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377A -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377A
KR20210095377A KR1020200009154A KR20200009154A KR20210095377A KR 20210095377 A KR20210095377 A KR 20210095377A KR 1020200009154 A KR1020200009154 A KR 1020200009154A KR 20200009154 A KR20200009154 A KR 20200009154A KR 20210095377 A KR20210095377 A KR 20210095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bled
base plate
electric
unit
l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3061B1 (ko
Inventor
김주태
Original Assignee
김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태 filed Critical 김주태
Priority to KR102020000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0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5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를 포함하는 장애인 전동보장구(10)에 설치되어 점등동작하면서 후방으로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에 있어서, 삼각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면이 후방을 지향하도록 상기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후미에 장착되는 베이스판(110); 상기 베이스판(110)의 일측면상에 테두리를 따라 삼각형상으로 연장배치되며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점등하는 복수 개의 LED모듈(120); 입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각 LED모듈(120)에 구동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30); 및 탑승자가 휴대한 모바일단말(20)과 신호연결되어 모바일단말(20)로부터 입력되는 탑승자 조작신호에 부합되는 점등상태로 각 LED모듈(120)이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상기 전원부(130)에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SAFETY TRIPOD APPARATUS FOR ELECTRIC DISABLED ASSISTING DEVICE}
본 발명은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와 같이 장애인이 시트에 착석한 상태로 전동으로 이동가능한 장애인 전동보장구에 설치되어 점등동작하면서 후방으로 장애인 전동보장구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도로 상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는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 등의 장애인 전동보장구를 이용하여 타인의 도움없이 도로를 이동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장애인 전동보장구는 야간에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안전표시장치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 야간 이동시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지자체나 경찰에서는 장애인 전동보장구에 안전삼각대를 설치 및 지원해주는 사업을 추진중에 있다.
여기서, 도 1a는 기존에 지원사업에서 제공되는 안전삼각대가 전동보장구에 장착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1b는 안전삼각대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기존의 안전삼각대는 삼각형상의 프레임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되고 전방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LED가 이격배치되어 전원스위치를 켜면 각 LED가 점등되어 원거리 후방위치에서는 쉽게 장애인 전동보장구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원스위치가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탑승자가 시트에서 하차하지 않으면 조작하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전삼각대가 시트의 배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탑승자는 주행시 안전삼각대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다. 특히, 주행중에 배터리가 방전되어 안전삼각대의 동작이 정지되더라도 탑승자가 이를 인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아 후방추돌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1080호(2019.08.30), 전동 휠체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휴대한 모바일단말을 이용하여 장애인 전동보장구의 후미에 설치된 안전삼각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주행중에도 안전삼각대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도로상에서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에 따르면,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를 포함하는 장애인 전동보장구(10)에 설치되어 점등동작하면서 후방으로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에 있어서, 삼각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면이 후방을 지향하도록 상기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후미에 장착되는 베이스판(110); 상기 베이스판(110)의 일측면상에 테두리를 따라 삼각형상으로 연장배치되며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점등하는 복수 개의 LED모듈(120); 입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각 LED모듈(120)에 구동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30); 및 탑승자가 휴대한 모바일단말(20)과 신호연결되어 모바일단말(20)로부터 입력되는 탑승자 조작신호에 부합되는 점등상태로 각 LED모듈(120)이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상기 전원부(130)에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130)는 충전전원을 각 LED모듈(120)에 인가하는 배터리(131)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단말(20)에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되어 디스플레이(21)에 상기 탑승자 조작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조작버튼(210)을 표시하며 각 조작버튼(210)의 탑승자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앱기능부(200); 각 LED모듈(120)에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감지하는 전원감지회로부(151); 및 상기 배터리(131)의 충전잔량을 감지하는 잔량감지회로(15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0) 또는 앱기능부(200)는 전원감지회로부(151)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각 LED모듈(120)의 점등상태를 판단하고, 잔량감지회로(152)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131)의 잔량을 판단하며, 상기 앱기능부(200)는 판단된 각 LED모듈(120)의 점등상태와 배터리(131)의 잔량상태를 디스플레이(21)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기능부(200)는, 복수의 조작버튼(210) 중 좌회전 조작버튼(211)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거나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좌회전이 감지되면 각 LED모듈(120) 중 좌측부에 배치된 LED모듈(120)을 점등시키고, 복수의 조작버튼(210) 중 우회전 