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822B1 - 스냅식 터미널 - Google Patents

스냅식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822B1
KR100892822B1 KR1020070115715A KR20070115715A KR100892822B1 KR 100892822 B1 KR100892822 B1 KR 100892822B1 KR 1020070115715 A KR1020070115715 A KR 1020070115715A KR 20070115715 A KR20070115715 A KR 20070115715A KR 100892822 B1 KR100892822 B1 KR 100892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lder
mail
femal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5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냅식 구조를 갖는 커넥터의 터미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 외주면에 결속부가 형성된 챔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일 터미널, 상기 결속부가 삽입 결합되는 홀더를 구비한 홀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피메일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메일 터미널과 피메일 터미널이 스냅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식 터미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일 터미널의 챔퍼부위가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고, 피메일 터미널의 텐션이 강화되며, 상기 메일 터미널과 피메일 터미널의 결합이 스냅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접점구조가 안정되어 접촉불량의 원인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터미널, 메일 터미널, 피메일 터미널, 챔퍼, 홀더

Description

스냅식 터미널{Snap type terminal}
본 발명은 스냅식 구조를 갖는 커넥터의 터미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전장 설비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은 전장 설비는 와이어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거나 기타 신호를 공급받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들을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시키기 위해서 터미널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의 (a)는 종래의 메일 터미널(Male terminal)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메일 터미널(10)은 챔퍼(Chamfer, 12),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14), 와이어 배럴(Wire barrel, 16), 인슐래이션 배럴(Insulation barrel, 18)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배럴(14)은 세레이션(Serration)과 같이 형성된다. 상기 챔퍼(12)는 길고 얇게 형성되어 단자에 접속되는 부분이고, 상기 스태빌라이저(14)는 하우징과의 결속부로 상기 챔퍼(12)가 삽입될 때 가이드 역할을 하고 단자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와이어 배럴과 세레이션(16)은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 심선을 압착하고 인장강도를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인슐레이션 배럴(18)도 단면이 'U'자로 형성되어 도선의 절연부를 압착하여 피복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의 (b)는 종래의 피메일 터미널(Female terminal)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종래의 피메일 터미널(20)은 업퍼 홀더(Upper holder, 22), 인서션 클리어런 스(Insertion clearance, 24),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26), 벨 마우스(Bell mouth, 32), 와이어 배럴(Wire barrel, 34), 인슐레이션 배럴(Insulation barrel, 36)로 구성된다. 상기 업퍼 홀더(22)는 상기 메일 터미널(10)의 챔퍼(12)가 삽입되어 면접촉을 이루면서 안정적으로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인서션 클리어런스(24)는 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하여 상기 챔퍼(12)와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스태빌라이저(26)는 상기 챔퍼(12)가 상기 업퍼 홀더(22)에 삽입될 때 가이드 역할을 하며 단자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벨 마우스(32)는 심선의 단선을 방지하고 인장강도를 유지하며, 상기 와이어 배럴(34)은 상기 심선을 압착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인슐레이션 배럴(36)은 단면이 'U'자로 형성되어 도선의 절연부를 압착하여 피복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메일 터미널(Male terminal)의 챔퍼(Chamfer)는 길고 얇게 형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형상은 작업이나 정비를 하기 위해 탈부착을 하는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챔퍼가 구부러지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상기 챔퍼가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메일 터미널을 피메일 터미널(Female terminal)에 연결할 때 통전을 방해하는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정비를 하는 경우나 