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968B1 - 차량용 터미널 - Google Patents

차량용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968B1
KR102634968B1 KR1020210144037A KR20210144037A KR102634968B1 KR 102634968 B1 KR102634968 B1 KR 102634968B1 KR 1020210144037 A KR1020210144037 A KR 1020210144037A KR 20210144037 A KR20210144037 A KR 20210144037A KR 102634968 B1 KR102634968 B1 KR 102634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contact
terminal
mal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9646A (ko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14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968B1/ko
Publication of KR20230059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차량용 터미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터미널은: 엔드접촉부에 포함되는 피메일 마그넷컨택부로써, 피메일 단자의 일측에서 양쪽으로 연장되는 피메일 사이드윙, 피메일 단자와 한 쌍의 피메일 사이드윙에 감싸여져 고정되고 자성을 띄는 피메일 마그넷, 및 피메일 마그넷의 자력에 의한 메일 단자와의 접촉 면적을 줄이면서 접촉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점접촉안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터미널{TERMINA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일 단자에 메일 마그넷을 고정하고, 피메일 단자에 피메일 마그넷을 고정하여, 메일 마그넷과 피메일 마그넷이 자력에 의해 접촉되어 통전 안내함으로써,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축 삽입함에 따른 단자 간 삽입력 발생으로 인한 조립성 저하와 조립 불량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량용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전제품은 물론이고 산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전기기기에서 전기접속수단으로 커넥터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의 경우에도 전장부품이나 제어기, 배터리 등을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으며, 전류용량에 따라 여러 종류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전선과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통상의 커넥터는 피메일 커넥터(female connector)와 메일 커넥터(male connector)로 구분되며,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 간 체결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피메일, 메일 커넥터는 전선이 연결된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조립한 구조를 가지며, 피메일, 메일 커넥터의 하우징 간 체결이 이루어질 경우 피메일 단자와 메일 단자가 서로 통전될 수 있게 접속된다.
종래에는 전기적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류 용량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 단자들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커넥터 단자들에 대한 표준화 및 공용화, 소형화,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피메일 커넥터에 사용되는 단자, 즉 종래의 피메일 단자는 바렐에 전선을 압착한 단순한 형태서부터 전도도가 높은 원재료 합금계를 사용하여 높은 전류를 수용할 수 있는 통전부를 사용한 형태, 통전부와 더불어 텐션부(스프링)를 채용한 형태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8879호(공개일:2014.01.22.)에는 "삽입성 및 결합성이 향상되는 커넥터 단자"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커넥터는 피메일 단자와 메일 단자를 결합시 통전 안전성 확보를 위해 스프링 접촉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삽입력 및 접압력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데, 고전압용으로 인해 단자 크기(부피)가 증대됨에 따라, 삽입력 및 접압력 증대폭은 더욱 커짐으로써 메일 단자가 피메일 단자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일 단자에 메일 마그넷을 고정하고, 피메일 단자에 피메일 마그넷을 고정하여, 메일 마그넷과 피메일 마그넷이 자력에 의해 접촉되어 통전 안내함으로써,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축 삽입함에 따른 단자 간 삽입력 발생으로 인한 조립성 저하와 조립 불량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량용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은: 피메일 단자; 통전 가능하도록 상기 피메일 단자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접하는 메일 단자; 및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피메일 단자의 일측과 상기 메일 단자의 일측이 단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엔드접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엔드접촉부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고정되고, 자력을 발생하여 대응되는 상기 메일 단자를 접촉 유도하는 피메일 마그넷컨택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메일 마그넷컨택부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일측에서 양쪽으로 연장되는 피메일 사이드윙; 상기 피메일 단자와 한 쌍의 상기 피메일 사이드윙에 감싸여져 고정되고, 자성을 띄는 피메일 마그넷; 및 상기 피메일 마그넷의 자력에 의한 상기 메일 단자와의 접촉 면적을 줄이면서 접촉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점접촉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엔드접촉부는, 상기 메일 단자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고정되고, 자력을 발생하여 상기 점접촉안내부와 접촉되어 상기 피메일 단자와 상기 메일 단자의 통전을 유도하는 메일 마그넷컨택부를 포함한다.
