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159B1 -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159B1
KR101116159B1 KR1020100039915A KR20100039915A KR101116159B1 KR 101116159 B1 KR101116159 B1 KR 101116159B1 KR 1020100039915 A KR1020100039915 A KR 1020100039915A KR 20100039915 A KR20100039915 A KR 20100039915A KR 101116159 B1 KR101116159 B1 KR 101116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gnetic force
terminal portion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0483A (ko
Inventor
고재용
Original Assignee
아이볼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볼타(주) filed Critical 아이볼타(주)
Priority to KR102010003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159B1/ko
Priority to PCT/KR2011/002818 priority patent/WO2011136498A2/ko
Publication of KR2011012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5Connecting locations formed by surface moun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또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적 모듈간에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연결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구비한 제 1 단자부 및 자력부를 구비하는 제 1 연결몸체, 그리고 상기 제 1 단자부가 대응되어 접속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구비한 제 2 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력부와 자력에 의해 연결이 가능한 대응자력부가 구비된 제 2 연결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부 또는 제 2 단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개로써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자력부와 대응자력부 간의 자력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에서 접속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각 모듈의 위치와는 무관하게 위치에 따른 제약을 최대한 안 받으면서 충전 또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TERMINAL CONNECTING MODULE AND TERMINAL CONNEC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단자 또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적 모듈간에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전이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전기적 모듈은 다수의 단자와 전극을 통하여 전력의 공급에 의한 충전이 이루어 지거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다수의 단자와 전극을 갖는 모듈들을 결합하는 경우, 각 단자와 전극 간의 극성에 맞게 모듈을 위치시켜야 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핸드폰의 포트(port)와 같이 고정되게 위치된 특정모듈에 다른 모듈이 결합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러한 결합방식은 노트북과 핸드폰 같이 이동성이 중시되는 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이동성의 제약이라는 큰 불편함을 가져다 주었다.
즉, 특정한 모듈이 다른 모듈에 상기 거치되는 위치에 따라 모듈들 간에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되거나 전기적인 연결이 해제되므로 사용자는 각 모듈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모듈들에 포함되는 단자와 전극들의 정확한 위치를 고려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각 모듈간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단자연결장치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고 특히, 충전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까지 간단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단자연결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자연결장치의 기계적인 구조를 이용하여 모듈간의 접속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모듈이 위치에 따른 제약을 최대한 안 받으면서 모듈간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을 위한 모듈간의 접속 이외에도 다양한 데이터 통신에도 사용될 수 있는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자연결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구비한 제 1 단자부 및 자력부를 구비하는 제 1 연결몸체, 그리고 상기 제 1 단자부가 대응되어 접속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구비한 제 2 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력부와 자력에 의해 연결이 가능한 대응자력부가 구비된 제 2 연결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부 또는 제 2 단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개로써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자력부와 대응자력부 간의 자력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에서 접속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자력부 또는 대응자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개로써, 상기 제 1 단자부 또는 제 2 단자부와 함께 상기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자력부 또는 상기 대응자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자는 그 배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몸체가 제 2 연결몸체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져도 항상 상기 제 1 단자부 및 상기 제 2 단자부가 접속되도록 상기 자력이 인력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단자부 및 그와 대응 접속하는 제 2 단자부는 각각 그라운드(Gnd)단자를 포함하고 Vcc단자 또는 데이터통신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단자부 및 그와 대응 접속하는 제 2 단자부는 각각 광통신 또는 적외선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단자부의 형상은 나이테와 같이 각각 지름을 달리하여 이격되게 배치된 원형을 이루되 원의 중심을 공유하고, 상기 원의 중심에 대응자력부가 위치하여 상기 제 1 연결몸체가 상기 제 2 단자부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단자부의 원의 중심을 잇는 두 선이 이루는 각도가 60도 또는 90도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응자력부는 상기 제 2 단자부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자력부는 상기 대응자력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연결몸체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 1 연결몸체가 상기 제 2 단자부상에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단자부 또는 제 2 단자부 중 어느 하나는 정방향단자부와 역방향단자부로 구성되되, 상기 정방향단자부와 역방향단자부의 배치가 역의 관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단자부 간의 각도가 60도 또는 90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응자력부는 바(bar)의 형상으로 상기 제 2 단자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자력부는 상기 제 1 연결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자력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대응자력부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력부 및 대응자력부는 모두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의 착자 방향이 수평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자연결모듈은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상에 구비되어 자석 또는 강자성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자력부, 그리고 상기 바디부상에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 구성된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가 대응되어 접속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하는 대응단자부와 상기 자력부에 대응되는 대응자력부가 복수개로써 패턴 형성된 거치면 상에서 상기 자력부와 대응자력부 간의 자력에 의해 결정되는 대응단자부에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자는 그 배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직선적 또는 평면적으로 슬라이딩 운동 또는 회전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자력부에는 상기 바디부가 상기 거치면상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져도 항상 상기 단자부와 상기 대응단자부가 접속될 수 있도록 인력이 작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부는 광통신 또는 적외선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자연결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 구성된 단자부, 자석 또는 강자성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자력부, 그리고 상기 단자부 및 자력부가 복수개로써 패턴이 형성된 거치면을 구비한 바디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구비한 단자모듈이 상기 거치면상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져도 상기 단자모듈이 자력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단자부에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력부에는 상기 단자모듈이 상기 거치면상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져도 항상 상기 단자부와 접속될 수 있도록 인력이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자부는 광통신 또는 적외선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이 의하면, 첫째, 휴대용 기기의 충전 장치 및 휴대용 기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 등 다양한 시스템에 응용이 가능한 단자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각 모듈의 위치와는 무관하게 위치에 따른 제약을 최대한 안 받으면서 충전 또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지는바 편의성이 증대된다.