조작버튼(212)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거나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우회전이 감지되면 각 LED모듈(120) 중 우측부에 배치된 LED모듈(120)을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앱기능부(200)는 모바일단말(20)에 구비된 자이로센서 또는 GPS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값의 물리량 변화를 분석하여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좌회전 및 우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시트(11) 배면에 수평배치되어 베이스판(110)이 좌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레일부(161); 및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110)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구동부(16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앱기능부(200)는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좌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베이스판(110)이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고 우회전이 감지되면 베이스판(110)이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슬라이딩 구동부(162)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직립배치되어 하단은 상기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시트(11)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베이스판(110)에 연결되며 상하로 신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바(171); 및 상기 승강바(171)가 신축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17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0)는 복수의 조작버튼(210) 중 상승 조작버튼(213)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베이스판(110)이 상승하도록 하고 하강 조작버튼(214)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승한 베이스판(110)이 하강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승강구동부(172)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바(171)는 하단이 시트(11)에 축결합되어 상단이 좌우측으로 회동하며, 상기 승강바(171)가 회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동구동부(18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앱기능부(200)는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좌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바(171)가 우측방향으로 회동하고 우회전이 감지되면 승강바(171)가 좌측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회동구동부(18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10)은 승강바(171)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18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앱기능부(200)는 복수의 조작버튼(210) 중 수평회전 조작버튼(215)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베이스판(110)이 수평방향으로 90도 회동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회전구동부(182)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110)은 승강바(171)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110)이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18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앱기능부(200)는 모바일단말(20)에 구비된 맵데이터와 GPS모듈의 위치정보신호를 이용하여 장애인 전동보장구(10)가 횡단보도를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베이스판(110)이 수평방향으로 90도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회전구동부(182)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에 의하면,
첫째, 삼각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판(110)은 일측면이 후방을 지향하도록 상기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후미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판(110)의 일측면상에 테두리를 따라 삼각형상으로 연장배치되는 복수 개의 LED모듈(120)은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점등하며, 전원부(130)는 입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각 LED모듈(120)에 구동전원을 인가하고, 제어부(140)는 탑승자가 휴대한 모바일단말(20)과 신호연결되어 모바일단말(20)로부터 입력되는 탑승자 조작신호에 부합되는 점등상태로 각 LED모듈(120)이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상기 전원부(130)에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탑승자가 시트(11)에 착석한 상태에서 휴대한 모바일단말(20)을 이용하여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후미에 설치된 안전삼각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전원부(130)는 충전전원을 각 LED모듈(120)에 인가하는 배터리(131)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단말(20)에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되는 앱기능부(200)는 디스플레이(21)에 상기 탑승자 조작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조작버튼(210)을 표시하며 각 조작버튼(210)의 탑승자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출력하고, 전원감지회로부(151)는 각 LED모듈(120)에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감지하며, 잔량감지회로(152)는 배터리(131)의 충전잔량을 감지하는 잔량감지회로(15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0) 또는 앱기능부(200)는 전원감지회로부(151)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각 LED모듈(120)의 점등상태를 판단하고, 잔량감지회로(152)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131)의 잔량을 판단하며, 상기 앱기능부(200)는 판단된 각 LED모듈(120)의 점등상태와 배터리(131)의 잔량상태를 디스플레이(21)에 각각 표시함으로써, 탑승자가 시트(11)에서 하차하지 않고서도 안전삼각대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후속차량과의 추돌사고와 같은 도로상에서의 안전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앱기능부(200)는, 복수의 조작버튼(210) 중 좌회전 조작버튼(211)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거나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좌회전이 감지되면 각 LED모듈(120) 중 좌측부에 배치된 LED모듈(120)을 점등시키고, 복수의 조작버튼(210) 중 우회전 조작버튼(212)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거나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우회전이 감지되면 각 LED모듈(120) 중 우측부에 배치된 LED모듈(120)을 점등시킴으로써, 후속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회전방향을 미리 안내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앱기능부(200)는 모바일단말(20)에 구비된 자이로센서 