상기 점접촉안내부는, 상기 피메일 마그넷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에 축 삽입되고, 상기 피메일 마그넷의 자력을 대응되는 상기 메일 단자 측에 직접적으로 전달하도록 자력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하는 접촉핀; 및 상기 피메일 단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상기 접촉핀을 지지하고, 상기 접촉핀의 일부를 외측으로 돌출 안내하기 위해 연통홀을 통공한 스토핑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점접촉안내부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 고정된 채 상기 접촉핀을 상기 스토핑패드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피메일 마그넷은, 상기 피메일 사이드윙의 타측에 피메일 서포터를 구비하여 상기 피메일 마그넷의 타측면을 접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일 마그넷컨택부는, 상기 메일 단자의 일측에서 양쪽으로 연장되는 메일 사이드윙; 및 상기 메일 단자와 한 쌍의 상기 메일 사이드윙에 감싸여져 고정되고, 대응되는 상기 피메일 마그넷과 인력(引力)이 작용하는 자성을 띄는 메일 마그넷을 포함한다.
상기 메일 마그넷컨택부는, 상기 메일 단자의 일측 또는 상기 메일 사이드윙의 일측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메일 마그넷을 탄성적으로 접하는 메일 탄성패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은 종래 기술과 달리 메일 단자에 메일 마그넷을 고정하고, 피메일 단자에 피메일 마그넷을 고정하여, 메일 마그넷과 피메일 마그넷이 자력에 의해 접촉되어 통전 안내함으로써,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축 삽입함에 따른 단자 간 삽입력 발생으로 인한 조립성 저하와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의 피메일 단자와 메일 단자가 접촉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단자와 메일 단자가 자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의 피메일 단자와 메일 단자를 분리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의 피메일 단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의 메일 단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의 피메일 단자와 메일 단자가 접촉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 단자와 메일 단자가 자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의 피메일 단자와 메일 단자를 분리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의 피메일 단자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의 메일 단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10)은 피메일 단자(20), 메일 단자(30) 및 엔드접촉부(100)를 포함한다.
피메일 단자(20)는 피메일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고, 피메일 와이어(도시하지 않음)를 안착하여 고정한다. 특히, 피메일 단자(20)는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피메일 단자(female terminal,20)는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피메일 바디(22) 및 피메일 바렐(24)을 포함한다.
피메일 바디(22)는 피메일 와이어를 통전 가능하도록 안착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피메일 바디(22)는 가늘고 긴 판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가늘고 길면서 호 형상으로 상측면이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피메일 바디(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피메일 바렐(24)은 피메일 바디(22)에서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위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피메일 바렐(24)은 피메일 바디(22)에 놓인 피메일 와이어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피메일 바렐(2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메일 단자(male terminal,30)는 통전 가능하도록 피메일 단자(2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접한다.
특히, 메일 단자(30)는 메일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에 삽입 고정되고, 메일 와이어(도시하지 않음)를 안착하여 고정한다. 특히, 메일 단자(30)는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피메일 하우징과 메일 하우징이 결합시, 메일 단자(30)의 일측과 피메일 단자(20)의 일측이 통전 가능하도록 단부끼리 접촉된다.
이때, 메일 단자(30)는 메일 바디(32) 및 메일 바렐(34)을 포함한다.
메일 바디(32)는 메일 와이어를 통전 가능하도록 안착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메일 바디(32)는 가늘고 긴 판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가늘고 길면서 호 형상으로 상측면이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메일 바디(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메일 바렐(34)은 메일 바디(32)에서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위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메일 바렐(34)은 메일 바디(32)에 놓인 메일 와이어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메일 바렐(3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엔드접촉부(100)는 피메일 단자(20)의 축 방향을 따라, 피메일 단자(20)의 일측과 이에 대응되는 메일 단자(30)의 일측이 단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로써, 메일 단자(30)와 피메일 단자(20)가 전기 접속이 된다.
상세히, 엔드접촉부(100)는 피메일 마그넷컨택부(110) 및 메일 마그넷컨택부(120)를 포함한다.
피메일 마그넷컨택부(110)는 피메일 단자(2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고정되고, 자력을 발생하여 대응되는 메일 단자(30)를 접촉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메일 마그넷컨택부(120)는 메일 단자(3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고정되고, 자력을 발생하여 피메일 단자(20)와 피메일 마그넷컨택부(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접촉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피메일 마그넷컨택부(110)와 메일 마그넷컨택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
피메일 마그넷컨택부(110) 또는 메일 마그넷컨택부(120)가 단독으로 구비될 경우, 피메일 단자(20)와 메일 단자(30)는 대향하는 마그넷에 접촉되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편의상, 피메일 마그넷컨택부(110)와 메일 마그넷컨택부(120)가 동시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더욱 상세히, 피메일 마그넷컨택부(110)는 피메일 사이드윙(112), 피메일 마그넷(114) 및 점접촉안내부(130)를 포함한다.