셋째, 복잡한 무선 통신용 전자 소자 등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초고속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바 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커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자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그린 도면,
도 2는 도 1의 단자연결장치의 제 1 연결몸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단자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단자연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단자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자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그린 도면,
도 7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자연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제 2 연결몸체상의 제 2 단자부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자연결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단자연결모듈의 단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도 11의 단자연결모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자연결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는 전극 및 데이터 단자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자연결모듈은 휴대전화, 휴대용 mp3 플레이어, 노트북 등의 전력 공급을 위한 아답타(adaptor) 또는 데이터 신호 전달을 위한 데이터 신호 전달원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단자연결장치는 상기 언급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단자연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하고 그 후에 단자연결모듈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자연결장치(1)는 제 1 연결몸체(100) 그리고 제 2 연결몸체(200)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도 1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의한 단자연결장치(1)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그린 도면이다.
제 1 연결몸체(100)는 복수개의 단자를 구비한 제 1 단자부(110)와 자력부(120)를 포함한다.
제 1 단자부(110)가 포함하는 단자(111, 112, 113, 114)의 개수는 제한하지 않으며 각각은 쇼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절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단자가 광학 단자인 경우에는 예외일 수 있다. 제 1 단자부(110)는 그라운드(GND)단자를 포함하고, VCC단자 또는 데이터통신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그라운드단자와 VCC단자만을 포함할 수 있고, 그라운드단자와 데이터통신 단자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반면에 제 1 단자부(110)는 광통신 또는 적외선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그라운드단자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이하 설명에서는 단자(111, 112, 113, 114)가 각각 그라운드단자, VCC단자, DATA + 단자, DATA - 단자인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자력부(120)는 제 1 연결몸체(100)가 제 2 연결몸체(200)에 접촉 연결될 수 있도록 자력을 제공하거나 자력을 받는다. 따라서, 자력부(120)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강자성체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력부(120)는 제 1 연결몸체(100)의 내부에, 제 1 단자부(11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고, 단자(111, 112, 113, 114) 중 하나에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력부(120)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도전성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도전성 부재와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단자부(110)는 제 1 부하(130)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부하(130)는 다양한 종류의 전기모듈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배터리, 기판 위에 형성된 전자회로, USB 장치, 모터 그리고 전원 공급 모듈 등일 수 있다.
제 1 연결몸체(100)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제시한다. 도 2는 제 1 연결몸체(100)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의 (a)를 참고하면, 제 1 단자부(110)는 기본적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2 연결몸체(200)에 형성된 전극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배치 형태가 가능할 것이다. 제 1 단자부(110)는 내부에 자력부(120)가 배치된 단자(111)는 제 1 연결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단자(112, 113, 114)는 그 배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도 2의 (b)의 도시와 같이, 양 단의 단자(111, 114)가 제 1 연결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단자(112, 113)이 그 배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의 (c)의 도시와 같이, 제 1 연결몸체(100)가 제 2 연결몸체(200)와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여도 전극간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길다랗게 형성된 단자를 포함하는 제 1 단자부(11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단자(111, 112, 113, 114)의 형상은 위의 설명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것이다.
탄성부재를 구비한 단자의 기본적인 형상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3을 제시한다. 도 3은 탄성부재를 구비한 단자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탄성부재를 구비한 단자는 단자헤드(115), 탄성부재(116), 그리고 단자지지체(117)를 포함한다. 단자헤드(115)는 제 2 연결몸체(200)에 형성되는 전극과 접속되는 부분이고, 접속이 이루어지는 동안 단자헤드(115)가 외력을 받아 눌리게 되면 탄성부재(116)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계적인 연결이 좀더 용이해진다. 단자헤드(115), 탄성부재(116), 그리고 단자지지체(117)는 모두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도전성 윤활제가 도포되어 단자헤드(115)로부터 전달된 전기적 신호가 제 1 모듈(130)로 전달 될 수 있다. 단자의 이러한 형상은 일 예일뿐 그 외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제 1 단자부(110)는 제 1 연결몸체(100)상에서 복수개로써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단자부가 제 2 연결몸체(200)상에서 맞은편 단자와 접속될 수 있다.
제 2 연결몸체(200)는 제 1 연결몸체(100)가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판 형상인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제 2 연결몸체(200)에는 제 2 단자부(220)와 대응자력부(230)가 형성되되 이러한 제 2 단자부(220)와 대응자력부(230)가 하나의 패턴형성부(210)로써 복수의 패턴을 형성한다.