또는 GPS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값의 물리량 변화를 분석하여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좌회전 및 우회전을 감지함으로써, 탑승자가 회전시마다 조작버튼(210)을 일일이 조작할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회전방향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가 운전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시트(11) 배면에 수평배치되는 레일부(161)는 베이스판(110)이 좌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지지하고, 슬라이딩 구동부(162)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110)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앱기능부(200)는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좌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베이스판(110)이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고 우회전이 감지되면 베이스판(110)이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슬라이딩 구동부(162)로 출력함으로써, 코너회전시 주변장애물에 의해 LED모듈(120)의 점등상태가 가려져 후속차량의 운전자가 식별하지 못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직립배치된 승강바(171)는 하단이 상기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시트(11)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베이스판(110)에 연결되며 상하로 신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0)의 높이를 조절하며, 승강구동부(172)는 상기 승강바(171)가 신축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복수의 조작버튼(210) 중 상승 조작버튼(213)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베이스판(110)이 상승하도록 하고 하강 조작버튼(214)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승한 베이스판(110)이 하강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승강구동부(172)로 출력함으로써, 원거리에서 후속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LED모듈(120)의 점등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승강바(171)는 하단이 시트(11)에 축결합되어 상단이 좌우측으로 회동하며, 회동구동부(181)는 승강바(171)가 회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앱기능부(200)는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좌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바(171)가 우측방향으로 회동하고 우회전이 감지되면 승강바(171)가 좌측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회동구동부(181)로 출력함으로써, 코너회전시 주변장애물에 의해 LED모듈(120)의 점등상태가 가려져 후속차량의 운전자가 식별하지 못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베이스판(110)이 후속하는 차량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어 베이스판(110)과 차량간의 충돌로 장치가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덟째, 상기 베이스판(110)은 승강바(171)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구동부(182)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앱기능부(200)는 복수의 조작버튼(210) 중 수평회전 조작버튼(215)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베이스판(110)이 수평방향으로 90도 회동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회전구동부(182)로 출력함으로써, 장애인 전동보장구(10)가 횡단보도와 같이 차량의 이동경로를 가로지르는 경우 측방으로 베이스판(110)을 회전시켜 운전자들에게 주지시킬 수 있다.
아홉째, 상기 베이스판(110)은 승강바(171)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구동부(182)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110)이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앱기능부(200)는 모바일단말(20)에 구비된 맵데이터와 GPS모듈의 위치정보신호를 이용하여 장애인 전동보장구(10)가 횡단보도를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베이스판(110)이 수평방향으로 90도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회전구동부(182)로 출력함으로써, 탑승자가 베이스판(110)을 회전시키기 위해 일일이 조작할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탑승자가 운전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은 종래의 안전삼각대가 장애인 전동보장구에 설치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1b는 종래의 안점삼각대를 촬영한 사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가 장애인 전동보장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의 회전방향 표시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의 슬라이딩 이동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를 통해 모바일단말에 조작기능 및 상태 표시기능이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의 승강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의 회동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의 수평회전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는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와 같이 장애인이 시트에 착석한 상태로 전동으로 이동가능한 장애인 전동보장구에 설치되어 점등동작하면서 후방으로 장애인 전동보장구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도로 상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애인용 안전장치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0), 복수 개의 LED모듈(120), 전원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판(110)은 점등표시할 공간을 제공하며 장애인 전동보장구(10)에 고정설치되는 부재로서, 삼각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면이 후방을 지향하도록 상기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후미에 장착된다.
여기서, 베이스판(110)은 타측면이 시트(11)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시트(11)에 목받침이 장착된 경우 목받침과 등받이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시트(1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베이스판(110)의 내부에는 LED모듈(120), 전원부(130) 및 제어부(140)와 같이 각 구성품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우천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된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10)의 표면에는 재귀반사필름(191)이 부착되어 후속차량에서 조사된 전조등광이 운전자를 향해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LED모듈(120)은 점등하며 후속하는 차량의 운전자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발광수단으로서, 상기 베이스판(110)의 일측면상에 테두리를 따라 삼각형상으로 연장배치되며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점등한다.