차량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무리한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메일 터미널과 피메일 터미널이 체결되거나 잘못 체결되는 경우, 또는 메일 터미널의 잦은 탈착으로 인하여 상기 피메일 터미널의 인서션 클리어런스(Insertion clearance)의 텐션(Tension)이 약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현상으로 인하여 상기 메일 터미널의 챔퍼와의 접촉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종래의 메일 터미널의 챔퍼 대신 짧은 챔퍼를 사용하고, 종래의 피메일 터미널의 업퍼 홀더 대신 잦은 탈착에도 텐션이 약화되지 않고 상기 챔퍼를 감쌀 수 있는 피메일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외주면에 결속부가 형성된 챔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일 터미널, 상기 결속부가 삽입 결합되는 홀더를 구비한 홀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피메일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메일 터미널과 피메일 터미널이 스냅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식 터미널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챔퍼의 끝단에 형성되어 단면이 점차 넓어지는 도입부, 상기 도입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상사점부, 상기 상사점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단면이 점차 작아지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결속부를 감싸는 둘 이상의 텐션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결속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둘 이상의 텐션생성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식 터미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일 터미널은 하우징과 결속되어 단자의 유동을 방지하는 메일 스태빌라이저, 심선을 압착하여 피복을 고정하는 메일 배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 터미널은 하우징과 결속되어 단자의 유동을 방지하는 피메일 스태빌라이저, 심선을 압착하여 피복을 고정하는 피메일 배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식 터미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일 터미널의 챔퍼부위가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고, 피메일 터미널의 텐션이 강화되며, 상기 메일 터미널과 피메일 터미널의 결합이 스냅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접점구조가 안정되어 접촉불량의 원인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메일 터미널과 피메일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메일 터미널(Male terminal, 100)은 챔퍼(Chamfer, 110), 메일 스태빌라이저(Male stabilizer, 120), 메일 배럴(Male barrel, 1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챔퍼(110)는 짧고 굵은 구조로 형성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서도 휘어지는 등의 형상변화가 쉽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잦은 탈착이 있어도 무방하고, 상기 챔퍼(110)의 끝단에는 결속부(112)가 형성되어 피메일 터미널(Female terminal, 200)과 스냅식(Snap type)으로 결합되어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피메일 터미널(200)은 홀더부(210), 피메일 스태빌라이저(Female stabilizer, 220), 피메일 배럴(Female barrel, 2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부(210)도 상기 챔퍼(110)와 마찬가지로 굵고 짧게 형성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서도 상기 홀더부(210)의 형태는 쉽게 변화되지 않고, 상기 챔퍼(110)의 결속 부(112)가 결합되는 홀더(21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챔퍼(110)의 후단에는 메일 스태빌라이저(120)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210)의 후단에는 피메일 스태빌라이저(220)가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 스태빌라이저(220)는 종래의 메일 터미널(10)이나 피메일 터미널(20)의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14, 26)와 마찬가지로 상기 메일 터미널(100)이 상기 피메일 터미널(200)에 삽입될 때 가이드 역할을 하고 단자의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일 배럴(130)과 피메일 배럴(230)은 종래의 메일 터미널(10)이나 피메일 터미널(20)의 인슐레이션 배렬(Insulation barrel, 18, 36), 와이어 배럴(Wire barrel, 16, 34) 및 세레이션(Serration)이 하나의 구조로 합쳐진 것으로 상기 메일 스태빌라이저(120)와 피메일 스태빌라이저(220)의 후단에 각각 형성되어 종래와 마찬가지로 절연부인 피복을 고정하고 압박하며, 심선을 압착하고, 인장강도를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메일 터미널의 챔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피메일 터미널의 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메일 터미널(100)의 챔퍼(110)는 짧고 굵게 형성되어 외력에도 잘 휘어지지 않게 형성되고, 상기 챔퍼(110)의 끝단에는 결속부(112)가 형성되어 피메일 터미널(200)의 홀더(212)에 결합되었을 때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피메일 터미널(200)의 홀더부(210)도 짧고 굵게 형성되어 외력의 영향으로 외형의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되고, 상기 홀더부(210)의 끝단에는 홀더(212)가 형성되어 상기 결속부(112)가 결합된다.