제 2 단자부(220)는 제 1 단자부(110)가 대응되어 접속할 수 있는 복수개의 단자(221, 222, 223, 224)를 포함한다. 단자(221, 222, 223, 224)의 개수는 제한하지 않으며 각각은 쇼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절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단자가 광학 단자인 경우에는 예외일 수 있다. 제 2 단자부(220)는 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하고 VCC단자 또는 데이터통신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광통신 또는 적외선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제 1 단자부(110)의 단자(111, 112, 113, 114)와 각각이 대응되도록 제 2 단자부(220)의 단자(221, 222, 223, 224)는 그라운드단자, VCC단자, DATA + 단자, DATA - 단자인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즉, 제 1 단자부(110)가 그라운드단자, VCC단자, DATA + 단자, DATA - 단자의 순서로 형성되면 그에 대응되는 제 2 단자부(220) 역시 그라운드단자, VCC단자, DATA + 단자, DATA - 단자의 순서대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 1 단자부(110)와 제 2 단자부(220)가 대응 접속하는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통신을 위한 단자들이 대응 접속하는 경우에는 전기적인 접속뿐만 아니라 광학적인 접속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대응자력부(230)는 자력부(120)와 자력에 의해 제 1 연결몸체(100)와 제 2 연결몸체(200)의 접촉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대응자력부(230)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강자성체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대응자력부(230)는 제 2 연결몸체(200)의 내부에, 제 2 단자부(22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고, 단자(221, 222, 223, 224) 중 하나에 포함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대응자력부(230)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도전성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도전성 부재와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패턴형성부(210)는 제 2 연결몸체(200)상에 복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단자부(220) 또한 복수로 형성된다. 복수의 제 2 단자부(220)에 포함되는 그라운드단자, VCC단자, DATA + 단자, DATA - 단자는 각각 같은 종류의 단자끼리 공통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다른 단자끼리는 절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광학 단자인 경우에는 예외일 수 있음은 앞에서 본 바와 같다.
제 2 단자부(220)의 단자(221, 222, 223, 224) 또한 제 1 단자부(110)의 단자(111, 112, 113, 114)와 마찬가지로 그 배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제 1 연결몸체(100)의 제 1 단자부(110)가 제 2 연결몸체(200)의 임의의 제 2 단자부(220)에 대응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몸체(100)가 제 2 연결몸체(200) 상에 거치되고, 자력부(120)와 대응자력부(230)에 의해 두 몸체는 자력에 의해 접촉 연결된다.
즉, 제 1 연결몸체(100)가 제 2 연결몸체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져도 항상 제 1 단자부(110) 및 제 2 단자부(220)가 접속되도록 자력이 인력 작용하여, 복수로 형성된 제 2 단자부(220) 중 상기 자력에 의하여 결정된 위치의 제 2 단자부(220)에 제 1 단자부(110)가 접속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단자부(110)의 단자(111, 112, 113, 114)는 제 2 단자부(220)의 단자(221, 222, 223, 224)에 접속된다. 이 경우 전극간의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제 2 연결몸체(200)상에서 자력부(120)와 대응자력부(230)가 만나는 지점에는 홈이 형성되어 결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단자는 보통 철 등 도체인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자력부(120) 또는 대응자력부(230)와의 간섭이 있을 수 있어, 특히 단자의 면적이 큰 경우에는 동 등의 비 자성 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력부(120)와 대응자력부(230)가 하나씩 형성되어 접촉되는 경우에는 도 4b의 도시와 같이 패턴형성부(210)의 제 2 단자부(220)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이 나이테와 같이 중심을 공유하면서 단자 각각이 지름을 달리하여 이격되게 배치된 원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중심에도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b는 하나의 단자는 제 2 단자부(220)의 중심에 형성되고 나머지 단자는 원의 형상으로 존재하는 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고정되게 접촉된 자력부(120)와 대응자력부(230)를 중심으로 제 1 연결몸체(100)가 임의의 회전 각도로 패턴형성부(210)상에 접촉되어 고정되더라도 제 1 단자부(110)와 제 2 단자부(220)간의 접속은 끊기지 않고 연결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자연결장치(1)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2 연결몸체(200)상에 복수개의 패턴형성부(210)가 형성되고 각각의 패턴형성부(210)는 제 2 단자부(220)와 대응자력부(2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연결몸체(100)는 제 2 연결몸체(200)상의 어떠한 곳에 놓여져도 자력부(120)가 대응자력부(230)에 붙게 됨으로 인해 임의의 패턴형성부(210)에 위치하게 된다. 결국 제 1 연결몸체(100)의 제 1 단자부(110)는 임의의 제 2 단자부(220)와 임의의 위치에서 접속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제 1 연결몸체(100)는 전선에 의해 휴대전화기 등의 기기에 연결될 수 있고 기기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 2 단자부(220)의 원의 중심을 잇는 두 선이 이루는 각도(a)는 60도를 이루어 벌집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90도를 이룰 수도 있고, 다양한 각도를 통한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자연결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2 연결몸체(200)상에 복수개의 패턴형성부(210)가 제한된 면적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연결몸체(100)와 제 2 연결몸체(200)간의 접속관계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와 같은 예를 통해 제 1 연결몸체(100)가 휴대전화기(C) 등의 하단 면에 장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경우, 휴대전화기(C) 등을 제 2 연결몸체(200)상에 세워둔 상태로 충전이나 데이터 통신 등을 할 수 있다.
