 또는 요홈을 가지는 평면단자 타입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다른 하나에는 단부가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가지면서 반동 삽입되는 탄력단자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결합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잭 모두에 자성부재로 구성되거나,
어느 하나에 자성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다른 하나에는 피자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는,
단극 또는 다극이 착자된 자석 또는 영구자석 및 전자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식 인터페이스.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9741A KR101404784B1 (ko) | 2013-04-11 | 2013-04-11 | 자력식 인터페이스 |
PCT/KR2014/001844 WO2014168337A1 (ko) | 2013-04-11 | 2014-03-06 | 자력식 인터페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9741A KR101404784B1 (ko) | 2013-04-11 | 2013-04-11 | 자력식 인터페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4784B1 true KR101404784B1 (ko) | 2014-06-12 |
Family
ID=5113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9741A KR101404784B1 (ko) | 2013-04-11 | 2013-04-11 | 자력식 인터페이스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4784B1 (ko) |
WO (1) | WO2014168337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2101B1 (ko) * | 2015-03-23 | 2016-03-10 | (주)대한특수금속 | 휴대용 충전장치 및 이를 가지는 패션용품 |
KR20230059645A (ko) * | 2021-10-26 | 2023-05-03 | 주식회사 경신 | 차량용 터미널 |
KR20230059646A (ko) * | 2021-10-26 | 2023-05-03 | 주식회사 경신 | 차량용 터미널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281073A (zh) * | 2015-05-29 | 2016-01-27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对称吸附式连接器及其连接方法 |
CN105281116A (zh) * | 2015-05-29 | 2016-01-27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吸附式连接器及其连接方法 |
CN105322324A (zh) * | 2015-05-29 | 2016-02-10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对称吸附式连接器及其连接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8102A (ko) * | 2004-08-23 | 2006-02-28 | 신형진 | 부착식 전원접속기구 |
KR20070117493A (ko) * | 2006-06-08 | 2007-12-12 | 노키아 코포레이션 | 이동 전자 장치용 마그네틱 커넥터 |
KR20120080924A (ko) * | 2011-01-10 | 2012-07-18 | 오토커넥터주식회사 | 전자기 전기 접속 장치 |
KR101204510B1 (ko) | 2012-07-09 | 2012-11-26 | (주)에스피에스 |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
-
2013
- 2013-04-11 KR KR1020130039741A patent/KR1014047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4
- 2014-03-06 WO PCT/KR2014/001844 patent/WO201416833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8102A (ko) * | 2004-08-23 | 2006-02-28 | 신형진 | 부착식 전원접속기구 |
KR20070117493A (ko) * | 2006-06-08 | 2007-12-12 | 노키아 코포레이션 | 이동 전자 장치용 마그네틱 커넥터 |
KR20120080924A (ko) * | 2011-01-10 | 2012-07-18 | 오토커넥터주식회사 | 전자기 전기 접속 장치 |
KR101204510B1 (ko) | 2012-07-09 | 2012-11-26 | (주)에스피에스 |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2101B1 (ko) * | 2015-03-23 | 2016-03-10 | (주)대한특수금속 | 휴대용 충전장치 및 이를 가지는 패션용품 |
KR20230059645A (ko) * | 2021-10-26 | 2023-05-03 | 주식회사 경신 | 차량용 터미널 |
KR20230059646A (ko) * | 2021-10-26 | 2023-05-03 | 주식회사 경신 | 차량용 터미널 |
KR102634968B1 (ko) | 2021-10-26 | 2024-02-07 | 주식회사 경신 | 차량용 터미널 |
KR102634967B1 (ko) | 2021-10-26 | 2024-02-07 | 주식회사 경신 | 차량용 터미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68337A1 (ko) | 2014-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4784B1 (ko) | 자력식 인터페이스 | |
CN104505679B (zh) | 一种连接器和一种连接器的实现方法 | |
KR101265730B1 (ko) | 전력공급차단회로를 구비한 마그네틱 커넥터 모듈 | |
KR102056906B1 (ko) | 자성 접속 장치 | |
KR101326071B1 (ko) | 비삽입형 포트를 가지는 태블릿 피시 및 이에 연결되는 크래들 | |
KR101348932B1 (ko) | 비삽입형 컨넥터를 가지는 유에스비 메모리 및 이에 연결되는 젠더 | |
US9147966B2 (en) |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non-insertion type interface | |
US10707610B1 (en) | Adaptor and connector assembly | |
WO2021042770A1 (zh) | 一种数据线 | |
KR101285253B1 (ko) | 포터블 전자기기용 컨넥터 도킹장치 및 이에 연결되는 주변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 |
KR101348933B1 (ko) |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 |
CN207572680U (zh) | 一种type-c转接头及电连接器 | |
KR20220000837U (ko) | 자력 흡착형 커넥터 | |
CN101636878A (zh) | 用于发光器的装置 | |
TWI691124B (zh) | 磁性電連接器及其接頭 | |
CN104716511A (zh) | 连接器组合 | |
US20190067977A1 (en) | Magnetic charging device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 |
CN211456175U (zh) | 一种数据线 | |
JP5357563B2 (ja) | 高電圧対応多極プラグコネクター | |
CN204333510U (zh) | 一种连接器 | |
KR101370934B1 (ko) |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 |
KR101326072B1 (ko) | 비삽입형 포트를 가지는 노트북 | |
KR101531598B1 (ko) | 멀티 포트를 가지는 전자기기 | |
CN210779082U (zh) | 快速插拔连接器 | |
TWM553504U (zh) | 磁吸式彈簧針連接器對接結構改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