상기 홀더(212)는 텐션부(214)와 텐션생성홈(216)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홀더(212)의 지름은 상기 홀더부(21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마치 상기 홀더부(210)의 지름보다 큰 링이 상기 홀더부(210)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는 형상이 되는데, 상기 텐션부(214)는 상기 결속부(112)를 감싸서 상기 결속부(112)가 일단 체결된 후에 쉽게 분리되지 못하도록 사방에서 탄성을 가한다. 그리고 상기 텐션생성홈(216)은 상기 결속부(112)가 결합될 때 상기 텐션부(214)가 사방으로 벌어지기 위해서 형성되는데, 상기 텐션생성홈(216)으로 인하여 상기 텐션부(214)는 휘어질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결속부(112)는 도입부(114), 상사점부(116), 걸림턱(118)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속부(112)는 마치 상기 챔퍼(110)의 끝단에 오링(O-ring)이 결합된 형상이 되는데, 상기 도입부(114)는 상기 홀더(212)에 삽입될 때 상기 텐션부(214)가 사방으로 벌어지도록 맨 끝단의 지름은 상기 텐션부(214)의 결속도입부(218)의 지름보다 크지 않게 형성되지만, 상기 도입부(114)의 지름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도입부(114)가 상기 결속도입부(218)에 삽입되면서 상기 결속도입부(218)의 지름은 커지고, 그로인해서 상기 텐션부(214)는 사방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사점부(116)는 상기 도입부(114)의 후단에 형성되어 단면의 지름은 일정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텐션부(214)가 상기 결속부(112)를 감싸도록 형성될 때 안정감을 주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걸림턱(118)은 상기 상사점부(116)의 후단에 형성되어 단면의 지름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결속부(112)가 상기 홀더(21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결속부(112)가 상기 홀더(212)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부(214)의 끝단이 상기 걸림턱(118)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홀더(212)에 형성되는 상기 텐션생성홈(216)은 다수 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텐션생성홈(216)으로 인하여 상기 텐션부(214)에 응력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텐션부(214)가 사방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텐션생성홈(216)은 하나 또는 두 개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텐션부(214)가 벌어지기가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상기 텐션생성홈(216)은 최소 세 개 이상이 형성되어야 상기 텐션부(214)가 여러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텐션생성홈(216)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상기 텐션부(214)는 폭이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텐션부(214)의 응력이 작아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상기 텐션생성홈(216)의 개수는 세 개나 네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텐션생성홈(216)의 생성 위치는 대칭적으로 각각 서로의 가장 먼 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메일 터미널(100)의 챔퍼(110)와 피메일 터미널(200)의 홀더부(210)의 재질은 전기적 전도성이 좋은 도체로 형성되어야 하며, 외력에 의한 변형이 적은 재질로 형성되어야 상기 텐션부(214)의 응력이 제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메일 터미널과 피메일 터미널이 결합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메일 터미널(100)의 도입부(114)와 상사점부(116)로 인해서 피메일 터미 널(200)의 결속도입부(218)로 삽입될때, 텐션부(214)는 상기 메일 터미널(100)의 삽입방향에 바깥쪽의 수직한 방향으로 벌어진다. 그리고 상기 도입부(114)와 상사점부(116)가 상기 결속도입부(218)에 삽입될 때까지 상기 결속도입부(218)의 단면적은 점차 넓어져 상기 텐션부(214)가 바같쪽으로 벌어지지만 걸림턱(118)부터는 상기 결속도입부(218)의 단면적이 좁아지기 때문에 상기 텐션부(214)는 탄성에 의해서 안쪽으로 오므라들므로 단단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메일 터미널(100)이 분리될 때에는 상기 메일 터미널(100)이 피메일 터미널(200)에 삽입되는 과정의 반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의 (a)는 종래의 메일 터미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의 (b)는 종래의 피메일 터미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메일 터미널과 피메일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메일 터미널의 챔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피메일 터미널의 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메일 터미널과 피메일 터미널이 결합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메일 터미널 110: 챔퍼
112: 결속부 114: 도입부
116: 상사점부 118: 걸림턱
120: 메일 스태빌라이저 130: 메일 배럴
200: 피메일 터미널 210: 홀더부
212: 홀더 214: 텐션부
216: 텐션생성홈 218: 결속도입부
220: 피메일 스태빌라이저 230: 피메일 배럴