한편, 제 2 연결몸체(200)상에 복수개의 제 1 연결몸체(100)가 접속 연결된 경우에는 복수개의 제 1 연결몸체(100)가 동시에 제 2 연결몸체(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복수개의 제 1 연결몸체(100)가 제 2 연결몸체(200)와 데이터통신을 하거나, 각각의 제 1 연결몸체(100)끼리 데이터 통신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6을 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자연결장치(2)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자연결장치(2)는 제 1 연결몸체(300) 그리고 제 2 연결몸체(400)를 포함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하지 않는 단자의 접속방식 및 단자의 종류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 1 연결몸체(300)는 복수의 단자(311, 312, 313, 314)로 구성되는 제 1 단자부(310)과 자력부(320)를 포함한다. 제 1 단자부(310)가 포함하는 단자(311, 312, 313, 314)의 개수와 단자의 종류는 제한하지 않는다.
자력부(320)는 제 1 연결몸체(300)가 제 2 연결몸체(400)에 접촉 연결될 수 있도록 자력을 제공하거나 자력을 받는다. 따라서 자력부(320)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강자성체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력부(320)는 제 1 연결몸체(300)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된다. 한편, 자력부(320)는 제 1 연결몸체(300)의 내부에, 제 1 단자부(31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고, 단자(311, 312, 313, 314) 중 하나에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력부(320)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도전성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도전성 부재와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단자부(310)는 제 1 부하(330)에 연결된다. 제 1 부하(330)는 위의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전기모듈을 의미한다.
제 1 연결몸체(300) 및 단자(311, 312, 313, 314)의 형상은 도 2 및 도 3의 도시의 형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제 2 연결몸체(4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것이다.
제 2 연결몸체(400)는 제 1 연결몸체(300)가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판 형상인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제 2 연결몸체(400)에는 제 2 단자부(420)와 대응자력부(430)가 형성되되 이러한 제 2 단자부(420)와 대응자력부(430)가 하나의 패턴형성부(410)로써 복수의 패턴을 형성한다.
제 2 단자부(420)는 제 1 단자부(310)가 대응되어 접속할 수 있는 복수개의 단자(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를 포함하며 그 개수는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단자는 정방향단자부(421, 422, 423, 424)와 역방향단자부(425, 426, 427, 428)로 구성된다. 이 둘의 관계는 배치가 역의 관계이다. 따라서, 제 1 단자부(310)의 단자(311, 312, 313, 314)는 각각이 순서대로 정방향단자부(421, 422, 423, 424)와 대응 접속되는 경우에는 정방향단자부와 역 방향으로 형성된 역방향단자부(425, 426, 427, 428)와 역시 순서대로 대응 접속되는 것이다
즉, 정방향단자부(421, 422, 423, 424)가 순서대로 그라운드단자, VCC단자, DATA + 단자, DATA - 단자로 형성되면, 그와 역 방향으로 형성된 역방향단자부(425, 426, 427, 428) 또한 순서대로 그라운드단자, VCC단자, DATA + 단자, DATA - 단자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 1 단자부(310)와 제 2 단자부(420)의 구조는 도시되지는 않으나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제 1 단자부(310)에 정방향단자부와 역방향단자부가 포함되고 제 2 단자부(420)에 일 방향으로의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단자부(310)가 제 2 단자부(420)상에서 일방향으로 접속되는 경우뿐 아니라 타방향으로 접속되는 경우에도 단자간 대응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양한 단자의 배치가 가능하다.
대응자력부(430)는 제 2 단자부(420)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고 자력부(320)와 자력에 의하여 접촉 되는바, 제 1 연결몸체(300)와 제 2 연결몸체(400)는 접촉 연결되고 제 1 연결몸체(300)는 제 2 단자부(420)상에 고정된다. 대응자력부(430)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대응자력부(430)는 제 2 연결몸체(400)의 내부에, 제 2 단자부(420)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2 단자부(420)의 전극 중 하나에 포함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대응자력부(430)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도전성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도전성 부재와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패턴형성부(410)는 제 2 연결몸체(400)상에 복수개 형성된다. 즉, 제 2 단자부(420)가 복수개 패턴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다. 제 2 단자부(420)에 포함되는 각각의 전극 또는 단자는 같은 종류의 단자끼리 공통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단자부(420)의 단자(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또한 도 3에 도시된 형상처럼 그 배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8은 제 1 연결몸체(300)의 제 1 단자부(310)가 제 2 연결몸체(400)의 임의의 제 2 단자부(420)에 대응되는 일례를 도시한다. 자력부(320)와 대응자력부(430)에 의해 두 몸체가 접촉 연결되고 제 1 단자부(310)와 제 2 단자부(420)가 접속되는 원리는 앞의 일 실시예에서 언급한 것과 같다.
자력부(320)와 대응자력부(430)가 복수개 구비되고 둘 중 하나에 자석이 포함 되고 나머지 하나에 강자성체가 포함되는 경우, 또는 둘 다 자석을 포함하나 자력부(320)는 N극이 모두 아래를 향하고 그에 접촉되는 대응자력부(430)는 S극이 모두 위를 향하거나 그 반대인 경우에는 제 1 연결몸체(300)는 임의의 제 2 단자부(420)에 일 방향에 한정되어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타 방향으로 접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a는 제 1 연결몸체(300)가 제 2 단자부(420)에 일 방향으로 접촉된 모습이 나타난다. 이 경우 제 1 단자부(310)는 정방향단자부(421, 422, 423, 424)에 대응 접속된다. 이때 역방향단자부(425, 426, 427, 428)는 제 1 단자부(310)에 포함되는 단자와 접속되지 않는다.
