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849B1 -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849B1
KR102330849B1 KR1020210109301A KR20210109301A KR102330849B1 KR 102330849 B1 KR102330849 B1 KR 102330849B1 KR 1020210109301 A KR1020210109301 A KR 1020210109301A KR 20210109301 A KR20210109301 A KR 20210109301A KR 102330849 B1 KR102330849 B1 KR 102330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outside
warning
wheelchair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양근
Original Assignee
함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양근 filed Critical 함양근
Priority to KR102021010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2Luminous pa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람이 착석하는 좌석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석부의 양측에 팔걸이가 형성되며 배터리팩이 장착된 차체와, 상기 차체의 하부에 장착된 전,후방휠과, 후방휠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원과, 후방휠의 온오프와 전방휠의 방향 조정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의 외측에 부착되어 위험 신호를 발생하는 알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차체의 외부에 부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1,2덮개가 맞결합되어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공간에 수납되며 색상을 갖는 인식판넬; 상기 인식판넬에 다수로 형성된 점멸등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인식판넬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발광등으로 구성되는 표시수단;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차체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감지부; 상기 자세감지부와 연결되어 차체가 일정 각도 이상 경사지거나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게 되면 외부에 경고신호를 발신하는 경고부; 상기 차체에 형성되며 상기 경고부와 연동되어 경고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데이터를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과 경고부에 연동되며 차체에 구비되는 스피커; 상기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경고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고,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 구비된 서버; 상기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보호자가 휴대하는 무선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Wheelchair front and rear not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식 휠체어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써, 자이로센서, 통신부, GPS, 경고부 등을 내장하고 있으며, 해당 센서들을 통해 각종 위험, 전복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휠체어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위험, 전복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긴급 신고 및 보호자에게 즉시 알림이 전송되도록 하는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을 위한 보조 보행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방식에 따라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구분된다.
전동식 휠체어는 자체에 설치된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용 휠을 구동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의 직접적인 힘을 필요하지 않고 조이스틱과 같은 조작 장치를 조작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전기를 구동력으로 사용하는 전동식 휠체어는 자체에 유선으로 연결된 조이스틱형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방향제어가 자유롭기 때문에 신체가 불편한 사용자에게 편리한 교통수단이 되고 있으며, 점차 경량화 및 주행제어가 용이하도록 발전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전동식 휠체어를 통해서 기존의 수동식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불편은 감소되었지만, 휠체어가 경사에서 미끄러지거나 충돌이 일어나거나 휠체어가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은 여전히 남아있다.
따라서 휠체어의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 외부에 상황 발생에 대한 알람을 전송하여 보호자 또는 관리자가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8-0157882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동식 휠체어에 적용될수 있고, 자세 감지 기능,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위치 감지와 경고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각종 위험 발생 여부, 차체의 전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휠체어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외부에 긴급 신고 및 보호자에게 즉시 알림이 전송되도록 하는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이 착석하는 좌석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석부의 양측에 팔걸이가 형성되며 배터리팩이 장착된 차체와, 상기 차체의 하부에 장착된 전,후방휠과, 후방휠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원과, 후방휠의 온오프와 전방휠의 방향 조정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의 외측에 부착되어 위험 신호를 발생하는 알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차체의 외부에 부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1,2덮개가 맞결합되어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공간에 수납되며 색상을 갖는 인식판넬; 상기 인식판넬에 다수로 형성된 점멸등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인식판넬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발광등으로 구성되는 표시수단;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차체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감지부; 상기 자세감지부와 연결되어 차체가 일정 각도 이상 경사지거나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게 되면 외부에 경고신호를 발신하는 경고부; 상기 차체에 형성되며 상기 경고부와 연동되어 경고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데이터를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과 경고부에 연동되며 차체에 구비되는 스피커; 상기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경고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고,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 구비된 서버; 상기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보호자가 휴대하는 무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외부에 형성되어 차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차체에 권취되는 밴드 또는 차체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식판넬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에 문양 도안이 형성되고, 상기 문양 도안은 야간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빛반사소재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빛반사소재는 야광, 축광물질로 된 도료 또는 접착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세감지부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석부의 