여기서, 각 LED모듈(120)은 전체가 동시에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순차적으로 개별 또는 그룹 점등하거나 점멸을 반복하는 방식등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한 다양한 점등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30)는 LED모듈(120)이 발광구동하는데 필요한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수단으로서, 입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각 LED모듈(120)에 구동전원을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130)는 충전전원을 각 LED모듈(120)에 인가하는 배터리(131)를 포함하거나 배터리 자체일 수 있으며,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LED모듈(120)에 인가하는 회로부품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탑승자 조작에 따라 LED모듈(120)를 구동제어하는 수단으로서, 탑승자가 휴대한 모바일단말(20)과 신호연결되어 모바일단말(20)로부터 입력되는 탑승자 조작신호에 부합되는 점등상태로 각 LED모듈(120)이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상기 전원부(130)에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단말(20)로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 밖에 안전삼각대를 연동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이미지나 문자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단말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베이스판(110), LED모듈(120), 전원부(130) 및 제어부(140)의 조합된 구성을 통해 탑승자가 시트(11)에 착석한 상태에서 휴대한 모바일단말(20)을 이용하여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후미에 설치된 안전삼각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는 모바일단말(20)과의 신호연결을 위해 앱기능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앱기능부(200)는 상기 모바일단말(20)에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1)에 상기 탑승자 조작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조작버튼(210)을 표시하며 각 조작버튼(210)의 탑승자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21)에는 조작버튼(210) 이외에 배터리 잔량상태, 전원, 온/오프 상태, 동작모드 상태, 및 LED광 점멸속도 상태 등 LED모듈의 상태를 세부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표시항목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기능부(200)를 통해 탑승자에게 LED모듈(120)의 점등상태를 안내하기 위해 각 LED모듈(120)에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감지하는 전원감지회로부(151) 및, 상기 배터리(131)의 충전잔량을 감지하는 잔량감지회로(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140) 또는 앱기능부(200)는 전원감지회로부(151)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각 LED모듈(120)의 점등상태를 판단하고, 잔량감지회로(152)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131)의 잔량을 판단하며, 상기 앱기능부(200)는 판단된 각 LED모듈(120)의 점등상태와 배터리(131)의 잔량상태를 디스플레이(21)에 각각 표시한다. 따라서, 탑승자가 시트(11)에서 하차하지 않고서도 안전삼각대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후속차량과의 추돌사고와 같은 도로상에서의 안전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131)의 잔량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이동간에 배터리 부족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앱기능부(200)는 모바일단말(20)의 디스플레이(21)에 LED모듈(120)의 점등상태를 표시하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의 외형을 기준으로 실제로 점등되는 LED모듈(120)과 일치시켜 표시함으로써 탑승자가 LED모듈(120)의 점등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기능부(200) 또는 제어부(140)는 베이스판(110) 상에 설치되거나 근방에 설치된 조도센서(191)로부터 감지된 주변 조도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주간에는 LED모듈(120)이 꺼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배터리소모를 방지하거나 LED모듈(120)의 밝기를 상대적으로 증대시켜 주간시인성을 높일 수 있으며, 야간에는 LED모듈(120)의 밝기를 상대적으로 감소시켜 LED광이 번져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앱기능부(200)는, 복수의 조작버튼(210) 중 좌회전 조작버튼(211)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거나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좌회전이 감지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LED모듈(120) 중 좌측부에 배치된 LED모듈(120)을 점등시키고, 복수의 조작버튼(210) 중 우회전 조작버튼(212)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거나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우회전이 감지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LED모듈(120) 중 우측부에 배치된 LED모듈(120)을 점등시킴으로써, 후속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회전방향을 미리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앱기능부(200)는 모바일단말(20)에 구비된 자이로센서 또는 GPS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값의 물리량 변화를 분석하여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좌회전 및 우회전을 감지함으로써, 탑승자가 회전시마다 조작버튼(210)을 일일이 조작할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회전방향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가 운전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시트(11) 배면에 수평배치되는 레일부(161)는 베이스판(110)이 좌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지지하고, 슬라이딩 구동부(162)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110)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앱기능부(200)는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좌회전이 감지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10)이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고 우회전이 감지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0)이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슬라이딩 구동부(162)로 출력함으로써, 코너회전시 주변장애물에 의해 LED모듈(120)의 점등상태가 가려져 후속차량의 운전자가 식별하지 못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배치된 승강바(171)는 하단이 상기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시트(11)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베이스판(110)에 연결되며 상하로 신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0)의 높이를 조절하며, 승강구동부(172)는 상기 승강바(171)가 신축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복수의 