반면에, 도 7b는 제 1 연결몸체(300)가 제 2 단자부(420)에 타 방향으로 접촉된 모습이 나타난다. 이 경우 제 1 단자부(310)는 역방향단자부(425, 426, 427, 428)에 대응 접속된다. 이때 정방향단자부(421, 422, 423, 424)은 제 1 단자부(310)에 포함되는 전극과 접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연결몸체(300)가 임의의 패턴형성부(410)의 제 2 단자부(420)에 어떠한 방향으로 접촉 연결되어도 제 1 단자부(310)와 제 2 단자부(420) 간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제 1 단자부(310)와 제 2 단자부(420) 간의 접속은 제 1 단자부(310)의 단자(311, 312, 313, 314)의 배치 형태에 의해 가능하다. 즉, 도시된 것처럼 제 1 단자부(310)가 제 1 연결몸체(300)의 중심에서 약간 일 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1 단자부(310)가 제 1 연결몸체(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 측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정방향단자부(421, 422, 423, 424)와 역방향단자부(425, 426, 427, 428)가 제 2 단자부(4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것이다. 그 외에 정방향단자부(421, 422, 423, 424)와 역방향단자부(425, 426, 427, 428)의 배치가 역이 되도록 하는 다양한 형성 형태가 가능할 것이고 그에 따른 단자(311, 312, 313, 314)의 배치 형태도 다양할 것이다.
한편, 제 1 단자부(310)와 제 2 단자부(420)의 단자의 배치가 서로 바뀔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는 다르게, 자력부(320)와 대응자력부(430)가 모두 자석을 구비하되, 도 8a의 도시와 같이 자력부(320) 또는 대응자력부(430) 각각이 N극과 S극의 배치가 번갈아 가며 이루어 지도록 자석을 구비한 경우에는 제 1 연결몸체(300)가 제 2 단자부(420)에 일 방향으로 접촉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 1 연결몸체(300)의 방향성이 정해지는바 정방향단자부(421, 422, 423, 424)만 형성되면 족하고 역방향단자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도 8b의 도시와 같이 자력부(320)와 대응자력부(430)에 포함된 자석이 모두 수평방향으로 착자가 이루어 질 수 있고, 이 경우 또한 제 1 연결몸체(300)가 제 2 단자부(420)의 정방향단자부(421, 422, 423, 424)에 일 방향으로 접촉된다.
도 9는 패턴형성부(410)가 복수개 형성된 제 2 연결몸체의 일부분을 위에서 내려다본 보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패턴형성부(410)는 다양한 모양의 패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으나 제 2 단자부(420)간의 각도(b)가 60도로 형성되어 벌집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패턴형성부(410)의 패턴 형상은 당연히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2 단자부(420)간의 각도(b)가 90도 일 수도 있다.
제 1 연결몸체(300)는 제 2 연결몸체(400)상의 어떠한 곳에 놓여져도 자력부(320)가 대응자력부(430)에 접촉하는바 임의의 패턴형성부(410)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 자력에 의해 제 1 연결몸체(300)는 고정된다. 따라서 제 1 연결몸체(300)의 제 1 단자부(310)는 임의의 제 2 단자부(420)와 임의의 위치에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자력부(320)와 대응자력부(430)의 배치 형상이 도 8a 또는 도 8b의 도시와 같을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제 2 단자부(420)가 포함하는 단자의 수가 반으로 줄어들 것이다.
도 10은 도 9와는 다르게 대응자력부(430)가 바(bar)의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단자연결장치(2)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바 형상의 대응자력부(430) 사이에 복수개의 단자(421, 422, 423, 424)가 형성된다. 복수개의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대응자력부(43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대응자력부(430)는 도 8a의 도시와 같이 극성의 배치가 일정하기 않고 번갈아 가면서 바뀌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따라서 제 1 연결몸체(300)는 방향성을 가지고 제 2 단자부(420)상에 일 방향으로 접촉 연결된다. 따라서, 제 2 단자부(420)는 N극에서 S극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전극들의 순서가 정해지면 그러한 순서대로 패턴이 형성되어야 한다.
