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817A - 전기 단자 - Google Patents

전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817A
KR20140016817A KR1020130083487A KR20130083487A KR20140016817A KR 20140016817 A KR20140016817 A KR 20140016817A KR 1020130083487 A KR1020130083487 A KR 1020130083487A KR 20130083487 A KR20130083487 A KR 20130083487A KR 20140016817 A KR20140016817 A KR 20140016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wire
joining
inner surfaces
surfac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6247B1 (ko
Inventor
마사아키 하라사와
켄 사카이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4001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0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rotatable c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41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a tapered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7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having an uneven wire 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7Comprising supplementary or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코일 권선과 같이 가느다란 와이어를 접속한 때에 안정된 와이어의 접속이 가능함과 동시에 좁은 피치화에 대응할 수 있고, 더욱이 전기 단자 단일체로 와이어의 접속을 행할 수 있는 전기 단자를 제공한다.
전기 단자(1)에 있어서, 제1부재(10)에서의 한 쌍의 접합면부(11)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큰 측부터 와이어를 수용하여 상기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에서 와이어(40)를 보호 유지한다.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에는, 와이어(40)의 축심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톱니형 접점(11b,11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부재(20)는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큰 측부터 한 쌍의 접합면부(11)에 감합하고,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을 접근시킨다. 이에 따라 복수의 톱니형 접점(11b,11c)이 와이어(40)에 들어가 와이어(40)가 한 쌍의 접합면부(11)에 접속된다.

Description

전기 단자{Electrical Contact}
본 발명은 코일 권선과 같이 가느다란 와이어가 접속되는 전기 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와이어가 접속되는 전기 단자로서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참조). 도 11은 종래의 전기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전기 단자에 2가닥의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를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전기 단자(101)는 베이스부(103)의 양측에서 기립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104, 105)을 구비하고,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캐비티(102)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 단자(101)는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된다. 베이스부(103)는 와이어(W1, W2: 도 12참조)의 축심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세로길이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측벽(104, 105) 및 베이스부(103)의 내표면에는 일방의 측벽(104) 상단에서 타방의 측벽(105) 상단에 이르기까지 연속한 복수의 톱니형 접점(106)(Serration)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방의 측벽(104)에 형성된 톱니형 접점(106)과 타방의 측벽(105)에 형성된 톱니형 접점(106)과는 서로 대향하여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톱니형 접점(106)은 와이어(W1, W2; 도 12참조)의 축심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2가닥의 와이어(W1, W2)가 캐비티(102) 내에 들어가고 나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벽(104, 105)을 변형시켜 와이어(W1, W2)를 전기 단자(101)에 압착하여 접속한다. 그러면 일방의 측벽(104)이 와이어(W1)의 주위를 둘러싸고 타방의 측벽(105)이 와이어(W2)를 둘러싼다. 이 때 각 톱니형 접점(106)이 와이어(W1, W2)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종래부터 코일 권선과 같이 가느다란 와이어가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의 일예로서 도 13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참조). 도 13은 종래예의 전기 커넥터이며 전기 단자가 하우징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201)는 단자 수용 캐비티(211)를 갖는 하우징(210)과 단자 수용 캐비티(211)에 삽입되는 전기 단자(220)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10)의 단자 수용 캐비티(211)의 상방 양측에는 제1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10)의 단자 수용 캐비티(211)의 하방 양측에는 제2홈(2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210)의 상벽(214)의 후방부(도 13에 있어서 우방부)에는 와이어 회전감기부(215)가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 회전감기부(215)에는 와이어(216)가 감긴다. 와이어(216)는 금속심과 금속심의 외측에 피복된 절연부를 구비한 예를 들면 A, W, G 50 정도의 가느다란 절연전선이다.