피메일 사이드윙(112)은 피메일 단자(20)의 축 방향에 대해 일측에서, 축 방향을 따라 양쪽 가장자리에서 각각 연장된다. 피메일 사이드윙(112)은 한 쌍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피메일 마그넷(114)은 피메일 단자(20)와 한 쌍의 피메일 사이드윙(112)에 감싸여져 고정되고, 자성을 띈다. 특히, 피메일 마그넷(114)은 원형 블록 형상인 것으로 한다. 그래서, 피메일 마그넷(114)은 호 궤적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피메일 바디(22)에 안착되고, 한 쌍의 피메일 사이드윙(112)에 의해 감싸여진다.
물론, 피메일 사이드윙(112)과 피메일 마그넷(11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점접촉안내부(130)는 피메일 마그넷(114)의 자력에 의한 메일 단자(30) 측과의 접촉 면적을 줄이면서 접촉 신뢰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메일 마그넷컨택부(120)는, 메일 사이드윙(122) 및 메일 마그넷(124)을 포함한다.
메일 사이드윙(122)은 메일 단자(30)의 일측에서 양쪽으로 연장된다. 즉, 메일 사이드윙(122)은 메일 단자(30)의 축 방향에 대해 일측에서, 축 방향을 따라 양쪽 가장자리에서 각각 연장된다. 메일 사이드윙(122)은 한 쌍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메일 마그넷(124)은 메일 단자(30)와 한 쌍의 메일 사이드윙(122)에 감싸여져 고정되고, 대응되는 피메일 마그넷(114)과 인력(引力)이 작용하는 자성을 띈다.
그래서, 피메일 마그넷(114)과 메일 마그넷(124)이 자력에 의해 상호 면접촉됨에 따라, 피메일 단자(20)와 메일 단자(30)가 통전된다.
이때, 메일 마그넷(124)은 원형 블록 형상인 것으로 한다. 그래서, 메일 마그넷(124)은 호 궤적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메일 바디(32)에 안착되고, 한 쌍의 메일 사이드윙(122)에 의해 감싸여진다.
한편, 점접촉안내부(130)는 개구부(132), 접촉핀(134), 스토핑패드(138) 및 탄성스프링(136)을 포함한다.
개구부(132)는 피메일 마그넷(114)에 중심축을 따라 일측으로 개방되게 통공 형성된다.
접촉핀(134)은 통전 및 자력의 전달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개구부(132)에 축 삽입된다. 접촉핀(136)이 메일 마그넷(124) 또는 메일 탄성패드(126)에 직접적으로 점 또는 선 접촉됨으로써, 피메일 마그넷(114)의 자력을 대응되는 메일 단자(30) 측에 직접적으로 전달한다. 아울러, 접촉핀(134)이 메일 마그넷(124) 또는 메일 탄성패드(126)에 직접적으로 점 또는 선 접촉됨에 따라 분리시 면 접촉 대비 적은 힘이 소요되어 피메일 단자(20) 또는 메일 단자(30)의 분리가 용이하다.
아울러, 스토핑패드(138)는 접촉핀(136)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접촉핀(134)이 개구부(132)에서 이탈하거나, 개구부(132)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피메일 바디(22)의 일측 또는 피메일 사이드윙(112)의 일측은 스토핑패드(138)를 연장 형성하고, 스토핑패드(138)는 접촉핀(134)의 일부를 삽입하여 외측으로 돌출 안내하도록 연통홀(139)을 통공한다. 이때, 스토핑패드(138)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접촉핀(138)은 연통홀(139)을 완전히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턱(135)을 구비한다. 걸림턱(135)이 스토핑패드(138)의 타측면에 접함으로써, 접촉핀(134)은 축 방향을 따라 일부만 연통홀(139)을 통해 스토핑패드(138)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탄성스프링(136)은 개구부(132)에 삽입된 접촉핀(134)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접촉핀(134)은 탄성스프링(136)에 의해 스토핑패트(138) 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메일 마그넷(124) 또는 메일 탄성패드(126)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접촉핀(134)은 탄성스프링(136)의 탄성 지지에 의해 메일 마그넷(124) 또는 메일 탄성패드(126)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피메일 마그넷(114)이 피메일 바디(22)의 타측에서 피메일 사이드윙(112)에 둘레면이 감싸여진 채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피메일 서포터(116)가 구비된다.