다만, 이 경우도 도 7a 및 도 7b에서 도시된 것처럼 자력부(320)와 대응자력부(430) 둘 중 하나에 자석이 포함 되고 나머지 하나에 강자성체가 포함되는 경우, 또는 둘 다 자석을 포함하나 자력부(320)와 그에 접촉되는 대응자력부(430) 간의 자기장 형성 방향이 모두 같도록 자석이 배치된 경우에는 제 1 연결몸체(300)는 제 2 단자부(420)의 일 방향에 한정되어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타 방향으로 접촉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바 형상의 대응자력부(430)사이에 도 7a 및 도 7b에서 예시된 형상과 같이 단자가 역의 관계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자연결장치(1, 2)에 있어서 제 2 연결몸체(200, 400)는 하나의 USB 허브(hub) 하나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연결몸체(200, 400)의 각 패턴형성부(210, 410)가 USB 허브의 각 다운스트림(downstream) 포트에 해당되고, 제 2 연결몸체(200, 400)으로부터 업스트림(upstream) 포트가 하나 나와 PC 등에 연결된다. 제 1 단자부(110, 310)가 임의의 제 2 단자부(220, 420)와 접속되는 것은 USB 허브의 한 다운스트림 포트에 USB 장치가 연결된 것과 같은 효과가 있어서 이러한 USB 장치가 업스트림 포트가 연결된 PC 등과 연결되어 충전 또는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단자연결장치(1, 2)는 멀티 충전기로서의 역할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연결몸체(200, 400)의 제 2 단자부(220, 420)가 그라운드단자와 Vcc단자를 포함하고, 이에 접속되는 제 1 연결몸체(100, 300)의 제 1 단자부(110, 310) 역시 그라운드단자와 Vcc단자를 포함하여, 복수개의 제 1 연결몸체(100, 30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제 2 연결몸체(200, 400)에서 용량이 큰 5V의 전력을 공급하면 복수개의 제 1 연결몸체(100, 300)를 통해 휴대용 전화기 또는 mp3플레이어 등에 5V의 전력이 나누어져 동시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1 단자부(110, 310) 또는 제 2 단자부(220, 420)가 패턴을 형성할때 같은 형상으로 복수개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패턴이 형성되면서 그 형상은 조금씩 다를 수 있고, 제 1 단자부(110, 310)와 제 2 단자부(220, 420)의 대응 접속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연결모듈(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연결모듈(5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단자연결모듈(500)은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휴대전화, 휴대용 mp3 플레이어, 노트북 등에 전원 아답타(adaptor)로부터 전력을 전달 받는 전력 전달원 또는 데이터 신호 전달을 위한 데이터 신호 전달원 등이 될 수 있고 단자연결장치(1, 2)의 제 1 연결몸체(100, 300)와 같은 역할을 한다.
한편 단자연결모듈(500)의 형상은 도 11의 도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5b의 도시에서처럼 휴대전화기 등의 하단 면에 장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길이가 길면서 폭이 좁은 형상 또한 가능할 것이다. 그 외에 적용되는 기기에 맞춰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이러한 단자연결모듈(500)은 바디부(510), 자력부(520), 그리고 단자부(530)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도 12를 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연결모듈(5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바디부(510)는 단자연결모듈(500)의 몸체가 되고 바디부(510) 내부에 자력부(520)가 형성되고 바디부(510)상에 복수개의 단자로 구성된 단자부(530)가 형성된다. 바디부(51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자력부(520)는 한 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자력부(520)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자력부(520)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도전성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도전성 부재와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자세한 형상 내지 역할은 앞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제 1 연결몸체(100, 300)의 자력부(120, 320)와 같다.
단자부(530)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 구성되며 자세한 형상, 역할 및 종류는 앞의 실시예 에서 언급된 제 1 연결몸체(100, 300)의 제 1 단자부(110, 310)와 같다. 단자부(530)가 외부의 다른 모듈에 형성된 전극과 접속하여 신호를 받아들이고 부하(550)에 연결된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부하(550)는 다양한 종류의 전기모듈을 의미한다.
한편, 단자의 형상은 도 3의 형상과 같이 단자의 배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때 단자 또는 도 3의 도시를 참조하여 단자헤드(115)에 해당하는 부분은 볼(ball) 형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연결모듈(500)은 바디부(51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540)를 더 포함한다. 수용부(540)는 바디부(51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수용부(540)는 휴대용전화 또는 노트북 등의 기기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고 또는 기기 자체로 예시될 수 있다. 수용부(540)가 기기 자체로 예시되는 경우에는 바디부(510)가 기기 내부에 수용 구비되는 것이다.
바디부(510)는 수용부(540) 내부에서 직선적 또는 평면적인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고 회전 또한 가능하다. 즉, 바디부(510)는 수용부(540) 내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외력에 의하여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바디부(510)와 수용부(540)의 사이 공간에는 볼 베어링이 채용될 수 있으며 바디부(510)의 자유로운 운동을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단자연결모듈(500)의 작동을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자연결모듈(500)은 단자부(530)가 대응되어 접속할 수 있는 복수개의 단자를 포함하는 대응단자부(560)가 복수의 패턴으로 형성된 거치면 상에서 임의의 위치에 놓여진다.
이때 대응단자부(560)가 복수의 패턴으로 형성된 거치면은 위에서 설명된 제 2 연결몸체(200, 400)와 같다. 또한 대응단자부(560)는 형상 내지 역할은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 2 단자부(220, 420)와 같다.
단자연결모듈(500)이 거치면에 놓여지면 수용부(540)와 바디부(510)가 모두 대응단자부(560)이 형성된 거치면에 접촉한다.
도 13a를 참조하면, 단자부(530)가 임의의 위치에서 대응단자부(560)에 대응하여 접속되지 않은 상태로 있다. 이때 거치면상에 구비되는 대응자력부(570)와 자력부(520)에 의해서 이 둘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한다. 즉, 자력부(520)에는 바디부(510)가 거치면상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져도 항상 단자부(530)와 대응단자부(560)가 접속될 수 있을 크기의 인력이 작용하는 것이다. 한편 대응자력부(570)의 역할과 형상은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대응자력부(230, 430)와 같다.