한편 전기 단자(220)는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되고, 대략 직사각형 평판상의 베이스부(221)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221)의 폭 방향 양측에는 복수의 랜스(221a, 22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기 단자(220)는 베이스부(221)의 가로방향 전단(도 13에서 우단)에서 비스듬히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측 측판부(222)와, 베이스부(221)의 가로방향 후단에서 비스듬히 전방으로 유턴하듯이 연장되는 후측 측판부(22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측 측판부(222)의 선단(222a)에서 후방으로 유턴하듯이 측판부(223)가 연장되어 있다. 이 측판부(223)의 표면에는 복수의 톱니형 접점(225)(Serration)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측 측판부(224)의 선단은 측판부(223)의 선단 양측에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플런지(223a) 사이로 들어간다. 한 쌍의 플런지(223a) 각각의 선단에는 랜스(223b)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기 단자(220)가 하우징(210)의 단자 수용 캐비티(211) 내에 삽입된다. 이 때 베이스부(221), 전측 측판부(222), 측판부(223) 및 후측 측판부(224)가 단자 수용 캐비티(211) 내에 삽입된다. 또한 랜스(223b)가 제1홈(212) 내에 들어가고, 랜스(221a, 221b)가 제2홈(213) 내에 들어간다. 그리고 전측 측판부(222)의 선단(222a)이 하우징(210)의 도시하지 않은 가장자리 벽에 접촉하면, 베이스부(221)가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하여 전측 측판부(222)가 고정단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측판부(223)에 형성된 각 톱니형 접점(225)이 와이어(216)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종래 코일 권선과 같이 가느다란 와이어가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의 다른 예로서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3 참조). 도 14는 종래의 다른 예의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301)는 하우징(310)과, 하우징(310)의 제1캐비티(311) 내에 압력 삽입되는 제1단자(320)와, 하우징(310)의 제2캐비티(312) 내에 압력 삽입되는 제2단자(33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단자(320)는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되고, 제1캐비티(311)에 압력 삽입되는 베이스부(324) 및 하우징(310)의 와이어 받침면(313)을 향해 볼록이 되는 완만한 원호상 접촉부(321)를 갖는다. 이 접촉부(321)의 와이어 받침면(313)에 대향하는 면에는 복수의 톱니형 접점(322)(Serration)이 형성되어 있다. 제1단자(320)의 접촉부(321) 측의 선단에는 꼭지부(3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단자(330)는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되고, 그 선단에 제1단자(320)의 꼭지부(323)를 와이어 받침면(313) 방향으로 누르는 프레스부(33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330)를 와이어 받침면(313)과 접촉부(321)와의 사이에 배치하여 제2단자(330)를 압력 삽입하면, 제2단자(330)의 프레스부(331)가 제1단자(320)의 꼭지부(323)를 와이어 받침면(313) 방향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제1단자(320)의 접촉부(321)가 와이어(330)에 탄성 접촉한다. 접촉부(321)가 와이어(330)에 탄성 접촉하는 때에는 접촉부(321)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형 접점(322)이 와이어(330)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330)는 금속심과 금속심의 외측에 피복된 절연부를 구비한 예를 들면 A, W, G 50 정도의 가느다란 절연전선이다.
미국특허 제4003623호 명세서 특개소52-114987호 공보 특개평10-302857호 공보
그러나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종래의 전기 단자(101), 도 13에 나타낸 종래의 전기 커넥터(201) 및 도 14에 나타낸 종래의 전기 커넥터(301)에 있어서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종래의 전기 단자(101)의 경우, 한 쌍의 측벽(104, 105)을 압착하여 와이어(W1, W2)를 전기 단자(101)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와이어(W1, W2)를 수용하는 캐비티(102)의 용적이 크기 때문에 코일 권선과 같이 가느다란 와이어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측벽(104, 105)을 둥글게 말지 못하고 남아, 안정된 와이어의 접속이 불가능하였다. 특히 가느다란 단일 와이어를 접속하는 경우 그 경향이 현저해진다. 여기서 가느다란 와이어란 선직경이 예를 들면 0.02㎜~0.25㎜정도의 것을 말한다.