조작버튼(210) 중 상승 조작버튼(213)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베이스판(110)이 상승하도록 하고 하강 조작버튼(214)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승한 베이스판(110)이 하강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승강구동부(172)로 출력함으로써, 원거리에서 후속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LED모듈(120)의 점등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바(171)는 하단이 시트(11)에 축결합되어 상단이 좌우측으로 회동하며, 회동구동부(181)는 승강바(171)가 회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앱기능부(200)는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좌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바(171)가 우측방향으로 회동하고 우회전이 감지되면 승강바(171)가 좌측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회동구동부(181)로 출력함으로써, 코너회전시 주변장애물에 의해 LED모듈(120)의 점등상태가 가려져 후속차량의 운전자가 식별하지 못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베이스판(110)이 후속하는 차량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어 베이스판(110)과 차량간의 충돌로 장치가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110)은 승강바(171)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구동부(182)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앱기능부(200)는 복수의 조작버튼(210) 중 수평회전 조작버튼(215)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10)이 수평방향으로 90도 회동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회전구동부(182)로 출력함으로써, 장애인 전동보장구(10)가 횡단보도와 같이 차량의 이동경로를 가로지르는 경우 측방으로 베이스판(110)을 회전시켜 운전자들에게 주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10)은 승강바(171)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구동부(182)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110)이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앱기능부(200)는 모바일단말(20)에 구비된 맵데이터와 GPS모듈의 위치정보신호를 이용하여 장애인 전동보장구(10)가 횡단보도를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베이스판(110)이 수평방향으로 90도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회전구동부(182)로 출력함으로써, 탑승자가 베이스판(110)을 회전시키기 위해 일일이 조작할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탑승자가 운전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GPS신호를 이용하여 자동회전시키는 방식 이외에 횡단보도의 양측 단부의 지주(예를 들면, 신호등 지주)에 설치되는 NFC 등의 무선단말이 각각 장착되는 경우, 상기 앱기능부(200)는 모바일단말(20)에 기본적으로 구비된 NFC리더를 이용하여 각 무선단말의 NFC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횡단보도를 횡단하기 위해 횡단보도의 일측에 설치된 지주 근처로 가면서 첫번째 무선단말의 NFC신호가 입력되면 앱기능부(200)는 상기 베이스판(110)이 수평방향으로 90도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회전구동부(182)로 출력하여 횡단보도를 건너는 동안 베이스판(110)이 운전자들을 향해 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횡단보도를 횡단한 후 횡단보도의 타측에 설치된 지주 근처로 가면서 두번째 무선단말의 NFC신호가 입력되면 앱기능부(200)는 베이스판(110)이 원위치로 90도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회전구동부(182)로 출력하여 회전되어 있던 베이스판(110)이 후방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장애인 전동보장구 20...모바일단말
21...디스플레이 110...베이스판
120...LED모듈 130...전원부
131...배터리 140...제어부
151...전원감지회로부 152...잔량감지회로
161...레일부 162...슬라이딩 구동부
171...승강바 172...승강구동부
181...회동구동부 182..회전구동부
200...앱기능부 210...조작버튼

Claims (7)

  1.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를 포함하는 장애인 전동보장구(10)에 설치되어 점등동작하면서 후방으로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에 있어서,
    삼각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면이 후방을 지향하도록 상기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후미에 장착되는 베이스판(110);
    상기 베이스판(110)의 일측면상에 테두리를 따라 삼각형상으로 연장배치되며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점등하는 복수 개의 LED모듈(120);
    입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각 LED모듈(120)에 구동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30); 및
    탑승자가 휴대한 모바일단말(20)과 신호연결되어 모바일단말(20)로부터 입력되는 탑승자 조작신호에 부합되는 점등상태로 각 LED모듈(120)이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상기 전원부(130)에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30)는 충전전원을 각 LED모듈(120)에 인가하는 배터리(131)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단말(20)에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되어 디스플레이(21)에 상기 탑승자 조작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조작버튼(210)을 표시하며 각 조작버튼(210)의 탑승자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앱기능부(200);
    각 LED모듈(120)에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감지하는 전원감지회로부(151); 및
    상기 배터리(131)의 충전잔량을 감지하는 잔량감지회로(15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0) 또는 앱기능부(200)는 전원감지회로부(151)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각 LED모듈(120)의 점등상태를 판단하고, 잔량감지회로(152)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131)의 잔량을 판단하며,
    상기 앱기능부(200)는 판단된 각 LED모듈(120)의 점등상태와 배터리(131)의 잔량상태를 디스플레이(21)에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앱기능부(200)는,
    복수의 조작버튼(210) 중 좌회전 조작버튼(211)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거나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좌회전이 감지되면 각 LED모듈(120) 중 좌측부에 배치된 LED모듈(120)을 점등시키고,