상기 인력에 의해 바디부(510)는 수용부(540)에 대하여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이때, 수용부(540)는 앞에서 설명한 기기 자체로 예시하여 그 무게로 인하여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수용부(540) 내부에 수용된 바디부(510)만이 슬라이딩을 통한 직선 및 회전운동을 한다.
따라서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력부(520)와 대응자력부(570)가 최단거리에 위치하게 되고, 단자부(530)과 대응단자부(560)는 대응 접속된다. 이로 인해 단자연결모듈(500)는 대응단자부(560)와 대응자력부(570)가 복수의 패턴으로 형성된 거치면 상에서 임의의 제 2 단자부와 임의의 위치에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연결모듈(600)은 도 14의 도시와 같이 바디부(610), 단자부(620), 그리고 자력부(630)을 포함한다. 이러한 단자연결모듈(600)은 상기 언급된 단자연결장치(1, 2)의 제 2 연결몸체(200, 400)와 같은 역할을 한다.
바디부(610)는 단자연결모듈(600)의 몸체가 된다. 바디부(610)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구비한 다양한 단자모듈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면이 형성된다. 바디부(61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자부(620)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 구성된다. 이러한 단자부(620)의 자세한 형상, 역할 및 종류는 앞의 실시예 에서 언급된 제 2 연결몸체(200, 400)의 제 2 단자부(220, 420)와 같다. 이러한 단자부(620)는 자력부(630)와 함께 복수개로써 바디부(610)의 거치면 상에 패턴을 형성한다. 패턴의 형상은 도 14의 도시에 한정하지 않으며 앞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자력부(630)는 단자부(620)마다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자력부(630)의 자세한 형상 및 역할은 앞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제 2 연결몸체(200, 400)의 대응자력부(230, 430)와 같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단자연결모듈(6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도시와 같이 바디부(610)의 거치면 상에는 단자부(620)와 자력부(630)가 복수개로써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거치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구비한 다양한 종류의 단자모듈이 임의의 위치에 놓여지는 경우 자력부(630)에는 상기 단자모듈과의 관계에서 인력이 작용한다. 즉, 자력부(630)에는 상기 단자모듈이 상기 바디부(610)의 거치면상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져도 항상 단자부(620)와 접속될 수 있을 크기의 인력이 작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임의의 위치에 놓여진 단자모듈은 자력에 의해 결정된 위치에 있는 단자부(620)와 접속된다.
이러한 연결원리는 앞의 제 1 연결몸체(100, 300)가 제 2 연결몸체(200, 400)상에서 단자연결되는 원리와 같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자석은 영구자석, 전자석 등 자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자석이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2: 단자연결장치 100, 300: 제 1 연결몸체
110, 310: 제 1 단자부 120, 320: 자력부
200, 400: 제 2 연결몸체 210, 410: 패턴형성부
220, 420: 제 2 단자부 230, 430: 대응자력부
500, 600: 단자연결모듈

Claims (22)

  1.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구비한 제 1 단자부 및 자력부를 구비하는 제 1 연결몸체; 및
    상기 제 1 단자부가 대응되어 접속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구비한 제 2 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력부와 자력에 의해 연결이 가능한 대응자력부가 구비된 제 2 연결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부 또는 제 2 단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개로써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자력부와 대응자력부 간의 자력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에서 접속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 또는 대응자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개로써, 상기 제 1 단자부 또는 제 2 단자부와 함께 상기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 또는 상기 대응자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그 배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몸체가 제 2 연결몸체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져도 항상 상기 제 1 단자부 및 상기 제 2 단자부가 접속되도록 상기 자력이 인력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부 및 그와 대응 접속하는 제 2 단자부는 각각 그라운드(Gnd)단자를 포함하고 Vcc단자 또는 데이터통신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부 및 그와 대응 접속하는 제 2 단자부는 각각 광통신 또는 적외선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부의 형상은 나이테와 같이 각각 지름을 달리하여 이격되게 배치된 원형을 이루되 원의 중심을 공유하고,
    상기 원의 중심에 대응자력부가 위치하여 상기 제 1 연결몸체가 상기 제 2 단자부상에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부의 원의 중심을 잇는 두 선이 이루는 각도가 60도 또는 90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자력부는 상기 제 2 단자부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자력부는 상기 대응자력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연결몸체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 1 연결몸체가 상기 제 2 단자부상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부 또는 제 2 단자부 중 어느 하나는 정방향단자부와 역방향단자부로 구성되되, 상기 정방향단자부와 역방향단자부의 배치가 역의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부 간의 각도가 60도 또는 90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자력부는 바(bar)의 형상으로 상기 제 2 단자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자력부는 상기 제 1 연결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자력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대응자력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 및 대응자력부는 모두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의 착자 방향이 수평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장치.
  15.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상에 구비되어 자석 또는 강자성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자력부; 및
    상기 바디부상에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 구성된 단자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가 대응되어 접속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하는 대응단자부와 상기 자력부에 대응되는 대응자력부가 복수개로써 패턴 형성된 거치면 상에서 상기 자력부와 대응자력부 간의 자력에 의해 결정되는 대응단자부에 접속될 수 있는 단자연결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그 배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모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직선적 또는 평면적으로 슬라이딩 운동 또는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모듈.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에는 상기 바디부가 상기 거치면상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져도 항상 상기 단자부와 상기 대응단자부가 접속될 수 있도록 인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모듈.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광통신 또는 적외선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모듈.