한편 도 13에 나타낸 종래의 전기 커넥터(201)의 경우에는 접속되는 와이어(216)가 금속심과 금속심의 외측에 피복된 절연부를 구비한 예를 들면 A, W, G 50정도의 가느다란 절연전선이다. 따라서 코일 권선과 같이 가느다란 와이어를 접속한 때에 안정된 접속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13에 나타낸 종래의 전기 커넥터(201)에 있어서는 전기 단자(220)의 베이스부(221) 및 측판부(223) 등의 폭이 넓어 좁은 피치화에 대응할 수 없다. 또한 와이어(216)를 접속하기 위해 전기 단자(220) 이외에 하우징(210)이 필요하며 부품 수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도 14에 나타낸 종래의 전기 커넥터(301)의 경우에서도 접속되는 와이어(301)는 금속심과 금속심의 외측에 피복된 절연부를 구비한 예를 들면 A, W, G50 정도의 가느다란 절연 전선이다. 따라서 코일 권선과 같이 가느다란 와이어를 접속한 때에 안정된 접속이 가능하다. 그러나 와이어(301)를 접속하기 위해 제1단자(320) 및 제2단자(330) 이외에 하우징(310)이 필요하고 부품 수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코일 권선과 같이 가느다란 와이어를 접속한 때에 안정된 와이어의 접속이 가능함과 동시에 좁은 피치화에 대응할 수 있고, 더욱이 전기 단자 단일체로 와이어의 접속을 행할 수 있는 전기 단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단자는 서로 대향하고,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의 간격이 큰 측에서 작은 측으로 점차 작아지는 대략 V자형인 한 쌍의 접합면부와,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를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의 간격이 작은 측의 단부에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제1부재와,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 제2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는 상기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의 간격이 큰 측부터 와이어를 수용하여 상기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를 보호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는 수용되는 상기 와이어의 축심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톱니형 접점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의 간격이 큰 측부터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에 감합하고,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의 면 외측면을 내측으로 변위시켜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을 접근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톱니형 접점이 상기 와이어에 들어가 상기 와이어가 한 쌍의 접합면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 단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이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의 간격이 작은 측에서 큰 측을 향해 외측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 단자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연결부와 상기 제2부재가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 단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의 간격이 큰 측의 단부 외측 및 상기 제2부재의 단부 내측에 각각 상대를 끌어들이는 테이퍼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전기 단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톱니형 접점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전기 단자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 중 일방의 접합면부의 상기 단부에서 외측으로 만곡하는 제1만곡부와,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 중 타방의 접합면부의 상기 단부에서 외측으로 만곡하는 제2만곡부와, 상기 제1만곡부의 선단과 상기 제2만곡부의 선단을 접속하는 접속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전기 단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 및 상기 제2부재에 상기 제2부재가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에 감합된 때에 서로 잠그는 록 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전기 단자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연결부에 상대 커넥터에 감합하는 감합부를 설치하면 좋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단자에 의하면 한 쌍의 접합면부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의 간격이 큰 측부터 와이어를 수용하여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에서 와이어를 보호 유지한다. 또한 한 쌍의 접합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는 수용되는 와이어의 축심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톱니형 접점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부재는 한 쌍의 접합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의 간격이 큰 측부터 한 쌍의 접합면부에 감합하고, 한 쌍의 접합면부의 양 외측면을 내측으로 변위시켜 한 쌍의 접합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을 접근시킨다. 이에 따라 복수의 톱니형 접점이 상기 와이어에 들어가고, 와이어가 한 쌍의 접합면부에 접속된다. 따라서 제2부재를 제1부재의 한 쌍의 접합면부에 감합함으로써 한 쌍의 접합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을 접근시켜 복수의 톱니형 접점을 와이어에 들어가게 하여 와이어를 한 쌍의 접합면부에 접속시킨다. 이 때문에 코일 권선과 같이 가느다란 와이어를 접속시키는 경우에도 한 쌍의 접합면부가 남지 않고 안정된 와이어의 접속을 행할 수 있다. 특히 가느다란 단일 와이어를 접속시키는 경우에 그 효과가 크다.
또한 제2부재는 한 쌍의 접합면부의 양 외측면을 내측으로 변위시켜 한 쌍의 접합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을 접근시켜 와이어를 한 쌍의 접합면에 접속시킨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접합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전기 단자를 배열한 때에 좁은 피치화가 가능해진다.