피메일 서포터(116)는 피메일 사이드윙(112)의 타측 또는 피메일 바디(22)의 설정 위치에 구비되어, 피메일 바디(22)에 안착된 피메일 마그넷(114)의 타측면을 접하여 지지한다.
이때, 피메일 마그넷(114)의 일측면이 대응되는 메일 마그넷(124)에 접한 상태에서, 피메일 서포터(116)가 피메일 마그넷(114)의 타측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피메일 서포터(116)는 한 쌍의 피메일 사이드윙(112)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피메일 서포터(116)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피메일 마그넷(114)은 둘레면이 피메일 사이드윙(112)에 감싸여지고, 일측면이 스토핑패드(138)에 접하여 지지되며, 타측면이 피메일 서포터(116)에 접하여 지지됨에 따라, 피메일 바디(2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로써, 접촉핀(134)은 단부가 메일 탄성패드(126)에 최소 면적에서 접촉하여 통전 허용한다. 아울러, 대응되는 피메일 마그넷(114)과 메일 마그넷(124)이 일측 일부끼리 접촉되어 접촉 신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메일 마그넷(124)이 메일 바디(32)의 일측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접촉핀(136)과의 접촉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메일 마그넷컨택부(120)는 메일 탄성패드(126) 및 메일 서포터(128)를 포함한다.
메일 탄성패드(126)는 메일 단자(30)의 일측 또는 메일 사이드윙(122)의 일측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메일 바디(32)의 일측에 안착된 메일 마그넷(124)을 탄성적으로 접하게 된다. 아울러, 메일 마그넷(124)은 메일 탄성패드(126)를 수용하거나 더욱 견고하게 걸리도록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일 서포터(128)는 메일 바디(32) 또는 메일 사이드윙(122)에 구비되어, 메일 마그넷(124)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메일 마그넷(124)은 메일 바디(32)의 축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피메일 단자(20)가 메일 탄성패드(126)를 구비하고, 메일 단자(30)가 스토핑패드(138)와 피메일 서포터(116)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터미널 20: 피메일 단자
22: 피메일 바디 24: 피메일 바렐
30: 메일 단자 32: 메일 바디
34: 메일 바렐 100: 엔드접촉부
110: 피메일 마그넷컨택부 112: 피메일 사이드윙
114: 피메일 마그넷 116: 피메일 서포터
120: 메일 마그넷컨택부 122: 메일 사이드윙
124: 메일 마그넷 126: 메일 탄성패드
128: 메일 서포터 130: 점접촉안내부
132: 개구부 134: 접촉핀
135: 걸림턱 136: 탄성스프링
138: 스토핑패드 139: 연통홀

Claims (7)

  1. 피메일 단자; 통전 가능하도록 상기 피메일 단자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접하는 메일 단자; 및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피메일 단자의 일측과 상기 메일 단자의 일측이 단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엔드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접촉부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고정되고, 자력을 발생하여 대응되는 상기 메일 단자를 접촉 유도하는 피메일 마그넷컨택부; 및 상기 메일 단자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고정되고, 자력을 발생하여 상기 피메일 단자와 상기 메일 단자의 통전을 유도하는 메일 마그넷컨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메일 마그넷컨택부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일측에서 양쪽으로 연장되는 피메일 사이드윙; 상기 피메일 단자와 한 쌍의 상기 피메일 사이드윙에 감싸여져 고정되고, 자성을 띄는 피메일 마그넷; 및 상기 피메일 마그넷의 자력에 의한 상기 메일 마그넷컨택부와의 접촉 면적을 줄인 채 접촉을 유지함으로써 접촉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점접촉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접촉안내부는, 상기 피메일 마그넷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에 축 삽입되고, 상기 피메일 마그넷의 자력을 대응되는 상기 메일 단자 측에 직접적으로 전달하도록 자력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하는 접촉핀; 및 상기 피메일 단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상기 접촉핀을 지지하고, 상기 접촉핀의 일부를 외측으로 돌출 안내하기 위해 연통홀을 통공한 스토핑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일 마그넷컨택부는, 상기 메일 단자의 일측에서 양쪽으로 연장되는 메일 사이드윙; 상기 메일 단자와 한 쌍의 상기 메일 사이드윙에 감싸여져 고정되고, 대응되는 상기 피메일 마그넷과 인력(引力)이 작용하는 자성을 띄는 메일 마그넷; 및 상기 메일 단자의 일측 또는 상기 메일 사이드윙의 일측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메일 마그넷에 접한 채 타측이 상기 점접촉안내부에 접하는 메일 탄성패드를 포함하여,
    상기 접촉핀이 대응되는 상기 메일 탄성패드에 직접적으로 점 또는 선 접촉됨으로써, 상기 피메일 마그넷의 자력이 대응되는 상기 메일 단자 측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며, 점 또는 선 접촉으로 인해 상기 메일 탄성패드와 상기 접촉핀은 분리를 위한 외력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터미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접촉안내부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 고정된 채 상기 접촉핀을 상기 스토핑패드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터미널.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마그넷은, 상기 피메일 사이드윙의 타측에 피메일 서포터를 구비하여 상기 피메일 마그넷의 타측면을 접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터미널.