  20.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 구성된 단자부;
    자석 또는 강자성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자력부; 및
    상기 단자부 및 자력부가 복수개로써 패턴이 형성된 거치면을 구비한 바디부;
    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구비한 단자모듈이 상기 거치면상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져도 상기 단자모듈이 자력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단자부에 접속될 수 있는 단자연결모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에는 상기 단자모듈이 상기 거치면상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져도 항상 상기 단자부와 접속될 수 있도록 인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모듈.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광통신 또는 적외선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모듈.
KR1020100039915A 2010-04-29 2010-04-29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 KR101116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915A KR101116159B1 (ko) 2010-04-29 2010-04-29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
PCT/KR2011/002818 WO2011136498A2 (ko) 2010-04-29 2011-04-20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915A KR101116159B1 (ko) 2010-04-29 2010-04-29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483A KR20110120483A (ko) 2011-11-04
KR101116159B1 true KR101116159B1 (ko) 2012-03-06

Family

ID=4486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915A KR101116159B1 (ko) 2010-04-29 2010-04-29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16159B1 (ko)
WO (1) WO201113649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0586A2 (en) 2013-02-20 2014-08-27 Sps, Inc. Magnetic connector module having power supply blocking circuit
KR20170037697A (ko) 2015-09-25 2017-04-05 주식회사 블랙야크 스마트 의류용 커넥터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의류 제어장치
KR20220076220A (ko) 2020-11-30 2022-06-08 (주) 블랙야크 아이앤씨 내구성 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발열의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9547B2 (en) * 2012-06-08 2015-12-08 Apple Inc. Connector adapter
KR101204510B1 (ko) * 2012-07-09 2012-11-26 (주)에스피에스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200467719Y1 (ko) * 2012-08-31 2013-07-01 (주)에스피에스 모바일 단말기의 백커버
KR20140067356A (ko) * 2012-11-26 201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컨넥터 장치
BR112015014560A2 (pt) 2012-12-21 2017-07-11 Koninklijke Philips Nv primeira parte de conector conectável a uma segunda parte de conector, segunda parte de conector conectável a uma primeira parte de conector, conjunto de conectores magnéticos e aparelho de estimulação elétrica nervosa transcutânea
ITPI20130044A1 (it) * 2013-05-24 2014-11-25 Marco Ariani Struttura perfezionata di supporto per articoli di vario genere
EP3231148B1 (en) * 2015-04-24 2019-08-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outing signals based on an orientation of devic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KR102360456B1 (ko) 2015-05-26 2022-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9966716B2 (en) 2015-09-08 2018-05-08 Apple Inc. Adapter
KR101744115B1 (ko) * 2015-10-27 2017-06-07 이동훈 Usb 플래시 드라이브
KR102023561B1 (ko) * 2017-04-06 2019-09-25 주식회사 벤치소프트 유에스비 플래시 드라이브
KR102349569B1 (ko) * 2017-12-05 2022-01-1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마그넷을 이용하여 스마트웨어에 체결되는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
KR102507350B1 (ko) * 2022-09-29 2023-03-07 주식회사 대광아이엔씨 연결이 용이한 모듈러 잭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766A (ko) * 2001-04-17 2002-10-26 신형진 자석을 이용한 전원접속기구
KR200351676Y1 (ko) * 2004-02-20 2004-06-09 (주)대한특수금속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
KR200382247Y1 (ko) * 2005-01-22 2005-04-18 (주)대한특수금속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커넥터와 이 커넥터가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폰용 충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0586A2 (en) 2013-02-20 2014-08-27 Sps, Inc. Magnetic connector module having power supply blocking circuit
KR20170037697A (ko) 2015-09-25 2017-04-05 주식회사 블랙야크 스마트 의류용 커넥터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의류 제어장치
KR20220076220A (ko) 2020-11-30 2022-06-08 (주) 블랙야크 아이앤씨 내구성 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발열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6498A2 (ko) 2011-11-03
WO2011136498A3 (ko) 2012-03-01
KR20110120483A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159B1 (ko)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
US9583871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ferromagnetic actuators
US11469023B2 (en) Electrical connector utilizing magnets for transformable electronic device
US8237401B2 (en) Recharg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JP5845359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の充電装置
US20100285674A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ical power
JP2017536671A (ja) 磁気接続装置及び電子機器
CN110458272B (zh) 超微型存储卡及终端
CN209313158U (zh) 转接器及连接器组件
CN101931145B (zh) 一种电性连接器
US20100317233A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US20230146663A1 (en) Charging stand for electronic equipment
CN207572680U (zh) 一种type-c转接头及电连接器
KR20160001560U (ko) 마그네트가 내장된 이동식 저장 장치
CN204424510U (zh) 电子产品及其导线组
CN219811677U (zh) 一种电源端子及供电切换设备
CN209401895U (zh) 一种电连接装置
KR102130777B1 (ko) 정보 출력 장치
KR20120003589A (ko) 단자연결장치
CN205846087U (zh) 一种电池连接结构及电子设备
CN219643748U (zh) 一种传感器位移式光学防抖马达
CN209200322U (zh) 一种插拔连接器
KR102504327B1 (ko) 정보 출력 장치
CN220209567U (zh) 一种具有多接口的充电线
CN212659795U (zh) 一种数据线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