더욱이 전기 단자를 구성하는 제1부재 및 제2부재만으로 와이어를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단자 단일체로 와이어의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단자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제1부재에 와이어를 삽입한 후 제2부재를 제1부재에 감합하기 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단자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제1부재에 와이어를 삽입한 후 제2부재를 제1부재에 감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단자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제1부재에 와이어를 삽입한 후 제2부재를 제1부재에 감합하기 전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단자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제1부재에 와이어를 삽입한 후 제2부재를 제1부재에 감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단자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제1부재에 와이어를 삽입한 후 제2부재를 제1부재에 감합하기 전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6>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단자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제1부재에 와이어를 삽입한 후 제2부재를 제1부재에 감합한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7> 와이어를 한 쌍의 접합면부에 접속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A)는 와이어를 한 쌍의 접합면부에 접속하기 전 상태의 모식도, (B)는 와이어를 한 쌍의 접합면부에 접속한 상태의 모식도, (C)는 와이어를 한 쌍의 접합면부에 접속한 상태의 모식도이며, 복수의 톱니형 접점이 서로 교차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한 쌍의 접합면부에 접속된 와이어 단일체를 나타내고, (A)는 부분정면도, (B)는 부분평면도, (C)는 (A)의 8C-8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단자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제2부재를 제1부재에 감합하기 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단자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제2부재를 제1부재에 감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 종래의 전기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2> 도 11에 나타내는 전기 단자에 2가닥의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3> 종례예의 전기 커넥터이며, 전기 단자가 하우징에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 종래의 다른 예의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단자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단자의 제1실시형태가 나타나 있고, 상기 전기 단자(1)에는 코일 권선과 같이 가느다란 와이어(40)가 접속된다. 여기서 가느다란 와이어(40)란 금속심과 금속심의 외측에 피복된 절연부를 구비한 예를 들면 선직경이 0.02㎜~0.25㎜ 정도인 절연전선, 혹은 선직경이 0.02㎜~0.25㎜ 정도인 금속심을 의미한다. 이 절연전선의 예로서 예를 들면 마그네트 와이어를 예로 들 수 있고, 이후 와이어(40)로서 마그네트 와이어를 이용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전기 단자(1)는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되며, 제1부재(10)와 제2부재(20)와 제1부재(10) 및 제2부재(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를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제1부재(10)는 한 쌍의 접합면부(11)와 이들 한 쌍의 접합면부(11)를 연결하는 연결부(12)를 구비한다.
한 쌍의 접합면부(11)는 서로 대향하고,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큰 측에서 작은 측으로 점차 작아지는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된다. 각 접합면부(11)는 와이어(40)의 축심이 연장되는 전후방향(도 3에서 지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접합면부(11)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큰 측의 단부가 상단부,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작은 측의 단부는 하단부로 이루어져 있다.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측에서 d1, 작은 측에서 d2로 되어 있다. 상기 간격(d1)의 크기는 와이어(40)의 선직경보다 크고, 간격(d2)의 크기는 와이어(40)의 선직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접합면부(11)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이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작은 측에서 큰 측을 향해 외측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접합면부(11)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큰 측부터 와이어(40)를 수용하여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에서 상기 와이어를 보호 유지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에는 수용되는 와이어(40)의 축심이 연장되는 방향, 즉 전후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톱니형 접점(11b, 11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톱니형 접점(11b, 11c)은 도 7(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2)는 한 쌍의 접합면부(11)를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작은 측의 단부 즉 하단부에서 연결한다. 연결부(1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접합면부(11) 중 일방의 접합면부(11)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만곡하는 제1만곡부(12a)와, 한 쌍의 접합면부(11) 중 타방의 접합면부(11)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만곡하는 제2만곡부(12b)와, 제1만곡부(12a)의 선단과 제2만곡부(12b)의 선단을 접속하는 접속부(12c)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2부재(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평판부(21)와, 평판부(21)의 폭 방향(도 3에서의 좌우방향)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부(22)를 구비한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부재(20)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큰 측부터 한 쌍의 접합면부(11)에 감합한다. 그리고 제2부재(20)는 그 한 쌍의 측판부(22)에서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양 외측면(11e)을 내측으로 변위시켜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을 접근시킨다. 이에 따라 복수의 톱니형 접점(11b, 11c)이 와이어(40)에 들어가고, 와이어(40)가 한 쌍의 접합면부(11)에 접속된다.