  6. 삭제
  7. 삭제
KR1020210144037A 2021-10-26 2021-10-26 차량용 터미널 KR102634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037A KR102634968B1 (ko) 2021-10-26 2021-10-26 차량용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037A KR102634968B1 (ko) 2021-10-26 2021-10-26 차량용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646A KR20230059646A (ko) 2023-05-03
KR102634968B1 true KR102634968B1 (ko) 2024-02-07

Family

ID=86380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037A KR102634968B1 (ko) 2021-10-26 2021-10-26 차량용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9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0310A (ja) 2000-10-04 2002-04-12 Yazaki Corp 端子挿入装置及び端子挿入方法
KR100892822B1 (ko) 2007-11-13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냅식 터미널
JP2009539224A (ja) * 2006-06-02 2009-11-12 リー・ヴィンセント・ジェイ 同軸ケーブル用磁気コネクタ
KR101404784B1 (ko) 2013-04-11 2014-06-12 (주)대한특수금속 자력식 인터페이스
JP2016095914A (ja) 2014-11-12 2016-05-26 住友電装株式会社 組合せ端子
JP3229063U (ja) 2020-07-14 2020-11-26 東莞市晨訊電子有限公司 ボール型のマグネット着脱式充電ケーブル及びその組立て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0310A (ja) 2000-10-04 2002-04-12 Yazaki Corp 端子挿入装置及び端子挿入方法
JP2009539224A (ja) * 2006-06-02 2009-11-12 リー・ヴィンセント・ジェイ 同軸ケーブル用磁気コネクタ
KR100892822B1 (ko) 2007-11-13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냅식 터미널
KR101404784B1 (ko) 2013-04-11 2014-06-12 (주)대한특수금속 자력식 인터페이스
JP2016095914A (ja) 2014-11-12 2016-05-26 住友電装株式会社 組合せ端子
JP3229063U (ja) 2020-07-14 2020-11-26 東莞市晨訊電子有限公司 ボール型のマグネット着脱式充電ケーブル及びその組立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646A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220325A (ja) コネクタ装置
WO2018116964A1 (ja) 端子モジュール及びコネクタ
CN113258372B (zh) 电性连接套件及电性连接器
US9136660B2 (en) Female terminal
CN216120105U (zh) 一种高压直流继电器
JP2017112031A (ja) コネクタ
CN110679041B (zh) 大电流用端子及连接器
KR102634968B1 (ko) 차량용 터미널
CA2327868C (en) Self-aligning electrical interconnect
US20220399667A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KR102634967B1 (ko) 차량용 터미널
CN219247026U (zh) 弯头fak连接器
EP1253682A1 (en) Electrical connector
JP3078521U (ja) コネクタ
CN117223176A (zh) 插头连接器组件和插头连接件
JPH08213087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用導通経路部材
JPH11250964A (ja) 雌型電気コンタクト部材
CN204333361U (zh) 探针式连接器结构
CN220527241U (zh) 一种单孔直插式连接器
CN218586422U (zh) 端子装置的接电组件结构
KR102067359B1 (ko) 전기 커넥터의 터미널
CN220155789U (zh) 大电流电连接器
CN218448567U (zh) 带塑料外壳体的电连接器和相应电连接器套件
CN219873338U (zh) 高压直流接触器
CN220368174U (zh) 一种导电插脚及电源插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