하부에 장착되며 차체에 지지되는 받침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장치는 차체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끼움결합되어 좌석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이동판 및 상기 고정판과 이동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완충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식 휠체어에 적용될수 있고, 자세 감지 기능,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위치 감지와 경고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각종 위험 발생 여부, 차체의 전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휠체어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외부에 긴급 신고 및 보호자에게 즉시 알림이 전송되도록 하여 안전성이 월등히 향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가 장착된 휠체어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가 장착된 휠체어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의 '받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의 '받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가 장착된 휠체어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가 장착된 휠체어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의 '받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의 '받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가 장착된 휠체어는, 사람이 착석하는 좌석부(102)가 형성되고, 좌석부(102)의 양측에 팔걸이가 형성되며 배터리팩이 장착된 차체(100)와, 차체(100)의 하부에 장착된 전,후방휠(104,106)과, 후방휠(106)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원과, 후방휠(106)의 온오프와 전방휠(104)의 방향 조정을 제어하는 콘트롤러(107)를 포함하고, 차체(100)의 외측에 부착되어 위험 신호를 발생하는 알림수단(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림수단(A)은, 차체(100)의 외부에 부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1,2덮개(21,22)가 맞결합되어 구성되는 본체(2); 본체(2)의 공간에 수납되며 색상을 갖는 인식판넬(4); 인식판넬(4)에 다수로 형성된 점멸등(62)과, 본체(2)의 내부에 형성되며 인식판넬(4)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발광등(64)으로 구성되는 표시수단(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는 차체(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부재(26)가 외부에 형성된다.
장착부재(26)는 차체(100)에 권취되는 밴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크로파스너에 의한 접착 및 탈거가 가능한 밴드를 적용하게 된다.
또는 장착부재(26)는 차체(100)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탈착기 가능하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에 변경시켜 부착할 수 있고, 수리 및 교체가 편리해질 수 있다.
인식판넬(4)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에는 장애인을 의미하는 문양 도안(42)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문양 도안(42)은 야간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빛반사소재로 형성된다.
빛반사소재는 야광, 축광물질로 된 도료 또는 접착시트로 이루어져 야간에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체(2)의 내부에 형성되어 차체(100)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감지부(5);가 포함된다.
자세감지부(5)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한다. 따라서 휠체어가 전복되거나 비정상의 급격한 경사 상황일때 또는 가속 상황이 발생됨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이상 상황이 발생시 외부에 경고신호를 발신하는 경고부(7)가 포함된다.
경고부(7)는 자세감지부(5)와 연결되어 차체가 일정 각도 이상 경사지거나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게 되면 외부에 경고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경고부(7)는 외부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통신모듈(72)이 구비된다.
통신모듈(72)은 차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경고부(7)와 연동되어 경고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데이터를 외부에 전송하게 된다.
통신모듈(72)은 근거리 통신방식이 적당하며, NFC, 지그비, 와이파이 등이 사용된다.
또한 통신모듈(72)과 경고부(7)에 연동되는 스피커(74)가 차체(10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72)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경고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고,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 구비된 서버(92);를 포함한다.
서버(92)는 하드디스크를 저장수단으로 사용하게 되고, 통신모듈(72)로부터 전송된 각종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아울러 이상 발생을 판별하여 경고부(7)에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경고부(7)에 직접 경고 이벤트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버(92)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보호자가 휴대하는 무선단말기(96);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단말기(96)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무선단말기(96)에 앱이 설치되고, 통신모듈(72) 및 서버(92)와 연결되어 자세감지부(5), 경고부(7)에서 수집한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해주고, 위험 상황을 즉시 알려주어 보호자가 직접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좌석부(102)의 하부에 장착되며 차체(100)에 지지되어 진동 및 충격을 감쇄시키는 받침장치(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장치(10)는 차체(100)에 설치되는 고정판(11)과, 고정판(11)에 끼움결합되어 좌석부(102)의 하부에 부착되는 이동판(12) 및 고정판(11)과 이동판(12) 사이에 배치되고, 이동판(1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완충유닛(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완충유닛(13)은 코어 스프링(131), 제1 서브 스프링(132), 제2 서브 스프링(133) 및 방진 탄성체(134)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스프링(131)은 고정판(11)과 이동판(12)의 중앙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판(1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스프링(131)은 압축 코일 이경 스프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서브 스프링(132)은 코어 스프링(131)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판(1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스프링(132)은 코어 스프링(131) 보다 작은 크기의 압축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서브 스프링(133)은 코어 스프링(131)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제1 서브 스프링(132)과 다른 위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판(1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브 스프링(133)은 인장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방진 탄성체(134)는 제2 서브 스프링(133)을 내부에 수용하고, 전후 방향으로 고정판(11)과 이동판(12)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진 탄성체(134)는 고무, 실리콘 및 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 : 본체 4 : 인식판넬
5 : 자세감지부 6 : 표시수단
7 : 경고부 42 : 문양 도안
62 : 점멸등 64 : 발광등
72 : 통신모듈 92 : 서버
96 : 무선단말기