또한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큰 측의 단부 외측 및 제2부재(20)의 한 쌍의 측판부(22)의 단부 내측에는 각각 상대를 끌어들이는 테이퍼부(11d, 2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30)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평판을 구비하고, 이 평판의 하단에 연결된 제1연결편(31)으로 제1부재(10)의 연결부(12)의 접속부(12c)에 연결되고, 평판 상단에 연결된 제2연결편(32)으로 제2부재(20)의 평판부(21)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 단자(1)에 와이어(40)를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부재(20)를 제1부재(10)에 대해 분리시켜 두고, 그 상태에서 와이어(40)를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큰 측부터 삽입한다. 그러면 와이어(40)는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에서 보호 유지된다.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은 큰 측에서 d1, 작은 측에서 d2로 되어 있다. 그리고 큰 측의 간격(d1)의 크기는 와이어(40)의 선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와이어(40)를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큰 측부터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작은 측의 간격(d2)의 크기는 와이어(40)의 선직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40)를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에서 확실하게 보호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부재(20)를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큰 측부터 한 쌍의 접합면부(11)에 감합한다. 그러면 제2부재(20)의 한 쌍의 측판부(22)의 내측면이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양 외측면(11e)을 내측으로 변위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부재(20)의 한 쌍의 측판부(22)의 내측면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상단 외측면을 내측으로 밀어 누른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양 외측면(11e)이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하단부(간격이 작은 측의 단부)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하도록 변위한다. 그 결과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이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하여 접근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톱니형 접점(11b, 11c)이 와이어(40)에 들어가고, 와이어(40)가 한 쌍의 접합면부(11)에 접속된다. 복수의 톱니형 접점(11b, 11c)이 와이어(40)에 들어가면, 와이어(40)의 외측에 피복된 절연부가 파손되어 복수의 톱니형 접점(11b, 11c)이 와이어(40)의 금속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부재(20)를 제1부재(10)의 한 쌍의 접합면부(11)에 감합함으로써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을 접근시킨다. 이에 따라 복수의 톱니형 접점(11b, 11c)을 와이어(40)에 들어가게 하여 와이어(40)를 한 쌍의 접합면부(11)에 접속시킨다. 이 때문에 코일 권선과 같이 가느다란 와이어(40)를 접속하는 경우에도 한 쌍의 접합면부(11)가 남지 않으며 안정된 와이어(40)의 접속을 행할 수 있다. 특히 가느다란 단일 와이어(40)를 접속하는 경우에 그 효과가 크다. 또한 동일한 지름의 와이어(40)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2가닥의 와이어(40)를 접속해도 좋다.
또한 제2부재(20)는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양 외측면(11e)을 내측으로 변위시키고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을 접근시켜, 와이어(40)를 한 쌍의 접합면부(11)에 접속시킨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전기 단자(1)를 배열한 때에 좁은 피치화가 가능하다.
더욱이 전기 단자(1)를 구성하는 제1부재(10) 및 제2부재(20)만으로 와이어(40)를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단자(1) 단일체로 와이어(40)의 접속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접합면부(11)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이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작은 측에서 큰 측을 향해 외측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이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하단부(간격이 작은 측의 단부)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하여 접근하는 때에,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에서의 간격이 큰 측의 단부끼리는 와이어(40)가 접속되기 전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에서의 간격이 큰 측의 단부 간격을 관리함으로써 와이어(40)의 접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10)의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의 간격이 큰 측의 단부 외측 및 제2부재(20)의 단부 내측에 각각 상대를 끌어 들이는 테이퍼부(11d, 22a)를 설치한다. 이 때문에 제2부재(20)를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큰 측부터 한 쌍의 접합면부(11)에 감합하는 때에 용이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톱니형 접점(11b, 11c)은 도 7(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톱니형 접점(11b, 11c)이 와이어(40)의 금속심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때에는 도 8(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톱니형 접점(11b)에 의해 형성되는 와이어(40)의 홈(41)과, 타방의 톱니형 접점(11c)에 의해 형성되는 와이어(40)의 홈(42)이 교차하게 된다. 홈(41, 42)이 교차하면 홈(41, 42)이 서로 대향하여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두께가 얇은 부분의 영역이 작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일방의 측벽(104)에 형성된 톱니형 접점(106)과 타방의 측벽(105)에 형성된 톱니형 접점(106)이 서로 대향하여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와이어에 있어서 두께가 얇은 부분의 영역이 크다. 이 때문에 와이어가 코일 권선과 같이 가느다란 경우에는 단선의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와 같이 홈(41, 42)이 교차하면 두께가 얇은 부분의 영역이 작기 때문에 와이어(40)가 코일 권선과 같이 가느다란 경우에도 단선의 우려가 적다.