Claims (5)

  1. 일측 외주면에 결속부(112)가 형성된 챔퍼(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일 터미널(100);
    상기 결속부(112)가 삽입 결합되는 홀더(212)를 구비한 홀더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피메일 터미널(200);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212)는,
    상기 결속부(112)를 감싸는 둘 이상의 텐션부(214)가 형성되도록,
    상기 결속부(112)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둘 이상의 텐션생성홈(216)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212)의 지름은 상기 홀더부(21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홀더(212)는 상기 홀더부(210)의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메일 터미널(100)과 피메일 터미널(200)이 스냅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식 터미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112)는,
    상기 챔퍼(110)의 끝단에 형성되어 단면이 점차 넓어지는 도입부(114);
    상기 도입부(114)의 후단에 형성되는 상사점부(116);
    상기 상사점부(116)의 후단에 형성되어 단면이 점차 작아지는 걸림턱(11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식 터미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터미널(100)은,
    하우징과 결속되어 단자의 유동을 방지하는 메일 스태빌라이저(120);
    심선을 압착하여 피복을 고정하는 메일 배럴(13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식 터미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터미널(200)은,
    하우징과 결속되어 단자의 유동을 방지하는 피메일 스태빌라이저(220);
    심선을 압착하여 피복을 고정하는 피메일 배럴(23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식 터미널.
KR1020070115715A 2007-11-13 2007-11-13 스냅식 터미널 KR100892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715A KR100892822B1 (ko) 2007-11-13 2007-11-13 스냅식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715A KR100892822B1 (ko) 2007-11-13 2007-11-13 스냅식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822B1 true KR100892822B1 (ko) 2009-04-10

Family

ID=4075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715A KR100892822B1 (ko) 2007-11-13 2007-11-13 스냅식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8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645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터미널
KR20230059646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터미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195A (ko) * 1993-08-03 1995-03-21 루이스 에이. 헥트 개선된 단자 래칭 장치를 갖춘 전기 커넥터
US5634829A (en) * 1995-04-20 1997-06-03 Interlock Corporation Low engagement force terminal with easy off-axis disengagement
KR200323915Y1 (ko) 2003-05-30 2003-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와 플래쉬 일체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195A (ko) * 1993-08-03 1995-03-21 루이스 에이. 헥트 개선된 단자 래칭 장치를 갖춘 전기 커넥터
US5634829A (en) * 1995-04-20 1997-06-03 Interlock Corporation Low engagement force terminal with easy off-axis disengagement
KR200323915Y1 (ko) 2003-05-30 2003-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와 플래쉬 일체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645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터미널
KR20230059646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터미널
KR102634967B1 (ko) 2021-10-26 2024-02-07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터미널
KR102634968B1 (ko) 2021-10-26 2024-02-07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터미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3480B1 (en) Connector terminal having electrical wire and connector receiving the same
US8251758B2 (en) Electrical contact
US20060035523A1 (en) Connector and cable retainer
KR101629125B1 (ko) 단자 피팅
CN103765683A (zh) 端子
JPWO2008120632A1 (ja) コネクタ端子及び該コネクタ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
JP5598870B2 (ja) 光ファイバ把持部材、メカニカルスプライス、および光コネクタ
US9437938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pressure attaching terminal to electric wire and connecting method of pressure attaching terminal to electric wire
KR20140016817A (ko) 전기 단자
US682114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rosstalk reduction and control
KR100892822B1 (ko) 스냅식 터미널
JP2011054433A (ja) 防水コネクタ
JP2008135275A (ja) 電気コンタクト及びメス端子
KR102513547B1 (ko) 코일단말의 접속구조
JP2008077952A (ja) コネクタ
JP4530797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2018092757A (ja) 端子
CN106450865B (zh) 插头连接器组件
JP2019114516A (ja) 端子付き電線
US20100167586A1 (en) Telecommunications cable connector
US11336035B2 (en) Clamping spring for a screwless connection terminal
KR20100118437A (ko) 터미널
CN105896144A (zh) 端子连接构造
KR102180137B1 (ko) 전선 결합 커넥터
CN210779098U (zh) 一种接线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