    복수의 조작버튼(210) 중 우회전 조작버튼(212)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거나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우회전이 감지되면 각 LED모듈(120) 중 우측부에 배치된 LED모듈(120)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앱기능부(200)는 모바일단말(20)에 구비된 자이로센서 또는 GPS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값의 물리량 변화를 분석하여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좌회전 및 우회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시트(11) 배면에 수평배치되어 베이스판(110)이 좌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레일부(161); 및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110)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구동부(16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앱기능부(200)는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좌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베이스판(110)이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고 우회전이 감지되면 베이스판(110)이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슬라이딩 구동부(162)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직립배치되어 하단은 상기 장애인 전동보장구(10)의 시트(11)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베이스판(110)에 연결되며 상하로 신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바(171); 및
    상기 승강바(171)가 신축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17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0)는 복수의 조작버튼(210) 중 상승 조작버튼(213)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베이스판(110)이 상승하도록 하고 하강 조작버튼(214)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승한 베이스판(110)이 하강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승강구동부(172)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10)은 승강바(171)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18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앱기능부(200)는 복수의 조작버튼(210) 중 수평회전 조작버튼(215)의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베이스판(110)이 수평방향으로 90도 회동하도록 하는 구동제어신호를 회전구동부(182)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KR1020200009154A 2020-01-23 2020-01-23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KR102303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154A KR102303061B1 (ko) 2020-01-23 2020-01-23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154A KR102303061B1 (ko) 2020-01-23 2020-01-23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377A true KR20210095377A (ko) 2021-08-02
KR102303061B1 KR102303061B1 (ko) 2021-09-15

Family

ID=7731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154A KR102303061B1 (ko) 2020-01-23 2020-01-23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849B1 (ko) * 2021-08-19 2021-12-02 함양근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145B1 (ko) * 2013-06-24 2014-06-26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
KR101656441B1 (ko) * 2015-10-07 2016-09-22 이명배 자동차용 자동 안전 삼각대와 그를 포함한 자동차용 자동 안전 삼각대 세트
KR101771878B1 (ko) * 2017-04-18 2017-09-05 서한교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휠체어 이동방법
KR101894526B1 (ko) * 2017-02-17 2018-09-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KR200489337Y1 (ko) * 2019-01-02 2019-06-04 유종호 높이 조절형 차량용 안전삼각대
KR20190101080A (ko) 2018-02-22 2019-08-3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 휠체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145B1 (ko) * 2013-06-24 2014-06-26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
KR101656441B1 (ko) * 2015-10-07 2016-09-22 이명배 자동차용 자동 안전 삼각대와 그를 포함한 자동차용 자동 안전 삼각대 세트
KR101894526B1 (ko) * 2017-02-17 2018-09-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탈부착 타입 자전거용 방향 지시등 시스템
KR101771878B1 (ko) * 2017-04-18 2017-09-05 서한교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휠체어 이동방법
KR20190101080A (ko) 2018-02-22 2019-08-3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 휠체어
KR200489337Y1 (ko) * 2019-01-02 2019-06-04 유종호 높이 조절형 차량용 안전삼각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849B1 (ko) * 2021-08-19 2021-12-02 함양근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061B1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441B1 (ko)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US7825790B2 (en) Emergency vehicle light bar with message display
US20190315275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2736028A1 (en) Vehicle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WO2017134861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774168B2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US20200148382A1 (en) Aerial vehic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210852235U (zh) 一种车窗显示及交互系统
KR102303061B1 (ko)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US20200375006A1 (en) Continuous safety light
US20160159286A1 (en) Rear View Mirror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101979389B1 (ko)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14999A (ko) 스마트 모빌리티 차량의 스티어링 휠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US20180208107A1 (en) Intervehicle message center system
KR102450920B1 (ko)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KR101891617B1 (ko)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시스템
JP6913564B2 (ja) 交通制御システム
CN109791287B (zh) 用于防止车辆事故的车辆安装式显示系统和方法
CN113085723B (zh) 一种用于向车外展示信息的装置及方法
KR101485074B1 (ko) 보행등 잔여시간과 보행자 대기시간을 표시하는 교통신호등
JP7094207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170129523A (ko) 횡단보도용 조명 스마트 제어 시스템
JP3658726B2 (ja) 工事道路における車両通行誘導システム
JP2020086139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6104693A (ja) 安全標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