또한 상기 전기 단자(1)에 있어서, 제1부재(10)의 연결부(12)와 제2부재(20)가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부재(10)와 제2부재(20)가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부재(10) 및 제2부재(20)의 일방이 소실될 염려가 없어 부품의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단자(1)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부재(10) 및 제2부재(20)를 별개로 제조할 필요가 없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연결부(12)는 일방의 접합면부(11)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만곡하는 제1만곡부(12a)와, 타방의 접합면부(11)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만곡하는 제2만곡부(12b)와, 제1만곡부(12a)의 선단과 제2만곡부(12b)의 선단을 접속하는 접속부(12c)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연결부(12)의 접속부(12c)에서 연결편(미도시)을 통해 금속 스트립(미도시)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는 제1만곡부(12a)와 제2만곡부(12b)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이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하여 접근하는 때의 하단부의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단자의 제2실시형태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전기 단자(1)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전기 단자(1)와 기본구조는 동일하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복수의 톱니형 접점은 도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전기 단자(1)는 한 쌍의 접합면부(11) 및 제2부재(20)에 제2부재(20)가 한 쌍의 접합면부(11)에 감합한 때에 서로 잠그는 록 부(50)를 설치하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전기 단자(1)와 상이하다.
여기서 록 부(50)는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상단 둘레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록 돌기(51)와, 제2부재(20)의 평판부(21)에 형성된 록 개구(52)로 구성되어 있다. 제2부재(20)가 한 쌍의 접합면부(11)에 감합한 때에 한 쌍의 록 돌기(51)는 록 개구(52) 내에 들어간다. 각 록 돌기(51)의 상단 외측면에는 테이퍼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 쌍의 록 돌기(51)는 록 개구(52) 내에 용이하게 들어간다.
그리고 한 쌍의 록 돌기(51)가 록 개구(52) 내에 들어가면 각 록 돌기(51)가 록 개구(52)의 폭 방향 둘레부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접합면부(11)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부재(20)가 한 쌍의 접합면부(11)에 감합한 때에 한 쌍의 접합면부(11)가 열리는 것이 방지되고, 와이어(40)가 접속 불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전기 단자(1)는 제1부재(10)의 연결부(12)에 상대 커넥터(미도시)에 감합하는 감합부(60)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전기 단자(1)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전기 단자(1)에 있어서, 연결부(12)의 접속부(12c)에 연결편(61)을 통해 탭 모양의 감합부(60)가 설치되어 있다. 감합부(60)는 연결편(61)을 통해 하방으로 절곡되고,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전기 단자(미도시)에 감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 개량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접합면부(11)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이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작은 측에서 큰 측을 향해 외측으로 만곡하도록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또한 전기 단자(1)에 있어서, 제1부재(10)의 연결부(12)와 제2부재(20)가 연결부재(30)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전기 단자(1)에 있어서,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 사이의 간격이 큰 측의 단부 외측 및 제2부재(20)의 단부 내측에 각각 상대를 끌어 들이는 테이퍼부(11d, 22a)를 반드시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전기 단자(1)에 있어서, 한 쌍의 접합면부(11)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a)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톱니형 접점(11b, 11c)은 반드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아도 좋다.