Claims (3)

  1. 사람이 착석하는 좌석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석부의 양측에 팔걸이가 형성되며 배터리팩이 장착된 차체와, 상기 차체의 하부에 장착된 전,후방휠과, 후방휠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원과, 후방휠의 온오프와 전방휠의 방향 조정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의 외측에 부착되어 위험 신호를 발생하는 알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차체의 외부에 부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1,2덮개가 맞결합되어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공간에 수납되며 색상을 갖는 인식판넬;
    상기 인식판넬에 다수로 형성된 점멸등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인식판넬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발광등으로 구성되는 표시수단;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차체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감지부;
    상기 자세감지부와 연결되어 차체가 일정 각도 이상 경사지거나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게 되면 외부에 경고신호를 발신하는 경고부;
    상기 차체에 형성되며 상기 경고부와 연동되어 경고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데이터를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과 경고부에 연동되며 차체에 구비되는 스피커;
    상기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경고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고,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이 구비된 서버;
    상기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보호자가 휴대하는 무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좌석부의 하부에 장착되며 차체에 지지되는 받침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장치는,
    받침장치는 차체에 설치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끼움결합되어 좌석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이동판;
    상기 고정판과 이동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완충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에 형성되어 차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차체에 권취되는 밴드 또는 차체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자성체이며,
    상기 인식판넬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에 문양 도안이 형성되고, 상기 문양 도안은 야간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빛반사소재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빛반사소재는 야광, 축광물질로 된 도료 또는 접착시트인 것이고,
    상기 자세감지부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

  3. 삭제
KR1020210109301A 2021-08-19 2021-08-19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 KR102330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301A KR102330849B1 (ko) 2021-08-19 2021-08-19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301A KR102330849B1 (ko) 2021-08-19 2021-08-19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849B1 true KR102330849B1 (ko) 2021-12-02

Family

ID=7886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301A KR102330849B1 (ko) 2021-08-19 2021-08-19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84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5884A (ja) * 2003-10-22 2005-05-19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のフレーム
KR101386197B1 (ko) * 2013-01-04 2014-04-1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 휠체어 및 전동 보행 보조기의 전복 방지 장치
KR20170045847A (ko) * 2015-10-20 2017-04-2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전동 휠체어 기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4153A (ko) *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텔레웍스 스마트 휠체어 안전 자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0594A (ko) * 2018-12-10 2020-06-18 이상우 위험 상황 알림을 수행하는 휠체어 제어 시스템
KR102279756B1 (ko) * 2019-05-14 2021-07-20 토도웍스 주식회사 휠체어의 전복 알림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20210095377A (ko) * 2020-01-23 2021-08-02 김주태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5884A (ja) * 2003-10-22 2005-05-19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のフレーム
KR101386197B1 (ko) * 2013-01-04 2014-04-1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 휠체어 및 전동 보행 보조기의 전복 방지 장치
KR20170045847A (ko) * 2015-10-20 2017-04-2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전동 휠체어 기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4153A (ko) *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텔레웍스 스마트 휠체어 안전 자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0594A (ko) * 2018-12-10 2020-06-18 이상우 위험 상황 알림을 수행하는 휠체어 제어 시스템
KR102279756B1 (ko) * 2019-05-14 2021-07-20 토도웍스 주식회사 휠체어의 전복 알림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20210095377A (ko) * 2020-01-23 2021-08-02 김주태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07994A1 (en) Wearable integration with helmet
US11207550B2 (en) Controlled descent self-retracting lanyard
US20210023401A1 (en) Self-retracting lanyard with fall protection harness tracker
US7777617B2 (en) Wireless signal apparatus for assisting drivers to back large vehicles
US10888723B2 (en) Self-retracting lanyard with fall protection harness tracker
KR10168152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비상 경고 표시장치
WO2019077478A1 (en) PROTECTIVE DEVICE FOR EYE PROTECTION
JP2013171445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102330849B1 (ko) 휠체어의 전후방 알림 장치
KR101432062B1 (ko) 안전 시스템 및 안전장치의 설치 방법, 안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구동방법
US11554713B2 (en) Signaling device with built-in accelerometer carried on the back of a user of a locomotive machine
KR102134733B1 (ko)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KR102666055B1 (ko)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
JP3189644U (ja) 緊急遠隔通報システム
KR101924904B1 (ko) 오토바이용 안전슈트
CN105894766A (zh) 应用于交通工具的声控指示系统
CN213128246U (zh) 一种头盔
KR102202137B1 (ko) 개인형 이동체의 후방 차량 접근 경보 장치
KR102421361B1 (ko) 가변형 u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연동 이동식 헤드업디스플레이
JP2018085646A5 (ko)
KR20230105467A (ko) 헬멧에 부착되는 사고감지장치
KR20230016469A (ko)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KR20230040427A (ko)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
KR102416185B1 (ko) 어린이 안전 벨트와 연동된 스티커식 차량용 메시지 표시 장치
US20060187067A1 (en) Instantaneous sleep activated al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