더욱이 연결부(12)는 한 쌍의 접합면부(11)를 연결하는 것이면 좋고, 반드시 제1만곡부(12a)와, 제2만곡부(12b)와, 접속부(12c)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1 전기 단자
10 제1부재
11a 내면
11b, 11c 톱니형 접점
11d 데이퍼부
11e 외측면
12 연결부
12a 제1만곡부
12b 제2만곡부
12c 접속부
20 제2부재
22a 테이퍼부
30 연결부재

Claims (8)

  1. 서로 대향하고,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의 간격이 큰 측에서 작은 측으로 점차 작아지는 대략 V자형인 한 쌍의 접합면부;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를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의 간격이 작은 측의 단부에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제1부재; 및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 제2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는 상기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의 간격이 큰 측부터 와이어를 수용하여 상기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를 보호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는, 수용되는 상기 와이어의 축심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톱니형 접점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의 간격이 큰 측부터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에 감합하고,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의 양 외측면을 내측으로 변위시켜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을 접근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톱니형 접점이 상기 와이어에 들어가 상기 와이어가 한 쌍의 접합면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이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의 간격이 작은 측에서 큰 측을 향해 외측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단자.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연결부와 상기 제2부재가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단자.
  4. 제1항 내지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 사이의 간격이 큰 측의 단부 외측 및 상기 제2부재의 단부 내측에 각각 상대를 끌어들이는 테이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단자.
  5. 제1항 내지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톱니형 접점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단자.
  6. 제1항 내지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 중 일방의 접합면부의 상기 단부에서 외측으로 만곡하는 제1만곡부;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 중 타방의 접합면부의 상기 단부에서 외측으로 만곡하는 제2만곡부; 및
    상기 제1만곡부의 선단과 상기 제2만곡부의 선단을 접속하는 접속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단자.
  7. 제1항 내지 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 및 상기 제2부재에 상기 제2부재가 상기 한 쌍의 접합면부에 감합된 때에 서로 잠그는 록 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단자.
  8. 제1항 내지 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연결부에 상대 커넥터에 감합하는 감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단자.
KR1020130083487A 2012-07-31 2013-07-16 전기 단자 KR102076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9949A JP5948180B2 (ja) 2012-07-31 2012-07-31 電気端子
JPJP-P-2012-169949 2012-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817A true KR20140016817A (ko) 2014-02-10
KR102076247B1 KR102076247B1 (ko) 2020-02-11

Family

ID=4885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487A KR102076247B1 (ko) 2012-07-31 2013-07-16 전기 단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92271B2 (ko)
EP (1) EP2693567B1 (ko)
JP (1) JP5948180B2 (ko)
KR (1) KR102076247B1 (ko)
CN (1) CN103579791B (ko)
TW (1) TWI5609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3168B2 (ja) * 2013-11-25 2019-08-21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ITUB20169987A1 (it) * 2016-01-14 2017-07-14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rl Connettore per bobina magnetica
IT201700075884A1 (it) * 2017-07-06 2019-01-06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rl Connettore elettrico
CN108470991A (zh) * 2018-02-28 2018-08-31 浙江京惠机电有限公司 一种刺破端子
US10637163B2 (en) * 2018-05-25 2020-04-28 Te Connectivity Corporation Magnet wire splice terminal
DE102019106022A1 (de) * 2019-03-08 2020-09-10 Alfmeier Präzision SE Verbindungsanordnung, Ventil mit Verbind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Drahtes mit einem Crimpverbinder
JP6963593B2 (ja) * 2019-08-09 2021-11-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3490A (ko) * 1973-07-27 1975-04-19
JPS52114987A (en) 1976-03-17 1977-09-27 Amp Inc Method of end treating and electric connector for minute wire
JPS62503063A (ja) * 1985-05-21 1987-12-03 ミヒエリイ・アルフレ−ト 端子
JPH08236169A (ja) * 1995-02-24 1996-09-13 Murata Mfg Co Ltd 金属端子およびリード線と金属端子の接続構造
JPH10302857A (ja) 1997-02-28 1998-11-13 Whitaker Corp:The 電気コネクタ
JP4003623B2 (ja) 2002-11-19 2007-11-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旋回可能な監視カメラを用いた画像処理システム
JP2010010086A (ja) * 2008-06-30 2010-01-1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6861A (en) * 1943-09-15 1945-05-29 Burndy Engineering Co Inc Flat conductor connection
US2788508A (en) * 1953-01-06 1957-04-09 Buchanan Electrical Prod Corp Electric connector
US2815497A (en) * 1953-04-23 1957-12-03 Amp Inc Connector for aluminum wire
US3138658A (en) * 1961-09-27 1964-06-23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very thin sheet metal member
US3428740A (en) * 1966-10-10 1969-02-18 Us Army Flat electrical conductor terminal
US3892459A (en) * 1974-06-21 1975-07-01 Amp Inc Open barrel terminal and method for terminating an electrical wire therein
US4003623A (en) 1974-09-12 1977-01-18 Amp Incorporated Wire securing member with varying serrations
US4834672A (en) * 1985-05-21 1989-05-30 Alfred Michely Connector
DE3518229A1 (de) * 1985-05-21 1986-11-27 Alfred 6601 Heusweiler Michely Klemme
GB8613299D0 (en) * 1986-06-02 1986-07-09 Amp Gmbh Electrical connector
US5035655A (en) * 1989-07-18 1991-07-30 Phoenix Lighting Products Corporation Light bulb receptacle and method of assembly
DE19549174A1 (de) * 1995-10-28 1997-07-03 Bosch Gmbh Robert Kontaktelement mit Crimpabschnitt
JPH10199590A (ja) 1997-01-07 1998-07-31 Whitaker Corp:The 電気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185251A (ja) 1999-12-28 2001-07-06 Daiei:Kk ケーブル用圧着端子
JP3868234B2 (ja) * 2001-07-13 2007-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JP3542341B2 (ja) 2001-09-13 2004-07-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被覆電線用圧着端子
US20070077814A1 (en) * 2005-09-30 2007-04-05 Centurion Wireless Technologies, Inc. Connector
US7467979B2 (en) * 2006-06-12 2008-12-23 Power Feed-Thru Systems & Connector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3490A (ko) * 1973-07-27 1975-04-19
JPS52114987A (en) 1976-03-17 1977-09-27 Amp Inc Method of end treating and electric connector for minute wire
JPS62503063A (ja) * 1985-05-21 1987-12-03 ミヒエリイ・アルフレ−ト 端子
JPH08236169A (ja) * 1995-02-24 1996-09-13 Murata Mfg Co Ltd 金属端子およびリード線と金属端子の接続構造
JPH10302857A (ja) 1997-02-28 1998-11-13 Whitaker Corp:The 電気コネクタ
JP4003623B2 (ja) 2002-11-19 2007-11-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旋回可能な監視カメラを用いた画像処理システム
JP2010010086A (ja) * 2008-06-30 2010-01-1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38475A1 (en) 2014-02-06
CN103579791B (zh) 2017-04-12
EP2693567A3 (en) 2014-12-17
JP5948180B2 (ja) 2016-07-06
TWI560948B (en) 2016-12-01
EP2693567A2 (en) 2014-02-05
EP2693567B1 (en) 2016-11-02
JP2014029800A (ja) 2014-02-13
CN103579791A (zh) 2014-02-12
KR102076247B1 (ko) 2020-02-11
TW201405946A (zh) 2014-02-01
US8992271B2 (en) 201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247B1 (ko) 전기 단자
US7717759B2 (en) Female terminal with guiding piece
EP2500982B1 (en) Wire-to-wire connector
US7485016B2 (en) Female terminal with guiding piece
JP5974087B2 (ja) 端子およびそれを伴う電気コネクタ
JP4097589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771775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EP2629374B1 (en) Connector
US924626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6236854A (ja) 圧接結線用コネクタ
US8263865B2 (en) Wire connection unit
CN102959806A (zh) 高压连接器
JP5274635B2 (ja) コネクタ
WO2006044770A1 (en) Cable connector with termination arrangement
US7070442B2 (en) Structure for press-connecting sheathed electric wire with terminal
KR101301625B1 (ko) 전자기기용 커넥터의 터미널
CN105048139A (zh) 电线用连接器
CN212392406U (zh) 电连接器
JP6330845B2 (ja) 電線用コネクタ
KR102338051B1 (ko) 동축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을 구비한 동축 커넥터
JP7265132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それ備えた車載カメラ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US6099363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00118437A (ko) 터미널
JP2006236855A (ja) 圧接結線用コネクタ
JP2002231328A (ja) 旗型端子の電線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